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찰관의 조직몰입과 직업몰입 : 직무몰입의 조절효과

        한혜선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직과 직업의 이중몰입이 조직성과와 직무만족은 높이고 이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관의 조직몰입과 직업몰입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조직몰입과 직업몰입의 공통 선행변인으로서 직무몰입이 조직과 직업몰입간 상관을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경찰관 60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 직업몰입, 직무몰입, 경력만족, 경력전망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찰관의 조직몰입과 직업몰입, 조직몰입과 직무몰입, 직업몰입과 직무몰입은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직무몰입이 조직몰입과 직업몰입의 상관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한 결과, 직무몰입이 높을수록 조직몰입과 직업몰입의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경력만족과 경력전망이 정적 상관이 있고, 경력만족 및 경력전망은 조직몰입, 직업몰입, 직무몰입과도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분류에 따른 조직몰입, 직업몰입, 직무몰입, 경력만족의 차이를 일으키는 개인적 속성은 근무지의 영향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구대·파출소가 경찰서, 경찰청에 비해 조직몰입, 직업몰입, 직무몰입, 경력만족이 모두 낮았다. 그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찰관의 몰입을 통해 조직성과를 최대화할수 있는 실무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mt of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the dual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occupation can increase organization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level while minimizing turnover. Moreover, this research sought to verify whether the job commitment as a common precedence variable of the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occupation medi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nt. Towards this end, 600 police officers in Seoul were subjected to survey by us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commitment, job commitment and carre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spect scale.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each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research's results.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and occup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and job commitment, occupational and job commitment manifested positive correlation. At this time, it was verified how job commitment mediates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nt, which demonstrated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nt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job commitment is higher. Moreover, carre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spect manifested positive correlation. Carre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spect manifes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as well. Influence of working site was most powerful factor when it comes to the personal attributes that induces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commitment, job commitment and carrer satisfaction levelfollowing demographic classification. In other words, district station and precinct station manifested low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commitment,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levelcompared to police station and National Police Agency. These results were leveraged to present working level direction to maximize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police officers' commitment.

