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 초임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함미애,전병운 국립특수교육원 2020 특수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 초임교사들의 수업 경험의 특징과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수업 전문성 신장 지원과 특수교사 양성 체제의 문제점을 고찰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 3명의 수업 경험에 대한 개별 면담, 집단 면담, 수업 동영상, 반성적 저널 및 각종 협의 자료 등의 텍스트를 수집하여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수업은 개인적인 성향과 이전의 경험들이 상호관련을 맺으면서 고유한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전문적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시행착오, 장애학생들의 특성과 능력의 다양성, 수업 연구에 충실할 수 없는 환경 등으로 인하여 수업을 계획·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교과서에 의존하여 되도록 많이 가르치려는 양상을 드러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임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신장 지원과 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원격수업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탐색

        함미애 국립특수교육원 2020 특수교육연구 Vol.27 No.2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전국의 학교는 개학을 연기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업 결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수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이 대면수업에서 원격수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원격수업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 그와 관련해서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7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선정하고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비교·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인식’의 경우 ‘상상만 하던 일이 현실이 됨’을 비롯한 5개 소주제가 도출되어 ‘원격수업에 관한 인식’이라는 대주제로 군집화하였다. ‘경험’ 영역은 ‘설계 중점’, ‘긍정적인 효과’, ‘어려움’ 등 3개 대주제에 따라서 각각 2, 3, 5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지원요구’는 ‘테크놀로지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지원’을 포함한 6개 소주제가 추출되었고, 이는 ‘원격수업 개선을 위한 지원요구’라는 대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학생에 대한 원격수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교과수업에 대한 국내 단일대상 연구 동향 분석

        함미애,임경원,전병운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subject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evaluate them through the What Works Clearinghouse(WWC) Standards ver. 3.0. For this purpose, journal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via research databases, and a total of 57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selected studi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based on publication year, subject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research environment, type of experimental design, independent, dependent variables and the WWC standards. The results revealed that single-case study of subject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ublished from 2002, and subject instruction studies were mostly conducted language of arts and mathematics and 3 participant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Also, mostly studies used multiple probe and multiple baseline designs and tried to use various strategies and a number of studies were evaluated such as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academic skills, and behavioral problems. However, there were very few studies related to curriculum contexts directly. In addition, only 13 studies met WWC standards. Most of studies did not meet criteria for the reliability and probe pont in a session under no interv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trends were discussed and the further directions were suggested in subject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교과수업에 대한 단일대상 연구의 일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WWC 버전 3.0 평가지표에 의하여 연구 방법의 질적인 수준과 증거강도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57편의 논문을 추출하여 발표연도, 연구 교과, 대상, 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중재충실도, 교육과정 관련성 등의 일반적인 동향과 WWC 3.0 버전의 평가지표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의 교과수업에 대한 단일대상 연구는 2002년에 처음 발표된 이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국어와 수학과 연구가 가장 많이 보고되었으며, 주로 특수학급 환경에서 실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3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에서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고, 중다간헐 기초선과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행동교수 전략을 활용한 연구가 교과학습 전략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연구보다 현저하게 많았다. 종속변인 또한 행동기술을 목표행동으로 하는 연구가 교과학습 능력을 평가한 연구보다 많았으며, 교과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중재 연구는 주로 국어와 수학 교과에 집중되었다. 한편, WWC 기준을 충족하는 연구는 13편에 불과하였으며, 설계 측면에서 관찰자간 신뢰도와 비중재 대상에 대한 프로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연구가 다수였으며, 시각적 분석에서는 자료점의 중복과 효과의 즉각성 면에서 연구 효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교과수업 연구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수업 멘토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함미애,전병운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2

