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5인의 주자를 위한 실내악곡 <타키> 분석 연구

        한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5인의 주자를 위한 실내악곡 <타키>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작품개관 및 편성악기에 대하여 알아보고 악곡 구조를 살펴 이를 바탕으로 선율분석을 진행하여 악곡의 특징적 선율유형과 음악 양식을 도출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악곡은 한지윤에 의해 2018년 작곡된 작품으로, 38관 생황, 마두금, 피리, 25현 가야금, 대아쟁, 장구로 편성되어있다. 작품분석에 앞서 작품개요 및 편성 악기의 음역 및 조율법과 연주기법에 대해 살폈으며, 국내에 자료가 없는 38관 생황의 도해도와 화설(花舌)과 타음(打音) 등의 특수주법 및 마두금의 운지법과 특수주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악곡 구조는 3악장의 구조로, 1악장 [일출 sunrise], 2악장 [말의 입김 the breath of a horse], 3악장 [질주 galloping]의 각 부제를 지니며 조성, 박자, 빠르기를 달리하여 전개된다. 1악장 [일출 sunrise]는 F Aeolian mode선법으로, 박자는 4/4, 5/4, 2/4, 4/4 의 변박 진행, 빠르기는 tempo rubato로 구성된다. 2악장 [말의 입김 the breath of horse]는 C Aeolian mode선법으로, 박자는 4/4, 빠르기는 ♩=68로 구성된다. 3악장 [질주 galloping]은 B♭ Dorian mode, C Dorian mode선법으로 박자는 3+3+2/8, 4/4의 변박 진행, 빠르기는 ♪=266로 구성된다. 셋째, 전체 악곡의 선율 분석을 통해 각 단락의 특징적 선율 유형과 이에 따른 음악적 양식을 살핀 바, 1악장은 ⓐ상행 선율형, ⓑ하행 선율형, ⓒ동음 진행형, ⓓ혼합형의 선율형이 나타났다. 또한 몽골 성악 중 오르팅 도가 피리선율을 통해 기악화 되어 사용되었으며, 피리와 25현 가야금이 독립적인 선율로 진행하는 polyphony의 음악양식이 나타났다. 2악장은 ⓓ아르페지오, ⓔ유니즌 화음의 선율형이 나타났다. 또한 몽골 성악 중 후미의 하일라흐가 마두금 연주자의 가창으로 활용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악장 전반에 걸쳐 38관 생황, 25현 가야금, 대아쟁이 독립적인 선율로 진행하는 polyphony의 음악양식이 나타났다. 3악장은 ⓖ혼합박, ⓗ부점 혼합박, ⓘ투티, ⓙ2분박 8분음표 리듬형, ⓚ2분박 8분음표 리듬형2, ⓛ부분적 투티가 나타났다. 또한 2분박으로 이루어진 ♩+♩+♩+♩리듬형과 3분박과 2분박의 혼합박으로 이루어진 ♩.+♩.+♩ 리듬형이 혼재된 polyrhythm의 음악양식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5인의 주자를 위한 실내악곡 <타키>는 몽골의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이미지화 시켜 음악으로 나타내고자 작곡된 곡으로, 몽골의 마두금, 중국의 38관 생황, 한국의 피리, 25현 가야금, 대아쟁, 장구 등 동아시아 악기의 앙상블을 통해 국가 간의 음악적 교류를 새로이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국가 간의 음악적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해본다. This thesis analyses Jiyoun Han’s Takhi, a chamber music piece for a quintet which premiered in 2018.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the featured instruments and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melody of the piece are as follows. Firstly, This piece is composed by Jiyoun Han, featured 38-pipe sheng, morin khuur, piri, 25-string gayageum, and 10-string large ajaeng, and janggu. Prior to the analysis of the piece, will examine the register, tuning and the playing styles. In particular, the hwaseol and taeum playing styles of the Sheng, which are only conveyed in Chinese and for which there is no Korean source or illustration, were organised. Secondly, the structure of the piece features three movements. Each movement has subtitles; The first movement, “Sunrise”, The second movement, “The Breath of the Horse”, The third movement, “Galloping”. The first movement is in F Aeolian, the tempo is in tempo rubato, and the time signature shows a contrasting progression of 4/4, 5/4, 2/4, 4/4. The second movement is in C Aeolian, the tempo of ♩=68 and a time signature of 4/4 and the Third movement is in B♭ Dorian mode and C Dorian mode and the tempo is ♪=266, while the time signature shows a contrasting progression of 3+3+2/8, 4/4 . Thirdly, a melody analysis of the instrument responsible for the main melody of each movement was carried out, which showed that the style, musical material used, and the melody pattern appearing in each movement was different. The first movement features ⓐascending melody, ⓑdescending melody, ⓒhomophonic progression, and ⓓmixed melody format. Furthermore, a more thorough examination of the piri showed the instrumentalisation of Urtiin Duu, through the piri’s melody, can be seen. For the music style, a polyphony of independent piri and 25-string gayageum melodies appears after the 16th bar. The second movement shows a harmonic melody form of ⓓarpeggio and ⓔunison appears. Additionally, one can see that the khailakh of the khoomei style of Mongolian singing is used in the song of the morin khuur player. In the music style, a polyphony consisting of the independent melodies of the 38-pipe sheng, the 25-string gayageum, and the large ajaeng appears throughout the entire movement. The third movement features ⓖmixed metre, ⓗmixed dotted rhythm, ⓘtutti, ⓙtwo-eight time, ⓚtwo-eight time 2, and ⓛpartial tutti. The music style shows a blended polyrhythm of a ♩+♩+♩+♩ rhythm pattern formed of 2 time and a ♩.+♩.+♩ rhythm pattern consisting of a blended time signature of 3 and 2 time. In this way, the chamber music piece Takhi for a quintet seeks to imagine the natural beauty of Mongolia as well as its musical artistry and to reveal this beauty and artistry in each movement. Furthermore, through the ensemble of the Mongolian morin khuur, the Chinese 38-pipe sheng, the Korean piri, the 25-string gayageum, large ajaeng, and janggu, a new musical collaboration between the countries is presented. Thus, the piec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usical collaboration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 일본 주류시장 진입전략에 관한 연구 : 진로재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지윤 인하대학교 국제통상물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Walking in line with globalization,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the domestic corporations seeking the way to advance into the foreign markets through a direct entering into overseas market or in the form of joint venture with local corporations. The preconditions required before entering in to a new market are not only the differentiated corporate strategies, business know-how and advanced acquisition of technology, but also, there need to be an establishment of advanced business management strategies for competing with the local corporation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securing various demand in the market.