      • 高麗時代 陶器 硏究

        한혜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verall aspects of Koryo pottery by analyzing Koryo Dynasty related various literatures and ruins excavation investigation reports. We identified the range and types of Koryo pottery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tried chronological recording based on it and examined a variety of purposes and nature of pottery. Looking at the concept and scope of Koryo pottery through literature and excavated artifacts, Koryo pottery is first expressed as pottery·stoneware etc. in the literature and these obviously seem to have been used to refer to materials different from celadon. On the other hand, both non-glazed pottery and glazed pottery are included in pottery and these can be seen in the actual artifacts. Of pottery discovered during the salvage of Mado No. 1·2·3, some pottery can be clearly seen as glazed pottery through visual observation.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of greenish-brown pottery that employed the production method of pottery became active after the mid-13th century, the late Koryo Dynasty and it was found that Koryo people recognized it as potter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oryo pottery kilns, various structural elements do not show certain aspects according to time or location. Basically, it is determined that pottery kilns are the same in terms of Dansilyo (one kiln) with 1 Beonjosi (pottery baking room) and detailed structure has been variously created and changed. Pottery produced in each region must have been used around the region but it could be seen that not a few pottery must have been needed in the royal family and central government offices at that time through the presence of pottery on which government office name is engraved. It is estimated that this pottery may have been provided as a set of celadon through the example of pottery kiln coexisting with celadon kiln or produced in the tile kiln belong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located near Gaegyeong. Also, there are examples that pottery kilns used to belong to temples. The reason that Koryo Dynasty pottery kilns were variously installed and operated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production system has fewer constraints than other handiworks. That is, it is difficult to find standard structures of pottery kilns depending on the time and area because pottery has been produced, distributed and consumed more autonomously without being actively organized into the country-based handicrafts and this eventually enabled pottery revealing strong regionalism to be produced. Pottery excavated at the Koryo Dynasty ruins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jars and bottles are dominant but there was various kinds of pottery in addition to them. Jars include jar with wide shoulders, big jar, short-necked jar, hemispherical jar, flattened Jar, jar with long and slim body, Maebyeong-shape jar, jar with wide rim diameter, extended rim jar etc. While some jars show changes depending on time, some have been used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 throughout Koryo period or across the region, showing the various aspects. Bottles are a typical model showing the most various detailed features among Koryo pottery and transition process depending on time. There are a bottle with abacus bead shape, a bottle with one, two, four-flattened side, hemispherical bottle, small bottle, Maebyeong, trumpet mouthed bottle, gourd-hape bottle, Kundika, long-necked bottle, bottle with cylindrical body etc. By each model, types are divided depending on the form of rim and other properties and some models or forms were preferred depending on time and area. Though small quantities, small food utensils such as bowl, dish, cup, oil lamp etc. have also been excavated. In addition to them, there are water jar, basin, incense burner, jar, Janggo(double headed drums), steamer, ewer, pagoda-shape pottery etc. As shown above, it was found that there have been various types in Koryo pottery in addition to models responsible for simple storage and transportation. All models of Koryo pottery do not show changes depending on time but it was found that several models have been changed in the flow of early, mid, and late period. The early period are 10th-11th century and in the continuum of the late Unified Silla and the time when pottery affected celadon. bottles with flattened sides, bottles with abacus bead shape, striped bottles that have been mainly produced during late Unified Silla are still being excavated and bottles with flattened sides and bottle with abacus bead shapes were produced as celadon and blackware after the 11th century. During this period, the areas of celadon and pottery were separated to some extent and the impact of pottery was reflected in porcelain more strongly. The middle period is the mid-12th and 13th centuries and a variety of pottery wa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both type and quality of porcelain and handicrafts of other materials have been diversified and pottery was also in this flow. In particular, pottery bottles show a lot of similarities in the form to both bowls made of other materials and it was estimated that porcelain and metal products have been used as alternate products through adaptation and imitation. The late period is the end of the late 13th century-14th century and the overall body of a jar becomes longer and the representative jars include jar with long and slim body and jar with two flattened sides. In addition, during the late period, the production of thinly glazed greenish brown pottery became more active than the previous period so it was widely used as for transport or burial mounds. The transition process of Koryo pottery depending on time is also generally agreed with chronological recording of celadon which was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the same period, showing the clos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On the other hand, what shows the nature of Koryo pottery the most prominently is the part about its usage and can be seen through the ruins excavation situation. The purpose of pottery can be divided into storage·transport, courteous nature, possibility of being used as measuring instrument etc. The most fundamental nature of Koryo pottery is storage and transport and it was found through the actual ruins that large jar was used while dug in the ground halfway or pottery was used to save water in a ship. Pottery used for ritual was used as the purpose of wishing peace of the building by burying the part near the stylobate and small sticks put on top of the mud plaster to give a slope to a Korean roof of building remains and site and its example is Jindangu. On the other hand, though difficult to confirm it, the role of measuring instrument can be noted as the purpose of Koryo pottery. As shown in wooden materials, pottery jars pulled up from Mado No. 1·2·3 were estimated to contain 2 du, 3 du, 4 du, 5 du. Though not measuring instrument approved by Koryo Country, it wa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ctual measuring instrument reflecting the capacity agreed by contemporaries at that time. Unlike crafts made of other materials including porcelain, it was found that particular models were locally produced intensively or Koryo pottery was produced and preferred as for tomb burial. Hemispherical jars characterized by hemispherical rim were mainly produced and used around the Jeolla region. Hemispherical jars were produced in the important place of Gangjin Samheungri