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과・제빵 활동 프로그램을 이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장애아동의 의사소통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

        장오선,강창욱 한국발달장애학회 2012 발달장애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지닌 자폐성장애 아동에게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 재를 적용하여 이러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평소 대상 아동이 흥미와 관심 을 보이고 있던 제과・제빵 활동 프로그램을 매개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시 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의사소통기능(도움 요구하기) 및 자발 발화율을 중심으로 의사소통기능 향상도를 검증하였는데 그 자료 처리 방법은 의사소통기능(도 움 요구하기) 및 자발 발화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그래프화 하였다. 그 결과, 대상 아동의 의사소통기능(도움 요구하기) 및 자발발화율이 기초선 대비 높은 비율로 유지되었다.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메타포(Metaphor)분석을 중심으로

        장오선,김려원,전병운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meanings of art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metaphors induced from practitioner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t the community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To that end, 167 practitioners in charg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community centers were selected and data for metaphors were collected. Of it, Metaphors from a total of 141 practitioners, excluding those from 26 that failed to meet the standards, were selected and an analysis of the metaphors was carried out.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meanings of the practitioners showed that they recognized the foundation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the five categories: its reason of existence, direction to be pursued, approaches, medium for successful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grounds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ext,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metaphors of the practitioners proved that they could be divided into ten: emotional happiness, equal enjoyment, social participation, improvement of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mpathy, doing together, education through fun learning, education requiring hidden effort, ensuring the right of freedom, and acknowledgement of diversity.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discussion on a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been hel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프로그램 담당자들이 산출한 메타포를 통해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 복지관에서 실제로 장애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1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가운데 분석 자료로서의 요건에 충족하지 않는 26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41명의 메타포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메타포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의미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 당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존재 이유, 추구 방향, 접근 방법, 성공적 장 애인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매개체,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기반과 같이 크게 5가지로 인식하고 있 음이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당자의 메타포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행복, 동등한 향유, 사회적 참여, 자존감 향상, 소통과 공감, 함께 하기, 재미있는 배 움을 통한 교육, 숨은 노력이 필요한 교육, 자유권 보장, 다양성 인정과 같은 10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장애인평생교육에 있어서의 문화예술 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비장애 고등학생과 부모가 참여한 1:1 친구사귀기 프로그램의 현상학적 연구

        장오선,권회연,전병운 한국통합교육학회 2017 통합교육연구 Vol.12 No.1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aimed at developing an integrated educational “one-to-one making friends” program by utilizing local communities, in which were participated by students in high schools and their parents. The participants were involved to be one-to-one making friends for the psychological-emotional integration. Further with the involvement of thei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without disability to support their children's friends, all of them were the agents of an inclusive program, altogether. To this end, 16 programs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targeting two students with disability in a special education school, on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other with autism. And tw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nearby high school. Specially, the parents' programs were adapted oneself to circumstances as their covert need and their children's need. A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made friends with each other;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resolved conflicts by prejudices and the feeling of sympathy;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y increasingly understood and embrac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gap between th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has been getting closed; the parent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could better make a trusting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search for identify as parental roles and hoped to continue a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Thus, this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every participants.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facilitated as the meeting progressed. And the group of parents and the group of children exchanged intensely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Upon this result, it is assumed that promoting a psychological- emotional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without disability requires continuous regular meetings, not one time exchange. Also, the various numbers including parents would be better to participate in the making friends programs. Lastly, this paper review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makes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이 연구는 통합교육의 주체인 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 부모 및 비장애학생 부모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1:1 개인 간 친구 사귀기 프로그램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2명의 지적 장애 및 자폐성 장애 학생과 부모 2명, 인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명 및 부모 2명을 대상으로 총 16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그 결과,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 친구관계를 형성하였고, 비장애학생 부모의 장애학생 부모와의 공감대 형성과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특성 이해 및 수용력 증대, 장애 학생의 비장애학생에 대한 거리감 축소, 장애학생 부모의 비장애학생 부모에 대한 이해와 계속적 통합교육 프로그램 희망 등 연구대상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부모들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부모-자녀 간의 신뢰감과 부모로서의 정체성이 확고해졌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 심리·정서적 통합을 위해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의 일회적인 만남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통합교육 주체 간 만남과 교류를 정기적이고 장기적으로 지속하여야 하며, 부모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구성원들이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과 향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장애인 평생교육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장오선(Chang Oh Sun),전병운(Jeon Byung U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8년(현재)까지의 국내 장애인 평생교육 분야의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국내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질적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연구 전망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학위 논문 8편과 학술지 8편을 포함한 총 16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는 2009년부터 시작되었는데 특히, 2016년과 2017년 사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목적은 의미 탐색(4편), 참여자 경험의 본질 탐구(7편), 문제해결 방안 모색(2편),변인 간 관계 분석(2편), 문화 이해(2편)로 드러났다. 셋째, 연구 방법의 유형은 근거 이론, 문화 기술지, 생애사 연구, 자문화 기술지, 심층 면담, 심층면담과 참여 관찰, 현상학, 질적 사례연구를 포함하였다. 연구 참여자 별 유형 분석 결과, 당사자(104명), 부모(67명), 교사(25명), 종사자(10명), 연구자 본인(3명), 비(非) 장애성인 2명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의 주제(내용)는 부모의 양육 과정 관련 연구가 2편, 전환교육과 직업분야 등의 프로그램 운영 관련 연구가 10편, 취업 관련 연구가 2편, 자기 옹호 관련 연구가 2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trend of qualitative Researches in regards to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entered on the paper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07 to 2018 (presen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To that end, general accounts, theses (details) and research methods of a total sixteen papers consisting of eight dissertations and eight pap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ly, the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es on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increased since 2009, especially rapidly soaring between 2016 and 2017. Next, objectives of the Researches are categorized as follows: four for exploring meanings, seven for exploring the essence of experiences of participants, two for seeking for solutions, two for analyzing relations among variables, and two for understanding the culture. Third, research methods included the grounded theory, ethnography, life history research, autoethnography,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case study. Participants of the Research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the person in question (104), parents (67), teachers (25), workers (10), researchers (3), and non-disabled adults (2). Fourth, Researches according to theses (details) are divided as follows: Researches on parents child rearing (2), transitional education and jobs including three sub-categories on cooking and education (10), Researches on employment (2), and Researches on self-efficacy (2). Based on this result,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provided.

