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aiwanese Writer Zhang Shenqie and Colonial Transnationalism

        Han, Inhye(한인혜)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7

        쟝 션치에 (1904-65)는 식민시기 일본에서 교육을 받고, 중국대륙과 대만을 오가며 양국에서 반제 운동 및 신문학 운동을 전개한 대만 작가이다. 중국에서는 전통문화 부흥운동에 주력하는 한편, 대만에서는 신문학 운동의 주축이 되어, 식민지 대만과 반식민지 중국을 아우르며 양안(兩岸)에서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기존의 중화권 연구에서는 장 션치에의 작품 세계를 계몽주의, 민족주의의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분석한 반면, 본 논문은 선행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쟝 션치에의 문학과 비평에 드러난 트랜스내셔널리즘의 지평을 해명한다. 특히 장 션치에의 트랜스내셔널리즘이 식민주의의 이데올로기로서 만연했던 민족주의를 전략적으로 전유하는 방식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쟝 션치에는 동양과 서양의 고전에 조예가 깊었음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순간에 중국의 전통 도가철학을 토대로, 중국에서는 반제운동을, 대만에서는 대만 신문학 운동을 전개한다. 본 논문은 쟝 션치에가 (1)당대 큰 반향을 일으킨 그 어떤 이데올로기와도 비평적 거리를 유지하며, (2)급격히 변화하는 현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3)대중들의 삶에 깊숙히 침투하는 전략으로서 도가 철학을 활용한 방식을 분석한다. 아울러 이러한 사상체계가 구체화된 사례로서, 쟝 션치에의 희극 "망인(亡人)보기"가 어떻게 대만의 고유한 감수성을 포착하였는지를 추적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쟝 션치에가 어떻게 양국의 내셔널리즘을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급진적인 트랜스내셔널리즘의 장을 구축하였는지 밝힌다. Zhang Shenqie (1904-65) was a Taiwanese writer who was educated in Japan and led active political and literary careers in both Taiwan and China-including Guangdong, Shanghai, and Beijing-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hina, Zhang developed the renaissance movement of classic Chinese tradition as an anticolonial strategy; in Taiwan, he embarked on the New Taiwan Literature Movement articulating uniquely Taiwanese sensibilities distinct from the Chinese.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Zhang engaged his audiences in both colonized Taiwan and semicolonized China, a transnational practice that identifies heterogeneous, counter-Enlightenment notions of the nation obscured by the modern colonial ideology of nationalism. My analysis shows how inter-colonial transnationalism strategically makes use of the nation as a strategy countering colonial nationalism. Although Zhang was versed in both Eastern and Western literature and philosophy, ranging from ancient to modern, he sought not to be bound to any strand of ideology of thought, including anarchism, Marxism, or nationalism. Yet he critically drew on religious insights, especially Daoism, due to Daoism’s anti-institutional and deconstructive worldview, contending that Daoism provides the Chinese with the best means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world and thus oppose imperialist strategies employing ever-changing technology and rhetoric. Zhang also urged Taiwanese writers to discern ever-changing Dao within Taiwanese masses’ lives and cater to their demands, even if the masses’ tastes contradict Taiwan New Literature’s pursuit. This paper shows Zhang’s use of Daoism sought transnational reconnection between Taiwan and China yet identified the counter-modern idea of the nation in each country.

      • KCI등재
      • KCI등재

        Chinul’s Chan Hermeneutics Beyond Historicism and Internal Dynamics

        Han, In hye(한인혜)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1

        본 논문은 지눌의 돈오점수 체계가 형성되는 데 있어서 기존의 문헌, 특히 대혜의 선 철학을 전유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지눌은 대혜로부터 영향을 받은 첫 번째 한국 선사인 동시에 대혜의 간화선 수행법을 최초로 옹호한 한국 선사였다. 지눌의 세 번의 깨달음 체험 가운데 마지막 체험은 대혜의 〈서장〉을 읽을 때였음을 미루어 볼 때, 대혜가 지눌에 끼친 영향을 막대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눌은 대혜의 돈오돈수 수행법은 상근기의 수행자들에게만 적합한 방법이라고 지적하며, 돈오점수법을 택하여 대혜의 선사상으로부터 거리를 둔다. 한편, 대혜의 저작들을 추적해 보면, 지눌의 주장과는 달리, 대혜의 돈오돈수법은 당대의 하근기의 불도들에게도 적합하였음을 증명하는 여러 사례들이 거론되고, 대혜 역시 돈오돈수가 초래할 수 있는 여러 폐해를 명백히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돈오돈수법을 핵심 수행법으로 관철하였음을 발견하게 된다. 본 연구는 지눌이 돈오돈수법에 대해서 양가적인 입장을 취하는 지점을 밝혀내고, 그 양가성이 가지는 역사적, 해석학적 의미를 해명한다. 요컨대, 지눌의 선 철학이 (1) 시대적 상황이 종교 수행법을 결정짓는다는 “역사주의” 입장이나 (2) 유구한 선불교 역사를 추동해온 “내적 동력학”을 옹호하는 입장 간의 대립을 극복하는 공전의 해석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Chinul engages and reconfigures previous Chan materials, especially Dahui’s Records. Chinul was the first Korean Chan master influenced by Dahui’s works and the first to endorse Dahui’s kanhua practice. Since Chinul’s third and final awakening occurred while reading Dahui’s Record, Dahui’s Chan teaching was indispensable for Chinul. Yet Chinul critiques Dahui’s sudden subitism and espouses moderate subitism, contending that method is suitable only for practitioners with high faculties. Dahui’s works, however, show that his sudden subitism successfully worked for lay practitioners with low faculties and also that Dahui was conscious of potential pitfalls of radical subitis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hinul made the best use of tension between historicism and internal dynamism, a strategy that has crucial historical and hermeneutical implications in the Chan Buddhist studies.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중국에서 번역된 조선 문학