etc. including the important place of Sindeokri Haenamgun, Jinsanri, the Kiln sites of the Jeolla region. Many of them were pulled up from ships that departed from Jeollado and sank in the Yellow Sea and the representative ships include Wando Ship, Taian Ship, Mado No. 1·2. The regional differences in pottery can be seen more clearly through the analysis of pottery for tomb burial. Jeomyeolmun small bottles are a model in which lingering imagery of striped bottles that were popular nationwide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remains strongly and were intensively excavated in Gyeongsang region, especially Gyeongbuk. It can be seen that tradition of Silla was deeply rooted in this region. In addition, the burial of Horyu increased in tombs in Gyeonggi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during the late Koryo Dynasty while burial of trumpet mouthed bottles is remarkable in tombs in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same period and this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aspect that regionalism was stressed due to changes in rural community after the mid Koryo Dynasty. As shown above, Koryo pottery revealed pottery’s own features strongly and has a fairly deep association with celadon and copper ware which are crafts of different materials during the same period. During the early Koryo period, pottery affected celadon but pottery made by imitating the form of celadon and copper ware as it is or similar to them appeared after the mid-Koryo period. Despite a lot of excavation materials, Koryo pottery has not been the target of interest for a long time and studies have not been done properl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were to restore the overall appearance of Koryo pottery by analyzing related literature and excavation materials. Through this process, it can be seen that Koryo pottery is not only sure to be the area responsible for one axis in the pottery history but closely related to crafts made of other materials during the same age. 이 연구는 고려시대 관련 각종 문헌자료와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를 분석하여 고려도기의 전반적인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고려도기의 범위와 종류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편년을 시도하였으며 도기의 다양한 용도와 성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문헌과 유물을 통해 고려도기의 개념과 범위를 살펴보면 먼저 문헌에서는 고려도기가 瓦器·陶瓦 등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분명히 沙器·砂器·瓷器와는 다른 材質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도기에는 유약을 시유하지 않은 無施釉陶器와 함께 유약을 시유한 施釉陶器도 포함되는데, 이는 실제 유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마도 1·2·3호선 인양 도기 중에 육안관찰을 통해서 명확하게 시유도기임을 알 수 있는 것들이 있다. 특히 고려후기인 13세기 중반 이후에는 전통적 도기 제작방식으로 제작하여 타날문이 있고 외면 천제를 녹갈색 유약으로 시유한 녹갈유도기의 제작이 활발해졌고, 고려인들은 이것을 陶器로 인식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려도기 가마의 분석을 통해서는 다양한 구조적 요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시기 또는 지역에 따라 일정한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기본적으로 도기가마는 1개의 번조실로 이루어진 單室窯인 점만 동일할 뿐 세부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조성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각 지역에서 생산된 도기는 해당지역을 중심으로 소비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王室과 中央官司도 적지 않은 도기가 필요했음이 여러 점의 官司銘 도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같은 도기의 조달은 청자가마와 竝存하는 도기가마의 예를 통해 청자와 세트를 이루어 공급되었거나, 개경 주변에 위치한 중앙관사 소속 기와가마에서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사찰에도 도기가마를 운영했던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 도기가마가 다양하게 설치·운영된 데에는 무엇보다도 제작체계가 다른 수공업품보다 제약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즉, 도기는 국가 기반 수공업 속에 적극적으로 편제되지 않고 제작과 유통 및 소비가 보다 자율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도기가마에서 시기나 지역에 따른 정형화된 구조를 찾기 어려우며, 이것은 결국 지역색이 강하게 드러나는 도기가 제작되었던 중요한 요인으로 보았다. 고려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도기를 분석한 결과 壺와 甁이 중심을 이루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도기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호는 廣肩壺, 大壺, 短頸壺, 盤口壺, 扁壺, 長身壺, 梅甁形壺, 廣口壺, 二重口緣壺 등이 있다. 호는 시기적으로 변화를 보이는 종류가 있고, 고려 전 시기 혹은 전 지역에 걸쳐 큰 변화없이 사용되는 것도 있어 다양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甁은 고려도기 중에서 가장 형태가 다양하며 시기에 따른 변천과정을 뚜렷이 보이는 대표적인 기종이다. 扁球甁, 扁甁(1면, 2면, 4면), 盤口甁, 小甁, 梅甁, 나팔입병, 瓢形甁, 淨甁, 長頸甁, 筒形甁 등이 있다. 각 기종별로 구연의 형태와 그 밖의 속성에 따라 형식이 나뉘며, 시기와 지역에 따라 선호된 기종과 형태가 존재했다. 소형의 음식기인 碗, 鉢, 楪匙, 盞 등도 적은 수량이긴 하지만 출토되고 있다. 이외에도 동이, 大盤, 香碗, 缸, 長鼓, 시루, 注子, 塔形陶器 등이 있다. 이처럼 고려시대에는 도기로 저장과 운반을 담당한 기종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가 제작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려도기는 모든 기종이 시기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 기종이 전기, 중기, 후기의 큰 흐름 안에서 변화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前期는 10~11세기로 통일신라후기의 연속선상에서 도기가 청자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이다. 통일신라후기에 주로 제작되었던 편병, 편구병, 줄무늬병이 여전히 제작되고 있으며 특히 편병과 편구병은 11세기 이후 청자 및 黑釉瓷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는 청자와 도기의 영역이 어느 정도 분리되어 있었고 도기의 영향이 자기에 비교적 강하게 반영되었던 때였다. 中期는 12~13세기 중반까지로 다양한 도기가 제작되었던 시기이다. 이 시기는 청자를 포함한 여러 재질의 공예품 모두 기종과 품질이 다양화되던 때로 도기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 있었다. 특히 도기병은 기형상 다른 재질 그릇과 많은 유사점을 보이는데, 청자 및 금속제품을 번안하거나 모방하여 대체품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後期는 13세기 후반~14세기 말까지로 호의 동체가 전반적으로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장신호와 2면편호가 대표적이다. 또한 후기에는 유약을 얇게 시유한 녹갈유도기의 생산이 이전 시기보다 활발해져 운반용이나 분묘 부장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려도기의 시기에 따른 변천과정은 동시기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었던 靑瓷의 編年과도 대체로 일치해 서로간에 밀접한 연관이 있었음이 밝혀졌다. 한편 고려도기의 성격을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것이 용도에 관한 부분으로 유적출토 상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기의 용도는 크게 저장·운반용, 의례용, 量器로 사용되었을 가능성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려도기의 가장 기본적인 성격인 저장과 운반은 대형호를 땅에 반쯤 박아서 사용하거나 선박에서 물을 저장했던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이 실제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의례용으로 사용된 도기는 사지와 건물지의 기단과 적심 근처에 인위적으로 묻어서 건물의 안녕을 기원하는 용도로 사용된 鎭壇具를 들 수 있다. 한편, 현재까지 명확히 밝히기는 확정하긴 어렵지만 고려도기의 용도 중 주목되는 것으로 量器의 역할을 들 수 있다. 마도 1·2·3호선에서 인양된 도기호들은 목간자료에 나타난 것처럼 그 크기에 따라 2두, 3두, 4두, 5두가 들어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비록 고려 국가의 공인된 양기는 아니더라도 당대인들이 합의한 용량을 반영하는 실질적인 양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청자를 비롯한 다른 재질 공예품과 달리 고려도기는 지역적으로 특정 기종이 집중 생산되거나 분묘부장용으로 제작되고 선호되었던 사실이 확인되었다. 반구형 구연이 특징인 반구호는 전라도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제작·사용되었다. 반구호는 전라도지역의 가마터인 해남 신덕리와 진산리를 비롯하여 강진 삼흥리요지 등에서 제작되었다. 전라도에서 출발하여 서해에 침몰한 배에서도 다수 인양되었는데 완도선, 태안선, 마도 1·2호선이 대표적이다. 도기의 지역적 차이는 분묘부장용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보다 확실하게 알 수 있다. 點列文 소병은 형태상 통일신라후기 전국적으로 유행했던 줄무늬병의 여운이 강하게 남아 있는 기종으로 경상도지역, 특히 경북에서 집중 출토되었다. 이 지역에 신라의 전통이 뿌리 깊게 유지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후기에 경기도·충청도 일대 분묘에서는 호류의 부장이 늘어나는 반면 같은 시기 경상도지역 분묘에서는 나팔입병의 부장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고려중기 이후 향촌사회의 변화로 인해 지역색이 강조되었던 양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고려도기는 도기만의 특징을 강하게 드러내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동시대 다른 재질의 공예품인 청자 및 銅器와 상당히 깊은 연관성이 확인되는 면도 있다. 고려전기에는 도기가 청자에 영향을 주었지만 고려중기 이후에는 청자와 銅器의 기형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유사하게 제작된 예도 등장하였다. 도기는 고려시대 전시기에 걸쳐 대량으로 생산·소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한 채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고려도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문헌과 발굴자료를 분석하여 전체적인 모습을 복원해보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려도기는 도자사의 한 축을 담당하는 영역임이 분명할 뿐만 아니라 동시대의 다른 재질 공예품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 한국현대소설의 인물 연구 : 신체적 결손징표를 중심으로

