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 교과용 도서 선정과 관련한 교사들의 의사결정 탐색

        한채린,임웅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 Vol.6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decision-making and related factors in the elementary textbook adoption process. Our participants include 296 elementary teachers who took part in the mathematics textbook (grades 3 and 4) adoption committees in his/her schools. Our study used the decision-making model of Shavelson and Stern (1981) for analyzing teacher beliefs and attitudes concerning choices and priorities, judgments, evaluation methods, and key factors to reviewing and selecting a mathematics textbook. Our discussion includes teacher beliefs and intentions and the way they come into conflict with determina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cision-making of textbook adoption. Findings also reveal the unique nat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as generalists in contrast with secondary teachers as specialist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the adoption process. Lastly, the study discusses the entanglements of textbook reform and explains the discrepancy between textbook authorization/approval policies versus the plight of little change (and innovation) in mathematics textbooks. 이 연구는 검정 도서로 전환된 초등학교 3~4학년 수학 교과용 도서를 선정하는 교사들의 의사결정을 조사하였다. 개별 학교에서 수학 교과용 도서선정에 참여한 296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havelson과 Stern (1981)의 의사결정 모델에 따라 수학 교과용 도서와 관련한이들의 신념, 도서를 평가하는 판단 기준으로서 도서 내·외적 요인, 최종적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1) 평소 신념과 실제 교과서 선정 의사결정 요소가 상충하는 현상, (2) 다교과 수업 업무에서 기인하는 의사결정 요소, (3) 교과서의 다양성을 추구하는이상적인 정책과 차별성 없는 교과서에 안주하는 학교 현장 간의 괴리 현상 등 새로운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내 초기 대수 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초등 수학을 중심으로

        한채린,권오남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초등 수학을 중심으로 초기 대수 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 6곳에 게재된 초기 대수 교육 관련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18 년간 6개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논문 89편을 연구시기 및 학술지별, 연구 주제별, 연구 대상별로 범주화하고 경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내 초기 대수 교육 연구 는 2000년부터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특정 연구자 그룹의 논문 편수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초기 대수 교육은 초등 수학 교육 분야임 에도 불구하고, 초등 수학 교육 전문 학술지보다는 이외의 학술지에 더 많은 논문 이 게재되었다. 연구 주제별로는 대부분의 연구가 대수적 사고의 비례 추론 내용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연구 대상은 학생 또는 교과서가 가장 많았고, 학생 인 경우에는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를 토대로 국내 초기 대수 교육 연구에 관한 향후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domestic researches on early algebra education which are published in six major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grasp trends of early algebra education in Korea and to draw up future tasks. From 2000 to 2017, 89 papers which are related to early algebra education published in 6 journals. The 89 papers were categorized by research period, academic journal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subjects. As a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es on early algebra education in Korea has increased since 2000. Although early algebra education belongs to the field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lots of papers were published in other math education journals than in the math education journal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Most research focused on proportional reasoning across the algebraic content area.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 especially upper-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early algebra education in Korea were suggested.

      • KCI등재

        학생의 통계적 변이성 이해에 대한 수학 교사의 노티싱 변화 양상 사례연구

        한채린,김희정,권오남,Han, Chaereen,Kim, Hee-jeong,Kwon, Oh Nam 한국학교수학회 2018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1 No.2

        수학 교사의 전문 역량을 인지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상황적인 관점에서도 바라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사의 노티싱(주목하기) 능력을 상황적인 맥락의 수학 교사 전문 역량으로 고려하는 입장에서, 비디오 클럽에 참여한 수학 교사들의 통계적 변이 추론에 대한 노티싱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노티싱의 세 가지 요소인 주의 기울이기, 해석하기, 반응 결정하기 중에서 '해석하기' 요소가 교사의 노티싱 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관찰하였다. 주의 기울이기와 반응 결정하기 요소는 해석하기 요소의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영상으로 제시된 학생 활동과 관련이 있는 통계적 변이 추론 발달 프레임은 교사들의 논의를 통계적 변이성에 머무르게 하고,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만들어줌으로써 노티싱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이끌어 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말미에 수학 교사의 노티싱을 개선하기 위한 비디오 클럽의 중재 방안 설계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들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It arises that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with a cognitive perspective but also with a situative perspective. In this study, we considered mathematics teacher noticing as situational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a mathematics teacher, and explored how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on children's development of reasoning about variability in a video club has changed with the situative perspective.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interpreting' component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noticing-attending, interpreting, and deciding how to respond-was critically decisive for the change of the participant teachers' noticing. We also discussed how the video club intervention(the framework of children's development of reasoning about variability)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teacher noticing as a professional competenc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on the design of a video club to improve mathematics teacher noticing.

      • KCI등재

        ‘몇 시 몇 분 전’으로 시각 읽기에 얽힌 수학적 활동의 탐색

        한채린 대한수학교육학회 2021 학교수학 Vol.23 No.3

        This article arose from the question ‘how can the relative time reading be regarded as doing mathematics?’ To answer the question, I explored the interplay of time words relative time reading and mediation of tools which reflect two different time representational systems from a sociocultural description on learning that includes explicit treatments of word meaning and use. I conducted the clock reading test with 126 3rd graders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proved their ability for reading time in a relative wa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Participating students were approaching the relative time reading in a different manner as absolute time reading.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upon tools were also identified. (2) Students were endorsing various mathematical narratives to read time in a relative way. (3) Errors in the relative time reading were related to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ime tools. Draw on the finding, the word 전(jeon) in relative time reading is dynamically interwoven with doing mathematics and interacting with tools reflect representational systems. The fact that the use and meaning of words become doing mathematics indicates that words themselves are dynamically interwoven with activity. The meaning of doing mathematics mediated by tool properties which are possible only in time learning and implications for the chance to increase mathematical learning opportunities in time cont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용어의 사용과 도구를 통하여 상대시각 읽기에 얽힌 수학적 활동을 탐색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126명을 대상으로 시각 읽기 검사 및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이라는 용어 사용에 내포된 수학적 활동을 밝히고, 서로 다른 표상 체계를 반영하는 도구인 아날로그 시계와 디지털 시계의 구조적인 특성이 수학적 활동에 반영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의 증명에 관한 교과서의 논증 분석

        한채린,권오남,김경준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학교수학 Vol.22 No.2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proof about the incenter/circumcenter of the triangle written in textbooks. A total of 10 textbooks for middle school mathematics 2, correspon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with the layout of arguments suggested by Toulmin. From the local argument perspective, we found that the following two structural features could limit acceptability of the argumentation to students. First, in arguing the congruence of two triangles to prove the uniqueness of the incenter/circumcenter, the structural location of three geometrical facts was stated inappropriately. Second, some warrants need to be provided when considering the learning trajectory of students. From the global argument perspective, we found that the following two structural features could limit acceptability of the argumentation to students. First, arguments for right-angled and obtuse triangles and some sub-local argument structures were omitted. Second, the definition of the incenter/circumcenter of the triangle was not included in the argumentation struc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xtbook writers need to consider whether linguistic phrases for provig are logically structured, whether enough warrants are provided for current learners, whether sub-argument structures are fully examined, and whether statements about the existence and uniqueness of inscribed/circumscribed circles are embedded in the argument. 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에 관하여 제시하는 증명의 논증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보다 수용 가능한 논증으로의 개선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0종의 중학교 2학년 수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증명을 Toulmin의 논증 구조 모형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로컬 구조와 글로벌 구조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설득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특징들이 각각 발견되었다.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도 함께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