        한인혜(Inhye Han)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4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 조선 문학이 중국에서 번역되고 수용된 양상을 분석한다. 기존의 연구가 민국시기에 번역되었던 조선 작품을 발굴하는데 초점을 맞춘 반면, 본고는 반(半)식민지 중국 문단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감각 속에서 조선 문학이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추적한다. 조선 문학을 받아들인 특수한 중국적 맥락으로서 (1) 문인들의 민족주의적 비평, (2) 장혁주 비평의 수용, (3) 세계문학 담론이라는 세 지평이 교차하는 국면을 연구한다. 첫째, 민족주의적 입장은 조선 문학을 감상하는 중국의 독자와 비평가들로 하여금 ‘감정적 동일시’와 ‘현실적 거리두기’라는 양가적 태도를 견지하게 하였다. 둘째, 중국 문단은 장혁주의 권위에 기대어 조선문학을 이해하고자 했지만, 조선 문단을 폄하했던 그의 입장으로 인해 중역(中譯)된 장혁주의 비평은 조선 문학에 대한 평가를 왜곡할 소지가 다분하였고, 나아가 중화적 민족주의와 공명하는 측면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당시 중국 문인들은 서구식 세계문학 담론에 개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려는 문예적 시도가 활발하였다. 그 한 극단에는 중화중심적으로 재구성된 세계문학론이 있었고, 이 구도에서 조선 문학이란 연민을 호소하는 약소민족의 서사일 따름이다. 한편, 다른 한 극단에서 후펑은 세계문학론의 기본 단위를 민족에서 개개의 인간으로 치환하고, 인간을 동정의 대상이 아닌 존경과 긍정의 대상으로 간주한 고리키의 문예관을 흡수하였다. 후자의 문맥에서는 조선 문학이 단순히 약자의 서사가 아니라 자기극복과 초인의 서사로 전변하여, 동정이 아닌 귀감의 대상이 된 것을 밝힌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semicolonial China in the Republican era situated Korean literature translated into Chinese within its literary discourses. Whereas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Korean literary texts translated into Chines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hina"s reading public of the time understood Korean literature under the historically specific cultural-political conditions. I examine the intersection of three elements as the determining factors; nationalist criticism of Chinese literati, China"s enthusiastic endorsement of Chang Hyŏkju"s criticism on Korean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discourses. First, the sense of nationalism hegemonic within the Chinese literary discourse led Chinese readers and critics to hold the ambivalent stance of affective identification and political defamiliarization vis-a-vis Korean literary narratives. Second, although China relied on the cultural authority of Chang Hyŏkju, who made a successful debut on a famed Japanese literary magazine, to understand modern Korean literature, Chang had a derogatory view on both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nationality. Translation of Chang"s criticism into Chinese less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than echoes ethnonationalism of China"s literary criticism. Finally, Chinese intellectuals, especially Zheng Zhenduo, engaged with the world literature issue, critiqued Euro- or West-centrism underlying the world literature discourse, and reconfigured it into progressive theories of world literature. My analysis shows that the critical reconfiguration of Eurocentric world literature engendered two literary strands. One is a sinocentric strand of world literature that reckons Korean literature as narratives by a small and powerless nation. The other, seen in Hu Feng"s stance, replaces national literature with an individual subject as a constituting unit of world literature. Chinese theories in the latter strand embrace Marxim Gorky"s view of human, viewing a human not as an object of pity and sympathy but as that of affirmation and respect. The latter framework, I argue, transforms the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from a narrative of the weak to that of übermensch and the strong, radically deconstructing the given hierarchy of national literatures of the time.

      • KCI등재

        위험성 평가에 기반한농작업 안전관리 E-Learning 체험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한인혜 ( I H Han ),양기남 ( G N Yang ),조홍규 ( H G Cho ),정경환 ( G H Jung ),김광희 ( G H Kim ),신윤석 ( Y S Shin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4 한국안전학회지 Vol.29 No.4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to develop e-learning contents of agricultural safety based on the assessment of risks of 4selected crops and stock farming: rice, potatoes, apples, tomatoes and stock raising. The aged farmers, who are main workforce of currentKorean agriculture and relatively more vulnerable to various risks of agricultural work compared to younger workers, were considered asthe main users of the contents in developing them. The safety guidelines were presented as simple as possible and the interfaces weredesigned to be simple and easy to use so that the older users can use it without much difficulty. In making the scenarios of the contents,risk assessments were carried out for each crop and stock farming with the focus being on occupational diseases rather than accidentalinjuries. To make the contents more attractive to the farmers, the functions requiring active responses from the users, such as answeringsimple questions, were included in the contents. Usability evaluation by experts of ergonomics and agricultural tasks were carried out inmodifying the draft version, whereas formal usability test was not included in the case study. 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developed contents in the aspects of evaluation of usability and effectiveness, this case study shows the structured procedure ofdeveloping e-learning safety contents based on the risk assessments on agricultural tasks. The developed e-learning contents are expectedto be used practically and easily in educating and training older farmers about safety and health of agricultural tasks.

      • KCI등재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