        한혜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박사

        RANK : 247631

        Human body may be considered to be a yardstick for recognizing the world. This means that human body is the center of the world and the subject, which distinguishe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you and m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for us to be able to perceive and express the external world through our body. While modern society is getting more and immense and tands to transcend space, human existence is becoming more and more diminutive. For instance, in the mythological age or the ancient narrative literature protagonists, major characters in modern literature are nothing but trifle. In this sense, it seems that it is needful and useful to examine how human bodies are described and interpreted in the literature of modern age in which human beings are in danger of losing self-identity. Therefore this thesis aims at elucidat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narrativ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s whom have physical discriminative qualities. Here the physical discriminative qualities mean the abnormal bodies, namely the mutilated and deformed grotesque appearances, which are to be regarded as ‘?’ marks in this thesis. Physical discriminative qualities found in modern Korean short stories are as follows: mute, blindness, one-eyed person, leper, hare-lip, pockmarked person, one-legged person, lameness, and one-armed person. And in this thesis these qualities are to be treated as the Signs of physical deformity.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igns of physical deformity.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terility, long jaw, giant, cut-topknot, changing clothes, and the image of motherhood are also represented as the deformity signs, however, in the secondary sense rather than in the primary one. ChapterⅢ is a discussion of the sign related to face. The protagonists of “An Idiot Adada” and “A mute Samryong” are all mute who can be known from others by the criteria of ‘can speak’ and ‘cannot speak’, Adada and Samryong come to lose their own names and be called as the sign of physical handicap. They are portrayed as inferior persons or animal beings who are deprived of their humanities and are not capable of living in the ordinary world of language. Ji Chambong in “O-Mong-Nyeo” and Wonchil in “Blindness” are blind men who are discriminated by ‘can see’ and ‘cannot see’. Especially ‘to see’ can be interpreted as the problem of self-awareness. Ji Chambong lacks self-knowledge whereas Wonchil can perceive even the natural world which cannot be penetrated by physically normal persons. The major characters of “Running After My sister” and “Progenitor of Kangaroo” are one-eyed persons. They are constantly conscious of it as the deformity sign, which isolates themselves from others and makes them try to escape into their dreams and to build their own world in it. Besides there can be found some female protagonists who are doomed to be abandoned by their relatives and neighbors. In case of Namsoon in “My Elder Sister” she is cruelly deserted by her husband on account of her blind one eye, and in “An Ugly Girl” the extreme ugliness and hare-lip of Eonnyeon causes her husband to discard her. Yangcheon-jib in “A Maid” comes to be dismissed by her master because of her disgusting pockmarked face. In contrast, in “Jeong-soon’s Sorrow” her pockmarked face has an influence upon her as the symbol her class rather than that of physical deformity, which impels her to free herself from the bondage of the lower class, housemaid. In “A Rock” and “Oksim” Sul’s mother and Oksim’s husband are discarded by their family and at last get driven out of their village simply because they are leper. ChapterⅣ is a study on the characters who have maimed arm(hand) or leg(toe). Among human organs arms and legs play the important role of mediate space which makes contact with the external space and take part in human activities. Especially legs are discriminated by the binary opposition such as ‘can stand/can’t stand’ or ‘can walk/can’t walk’, the loss of which means the lack of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In “Four Seasons and Brother and Sister” and “A Underground Village” crippled Oksoon and Chilseong suffer from alienation and are poked fun at by other children. And their mother’s love and protection provides them with the strength to endure their griefs. In “A Rainy Road” and “A Sketch in Darkness” protagonists also suffer from their lameness. For example, Byeonggil makes an effort to escape from human relationships and finally shuts himself in his own world. Choonsik, an laborer, however, positively challenges against his miserable realities and ultimately acquires what he wants. In “A Harbor” and “A Bill” the one-legged and one-armed deformities are represented as ‘-’ elements in their relations with spouse and result in separation and isolation. On the other hand a left-hander in “When the buckwheat comes into blossom” and the unusually long third toe in “His Toes Take After Mine” are the signs which enable the protagonists to identify their son. In ChapterⅤ an attempt is made to investigate the deformity signs whose symbolic meanings are changed. In “Backwoods” and “A Cock in A Folding Screen”, the meaning of sterility and fertility are transferred. In case of “In-Doo-Ji-Joo”(A Spider with a Human Head) and “Ji-Joo-Hoe-Si”(Spiders and Pigs are Gathering) man regresses into spider. Eoksoe in “Whang-To-Ki” is the most mighty man in his neighboring villages and in “A Rich man with a long Jaw” Kyeongchoon’s jaw is described to be much longer than others. In these short stories the huge power and the grotesque long jaw appear to be the sign which are concerned in the characters’ destinies. In “A Midsummer Night” and “City and Ghost” the ghost of Seoul I revealed as beggar whose arm and leg get disabled. Here the deformity of the character’s physical signifies that of city. And in “A Topknot” and “A Transitional Period” a topknot represents the Korean. Therefore to cut off the topknot means the loss of Korean spirit. And in “A Native Village” and “A March” Clothes have the significance of unavoidable stark realities. On the other hand Solgeo in “Kwangwhasa” is very ugly Nang in “Moonyeodi”(A portrait of A Female Sharman) is deaf and dumb, to whom the image of motherhood signifies the integrated human body. 인간의 신체는 세계를 인식하는 척도이다. 인간의 몸의 세계의 중심이 되며, 안과 밖, 나와 너를 분별하는 주체가 된다. 그러므로 인간은 신체를 매개로 하여 외부세계를 지각하고 표현하기도 한다. 현대사회는 거대해지고 초공간화 되지만 오히려 인간의 존재는 왜소화 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이 자기 존재를 스스로 증명할 수 없는 이 시대에 문학에서, 인간의 신체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신화시대나 고대 서사문학에는 영웅이 곧 주인공으로서, 이들은 巨人的 자질을 지닌 人物이다. 그러나 현대의 주인공들은 왜소할 뿐 아니라 보잘 것 없는 존재들이다. 그러므로 本 論文에서는 신체적 변별자질을 지닌 人物들을 조명함으로써 현대 서사문학의 특질을 해명하고자 한다. 신체적 변별자질은 정상에서 벗어난 비정상적 신체로, 훼손·결손된, 불구적, 기괴한 外形을 의미하며, 이것들을 ‘?’징표로 보고 있다. 한국 현대 단편문학(1919~1945년)에 나타나는 변별자질로는 벙어리·장님·외눈·문둥이·언챙이·곰보·외다리·절름발이·외팔 등이 있다. 본 고에서는 이 변별 자질들을 신체적 결손 징표로 보겠다. 또 불임·긴턱·거인·잘린상투·변복과 어머니상 등에서 나타나는 자질들은 1차적 의미보다는 2차적 의미에서 결손 된 징표로 작용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身體공간 중에서 얼굴부위에 나타나는 징표를 다루었다.「백치아다다」와「벙어리삼룡이」는 ‘말을 한다/말을 하지 못한다’로 변별되는 벙어리이다. 아다다와 삼룡이는 자신의 본래의 이름은 상실되고 신체적 결손징표로 불려진다. 그들은 열등인 또는 동물적 존재로 인간성을 박탈당하였으며, 일상적 언어의 세계에는 존재할 수 없는 인물이 된다.「오몽녀」의 지참봉과「실명」의 원칠이는 ‘본다/보지 못한다’로 변별되는 장님이다. 여기에서 눈의 ‘본다’는 기능은 자신을 안다는 인식의 문제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지참봉은 자신을 알지 못하는 어두운 인물이지만, 원칠이는 정상인이 볼 수 없는 자연의 세계까지도 볼 수 있는 인물인 것이다.「누이동생을 따라」와「캉가루의 조상이」의 작중 인물은 애꾸눈이다. 그들은 이 애꾸눈을 자신의 결손 징표로 의식하여 타인들로부터 자신을 유리 시킨다. 그러나 그들은 藝의 세계로 도피함으로써 다른 세계를 새로이 구축하려 한다. 「누님」의 남순이는 애꾸눈이라는 징표 때문에, 그리고「추물」의 언년이는 언챙이며 추물이라는 징표 때문에 남편으로부터 버림받는 인물이다.「계집하인」의 양천집은 추한 곰보 얼굴 때문에 주인에게서 쫓겨난다. 그러나「정순이의 설움」에서 곰보인 정순이는 얼굴의 결손 징표보다는 신분적 징표가 더 작용하여, 행낭년이라는 계층으로부터 탈출하는 인물이다.「바위」와「옥심이」에서 술이 어머니와 옥심이 남편은 문둥이라는 징표 때문에 가족으로부터 버림받고 마을에서 쫓겨난다. Ⅳ章에서는 신체공간 중에서 지체 부위인 팔(손)·다리(발가락)에 징표를 지닌 인물을 분석하였다. 팔과 다리는 외부공간과 접촉하는 매개공간이며, 몸이 움직이는 활동성에 관여한다. 다리는 ‘설 수 있다/설 수 없다’, ‘걷다/걷지 못한다’의 대립체계에서 변별된다. 다리의 결손은 주체성·자립성의 결여를 의미한다. 「사계와 남매」와「지하촌」에서 절름발이는 자립성의 문제에서 조명 되어야 한다. 옥순이와 칠성이는 아이들로부터 소외당하고 조롱 받지만 어머니의 사랑과 보호를 받는다.「비오는 길」과「어둠에서 주은 ‘스케치’」에서 절름발이가 결손징표이며, 사회적 관계에서 해석된다. 병일이는 사회적 인간관계로부터 도피하여 자기세계로 침잠하고, 노동인부 춘식이는 적극적으로 도전하고 쟁취한다.「항구」에서 외팔이와「계산서」에서 외다리는 부부관계에 ‘-’요소로 작용하여 별리와 단절로 나타난다.「메밀꽃 필 무렵」의 왼손잡이와「발가락이 닮았다」의 유난히 긴 셋째 발가락은 자식을 확인하는 징표로 의미 된다. Ⅴ章에서는 變移되어 나타나는 징표를 살펴보았다.「山峽」과「병풍에 그린 닭이」에서는 不妊과 生産의 의미가 전이되어 나타난다.「인두지주」와「지주회시」에서는 인간이 거미로 퇴화하는 동물적 존재로 변한다.「황토기」에서의 억쇠는 다른 사람보다 더 힘이 센 장사이며,「악부자」에서의 경춘이는 다른 사람보다 더 긴 턱을 가진 턱부자이다. 이 텍스트들에서는 거대한 힘과 긴 턱이 人物들의 운명에 관여하는 징표로 작용한다.「한여름밤」「도시와 유령」에서는 서울의 유령의 정체가 팔·다리·병신거지라는 것이 밝혀진다. 여기서 신체적 불구성은 도시의 불구적 요소로 의미 된다.「상투」와「과도기」에서, 상투는 조선인의 상징으로서 잘려진 상투는 상실한 조선의 정신을 표상하고,「고향」과「행진곡」에서, 의복의 변형은 현실 상황을 반영한다.「광화사」와「무녀도」에서 솔거는 추물이며 낭이는 귀머거리·벙어리이다. 결손징표의 인물인 솔거와 낭이에 있어서 어머니상은 본래의 몸을 의미한다.