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Jinro Co., Ltd (Jinro). entering into the Japanese market which is well known for its strictness in setting up the distribution network and matching the taste of consumers. The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find the alternative ways for the successful advance of domestic corporation into overseas market by examining what types of strategy has lead Jinro to the success in Japanese Market. Therefore, the research studies the current trend of the global alcoholic beverage industry,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lcoholic beverage industry and Jinro’s current state in Japanese market. Then, by examining how globally succeeded alcoholic beverages could have achieved the success, the research will find the factors that Jinro could benchmark and establish separate entering strategies to overseas market.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recent cultural, legal and institutional background of Japan. Although Japanese culture has some similarities with the domestic cultural traits, it is the most essential for Jinro to analyze Japan’s own cultural, legal and institutional background in order to localize itself to Japanese market. The content of the research includes the entering strategies of Jinro-Japan to Japanese market and its success factors through the marketing strategies of the products. The entering strategy that Jinro used in entering Japanese market is based on the business theory, which is the 4P’s model; Product, Price, Promotion and Place strategies. After the lesson from the failure of the standardized marketing strategy at the initial stage, Jinro has succeeded by adopting the localized marketing strategy which considers the traits of local Japanese. The establishment of Jinro’s strategy in entering into Japanese market through initial phase, growth phase and maturation phase also has also its theoretical base on the marketing mix. Finally, this paper established strategies through SWOT analysis on Jinro-Japan’s strategy. These strategies lead the Jinro-Japan’s strategy to be established on targeting young women, expansion of the brand, targeting new shops, new produc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various export markets. Furthermore, Jinro has prepared the risk management and various alternative strategies through the industrial analysis in advance on the competitors in overseas market as well as the domestic alcoholic beverage industry such as Doosan which newly tried to enter the Japanese market. Jinro is also prepared by the new product development, which could lead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made the best use of the business know-how and its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국내기업들은 해외진출 및 현지국의 기업과의 합작을 통하여 넓은 해외시장으로의 새로운 진출을 모색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새로운 시장에 처음 진입하고자 할 때 반드시 갖추어야 할 전제조건은 무엇보다도 차별화된 기업전략과 경영노하우 그리고 선진화된 기술 습득뿐만 아니라 현지국의 기업들과의 경쟁에 있어 한발 앞선 경영 전략수립과 다양한 수요층 확보를 위해 필요한 사업 및 마케팅 전략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진로가 유통망 구축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취향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일본시장에 진출하여 어떤 전략적 방법을 통해 성공할 수 있었는지 자세히 알아봄으로써 이러한 사례를 밑거름으로 앞으로 국내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대안의 모색을 궁극적인 목표로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세계 주류시장의 동향과 일본 주류시장의 특성, 진로의 일본진출 현황에 대하여 연구 하며, 이에 세계적으로 성공한 다른 주종이 어떻게 성공하였는지를 살펴보고 진로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부분과 독자적인 진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최근 일본의 문화적 환경 및 법, 제도적 환경이 진로가 진입하는데 있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본다. 일본은 국내의 문화적 특성과는 비슷한 문화를 가지고도 있으나 일본만의 문화, 법, 제도적 환경의 분석이 가장 주요한 진로가 일본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현지화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내용은 진로재팬이 일본시장 진입 당시의 진입전략과 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통한 진로재팬의 성공요인을 보여준다. 진입전략으로는 경영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한 4P전략을 이용하고 진로재팬의 제품전략, 가격전략, 촉진전략, 유통전략을 통하여 진로의 일본 진출진입 당시를 보여주고 있으며, 마케팅 전략으로는 진입초기 표준화의 실패로 교훈을 삼아 일본인만의 특성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를 수립하여 성공한다. 또한, 진로의 진입기, 성장기, 성숙기를 나누어 진입 전략을 수립함을 마케팅 믹스의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SWOT분석을 통하여 향후 젊은 여성층의 공략, 브랜드 확장의 필요성, 새로운 점포에 대한 공략, 신주종(제품) 개발, 다양한 수출시장 확대라는 향후전략을 모색하였다. 아울러 진로는 현지 경쟁사뿐만 아니라 국내시장의 주류회사인 두산과 같이 새롭게 일본시장의 진출을 시도한 경쟁사에 대한 사전기업분석과 경쟁우위가 될 만한 신제품 개발과 경영노하우 및 차별적인 마케팅 전략을 적극 활용하여 위기극복과 다양한 대안을 마련하였다.

