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구경 광섬유를 이용한 레이저의 특성 분석

        한은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XLMA 광섬유는 약 50 um 이상 수백 um 정도의 대구경 코어를 가지는 광섬유로 비선형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고 bulk damage threshold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고차 모드를 가져서 빔질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빔 질이 다이오드 레이저보다 작으면서도 출력은 다이오드 레이저 출력에 버금가는 고출력 레이저에 대한 필요가 생김에 따라 XLMA 광섬유를 사용한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일부 회사는 이를 이용하여 상용 제품을 출시하였다. 그러나 Yb 첨가 XLMA 광섬유를 이용한 레이저에나 증폭기에 대한 연구 보고는 일부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XLMA 광섬유를 사용하여 레이저 및 증폭단 시스템을 구축하고 연속 발진 레이저 및 펄스 레이저 동작 특성을 연구하였다. 사용한 XLMA Yb 광섬유는 Yb 이 도핑된 코어 크기가 100 um로 0.1 NA 값을 가지고 있으며, 펌프빔 가이딩을 위한 내부 클래딩의 직경은 400 um로 NA 값은 0.2 이다. 흡수율은 915 nm에서 6.5 dB/m이다. XLMA Yb 광섬유의 발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광섬유의 양쪽 끝을 평평하게 자른 후 915 nm 펌프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펌핑을 하였다. 그 결과 XLMA Yb 광섬유 레이저는 1036 nm의 중심 파장에서 최고 출력 60.9 W를 생성하였고 기울기 효율은 78.2%로 측정되었다. 다음으로 XLMA Yb 광섬유를 사용하여 최종 증폭단을 구축하고 일반 Yb 광섬유로 제작한 1064 nm의 시드빔을 사용하여 레이저 신호를 증폭시켰다. 반복률 200 kHz의 사각파 펄스 형태에서 최고 평균 출력 106.6 W, 펄스 에너지는 533.0 uJ를 얻을 수 있었다.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파장 선택 Yb 첨가 XLMA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1008 nm에서 1090 nm까지 발진 파장 선택이 가능하였다. 1008 nm이하의 파장에서 레이저 발진이 연속적으로 일어나지 않았으나, 980 nm 부근에서 ASE가 생성되어 이를 이용하여 980 nm 레이저를 생성하였다. 발진된 980 nm 레이저 빔은 흡수된 펌프가 44.8 W일 때 최고 출력 10.9 W였으며, 기울기 효율은 60.4%로 계산되었다.

      • 퇴계 성학십도의 인성교육적 함의 연구

        한은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개인주의가 만연하고 도덕성이 상실됨에 따라 지난날의 전통적 가치관이 붕괴된 매우 혼란스러운 지경에 이르렀다. 사회는 점점 어지러워지고 도덕성이란 가치는 돈이나 집과 같은 물질적인 가치보다 못한 것으로 치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성교육에 관한 학계와 교육계의 노력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효과적인 인성교육의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성교육의 목적, 방법, 실제 등은 모두 서양의 이론과 학자들의 주장에 의해 유입되어 온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성교육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서에도 맞지 않는 부분이 있고 실제적인 효과도 크지 않아 보인다. 현재 인성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해결방안으로서 우리의 전통적인 교육관에 중대한 영향을 끼쳐 온 유교 사상을 활용한 인성교육에 관하여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성학십도』는 한국 유교 사상의 대표자인 퇴계가 집필한 것으로서 그의 사상이 고스란히 담겨있을 뿐만 아니라 유교 사상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목적, 방법, 실제 등에 적용할만한 인성 교육적 함의가 있는 책이다. 『성학십도』에서는 성인이 되는 것을 성학의 목적으로 밝히고 있다. 그에 따라 인성교육의 목적을 인간이 본래의 깨끗한 마음을 회복하여 인륜과 도덕의 원리를 밝히는 성인이 되는 것에 두었다. 또한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수양을 해야 하는데, 경(敬)은 수양의 목적이자 방법이며 아울러 『성학십도』 전체를 관통하는 중요한 사상이며 인성교육의 큰 틀이다. 『성학십도』의 구성 체계, 10개의 도설을 나누는 구조적 형식, 『성학십도』에 담긴 유교적 내용 등은 실제 초등인성교육에 적용해 볼 수 있는 풍부한 함의를 갖고 있다. 퇴계의 『성학십도』는 이론과 실천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끊임없는 자기수양을 통해 본연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일상생활의 기본 습관들은 바른 인성을 갖기 위한 기초이며, 마음을 다스리는 법으로서의 경(敬)사상은 성인이 되기 위한 핵심이다. 퇴계의 『성학십도』는 한국 유교 사상을 특징적으로 가장 잘 담고 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현재의 인성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Confucian ideas that familiar to us are being ignored by philosphia and gradually are losing a place to stand. But it is undeniable fact that our society i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Because of individualism and loss of morality, modern society has confused by the Confucian spirit corruption. The value of morality is considered inferior to the material value such as money. Personality education reform is doing constantly for solve the overall problem of our society. But our society can not catch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e character education's purpose and method of our society has affected by western theories. In some ways these current education method is differect from our emotions, and actually ineffective in part.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Confucian society in Korea should use Confucianism in character education.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written by Toegye, Korea representative of Confucianism is good to use for character education including confucianism education's purpose, method and so on. The book says that the purpose of Academic of Sung is saint. The purpose of character education is to become saint who realize humanity and theory of ethics, being restored to nature. To become an adult must be a constant discipline and as a way for the purpose of Sir Foster is important for adults to become an important way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throughout the whole idea was presented. So Sir Sanya character education as the primary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ook a big frame. In addition,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configuration, 10 ethics share structural format, content and intended Confucian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containing the actual elementary character education to take advantage of what may be seen to apply. Sepa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of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emphasize with and without the constant self-discipline through the natural intelligence has stressed that to maintain. Basic habits of daily life have the right personality was critical thinking as the basis for the award highlighted the slope acros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how to manage your mind to become an adult is looking at the core. Confucianism in Korea Toegy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contains the best variety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character education learn it well, so take advantage of great books that you want to apply to the character education effort is needed.