      • 蘇童의 短篇小說 硏究 : <西窓>외 4편의 단편소설 번역과 해설을 중심으로

        한혜선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escriptive method of Su Tong's works and their subject consciousness. First,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istic of Su Tong's short stories is the descriptive form which switched the center of creation from "what to write" emphasized in traditional creation to "how to write". Influenced by the western literature with reformation and opening, Su Tong did not imitated the traditional descriptive form but absorbed a partial form of it, thereby fusing it into the traditional Chinese technique and forming an original artistic technique of his own. And the 1st-person point of view as the marginal figure penetrated the inside of humanity and expressed diversified subject and inner experience. Second, his subject was focused on expressing the desire that was diversified and latent due to boy, woman, death and escape. And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his growth as inner experience, it expressed his life consciousness to the end. In the short stories in boyhood, he chose violence as the means for expressing the desire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short stories with the female point of view expressed the camouflaged psychology and vitality of woman, making the classic emotion and contemporary thinking intermingled. Escape was regarded as the method to swim against the destiny and death as the daily experience of his daily life. Peculiar emotions such as escape or death became the in-depth prime mover in the description of his stories, becoming the link to convey emotions naturally by making the contents of their sentence abundant. In addition, they maximized aesthetics by making a symbolic expression of their subject. For Su Tong,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social change were expressed as nihilistic consciousness and escape, death and resistance formed the basic emotions of his stories. He used the presentation of time shown in his works as the background of his stories and fused history as the mood of their plot. He deepened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 through the technique of imagination with contrastive expression. It constituted a feeling of drastic tension through the contrast of life and death, resistance and collapse, escape and return. But the technique of imagination reduced since the 1990s. So he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daily life by the simple technique and pursued the truthful humanity and simple emotion of a plain figure.

