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인터넷 의존도의 이용과 충족 시각적 특성

        허경호(Gyeong-Ho Hur)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6 No.4

        이 연구는 그간 효과연구에서 주로 중계변인으로 이용되어 왔던 미디어 의존도 개념을 이용과 충족 연구시각에 편입시켜 두 구성개념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즉, 미디어 의존도를 목표 지향적인 행위의 결과로 발생되는 미디어의 효용성에 대한 주관적 평가로 정의했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의존도란 인터넷 이용 동기 및 인터넷 친밀도를 선행변인으로 하여, 온라인 장르활동의 결과로 발생되는 종속변인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터넷 이용 동기의 인자분석을 통하여 총 여섯 개의 인터넷 이용 동기를 추출하였으며 이들 상호작용, 시간 채우기, 토론참여, 정보획득, 도피, 및 즐거움 추구동기가 인터넷 의존도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의존도는 대부분의 온라인 활동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인터넷 친밀도와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인터넷 의존도는 토론참여 동기와 즐거움추구 동기, 인터넷 친밀도, 그리고 온라인 활동인 업무관련 정보 찾기 및 여행관련 정보 찾기로 예측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College students report growing dependency on the internet for a variety of reasons. The current study approached college students’ internet dependency from the uses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 I examined relations of internet dependency with internet using motivations, internet affinity, and online internet activities. First, by conducting factor analyses, I obtained six factors: social interaction, pass time, discussion participation, information seeking, escape, and enjoyment motivations for using the internet. Then, after controlling for control variables such as the demographics and internet using time, I conducted the fourth-order partial correlations between internet dependency and the six motivations, internet affinity, and online internet activities. Results showed that internet dependency was positively related to all six internet motivations and the internet affinity. Internet dependency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a variety of online internet activities such as information search for school work, learning and educational information, online news, and job information. In predicting internet dependency, discussion participation and enjoyment motivations, internet affinity, information search for school work, and travel inform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텔레비전 시청량, 채널 및 프로그램 시청목록수의 예측치로서의 텔레비전 시청충족 연구

        허경호(Hur Gyeong-Ho) 한국방송학회 2000 한국방송학보 Vol.14 No.1

        The main goal of my study was to examine how each of two different sets of gratifications, the first one measured at the general television level and the second one measured by using one’s own most frequently watched television program (I called this prototype program), predict viewers’ television viewing time, and channel and program repertoires. Because previous studies examined this issue only in terms of television consuming behaviors such as attention and distraction, I decided to employ some quantitative aspects of television viewers such as viewing time and numbers of channels and programs in an individuals’ repertoires as the research variables to see which set of gratifications better predict these criterion variables. Based on the abstract level specificity principle and abstract level correspondence phenomenon found in the previous studies, I proposed three research questions instead of research hypothesis. I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s separately to examine which set of gratifications better predicts the dependent variables across the different levels of abstraction specificity. Results showed that pass time/habitual viewing gratifications measured at the general television level predicted viewers' amount of television viewing time more strongly than pass time/habitual and social interaction viewing gratifications measured at ones own prototype program level. Secondly, Entertainment/excitement gratifications measured at the television level better predicted the numbers of channels in viewers’ repertoires thanpass time/habitual gratifications measured at the prototype program level. Finally, entertainment/excitement and pass time/habitual gratifications at the television level predicted the numbers of programs in individuals’ television repertoires more strongly than pass time/habitual gratifications measured at the prototype program level. Overall, I interpreted these results as supporting the abstract level correspondence phenomenon, which means that research variables have stronger correlations when they are measured at the same level of abstraction specificity, because the level of abstraction specificity of the three criterion variables and the gratifications measured at the general television level have the same level of abstraction specificity. Some other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자율적 텔레비전 이용성향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

        허경호(Gyeong-Ho Hur)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이 연구는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 미디어 선택을 통해 획득되는 충족이라는 구성개념이 수용자의 전체적인 삶의 맥락에서 목표지향적인 과제나 또 다른 더 중요한 일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하나의 선택으로 파악되지 못하고 지나치게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문제점에서 출발했다. 이같은 문재는 이용과 충족연구시각에서 수용자의 미디어 소비행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충족이라는 핵심적인 구성개념 외에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을 목표지향적인 삶의 맥락 안에서 측정할 수 있는 보완적인 구성개념 제시의 필요성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용과 충족 연구의 가장 중요한 가정 중의 하나인 목표지향적인 수용자상을 반영하면서도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다른 구성개념들과 이론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갖는 새로운 구성개념과 이것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자율적 텔레비전 이용 성향이라는 구성개념을 성격 심리학에서 제시되는 자기통제, 자기규제, 인지적 혹은 행동적 자기경영 실천, 등과 같은 구성개념을 기초로 정의해보고 인자분석을 통하여 구성개념 타당도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이같은 절차로 확인된 목적지향성, 자제력, 미뤄둔 만족과 같은 하부 구성개념들이 자기경영 실천, 텔레비전 시청충족, 텔레비전 중독 및 부정적 자기 평가 공포 등과 같은 구성개념들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척도의 수렴타당도, 동반 타당도, 및 차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척도의 문제점과 이를 이용한 후속 연구가 고려해야 할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velop a new television uses scale supposedly reflecting activeness and goal-directedness of the media audience. Traditionally, the uses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 treated the audience’s goal-driven media uses behaviors as an assumption rather than as a variable to be measured. Although the audiences’ gratifications or motivations for media uses have played a central role as the major research construct in explaining the many media-related aspects of the audiences such as exposure to television, television affinity, and audience activity, there needs to be a complementary construct which taps how the audiences manage their media uses in their daily life while pursuing their life goals or accomplishing their work. Based on the clinic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literature about self-control, self-regulation, and cognitive or behavioral self-management practices, a total of 15 statements reflecting self-managed television uses were created and factor-analyzed, The resulting scale was composed of the three sub-constructs, which were labeled goal-directedness, self-controlled, and delayed gratification. This partially confirm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To establish an additional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correlations of the scale with the scales of self-management practices, television viewing gratifications, television addic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ere examined. Results showed sufficient levels of significance. This suggests the validity of the scale. Finally, some other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refining and using the scale in future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