      •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의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학급유형의 차이를 중심의로

        한은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xamines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class types in these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and 1,266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lso, i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high schools where the main focu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to enter universities through passing entry exams,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 sub factor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has been exclu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stated below. Firstly, whil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teacher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d not show much of a difference at all. A higher rate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howed amongst the female students compared to the male students, while teacher support was seen to have a stronger effect on male students than females. Based on class type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eacher 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st the career focused course classes than in the general classes. Secondly, from the difference found amongst the major factors ba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class typ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nly shown i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teacher support. While no difference was seen amongst female students i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teacher support regardless of class type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teacher support was found to be higher in career focused course classes than general classes for male students. Thirdly,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as well as meaningful influence was show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eache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t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here was the possibility that the teacher support was perceived to be higher, and i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s well as teacher support was perceived to be hig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also promoted and actively carried out. Fourthly, it was found that only in career focused course classes the interaction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teacher support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predi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amely, in the case of career focused course classes, if the teacher support was low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high,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hown to be high. On the other hand, if the teacher support was high, no matter what the size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as, it did not make much of a difference to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prov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identified and provided the basis for the creation of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promoting career development focused around teachers. It is also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was able to identify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areer focused course in the process. La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eache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was only verified in the interaction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gender in general classes. Also, only in the case of general classes, the interaction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eacher support and gender in regards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ted as a buffer in revealing the moderating effects. In the case teacher support was low for male students in general cla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reveale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if the teacher support was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size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did not show much significance. Consequently, through such outcom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 support was verified. As a result, in general classes, it was found that career guidance and counselling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where for male students, the need for a counselling and educational approach that can increase teacher support is require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n general class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hown to have not so much of a significance. In case of female studen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teacher support, it was found tha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emales were found not to be greatly influenced by social expectations, financial ability, social status, etc., but rather had a strong tendency to prepare and decide their careers based on their will freely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lues, interests, qualities, desire to achieve self-realization and so forth. Based on such considerations, we need to assis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ccordingly in developing counselling techniques to boos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being able to actively