      • 경기지역 출토 고려시대 질그릇 연구

        한혜선 檀國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고려시대 관련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기에서 출토된 질그릇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기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질그릇의 기종과 제작방범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시기구분과 변천과정,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려시대 질그릇의 기종은 크게 옹, 호, 동이, 병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각 기종은 입지름과 높이, 입술단면의 모양에 따라 다시 세부적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호와 병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호는 광견호, 단경호, 광구호, 편호, 장신호로 구분이 가능하다. 옹·호·동이는 현재까지의 자료로 보아 기본형태는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입술단면 형태와 같은 세부적인 면만이 약간의 시기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입술단면의 형태는 전 기종이 비슷하게 나타나는데 반구형이거나 살짝 외반되어 둥그스름하게 만들어 진 것이 가장 보편적이다. 또한 입술모양이 대부분의 기종에서 이른 시기에는 약간 복잡했던 것이 시기가 늦어질수록 단순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고려 시대 질그릇 중 가장 다양한 기형이 확인되는 병은 편병, 소병, 매병, 반구병, 정병, 나팔입병, 표주박병 등이 있다. 특히 매병이나 나팔입병, 표주박병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청자와 기형이 비슷하거나 동일한 경우가 많아 청자 시기구분과 비교하여 시기구분이 가능하다. 생활유적과 생산유적에서는 옹, 호와 동이, 시루, 병 등 다양한 기종에 출토된다. 주로 저장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던 옹과 호, 동이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무덤유적에서는 병이나 편호, 단경호, 장선호 등 기종이 한정되어 나타난다. 무덤에는 공간상의 문제로 중형이하의 질그릇을 부장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무덤에 부장했던 질그릇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던 것으로 생활유적에서도 같은 기종이 찾아져 무엇보다도 실용성을 중시하였음을 보여준다. 안성 봉업사지에서 출토된 질그릇을 중심으로 살펴본 제작방법상의 특징은 크게 3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물레가 적극 활용되었다는 점이다. 병과 같이 작은 기종을 성형할 때는 물론이고 호나 옹과 같이 대형기종을 정면하는 과정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질그릇의 정면방법으로는 주로 타날 기법에 사용되었다. 외면은 격자문이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외면이 내면보다 박자모양이 격자문으로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타날기법이 질그릇을 정면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요소로도 활용되었음을 말해준다. 반면에 내면에는 불규칙선은, 격자문, 방사선문, 방사선+동심원문, 사방어골문, 부채살문 등 다양한 박자모양이 있다.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무문과 불규칙선문, 격자문의 순으로 나타난다. 또한 내외면 모두에 격자문이 타날되었을 때는 외면보다 내면의 격자문이 더 크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세째, 고려시대 질그릇의 장식은 이전시기에 비해 다양하지 않다. 대표적인 장식은 호나 옹의 목에서 관찰되는 파도 문과 어깨부분에 돌대를 부착한 정도이다. 또한 정면기법의 하나로 쓰였던 타날흔적에 남아서 장식의 역할을 했다. 전체적으로 고려시대 질그릇은 각 기종의 기본형이 큰 변화없이 유지되며 질그릇 외면의 장식도 이전시기에 비한다면 매부 간소화되고 단순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은 질그릇을 제작할 때나 사용할 때 실용성을 중시했음을 말해주며 반대로 청자에 공예적 역량이 집중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While the remains around Kyonggi province related to Koryo Era have been excavated and examined widely, the study of pottery excavated from that place seemed to be incomplete up to recently. Accordingly, we look into closely the typ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Koryo pottery excavated from Kyonggi province, and then would like to estimate the age of potteries and examine a feature of ones. In general, Koryo pottery can be classified as Big jar(甕), Jars(壺), Bowls(동이), Bottles(甁) and is subdivided according to mouth diameter and hight, the mouth cut end etc. Especially, Jar and Bottle have been diversely found such as jar with broad shoulder(廣肩壺), jar with short neck(短頸壺), jar with wide mouth(廣口壺), jar with flattened side(扁壺), jar with long length(長身壺) etc. Judging supporting evidence until now, the basic style of Big jar, Jars, Bowls haven't been changed but a little difference of the mouth cut end based on current of times. The surface of pottery's cut end is mainly made in a shape of tray mouth or ellipsoid type. Also, most of the shape of the mouth cut end has been changed from a complicate style to a simple one as time went by. The bottle which is a great variety of Koyro pottery is classified as bottle with flattened side(扁甁), small bottle(小甁), Maebyong(梅甁), a shape of tray mouth bottle(盤口甁), Kundika(淨甁), Trumpet mouth-shaped bottle, Gourd-shape Bottle, etc. In particular, the chronology of Maebyong and Trumpet mouth-shaped bottle, Gourd-shaped Bottle an be estimated by that of celadon porcelain because these bottle is similar in the shape to the porcelain made at the same age. Also, the varied kinds of Big jar, Jars, Bowls, Steamers, bottles have been excavating in life ruins and production one. The thing of those kinds had been chiefly used for storage. On the other hand, the potteries excavated in tomb site is the limited type such as Bottle, jar with flattened side, jar with short neck, jar with long length It is supposed that the medium size of pottery had been buried due to a matter of space. Also, it appears their practicality that the potteries buried in tomb site seem to use daily like the potteries buried in life ruins. In case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Bongyob site of Ansung, the feature of manufacturing can be listed as the following three process. 1st, a spinning wheel was applied actively. It was frequently used for forming small pottery like Bottle as well as finishing large one like Jar or Big jar. 2nd, the paddling had been mainly used for the finishing touches of potteries. The external surface for 85% of pottery was decorated with Lattice pattern and more external surface was decorated with Lattice pattern than internal one. It is supposed that paddling has been not only used for finishing method of pottery but also applied for ornamental purpose. On the other hand, the pattern of internal surface have a various shape of beating tool as Lattice, Radiant rays(放射線文), Radiant rays + Concentric circle(放射線+同心圓文), four side fish bone pattern(四方魚骨文), Fan ribs pattern, etc. The pattern used mostly was No-figure and Anomalous pattern, and Lattice pattern had been used considerably When both internal and external surface is paddled, Lattice pattern on internal surface is larger than that of external one. 3rd, the Koyro pottery wasn't seen so much various ornaments as the Preceding period. The typical ornament is just wavelike figure(波狀文) observed on neck of Jar and Big jar, and Doldae(突帶) round shoulder. On the whole, it seemed that a basic model of all kinds of Koyro pottery had remained the same as before without lots of change and the external surface had been decorated simply and plainly. It was regarded the practicality of pottery as most important when they was manufacturing and using pottery. On the contrary, it can be inferred Koyro pottery had been treated lightly because their artistic ability was concentrated on the porcelain.