      • 한국어 추론 벤치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론 연구

        한지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exploratory study aims to examine methodologies for constructing benchmark data that evaluates Korean inferencing capabilities in language models. Follow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pre-existing language benchmarking data, a diagnostic dataset was developed for evaluating Korean language inferences. I specifically chose to focus on the Natural Language Inference (NLI) task, which involves defining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premises and hypotheses, among other various ways to evaluate the inferencing 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A diagnostic dataset compatible with the Korean language was selected based on the proposal by Glue(Wang et al., 2018), for evaluating inference abilities of language models in depth. The first step was to sample and analyze the KLUE-NLI, a Korean natural language inference benchmark built with the same convention as SNLI and MNLI. Both SNLI and MNLI are two of the most widely used NLI datasets in the English language. An analysis on the linguistic strategies used to create hypotheses was conducted on 4,059 statements sampled from the KLUE-NLI training dataset and the verification dataset. The linguistic strategies were categorized into deletion, substitution (hypernymy, synonymy, antonymy), negation, insertion (sentence components, semantic operators), coordination (sentence components, word order), passive voice, modification, number and time, and expressions associated with place/location, then the strategies were classified by the level of strategic difficulty. In addition to this analysis, I reviewed a list of previous studies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diagnostic items that include a linguistic inferencing phenomena and inferences in the general commonsense. The identified diagnostic items are lexical semantics (hypernymy, synonymy, antonymy, morphological negation, redundancy, quantification), predicate-argument structure (relative clauses, coordination, active/passive voice, topic-comment structure, word order scrambling), logic (proposition logic structure, quantification, monotonic function, intervals/numerical expressions, temporal expressions) and knowledge & common sense (world knowledge, common sense). Using this list of diagnostic items,I refined the previously mentioned training and verification data sampled and extracted from the KLUE-NLI. Consequently, two annotated KLUE-NLI-H and KLUE-NLI-S datasets are presented. Annotation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list of diagnostic items. The KLUE-NLI-H dataset has a large proportion of its data corresponding to a high level of difficulty. Whereas KLUE-NLI-S dataset has an average level of difficulty. After applying this dataset for diagnosis to the most commonly used pre-learning language models (KLUE-RoBERTa, KLUE-BERT, KcBERT, KoELECTRA), I evaluate each of the language model's function and features. Overall, pre-learning language models built based on a transformer architecture demonstrated robust performance in word order scrambling and word omission within sentences. The performance of lexical semantics, such as hypernymy, synonymy, and antonymy, were often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ing data used by the pre-learning language model. It was also noted that pre-learning language models evidently did not achieve high-performance in quantification, monotone, and knowledge & common sense. Through this evaluation of diagnostic items, it is evident that the type of inferences that can be resolved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learning language models. 본 연구는 언어 모델의 한국어 추론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벤치마크 데이터 구축 방법론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언어 벤치마크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를 토대로 한국어 추론 능력을 세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진단용 평가 데이터 셋을 제안한다. 한국어 추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여러 유형의 평가용 데이터 중 전제 문장과 가설 문장 사이의 함의 관계를 파악하는 자연어 추론(NLI, Natural Language Inference) 과제에 집중하여 한국어의 추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심층적으로 언어 모델의 추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한 GLUE(Wang et al., 2018)를 기본 뼈대로 하여 한국어에 적합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연어 추론 평가 벤치마크인 SNLI(Stanford Natural Language Inference, Bowman et al.(2015a)) 및 MNLI(Multi Natural Language Inference, Williams et al. (2018))와 동일한 컨벤션으로 구축한 한국어 자연어 추론 벤치마크인 KLUE-NLI(박성준 외 2021)의 데이터를 표본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KLUE-NLI의 공개된 학습용, 검증용 데이터 중 4,059문장을 표본 추출하여 작업자들이 가설을 작성하기 위하여 취한 전략을 분석하였다. 전략은 삭제, 교체(유의어, 상하위어, 반의어), 부정, 삽입(문장성분, 의미 연산자), 조정(문장성분, 어순), 피동, 변용, 수 및 시간, 장소 관련 표현으로 분류하여 난이도를 산정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더하여 선행 연구의 목록을 검토하여 언어학적인 추론 능력 및 일반 상식에 기반하는 내용까지 포괄하는 평가 항목을 제안하였다. 어휘 의미론(상하위어, 유의어, 반의어, 형태부정, 잉여성, 양화사), 술어-논항구조(관계절, 접속, 능동/피동 교체, 주제-논평 구조, 어순 뒤섞기), 논리학(명제 구조, 양화, 단조성, 간격/숫자, 시간), 지식 및 일반 상식(세계 지식, 일반 상식)이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평가 항목이다. 이 평가 항목을 토대로 표본 추출한 데이터를 재가공하여 평가 항목을 진단할 수 있는 주석이 되어 있는 데이터인 KLUE-NLI-H와, KLUE-NLI-S를 제안하였다. KLUE-NLI-H는 이 중 고난이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비율이 높은 데이터셋이고, KLUE-NLI-S는 고난이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진단용 데이터셋이다. 이 진단용 데이터셋을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사전 학습 모델인 KLUE-RoBERTa, KLUE-BERT, KcBERT, KoELECTRA에 적용해 각 모델의 성능과 특성을 진단해 보았다. 전반적으로 트랜스포머(Transformer)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사전 학습 모델은 어떤 모델이라도 문장 내에서 어휘의 순서 변경 또는 일부 어휘의 생략에는 강건한(robust)한 성능을 보여주며, 상하위어, 유의어, 반의어 등의 어휘 함의의 경우 사전 학습 모델이 학습한 학습용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성능이 결정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혔다. 또한 아직까지 사전 학습 모델이 양화 현상이나 단조성, 세계 지식과 일반 상식에는 뚜렷하게 높은 성능을 보이지 않음을 확인했다. 평가 항목을 통한 진단을 통해서, 모델별로 세부적인 추론 능력에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 한국어 교육용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화행 판별 자질 연구

        한지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dialogue act of user response utterances for the development of a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elect what features are appropriate for efficiently discriminating such utterances. This paper proposes a dialogue tag set that classifies the learner's utterance intent to develop a chat bot dialog system designed to enable Korean learners to practice Korean conversation. In order to classify the utteranc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se tag set, I examine what features are suitable for the conversation system made for Korean education among the discriminant feature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For this purpose, a corpu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llected to annotate the discriminant features and dialogue act. Based on the annotated corpus, we selected the dialogue act tags that can be used in the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ather than the traditional linguistic works, the discriminant features were chosen for practical use in the dialogue system for practicing Korean conversation. In case of the discriminant features, the features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both rules base – d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statistics-based automatic classification are selected and analyzed.