carry 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during the teenage years. Hereby, focusing on gender and class types this research was able to specif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hat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ther word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teacher support were not only found to be major factors effecting the career prepa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but as the moderating effects also showed significant outcomes, the importance of teachers as the supporters and the educational influences of career focused course classes also confirmed their importance. Accordingly,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related programs and educational courses that can enhance the motivation levels of counselling interference and support resources are being required. Th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in career consultation and guid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long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have also been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지지 및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과 학급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인천 소재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1266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진로준비행동 척도의 하위요인인 취업준비활동은 대학입시와 관련하여 진학 위주의 진로준비행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일반계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외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지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진로준비행동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율성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교사지지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급유형에 따라서는 진로결정 자율성, 교사지지, 진로준비행동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반학급보다 진로집중학급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학급유형의 상호작용 효과에 따른 주요변인 간의 차이는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지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은 학급유형에 따라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지지에서 차이가 없는 반면, 남학생은 일반학급에 비해 진로집중학급에서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지지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지지, 진로준비행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이는 진로결정 자율성이 높을수록 교사지지를 높게 지각할 가능성을 있으며, 진로결정 자율성이 높을수록, 교사지지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촉진되고 적극적으로 수행함을 의미한다. 넷째,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지지의 상호작용 효과는 진로집중학급에서만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집중학급의 경우, 교사지지가 낮은 경우 진로결정 자율성이 높으면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사지지가 높은 경우 진로결정 자율성의 크기에 따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교사지지의 조절 효과를 밝힘으로써 교사를 중심으로 진로발달을 촉진하는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시사되는 바가 클 것이다. 또한 진로집중과정의 운영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결정 자율성, 교사지지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일반학급의 진로결정 자율성과 성별의 상호작용항만 유의하였다. 또한 일반학급의 경우에만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지지간의 상호작용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성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일반학급 남학생은 교사지지가 낮은 경우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교사지지가 높은 경우 진로결정 자율성의 크기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로써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반학급의 경우에는 성별을 고려하여 진로지도 및 상담기법이 적용되어야 하며, 남학생의 경우에는 교사지지를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이 요구된다. 일반학급 여학생의 경우,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여학생의 경우, 교사지지의 수준과 무관하게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사회적 기대, 경제력, 사회적 지위 등의 영향을 받기 보다는 진로에 대한 자신의 가치, 흥미, 적성, 자아실현을 위한 욕구 등 자율성에 따라 자신의 의지대로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경향이 짙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남녀 모두 진로결정 자율성을 촉진할 수 있는 상담기법을 개발하여 청소년기에 진로준비행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조력해야 한다. 이로써 성별, 학급유형을 중심으로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사지지와 진로결정 자율성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하였다. 즉, 고등학생이 진로를 준비하는데 있어 진로결정 자율성과 교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이며, 이들의 상호작용 효과 또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진로집중학급의 교육적 효과와 지지원으로서 교사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동기수준을 높이기 위한 상담적 개입과 지지 자원을 강화할 수 있는 진로 관련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 및 지도에 있어서의 적용 가능성과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은혜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main points. The first was a preliminary study for validating the measurement tool of spiritual intelligence, and the second was a study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intelligence, boundary spanning behavior, self-leadership, meaning of work and self-efficacy. In a preliminary study, the Korean Spiritual Intelligenc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using the Spiritual Intelligence Self-Report Inventory(SISRI) of King and DeCicco(2009) through back-translation metho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26.0 was conducted with the responses of 207 domestic adul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K-SISRI consisted of 16 questions with 4 factors. This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428 office workers, and used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 26.0, AMOS 26.0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validity, research model, and total effects of indirect effects.