      • KCI등재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정신지체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장오선(Oh-Sun Chang),강창욱(Chang-Wook K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프로그램 적용 이후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교육적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특히 읽기이해(세부 내용 이해 및 세부 내용 기억)에 주안점을 둔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 것이 기존의 다른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14~16세의 정신지체 아동이며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1)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세부 내용 이해에 효과가 있는가? (2)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세부 내용 기억에 효과가 있는가?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정신지체아동의 세부 내용 이해 읽기능력을 증진시켰다. 둘째,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정신지체아동의 세부 내용 기억 읽기능력을 증진시켰다. 셋째,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중재 종료 이후에도 정신지체아동의 세부 내용 이해 및 세부 내용 기억 읽기능력의 유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effects of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ICT Education to se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s change after praticing this program. It's specially meant determine specially, It's impact on reading ability. by focusing reading comprehension. (comprehension of detail contents and memorizing of detail contents.) that is differences of other existing research. The subjects are 14-16 years old who are with intellectual disorders and This study utilized a single case. (1) Is there any effects of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ICT Education on comprehension of detail contents, (2) Is there any effects of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ICT Education on memorizing of detail contents. The result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Whole language approach served to increased comprehension of detail cont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Secon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served to increased memorizing of detail cont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Thir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given to positive influence about maintenance that comprehension of detail contents and memorizing of detail cont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 KCI등재

        스마트 러닝에 기반한 교수학습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학습 태도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장오선(Oh-Sun Ch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8 No.10

        R본 연구는 스마트 러닝에 기반한 교수학습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학습 태도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향상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두 집단(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의 사전 사후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 바, 첫째, 학습 태도 측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이 향상되었다. 둘째, 집단의 주의집중을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의 주의집중은 실험 초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현저하게 낮아졌으나, 실험집단의 주의집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이 지속되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 러닝에 기반한 교수학습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학습 태도와 주의집중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methods of improving about effect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Based Smart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s and the Atten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orders. Analysis method of the data in this study included comparison pre-and post test among the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irst,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the Learning Attitudes. Seconds, As for the attention of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maintained their attention at relatively similar level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while the attention of the control group had shortened toward the end of the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Based Smart learning through authoring tool was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mentally with Intellectual Disorders' Learning Attitudes and attention.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장오선(Oh-Sun Chang),전병운(Byung-Un Jeon)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프로그램 담당자들이 산출한 메타포를 통해 장애인 평생교육 문화예술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 복지관에서 실제로 장애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1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가운데 분석 자료로서의 요건에 충족하지 않는 26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41명의 메타포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메타포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존재 이유, 추구 방향, 접근 방법, 성공적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매개체,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기반과 같이 크게 5가지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당자의 메타포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행복, 동등한 향유, 사회적 참여, 자존감 향상, 소통과 공감, 함께 하기, 재미있는 배움을 통한 교육, 숨은 노력이 필요한 교육, 자유권 보장, 다양성 인정과 같은 10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장애인평생교육에 있어서의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