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speech, second chapter the scholarly works on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method. Furthermore, this chapter analyze the corpu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after summarizing the discriminant features used in the study. The third chapter provides the design and collection of dialog corpus to be used in the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ourth chapter analyses the collected response speech data. The conclusion part g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issues. 본고의 연구 주제는 한국어 교육 목적의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사용자 응답 발화의 화행을 분류하고, 이러한 화행을 효율적으로 판별하는 데 적합한 자질이 무엇인지를 선별하는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회화를 연습할 수 있도록 고안된 챗봇 대화 시스템에 입력된 학습자의 발화 의도를 파악하고 분류하는 화행 표지 체계를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화행 표지에 맞춰 발화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기존에 화행 자동 분류 연구에서 이용된 화행 판별 자질 중 한국어 교육 목적 대화 시스템에 적합한 자질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교육용 대화 말뭉치를 구축하여 화행과 화행 판별 자질을 주석하였다. 주석된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목적의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화행 표지를 선정하였고, 화행 판별 자질과 화행 간의 연관도를 검토하여 각 화행별로 유의미한 화행 판별 자질을 추출하였다. 화행 표지는 전통적인 언어학에서의 화행과는 별개로 한국어 회화를 연습하기 위한 대화 시스템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지를 선택하였다. 화행 판별 자질의 경우 규칙 기반 자동 분류 모델과 통계 기반 자동 분류 모두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질을 선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배경, 의의에 대해서 논한다. 관련 연구에서는 화행과 관련된 논의를 살펴본 후, 화행 자동 분류 방식에 대한 연구의 흐름에 대해서 탐구하면서 이러한 연구에서 활용된 화행 판별자질에 대하여 정리한 뒤 기존의 연구에서 활용된 말뭉치에 대하여 분석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목적의 대화 시스템에서 사용될 대화 말뭉치의 설계와 구축에 대하여 논의하고 4장에서는 수집된 응답 발화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행별로 유의미한 화행 판별 자질을 선별한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성과와 추후 과제에 대하여 논한다.

      •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서 학습만족도가 직무효능감 및 직무몰입 변화를 매개로 교육훈련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지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는 진정한 학습을 위한 교육보다 외유성 연수라는 인식이 예전부터 있어왔다. 그래서 공무원들이 해외로 교육을 받으러 간다고 하면 그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보는 것이 아닌 관광 또는 유람의 성격으로 간주하는 등 아직까지도 부정적인 인식들이 많이 자리 잡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공무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국제사회에서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 양성을 위해서 각 지방자치단체는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학습 후 벤치마킹 등을 통하여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서 배운 학습이 효과적으로 본인의 업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등 긍정적인 인식을 제고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또한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업무에 도움이 되고 정책 개발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공무원 국외연수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결과보고서를 연수 후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작성하되, 출장결과 및 쟁점사항, 주요 활동내용, 시사점 등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작성하게 하고 인터넷을 표절했는지에 대한 검증도 실시하고 있다. 그 외에도 ‘연수 계획 수립 공청회’를 개최하여 연수의 필요성, 연수내용, 연구결과 활용방안 등에 대해 설명하고 심의를 받는 절차를 거치며, 지역 언론에서 활동 일정을 동행취재 하는 등 국외연수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의 긍정적 인식제고와 함께 그것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연수에서 얻어지는 학습뿐만이 아니라, 학습 후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여 궁극적인 업무성과로 연결되는 전이까지도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공무원 교육과 관련한 연구에서는 만족도, 성취도, 전이 등과 같은 변수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공무원이 본인의 업무에 대해 가지는 직무효능감과 직무몰입을 함께 고려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교육, 특히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 대한 학습만족도가 궁극적인 업무성과로 이어지게 하는 교육훈련전이에 영향을 끼치는 지를 확인함에 있어 직무효능감과 직무몰입 각각의 연수 전·후의 변화를 고려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 대한 학습만족도가 교육훈련전이를 예측하고, 직무효능감 변화와 직무몰입 변화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에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려는 분석방법으로는 각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 대응표본 t 검정, 단순회귀분석, 그리고 매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국내 지방자치단체 중 하나인 A도청에서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를 다녀온 공무원들로 선정하였다. A도청은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는 최소 1년에 2번 이상은 연수를 실시하는 매우 적극적인 기관으로서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의 학습만족도와 연수 전·후에 따른 공무원들의 직무효능감과 직무몰입, 그리고 교육훈련전이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특성이 충분히 확보될 것으로 판단되어 A도청에서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를 다녀온 공무원들 90명 중 설문지가 회수가 된 80부를 가지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 대한 학습만족도는 교육훈련전이를 예측할 뿐만 아니라, 학습만족도와 교육훈련전이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효능감과 직무몰입 변화의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습만족도는 직무효능감 변화와 직무몰입 변화를 각각 예측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의 과정에서 직무효능감 변화와 직무몰입 변화도 각각 교육훈련전이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서 학습자가 새롭게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현업으로 돌아가 본인의 직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국외교육프로그램이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조직에 돌아가 본인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업무에 대한 효능감을 가지고 몰입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성공적인 교육훈련전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학습만족도와 교육훈련전이와의 관계에서 직무효능감 변화와 직무몰입 변화의 매개역할이 모두 검증되었으므로,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서 교육훈련전이를 도모하기 위해 직무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변화를 더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전략적으로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중 한 곳이 A도청에서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의 참가한 연구대상의 연수 참가회수에 있어 한쪽으로 치우친 편향을 나타냈다. 교육훈련전이에 영향을 미친 것이 최소 2번 이상의 참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인지, 아니면 1번의 참가만으로도 충분히 전이 효과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학습만족도와 직무효능감 변화와 직무몰입 변화를 선정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교육훈련전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원인 변수들을 추가하거나 다양한 매개변수를 고려하여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매개변인으로 쓰인 직무효능감 및 직무몰입 변화는 학습만족도와 교육훈련전이간의 유의함을 예측하였지만 매개효과의 크기는 매우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효능감과 직무몰입 변화를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할 때에는 학습만족도와 교육훈련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매개변인으로 사용한 직무효능감 및 직무몰입 변화는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 전·후의 인지적인 변화에 대하여 측정한 것이다. 