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of work and self-efficacy to explore psychological factors that mediate each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intelligence, boundary spanning behavior and self-leadership of office wo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piritual intelligence of office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leadership, meaning of work, and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work of office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boundary spanning behavior,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office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undary spanning behavior and self-leadership.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work of office worker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intelligence and boundary spanning behavi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work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Fifth, self-efficacy was confirm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piritual intelligence and self-leadership, and it was confirm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of work and boundary spanning behavi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of work and self-leadership. Sixt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of work and self-efficacy between spiritual intelligence and boundary spanning behavior was confirm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eaning of work and self-efficacy were effective through a double-mediated path between spiritual intelligence and self-leadership.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study. First, it is meaningful that the empirical basis for spiritual intelligence was prepared by expanding spiritual intelligence research and preparing a Korean SISRI to measure it. Secon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meaning of office workers' work and self-efficacy, it is possible to expect a change in personal behavior in which spiritual intelligence leads to boundary spanning behavior and self-leadership.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variable can be discussed in that the 'meaning of work'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plays a major role between spiritual intelligence and boundary spanning behavior. It is expected that the expression of spiritual intelligence of office workers can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uncertain modern organizations and establishing measures that can help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Since the four dimensions of spiritual intelligence: critical existential thinking, personal meaning production, transcendental awareness, and conscious state expansion are interconnecte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at promote the spirituality of office workers can be expected. Since spiritual intelligence is the ability to find and act on values while sharing one’s life with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uman existence, it is effective to listen to members' storie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Accordingly, approaching office workers with an appropriate spiritu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can be expected to change personal behavior that can lea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영성지능이 조직 성과를 도모할 수 있는 개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조직 성과를 측정하는 변수는 조직 몰입이나 조직 만족 등으로 연구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근로자들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영역초월행동과 셀프리더십을 종속 변수로 하여 영성지능이 근로자의 영역초월행동, 셀프리더십, 일의 의미,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영역초월행동, 셀프리더십, 일의 의미, 자기효능감에 대한 측정도구는 다른 연구자들의 문항을 사용하였으나, 영성지능 측정도구는 King과 DeCicco(2009)의 영성지능척도(Spiritual Intelligence Self-Report Inventory: SISRI)를 역번역 방법으로 한국어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국내 성인 207명의 응답을 가지고 SPSS 26.0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 한국판 영성지능(K-SISRI)은 4개요인 16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응답을 받았으며, 최종 428명 응답 자료를 가지고 SPSS 26.0과 AMO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타당도,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무직 근로자의 영성지능은 셀프리더십과 일의 의미,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사무직 근로자의 일의 의미에 대한 인식은 영역초월행동, 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무직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은 영역초월행동과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무직 근로자의 일의 의미에 대한 인식은 영성지능과 영역초월행동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의 의미에 대한 인식은 영성지능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영성지능과 셀프리더십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가 확인 되었고, 일의 의미와 영역초월행동 관계에서도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일의 의미와 셀프리더십 관계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영성지능과 영역초월행동 사이에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은 영성지능과 셀프리더십 사이에서 이중매개의 경로를 거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영성 지능연구를 확장시키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우리말 SISRI를 마련함으로 영성지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사무직 근로자의 일의 의미에 대한 인식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과 셀프리더십으로 이어지는 개인행동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조직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일의 의미’가 영성지능과 영역초월행동 사이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해당 변인의 실질적 효과성이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무직 근로자들의 영성지능 발현은 불확실한 현대 조직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개인의 경력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성지능의 네 가지 차원인 비판적 실존적 사고, 개인적 의미 생산, 초월적 인식, 고차원적 의식상태는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무직 근로자들의 영성을 촉진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기대할 수도 있다. 