        The study explored the mentoring process by selecting the mentoring program which is operated in the actual field in order to develop the mentoring model suitable for the intellectual disability special school to enhanc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new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in small schools, and mentoring was conducted for 1 year by pairing 1:1 mentor teachers and mentee teacher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mentoring process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analyzed what experiences and changes, what difficulties and problems were found, and what support and improvement needed. To do this, we collected and transferred the mentoring operation plan, lesson plan, observation record, evaluation meeting minutes, in-depth interview data, instruction and instructional evaluation videos,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by analyzing semantic units using the subject program cod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xperience and change', 'Looking back at problems', 'Going for mutual benefit' constituted the structure of story. The psychological state of each category showed satisfaction, burden, hope and expec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ntoring metho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school was discussed and the mentoring model was presented. 본 연구는 신규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실제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멘토링 사례를 선택하여 멘토링 과정을 탐구함으로써 단위 학교 특성에 적합한 멘토링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학교는 16학급의 소규모학교이며, 멘토 교사와 멘티 교사를 1:1로 짝지어 1년 동안 지속적으로 멘토링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멘토링 내용 중 수업 전문성에 대한 멘토링 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멘토링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어떤 경험과 변화를 겪었는지, 어떤 어려움과 문제점이 있었는지, 그에 따라 어떤 지원과 개선이 필요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멘토링 운영 계획서, 교수-학습 지도안, 수업 참관록, 평가회 회의록, 수업 동영상, 수업 평가 동영상, 심층 면접 자료 등을 수집하여 전사하였고, 자료의 수집과 동시에 분석을 실시하는 계속적 비교 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제 코딩 방법으로 의미 단위를 분석하여 해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경험과 변화’, ‘문제점 돌아보기’, ‘상생을 위해 나아가기’ 로 이야기의 구조를 구성하였다. 각각의 범주에 따라서 ‘만족감’, ‘부담감’, ‘희망과 기대감’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적 상태를 정의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단위 학교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멘토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멘토링 모형을 제안하였다 .

      • KCI등재

        AAC 활용 수업에 대한중도·중복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함미애,이재신,전병운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school teachers' experiences and needs for instruct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roug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Method: The present study was action research based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llaborative inquiry. The participants were fou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ed in a special school located in Seoul. Results: Results showed or revealed the following a) the awareness of instruction with AAC was recognized as a valuable instructional method for teachers to instruct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 difficulties in AAC based instruction teachers faced with a lack and flaws in AAC devices, meeting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modifying curriculum. Teachers have to be versatile curriculum modification; c) to have success in instruction with AAC, must have a number of AAC aids and create an environment that reinforces using AAC and provides curriculum support. Conclus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ollaborative inquiry was to improve special educators' professional competences on the use and application of AAC.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연구를 통하여 AAC 활용 수업에 대한 경험과 요구를 알아보고, 교육현장에서 AAC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중도·중복 지체장애학교인 서울J학교에 근무하는 연구자와 교사 3명이 협력적 수업연구를 진행하면서, 그 과정과 결과를 탐구하는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업연구는 공동계획, 수업 및 관찰, 평가와 환류, 자기반성, 수정 및 재수업의 순환적 과정을 5회 반복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업연구 직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첫째, AAC 활용 수업의 의미는 교사에게는 기쁨과 보람을 주고,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가능성을 열어줌으로써 좋은 수업을 구현할 수 방법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AAC 활용 수업의 어려움은 도구 활용의 어려움,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 만능이 되어야 하는 교사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AAC 활용 수업을 위한 지원·요구 사항으로는 AAC 도구의 지원과 환경 조성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공동협력과 계속적인 연구 과정을 통하여 AAC 적용과 활용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하고 AAC 활용 수업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수학 교과 수업 비평

        함미애(Ham Mi-ae),전병운(Jeon Byung-u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신규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실질적인 교실 수업에 대한 탐구를 통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수학 교과 수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교육과정을 실제 수업으로 구현하 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지적장애 특수학교 2년차 신규교사의 임상장학을 위한 수학과 공개 수업을 참관한 후, 수업 동영상, 교사 인터뷰, 수업 지도 안, 수업 참관록, 동료교사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통하여 수업 비평을 시도하였다. 수업 비평은 40분 수업의 내용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기술한 후, ‘기능 교육 과정 지향의 수업 구현’,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수업 구현’, ‘교과 전문성의 구현’, ‘반성과 성찰을 통한 성장 이야기’로 주제화하여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특수교육 분야에서 수업 비평의 의미 에 대하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n instructional criticism on mathematics class in special education field to explore how teachers implement the curriculum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For this study, after observing the lesson, I collected data such as class video, teacher interview, class instruction plan, class observation records, fellow teachers interview, and criticized the class by describing and interpreting. Before criticizing the class, I mentioned the concept, necessity, value and possibility of instructional criticism and explained the class in detail. And criticized the curriculum was reorganized into a functional curriculum, a class in which all students participated together, the development of subjectivity expertise, and the growth through reflection. Finally, the meaning of instructional criticism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er s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