인지적 변인을 가지고 다른 변인들과의 관계를 예측해서 일반화된 결론을 내리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 전·후의 변화를 보다 구체적이고 수량적으로 제시하거나 증명할 수 있는 다른 변인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여섯째, 전이는 대표적으로 근전이와 원전이로 구분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서 학습한 내용을 업무현장에서 동일하게 적용하는 근전이의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학습에서 배운 내용을 다양한 상황에 활용하는 원전이가 학습만족도, 직무효능감 및 직무몰입 변화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government officials' overseas training has negatively been assumed by the public. Many people believe that the overseas training gives a chance to the officials to take a break and sightsee rather than receive a serious education. Contrary to the prejudice from the public, the local governments have acknowledged its positive effects. The local government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ceiving the overseas training regularly as it has enhanced the efficiency at work by the officials applying the new information and competency immediately to their tasks. The local governments have also focused on the post process of the overseas training. At the end of each training, the local governments ask the participants to make a report regarding the effectiveness and the implication of the training which they have received. They hold briefing sessions and make an action plan of the results. It is important that overseas training not only change officials' behavior but facilitate transfer of their behavior being connected to their performance results. There are many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transfer in the overseas training research for the governments officials. However, there are very few studies for the governments officials training in connection with vocational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ractical information for the mediated effect of change of vocational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transfer of training for government officials' overseas training. We have used correlation analysis, matched pair t test,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for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nd mediated analysis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n order to verify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earning satisfaction of government officials' overseas training predicts mediated effect of change of self-vocational efficacy and job involvement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transfer of training. In addition, learning satisfaction forecasts each change of self-vocational efficacy and job involvement. Change of self-vocational efficacy and job involvement predicts transfer of training as we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government officials' overseas training should be well designed after thoroughly analyzing each learners so that the learner would be able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from the training to their own tasks when go back to work. Furthermore, the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built up to help learners improve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on their jobs and derive successful transfer of training from the most of learners' abilities. Since the mediated effect of change of vocational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has been proved, it is necessary to find out other strategic ways of increasing change of vocational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on the overseas training. The major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me study needs to be performed on many different local governments. Since this study conducts a research only for one local governmen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Second, the study of transfer of training should be mo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information, two-third of the subject of study have ever participated in overseas training more than twice. Therefore,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measure if transfer of training was occurred because of this overseas training program or their previous experiences. Third, it is suggested to consider other independent or mediated variables that affect transfer training besides satisfaction, change of vocational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Fourth, it is proposed to do further research on the moderated effect of change of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because the mediated effect size is not as big as we expect. Thus, there would be the moderated effect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transfer of training. Fifth, it is recommended to use other quantitative and measurable mediated variables such as achievement. Because both change of vocational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are cognitive variables, they are difficult to quantify to show the precise result. Hence, there is a limit as to what we can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Sixth, it is necessary to do further study for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by subdividing the level of transfer like near transfer or far transfer as transfer of training would be able to make dynamic changes in terms of change of vocational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지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과 학위 논문의 인공지능교육 연구 현황은 1987년도부터 2016년까지의 누적된 논문 수는 18편이었고,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누적된 논문 수는 58편으로 2017년도부터 꾸준히 논문 수가 증가되었다. 이는 2019년 정부가 발표한 인공지능에 대한 역량이 강조되면서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연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인공지능교육 연구에서 ‘머신러닝’, ‘긍정’, ‘언플러그드’, ‘알고리즘’, ‘초등학생’ 등에 대한 키워드가 현재 연구의 활발한 주제 대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제4차 산업혁명에서 부각되고 있는 인공지능을 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다가가게 하도록 하기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현재 교육부가 제시한 정보교육 종합계획[2020~2024]의 교육 내용에 맞추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과 인공지능의 학습모델을 언플러그드, 플립러닝 수업방식으로 흥미를 유발하는 게이미피케이션 형태로 개발한 프로그램 연구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개념과 이해를 학습하고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프로그래밍 도구를 사용하여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과정을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실생활과 연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프로젝트 형태의 교육방식을 제안한 연구를 연결 지을 수 있으며, 앞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계속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17년부터 연구되어온 인공지능교육을 본 연구자가 설정한 인공지능교육 연구대상 논문 선정 기준 틀에 준거해 인공지능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의 인공지능교육에 관한 후속연구를 위해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기존의 인공지능교육의 연구동향을 밝히는 연구가 많이 수행된 바 없었다. 학문 분야는 계속적으로 발전을 거치면서 변화되기 때문에 향후 더 많은 연구 자료를 가지고 주기를 나누어 전체적인 연구 동향을 조사하여 그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gree centrality of the keyword network, a network with machine learning, positive, unplugged, algorithm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large hub is formed between keywords. Second, even in the analysis of betweenness centrality, it can be seen that machine lear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itivity, and algorithms have high betweenness centrality values, so that they are keywords that simultaneously act as intermediaries connecting other keywords. Third, among the tools for evaluating educational effects within the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e value of eigenvector centrality of learning understanding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measurement tools. This means that keywords of active research topics and learning comprehension are linked together. This study looked at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criteria framework for selecting paper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research set by the researcher, which has been studied since 2017. Theref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Not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veal the research tren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s the academic field changes as it continues to develop,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nges by dividing the cycle with more research data in the future and examining the overall research trends.