영성지능은 인간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을 가지고 삶을 나누면서 가치를 찾고 행동하는 능력이 되기 때문에 소그룹 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적절한 영성지능 향상 프로그램으로 사무직 근로자들에게 접근하는 것은 조직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개인행동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 교회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이 구성원의 셀 참여 지속의지와 신앙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와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은혜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the super-leadership of the church cell leader on the performance of the cell group members. Their performance can be represented by members’ participation in cells and faith matur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impact of super-leadership on members' self-leadership, retention intention, and faith maturity. In addition, this study placed empha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The measurement tools for super-leadership, self-leadership, retention intention and faith maturity were adopted from existing studies, but measurement tools for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was developed for the study. This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416 Protestant adults, and used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 25.0, AMOS 25.0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validity, research model, and total effects of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ell leader’s super-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ember`s self-leadership and retention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ell leader’s super-leadership and the member’s faith maturity. Second, the member’s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ly impact on retention intention and faith maturity. Third, although the cell leader`s super-leadership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religious attainment, the super-leadership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faith maturity which was mediated by the member’s self-leadership. Fourth,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ll leader`s super-leadership and the member’s self-leadership.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the positiv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nd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Although leaders do have influence in cell groups, it is a result of the importance of the member’s self-leadership. This requires support from the church so that not only cell leader education but also member’s self-leadership is exercised in order to revitalize church cell group. In addition, the church needs to present a manual for cell leader education on how to utilize mobile messengers so that cell member’s self-leadership can be exercised by encouraging the use of mobile messengers, leading to cell participation and faith maturity. In addition, cell leaders should recognize that groups using mobile messengers have stronger communication with their members, and not only meet members face-to-face at cell meetings, but also use non-face-to-face mobile messengers to motivate and interact with their members, contributing to cell activation. Therefore, as a way of HRD(Human Resource Develop) in the church, we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embers’ self-leadership that plays a mediating role in cell group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that can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본 연구는 교회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이 셀 모임 성과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셀 모임 성과는 가시적으로는 구성원들의 셀 참여로, 비가시적으로는 신앙성숙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이 구성원의 셀프리더십, 셀 참여 지속의지, 신앙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슈퍼리더십이 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와,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슈퍼리더십, 셀프리더십, 셀 참여 지속의지, 신앙성숙도에 대한 측정도구는 다른 연구자들의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했으나,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의 측정도구는 설문문항의 부재로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는 교회 셀 모임 참여자를 대상으로 416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SPSS 25.0과 AMOS 25.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타당도,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은 구성원의 셀프리더십과 셀 참여 지속의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과 구성원의 신앙성숙도 관계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둘째,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은 셀 참여 지속의지와 신앙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셋째,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은 구성원의 신앙성숙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슈퍼리더십은 신앙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넷째,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과 구성원의 셀프리더십 관계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한 커뮤니케이션 조절효과의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셀프리더십과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의 정(+)적인 영향력을 도출할 수 있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신앙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이 슈퍼리더십이 아닌 셀프리더십이었다는 것은, 셀 모임에서 리더의 영향력에 따라 셀의 성과가 달라지기도 하지만 구성원의 셀프리더십도 중요함을 말해주는 결과이다. 이로써 교회 셀 모임 활성화를 위해서는 셀 리더 교육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도록 교회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모바일 메신저 사용을 권장함으로 셀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발휘되어 셀 참여와 신앙성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회는 셀 리더 교육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 제시가 필요하다. 