      • 쿠키(Cookie)의 반죽 및 제품 물성에 미치는 원료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혜선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현대인의 식생활이 서구화, 간편화됨에 따라 제과산업은 양적 · 질적으로 팽창하고 있다. 특히 제과류 중 쿠키는 높은 기호도로 인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쿠키제조는 식품산업의 한 분야로서 전세계적으로 시장규모가 확대되고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쿠키 원료의 체계적 연구와 개발의 기초자료는 학문적으로 미약한 편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쿠키의 기본원료(설탕, 쇼트닝)가 반죽 및 최종제품에 미치는 영향과 밀가루와 설탕에 대한 쌀가루와 자일리톨의 대체효과를 검토하였다. 1. 설탕함량에 따른 효과: 설탕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반죽물성은 경도 감소와 점착성 증가를 나타내었다. 쿠키 측정결과 퍼짐성 증가와 수분함량 감소를 나타내었고, 표면색은 진해졌으며, 조직감은 경도와 부서짐성 모두 증가되었다. RVA(Rapid Visco Analyzer) 측정결과 pasting 온도는 증가하였고, 최대점도는 감소하였다. 2. 설탕 입자에 따른 효과: 분말 형태의 분당 대체비가 많아짐에 따라 반죽물성은 경도 증가와 점착성 감소를 나타내었다. 쿠키 측정결과 퍼짐성 감소와 수분함량 증가를 보였고, 표면색은 밝아졌으며, 조직감은 경도와 부서짐성이 증가하였다. RVA 측정결과 전분의 호화 및 노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쇼트닝 함량에 따른 효과: 쇼트닝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반죽물성은 경도 감소와 점착성 증가를 나타내었다. 쿠키 측정결과 퍼짐성 증가와 수분함량 감소를 나타내었고, 표면색은 진해졌으며, 조직감은 45% 첨가시 경도의 유의적 감소와 30% 첨가시에 가장 높은 부서짐성을 나타냈다. RVA 측정결과 pasting 온도는 증가하였고, peak viscosity와 final viscosity는 감소하였다. 4. 마가린의 쇼트닝 대체 효과: 고체지방 함량이 높은 마가린의 대체비가 많아짐에 따라서 반죽물성은 경도 증가와 점착성 감소를 나타내었다. 쿠키 측정결과 퍼짐성과 수분함량이 다소 증가하였고, 표면색은 밝아졌으며, 조직감은 경도와 부서짐성 모두 크게 감소하였다. RVA 측정결과는 쇼트닝 첨가시와 유사하였다. 5. 쌀가루의 밀가루 대체 효과: 쌀가루 대체비가 많아짐에 따라 반죽물성은 경도 감소와 100% 대체시 점착성 증가를 나타내었다. 쿠키 측정결과 퍼짐성 감소와 수분함량 증가를 보였고, 표면색은 밝아졌으며, 조직감은 경도 감소와 부서짐성 증가를 나타내었다. RVA 측정결과 pasting 온도는 증가하였고, peak viscosity는 감소하였다. 6. 자일리톨의 설탕 대체 효과: 자일리톨 대체비가 많아짐에 따라서 반죽물성은 경도의 큰 감소와 점착성 중가를 나타내다. 쿠키 측정결과 수분함량은 증가하였으며, 60% 대체시료에서 퍼짐성 감소와 함께 표면의 명도가 낮아졌고, 조직감은 경도와 부서짐성 모두 크게 감소하였다. RVA 측정결과 대조시료와 유사하였으나 자일리톨의 대체비가 높아질수록 peak viscosity는 감소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kie ingredients, mainly sugar and shortening, and partial substitution of wheat flour and sugar with rice flour and xylitol on characteristics of cookie dough and cook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effect of sugar level : As the sugar level in the dough increased, the hardness of the dough decreased with increasing adhesiveness. The cookies with higher sugar contents showed darker surface color, increased spread ratio and lower moisture content than control. The hardness and brittleness of the cookie also increased as sugar level increased. The RVA pattern of the cookie revealed that the pasting temperature of the starch increased with decreasing peak viscosity as sugar level increased. 2. The effect of sugar particle size : As the amount of powdered sugar increased, hardness was increased and adhesiveness was decreased on cookie dough. In the result of measurements for cookie, spread ratio was decreased,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surface color became lighter, and hardness and brittleness were increased by increased the amount of powdered sugar. The result of RVA measurement was similar to control group. 3. The effect of shortening level : As the shortening level in the dough increased, the hardness of the dough decreased with increasing adhesiveness. The cookies with higher shortening contents showed darker surface color, increased spread ratio, and lower moisture content than control. Hardness was sufficiently decreased at 45% level of shortening, and brittleness peaked at 30% level of it. The RVA pattern of the cookie revealed that the pasting temperature of the starch increased with decreasing peak viscosity and final viscosity as shortening level increased. 4. The effect of replacing shortening with margarine : As the amount of margarine that showed the high SFI value was increased, hardness was increased and adhesiveness was decreased on cookie dough. In the result of measurements for cookie, spread ratio and moisture content were slightly increased, surface color became lighter, and hardness and brittleness was largely decreased by the increased amount of margarine. The result of RVA measurement was similar to control group. 5. The effect of wheat flour substitution with rice flour : As the level of replacement by rice flour increased, hardness was decreased and adhesiveness was increased at 100% replacement by rice flour on cookie dough. In the result of measurements for cookie, spread ratio was decreased and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surface color became lighter, hardness was decreased and brittleness was increased. In the results of RVA measurement, pasting temperature was increased and peak viscosity was decreased as the increased level of replacement. 6. The effect of sugar substitution with xylitol : As the level of replacement by xylitol increased, hardness was decreased and adhesiveness was increased on cookie dough. In the result of measurements for cookie,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spread ratio and lightness of surface was decreased at 60% replacement by xylitol, and hardness and brittleness were largely decreased by replacement of xylitol. The result of RVA measurement was similar to control group except peak viscosity was decreased as increased level of replacement.