      •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액의 열적 안정성 및 불화수소 발생 연구

        한지윤 아주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리튬이온 배터리는 큰 에너지 밀도의 특성으로 인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이차전지이며 에너지 저장장치이다. 수십 년간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 개발이 이루어졌고 핸드폰, 노트북, 전기자동차에서부터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까지 리튬이온 배터리의 사용범위는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리튬이온 배터리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유기용매에 염을 용해한 전해액의 특성으로 인해 열폭주와 유독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나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열폭주가 일어나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화재 진압 시 유독 가스 노출에 대한 위험을 느끼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정보나 연구 결과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리튬이온 배터리가 고온 환경에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 가능한 위험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측정 기기는 STA-MS(Simultaneous Thermal Analysis Mass Sepctrometry)를 사용하여 열과 질량을 동시에 분석 하였다. 실험을 위한 측정 대상은 상용화 되어 있는 EC(eth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2-Me-THF(2-methyl-tetrahydrofuran), DME(1,2-dimethoxyethane) 유기용매에 LiPF6(lithium hexafluorophosphate) 염이 용해되어 있는 전해액을 측정하였다. 유기용매의 선택은 상용화 여부 외에도 유해성을 가진 용매이고 화학 그룹에 따른 경향성을 보고자 ester와 ether의 용매들로 각각 선택하였다. 온도에 따른 전해액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고 열분해 시 발생하는 가스들 중 불화수소(HF) 발생 유무와 발생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해액에 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물을 첨가한 전해액의 열적 안정성과 HF 발생 온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용매보다는 염이 용해된 전해액에서 열분해 시작 온도가 높아져서 열적 안정성이 더 커졌고 전해액에 사용되는 유기용매에 따라서 각각의 다른 특징을 보임으로써 물질의 그룹에 따른 특징은 구분되지 않았다. 하지만 물을 첨가한 전해액의 흡열반응 발생 온도가 낮아졌고 HF 발생 온도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물은 전해액의 열분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액의 분해 온도, 엔탈피, 활성화 에너지를 통해 HF 발생 조건에 대한 이해에 필요한 열역학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특히 물로 인해 유발되는 LiPF6의 가수분해를 연구함으로써 전해액의 불안정성을 연구하였고 HF를 포함한 가스 발생에 대한 실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해액에 대한 위험성을 연구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ithium-ion batteries (LIBs) have been used as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in various fields, ranging from mobile phones to electric vehicles. LIBs are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 binder. Among them, electrolytes consist of organic solvents and lithium ion conducting salts. The electrolytes used in LIBs are mostly linear and cyclic alkyl carbonates. These electrolytes are usually based on their combinations to allow the use of Li as the anodic active component, resulting in the high power and energy density of batteries. However, these organic electrolytes have high volatility and flammability that pose a serious safety issue when exposed to extreme conditions such as elevated temperatures. At that time, these electrolytes can react with active electrode materials and release a considerable amount of heat and gas. In this study, a simultaneous thermal analysis-mass spectrometry analysis was performed on six different organic solvents to examine the effect of water on hydrogen fluoride (HF) generation temperature in the electrolyte of a LIB. The electrolyt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nhydrous ethylene carbonate, diethyl carbonate, 2-methyl-tetrahydrofuran, 1,2-dimethoxyethane, each containing LiPF6. The HF formation temperature was observed and compared with that when water entered the electrolyte exposed to high-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fire. As of the result, thermal stability was greater in the electrolyte solution in which the salt was dissolved than in the only solvent. Each electrolyte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 they were not distinguished according to chemical group of materials. However, when water was added, the endothermic reaction occurred at lower tempera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occurrence temperature of the endothermic reaction with water on electrolyte was lowered, and the HF generation temperature was also lower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water plays a role in accelerating the reaction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rmodynamic information necessary to understand HF generation through thermodynamics such as decomposition temperature, enthalpy, and activation energy of lithium ion battery electrolyte. In particular, the instability of the electrolyte was studied by studying the hydrolysis of LiPF6 caused by water, and it will be expeceted to study the risk of the electrolyte by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on gas generation including HF.

      • 국내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행태 연구

        한지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메일은 2021년 기준 전 세계 21억 명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온라인 의사소통 수단이다. 특히 20대는 이메일 이용률이 가장 높은 집단이며 향후 사회에 진출하여 다양한 이메일 기록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된다. 한편, 최근 대학 내 이메일 저장 용량의 축소로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양상을 파악하고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주요 환경으로서의 대학 이메일 정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개인 기록과 이메일 기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사례분석을 통해 해외 대학과 기관의 이메일 관리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이메일 기록관리의 필수 요소를 추출하였다. 각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여 3개 이상의 대학 및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된 생산, 선별, 관리, 보존, 인식 등 5가지 요소를 기록 생애주기에 따라 정리하였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행태 및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에서 도출한 이메일 기록관리 필수요소 5가지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20대 학부생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 결과는 SPSS 26.0 버전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심층 면담을 통해 대학 이메일 정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 참여자 중 소속 학교, 소속 학과, 학년 등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6명을 선정하여 대학 이메일 정책과 관련하여 반구조화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결과는 녹음 및 녹화된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1인당 평균 이메일 계정의 개수는 4.91개이며, 계정 종류로는 ‘네이버 메일’, ‘지메일’, ‘대학 이메일’ 순서로 가장 많이 갖고 있었다. 이메일 사용 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약 40%로, 각 플랫폼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메일은 단순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파일 저장’, ‘메모’, ‘리마인더’ 등 점차 그 용도가 다양화되고 있었다. 둘째, 이메일 작성에 있어서 대학생은 자신만의 명명규칙이 있으며 하나의 스레드에 하나의 주제를 작성하는 등 적절히 이메일 기록을 관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협업 툴로서 이메일을 사용하거나 제목에 이메일 내용 및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등 이메일 기록관리 교육이 필요한 부분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셋째, 이메일 관리를 위해 대부분 ‘삭제’ 방법을 활용하나 삭제 주기가 이용자마다 다르고, 삭제함을 비우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도 16.3%로 나타났다. 