      • 뉴욕 주요 미술관 후원 문화에 관한 연구 : 기증ㆍ기부ㆍ유증을 중심으로

        한혜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관은 비영리 기관으로서 재원 확보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후원 활성화에 대한 방안이 요구 되고 있다. 본 논문은 뉴욕의 주요 5개 미술관의 후원 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미술관 설립과 성장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후원 내용에 대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미술관에 대한 후원 문화는 뉴욕의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시대적 배경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산업화 과정을 거쳐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대공황을 겪으면서 정치ㆍ경제적으로 급부상하게 된 미국의 상황과 이를 기회로 부를 축적하게 된 신흥재벌들이 문화에 쏟은 관심은 그 당시 미술관들을 설립할 수 있는 기부 문화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표적인 미술관들이 설립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민들에 의해 설립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개인 후원자의 컬렉션과 자금을 바탕으로 설립된 현대 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MoMA), 휘트니 미국 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프릭 컬렉션(The Frick Collection),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을 중심으로 그 설립 과정과 후원 문화 형성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뉴욕의 5개 미술관이 설립하게 된 배경과 역사를 기술하였다. 그 당시 미국의 상류층 사회에서 정신적인 면에 있어 하나의 모델로서 형성된 미국 르네상스를 후원 문화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바탕으로 하여, 전후에 경제적으로 성장한 미국의 상황과 미술관에 기증ㆍ기부ㆍ유증을 할 수 있도록 촉진제의 역할을 한 정부의 면세 혜택, 아모리 쇼를 통한 동시대 미술을 수집하는 컬렉터 집단의 등장 등은 뉴욕에 미술관이 설립하게 된 배경으로서 작용하였다. 또한 2장에서는 뉴욕의 5개 미술관의 역사와 현황을 함께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미술관에 이루어진 기증ㆍ기부ㆍ유증의 사례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기증ㆍ기부ㆍ유증을 통한 미술관 설립으로 현대 미술관, 휘트니 미국 미술관, 프릭 컬렉션,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에 이루어진 후원 방식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후원자와 그 내용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기증ㆍ유증을 통한 컬렉션을 토대로 하여 미술관을 설립하고, 더불어 상당한 컬렉션을 형성하여 현재에 이를 수 있도록 기여한 여러 후원자들의 기증ㆍ유증을 정리하였다. 특히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으로 이루어진 후원은 그 범위와 내용이 상당하였다. 셋째, 기증ㆍ기부ㆍ유증을 통한 전시실과 윙(Wing)의 형성이다. 이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로버트 레만(Robert Lehman)의 유증으로 형성된 로버트 레만 윙(The Robert Lehman Wing), 벤자민 알트만(Benjamin Altman)의 유증으로 형성된 벤자민 알트만 컬렉션(Benjamin Altman Collection), 현대 미술관의 애비 올드리치 록펠러 판화 룸(Abby Aldrich Rockefeller Print Room), 애비 올드리치 록펠러 조각 공원(Abby Aldrich Rockefeller Sculpture Garden)과 같이 후원자를 기념하여 형성된 전시실과 윙에 관한 내용이다. 넷째, 가족의 기증과 유증이다. 이는 존 P. 모건(John P. Morgan)과 그의 아들 존 P. 모건 2세(John P. Morgan, Jr.), 헨리 O. 하브마이어 부부(Mr. and Mrs. Henry O. Havemeyer)와 자녀들, 록펠러가(The Rockefellers)의 2대와 3대, 솔로몬 R. 구겐하임(Solomon R. Guggenheim)과 조카 페기 구겐하임(Peggy Guggenheim)에 이르기까지 가문 대대로 이어지는 지속적인 후원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미술관의 발전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준 여러 후원자들의 후원내용과 사례를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미술관 후원의 특징을 분석하며 그 의미를 찾았는데,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5개 미술관은 시민의 후원에 의하여 설립 되었다는 점, 가문을 통해 지속적인 후원이 이루어졌다는 점, 미술관 후원자들은 사망 후에도 재단을 통해 꾸준히 후원을 하였다는 점 등 크게 세 가지의 특징과 의미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뉴욕의 5개 미술관에 이루어진 후원과 기부 문화가 극히 미미한 우리나라의 현실과 비교하여 이후 국내의 미술관 기부 문화 형성에 다소나마 기여되었으면 하는 목적에서 이를 연구하였다. Art museums are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have difficulties in securing its finance. For this reason, they are mainly focusing on securing finance in these days. This paper is based on five main museums in New York and discusses the sponsorship that influences in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rt museums and show how the museums are correlated with Gift, Donation, and Bequest culture. The endowment culture of the art museums developed in the span of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From the time of Industrialization to the World Wars and followed by the Great Depression, America has evolved itself to become the world’s strongest country in both politics and economics. From the wealth gained by many of whom that valued esthetic value of life, an opportunity arose to establish donation culture. This culture facilitated in creating the most important art museums that are standing today. This paper will discuss the foundation course of the five main museums in America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The Museum of Modern Art,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The Frick Collection and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Second page of this thes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the history of the five museums. From the mentality of the high class, who valued beauty of renaissance art, and the government programs such as cutting tax, exhibiting of the Armory show and the rising group of the art collectors played as a catalyst that encouraged the wealthy to start a Gift, Donation, and Bequest culture. Third page of this paper analyzes Gift, Donation, and Bequest culture into four different patterns. First pattern discusses the benefactors and sponsors that have played cruci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donation culture of the five museums mentioned above. Second pattern discusses the sponsors that have created network of art collections. The sponsorship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was thus far the biggest donation. Third pattern discusses the galleries and the Wing of the museums. Many of those galleries and the Wings are made it to commemorate and sponsors of the museums. Fourth pattern discusses the family donation. The story includes John P. Morgan and his son John P. Morgan, Jr., Mr. and Mrs. Henry O. Havemeyer and their children, The Rockefellers, Solomon R. Guggenheim and his niece Peggy Guggenheim and many more who have played crucial role in developing art museums. While the fourth page of this paper discuss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dowment, it can be said that the support of the citizens, generations of sponsoring families, and continuous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s have contributed the most in establishing the five main museu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amount of donations given to support the Arts in Korea and America.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in supporting museums in each country and hopes to encourage proliferation of endowment.

      • 착용형 증강현실 기반 MBSR에 관한 연구 :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의 건포도 명상을 중심으로

        한혜선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Mindfulness, a by-product of Buddhist meditation practices, is defined as an attitude of non-judgmental acceptance of one's present mental states as they arise. In 1979, J. Kabat-Zinn came up with the idea for what would become known as the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r MBSR for short. This program eventually gained popularity all over the world due to its effectiveness. As of late, considering the progress that has been achieved in ICT technology, several different initiatives have been made to include these technologies in mindfulness. However, its utilization has not yet reached a high level, an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on the influence of a new sort of mindfulness that incorporates these technologies. Based on raisin meditation of MBSR, this study develops wearable augmented reality-based MBSR (SHA-MBSR) and validates its efficacy. This study aims to create a program that would allow beginners of mindfulness to experience the effects of mindfulness and practice it more engagingly. To achieve this goal, SHA-MBSR was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of literature reviews and preliminary surveys of participants with meditation experience. Additionally, it was created as an application that can be executed on Hololens2. Upon recruiting participants and executing the experiment, it was revealed that SHA-MBSR significantly reduced stress response, state anxiety, and the negative feeling. 불교의 명상 수행법에서 기인한 마음챙김(Mindfulness)은 현재에 온전히 집중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내면에서 떠오르는 생각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행위를 말한다. 1979년 존 카밧진(J.Kabat-Zinn)은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MBSR)을 개발했고, 이후 MBSR은 그 효과성을 인정받아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었다. 최근에는 IC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마음챙김에 접목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지만, 아직까지 그 활용도는 높지 않고, 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형태의 마음챙김 효과에 대해 논의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BSR의 건포도 명상을 기반으로 한 착용형 증강현실 기반 MBSR(SHA-MBSR)을 제안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마음챙김 초보자들이 마음챙김의 효과를 체감하면서도 더욱 흥미롭게 마음챙김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와 명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사전 조사 결과를 토대로 SHA-MBSR을 설계하고 Hololens2에서 실행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작하였다. 이후 실험자를 모집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SHA-MBSR은 스트레스 반응과 상태불안, 부적 정서의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멧대추로부터 분리한 Sanjoinine A의 항불안 효과

        한혜선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xiolytic-like effects of sanjoinine A, one of major alkaloid compounds of Zizyphi Spinosi Semen by using the experimental paradigms of anxiety,and compared with those of a known anxiolytic, diazepam. Sanjoinine A (2.0 mg/kg, p.o.) increased the percentages of time spent on the open arms and the number of open arms entries in the elevated plus-maze test, increased the number of head dips in the hole-board test and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enter zone spent time and center zone locomotor distance in the open-filed box. However, sanjoinine A has no effect on decreasing the locomotor activity, while diazepam (2.0 mg/kg, p.o.) significantly inhibited locomotor activity. Sanjoinine A did not influence the grip force in the grip strength meter test, either. From the molecular experiments, sanjoinine A increased chloride influx in cultured cerebellar granule cells. In addition, α-, γ-subunits of GABAA receptors and glutamic acid decarboxylase were over expressed by sanjoinine A in cultured cerebellar granule cells. It is concluded that sanjoinine A might have anxiolytic-like effects, and these effects might be related to the GABA-benzodiazepine-chloride channel receptor complex and be mediated by GABAergic trans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