또 다른 이메일 관리 방법인 ‘폴더’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사용하더라도 5개 미만으로 매우 소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이메일 분류체계나 폴더 체계는 세우고 있지 않으며 체계적인 이메일 기록관리 일정표도 없는 상황이었다. 넷째, 이메일 보존에 있어서 대부분 이메일 백업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으며 이메일 보존기간도 일정한 기준이 아닌 ‘계정의 여유 저장 공간’에 따라 결정한다는 응답이 39.3%로 나타났다. 첨부 파일 백업에 있어서 ‘첨부 파일만 따로 저장’한다는 응답이 50.8%이었으며 아예 ‘첨부 파일을 보관하지 않는다’라고 답한 비율도 36.6%로, 첨부 파일이 생산 맥락에서 벗어나거나 유실될 위험이 큼을 보여준다. 다섯째, 이메일 인식에 있어서 대부분 이메일을 관리되어야 하는 기록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유용성을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이메일 기록관리를 위한 적절한 안내 및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여섯째, 대학 이메일 계정은 크게 4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학내 구성원의 주소록이자 본인이 같은 구성원임을 증명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공식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대학의 소식을 듣는 창구로 활용하고 있었다. 일곱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대학 이메일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능이다. 특히 태블릿 PC 등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학생이 증가하며 그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한 대학생은 대학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협업 툴로 사용하며 대학에서 제공하는 복지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었다. 여덟째, 대학생은 이메일 수신함과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개인 아카이브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대학의 이메일 용량 제한은 신중히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 퇴직 교원 등 다양한 이용자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특히 이메일이 학내 구성원 간의 주요 연락망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아홉째, 대학 이메일 서비스 정책을 수립할 시에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민간 호스팅 업체에 외주를 주는 경우와 자제 웹메일을 운영하는 등 여러 방식을 고려하고 각 방식의 장단점을 사전에 예측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 이메일 정책에 있어서는 이메일 관리 가이드라인 제공, 컨소시엄 구성 등의 방법을 통해 충분한 이메일 저장 용량을 보장하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대학 구성원의 비율, 특성화 분야 등을 고려한 이메일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양상을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행태를 대학 이메일 정책과 연관 지어 파악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의 이메일 정책 및 가이드라인 비교·분석을 통해 대학 이메일 정책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of 2021, email is a representative online communication method used by 2.1 b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and in Korea, email use is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20s. This group of email users in their 20s will enter the future society and become the main body that produces and manages various email records. Furthermore, with recent reductions on email services within universities, the ability to manage email record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mail records management pattern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university email policy as a major environment for email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is, the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support university students' email records management.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archiving and email record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essential elements of email records management were extracted by analysing email management guidelines of overseas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through case analysis. By comparing and analysing each guideline, the five common elements (creation, selection, management, preservation, and perception) that were mentioned in more than three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records lifecycle. Third, the email records management behaviour and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sed through a survey. The surve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ive essential elements of email records management that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nd case analys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17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response results were analysed using the SPSS version 26.0 statistical program. Fourth,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university email policy was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Six survey participants with vary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ir schools, departments, and grades, were selected for a semi-structured interview regarding the university's email policy. The recorded content was transcribed and analysed to reveal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number of email accounts per undergraduate student is 4.91, and the most common types of accounts are ‘Naver Mail’, ‘Gmail’, and ‘University Email’, in that order. About 40% of respondents access email via a mobile device, and the most common response is that they use a dedicated application for each platform. Email is not only used for simple communication, but its use is gradually diversifying to include ‘file storage', ‘memo', ‘reminder', and so on. Second, when writing emails, undergraduate students have their own naming conventions and manage email records appropriately, such as writing one topic in one thread. However, some respondents also reported using email as a collaboration tool or not including email content or sender information in the subject line, indicating a need for basic email records management training. Third, most undergraduate students use the ‘delete' method for email management, but the deletion cycle varies among users. Additionally, 16.3% of respondents reported not regularly emptying the recycle bin. Another email management method, ‘folders,' is rarely used, and even if it is used, it is used very passively, with less than five folders. Furthermore, there is no email classification scheme or folder structure in place and no schedule for systematic email records management. Fourth, in terms of email preservation, 39.3% of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do not regularly back up their emails and that the email retention schedu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free storage space of the account” rather than a fixed standard. Regarding the backup of the attachment files, 50.8%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save attachment files separately" and 36.6% said that they “do not preserve attachment files" highlighting a high risk of the attachment files being detached from their creation context or being lost. Fifth, in terms of email perception, most students recognize email as records that needs to be managed and understand its usefulness. They also express the need for appropriate guidance and education for email records management. Sixth, the university email account is primarily used for four main purposes. It is used as an address book for university members, as proof of being a member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s an official communication tool, and perceived as a window of university news. Seventh, cloud storage services are essential for university emails. Especially, as the number of students using mobile devices such as tablets increases, the necessity of those services is growing. Additionally, university students use the university's cloud storage as a collaboration tool and perceive it as one of the benefits provided by the school. Eighth, since undergraduate students use email inboxes and cloud storage for personal archives, the university email capacity limits should be carefully determin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users, such as graduates and retired members, as well as current student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email is the main communication network among university members. Ninth, when establishing university email policies, various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Methods such as outsourcing to a private hosting company and operating an in-house webmail should be kept in mind and the pros and cons of each method should be anticipated in advance. Lastly, the university’s email policy should ensure sufficient email storage capacity through providing email records management guidelines and consortium arrangements. Most importantly, the university should establish an email policy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proportion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members and specialized field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aims to understand the email records management asp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their email records management behaviour in relation to the university email polici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developing university email policies will be conducted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email policies and guidelin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 공격적 이미지와 방어적 이미지의 장신구에 관한 연구

        한지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대의 장신구는 종교적, 주술적인 의미와 신분, 계급의 상징, 힘과 부의 과시, 종족간의 구별을 위한 표식 등의 여러 가지 상징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사회 문화가 변화, 발전함에 따라 장신구의 기능과 의미도 변화를 거듭하게 되었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고도의 산업화․기계화를 이루었으나 물질적 가치는 높이 평가되는 반면 인간성은 점차 상실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 속에서 인간은 장신구를 착용함으로써 단지 부의 가치를 소유하려는 개념에서 벗어나, 심리적인 만족을 위한 새로운 의미와 기능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심리적인 표현상태인 공격적이고 방어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신구를 제작하여 착용함으로써 심리상태의 적극적인 표현과 심리적인 위안, 만족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고대 상징적 장신구의 역사와 형태, 재료의 상징성을 연구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이미지들이 작품제작에 기초가 되었으며 보호와 방어를 의미하는 은, 마노, 호박 등을 작품의 주재료로 삼았다. 현대의 장신구중 그 형태에서 공격적, 방어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는 작품들과 고대 무구(武具) 및 현대 의상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들도 작품에 응용하였다. 심리학적 분야에서 연구 분석되어진 인간의 공격적인 성향과 방어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선, 형, 색채를 조사하여 방어적인 심리를 표현하는 원형(圓形)을 작품의 기본형태로 정하였고 공격적인 심리의 표현인 직선과 각진 형태, 돌출된 형태 등을 변화, 발전시켜 공격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격적, 방어적 이미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작품제작에 참고하였다. 작품은 브로치와 반지 두 가지 종류로 한정하였으며 전위적인 형태보다는 착용이 편리하도록 제작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주재료는 방어와 보호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은을 사용하여 재료 본래의 차가운 금속성 질감을 살려 상징적 의미가 더욱 강하게 나타날 수 있었다. 그 외의 재료들도 방어와 보호를 상징하는 마노와 호박, 자개 등을 선정하여 상징성과 더불어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였다. ‘공격적 이미지의 브로치’는 기본의 원형 안에서 날카롭게 돌출된 형태들을 변형시켜 공격적 이미지가 방어적인 이미지 안에서 공존하도록 하였으며 검은 색상의 오닉스, 고무 등을 사용하여 공격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방어적 이미지의 브로치’는 방어적 이미지의 원형을 변형시키면서 금속표면에 착색과 금박을 사용하여 ‘공격적 브로치’의 차가운 표면질감과 차별화할 수 있었다. ‘양면적 이미지의 브로치’는 기본형을 뾰족한 마름모꼴로 변형시켜 방어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가 동시에 연상되며 오닉스, 자개가 흑백의 강한 대비를 이루어 기하학적인 느낌이 강하게 느껴진다. ‘방어적 이미지의 반지’의 경우 양쪽에 반원형의 날개 형태를 덧붙여 시각적으로 강한 방어적 이미지를 유도하였으며 동시에 보는 각도에 따라 공격적 이미지도 느낄 수 있다. 시선이 분산되는 반지 좌우 날개 양면에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보석을 물려 반지에 상징성과 다양한 색상을 더할 수 있었다. 반지의 앞면의 날개 부분은 손가락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45°각도를 주었으며 뒷면은 최대한 폭을 좁게 제작하여 착용이 편안하다. 반지와 브로치 모두 과다한 장식을 배제하고 기능성을 강조하여 모더니즘적 형태를 가지면서 상징성을 가질 수 있었다. 인간성과 가치관이 사라져가는 오늘날, 공격적인 이미지와 방어적인 이미지의 장신구의 제작을 통해 현대인에게 고대 원시적 장신구의 상징적 기능을 되살리는 의미와 더불어 인간 본연의 감성에 솔직한 표현과 심리적 만족이 가능하게 한다고 믿는다.

      • 친·소수성 공중합 고분자 수식 셀룰라아제의 당화 및 흡착 특성에 관한 연구

        한지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셀룰라아제의 성능 개선을 위하여 셀룰라아제와 폴리알킬렌글리콜 유도체와 무수말레인산의 공중합 고분자로 수식 셀룰라아제를 제조하고, 이를 셀룰로오스 당화 반응에 적용하여 당화 및 흡착 특성을 연구하였다. 수식 반응에서 친·소수성 공중합 고분자/ 효소의 질량비 증가에 따라 수식률은 증가하며, 질량비 4 이상에서는 수식률이 일정하였다. 공중합 고분자 수식 셀룰라아제의 최대 수식률은 55 %이고, 상대 활성은 83 %이다. 친·소수성 고분자 수식 셀룰라아제의 당화 실험에서 효소는 반응 초기에 기질로 급속히 흡착하며, 반응 시간 경과에 따라 미수식 효소는 일정 유리 효소량을 유지하는 반면에 수식 효소는 40∼50 %까지 탈착되었다. 그로 인해, 최종 전환율은 수식 효소가 더 높았고, 반응 후의 효소 회수 용이성도 수식 효소가 더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중합 고분자의 친수성 부분이 증가함에 따라 효소의 초기 흡착능이 향상되었고, 반응 후 기질로부터의 탈착능이 증가했으며, 무수말레인산 자체는 이에 영향력이 없었다. 수식 효소 중 AKM 1511 수식 셀룰라아제의 성능이 가장 우수했다. 효소 반응 시스템을 모사하기 위하여 유사 정상상태 가설을 사용하지 않는 미분 속도 반응식을 적용하고 이를 gPROMS를 사용하여 수치해석하였다. Copolymers, containing polyoxyalkylene and maleic acid anhydride, with different hydrophilicity and hydrophilicity were used to modify cellulase. Native and modified cellulases were applied to saccharification reaction, then adsorption and saccharifica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modification reaction, the degree of modification(DM) increased with mass ratio of copolymer to enzyme. Maximum DM and the relative activity was 55 % and 83%, respectively. In saccharification, cellulase rapidly adsorbed onto the substrate at initial reaction time. Modified cellulase desorbed about 40∼50 % of an initial enzyme concentration as reaction time proceeded while the free enzyme concentration remained at constant value for the case of native cellulase. As a result, conversion rate of modified cellulase was greater than the native one. As a hydrophilicity of modified cellulase increased, initial adsorption capacity of cellulase and free enzyme concentration increased. Numerical simulation, based on the reaction mechanism not applying the pseudo steady state hypothesis, was performed using gPR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