더불어 셀 리더는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그룹이 구성원과의 소통이 더 강함을 인식하고, 셀 모임에서 대면으로 교제할 뿐만 아니라 비대면 방법인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여 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하고 교제함으로 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교회 인적자원관리 방안으로 셀 성과에 매개 역할을 하는 셀프리더십의 중요성과 슈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의 영향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공간표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은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을 고안하여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공간능력, 공간표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교육적 효과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유아공간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표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로 연구대상기관은 인접한 곳에 위치해 있고 80인 이상의 정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비슷한 규모의 어린이집이다. 대상 유아는 실험집단 A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19명(남 10명, 여 9명)과 통제집단 B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19명(남 9명, 여 10명)으로 총 38명이었고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을 10주 동안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유아의 공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홍혜경(2001a) 공간능력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눈-운동 협응, 공간적 추리, 형태-바탕 지각, 시각적 기억 및 회상, 공간 내에서의 위치지각의 5가지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유아의 공간표상을 알아보는 도구로는 민미희(2012)가 개발한 공간표상 검사를 모형부분만 발췌하여 사용하였으며 표상물과 참조공간의 물리적 유사성 과제, 사영과제, 위상과제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은 만 4세 유아의 공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눈-운동 협응, 공간적 추리, 형태-바탕 지각, 시각적 기억 및 회상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은 유아의 공간표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물리적 유사성, 위상 과제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놀이 활동을 고안함으로써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공간개념 이해의 맥락을 제시하였고 유아들이 보다 흥미롭게 공간 영역에 관심을 갖게 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사진찍기를 활용한 쌓기활동이 유아의 공간개념을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effects of children’s spatial ability and representational ability by designing block play with photography and applying it to four years old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for children`s probabilistic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To what extent block play with photography does influence children’s spatial ability? 2. To what extent block play with photography does affect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al ability? The research objects are four-years-old children who are belong to two daycare centers. Each has at least 80 children members. Both are located in G city. The research objects are divided as experimental group that consists of nineteen children(M:10, F:9) from A daycare center and as controlled group that has also nineteen children (M:9, F:10) from B daycare center. Total is thirty eight. The experimental group is provided block play with photography for ten weeks. The research tools are as follows. First, Hong, Haekyung’s Spatial Ability Test(2001a)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spatial ability. This test includes eye-coordination, spatial inference, perception on the figure and ground, visual memory and recall, and space perception. Second, in order to evaluat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al ability, Spatial Representational Test by Min, Mihee(2012) is employed. This test contains spatial product, physical similarity of reference space, topological and projective spatial relationships.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SPSS. 18.0 Window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lock play with photography positively affects spatial ability of four-years-old children. In subareas, it is confirmed that eye-coordination, spatial inference, the figure and ground perception, and visual memory and recall positively influence. Second, block play with photography positively influences on spatial representational ability. In subareas, it is confirmed physical similarity and topological spatial relationship influence it.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patial concepts for children by designing block play with photography. Plu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one of the clues in order for children to be curiously interested in spatial area. Block play with photography is expected to be employed for children’s spatial concepts in children education area.

      • 제주연안 갈조류 추출물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에 의해 일으키는 신경세포 독성의 억제 효과

        한은혜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제주연안에서 자생하는 해조류 중 갈조류 10종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력과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β)에 의해 유도된 HT-22 신경세포의 독성 억제 효과를 관찰해 보았다. 갈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해 보았는데 그 결과 감태와 패에서 radical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MTT assay를 통해 알아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에 의한 신경 세포 독성의 억제 효과는 갈조류 추출물을 25 μg/mL을 처리하였을 때 미역쇠, 바위수염, 불레기말, 짝잎모자반 순으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갈조류 추출물을 처리 하지 않은 것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갈조류 추출물 50 μg/mL을 처리 하였을 때에는 알쏭이모자반, 미역쇠, 불레기말, 짝잎모자반 순으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신경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갈조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신경세포 사멸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 양상을 살펴 본 결과 아밀로이드 베타 전구 단백질인 APP의 발현은 감소하지 않았지만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BACE1는 대조군에 비해 갈조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염증성 자극 시 유도 되는 iNOS의 발현도 감소하였다. MAP kinase 구성 전달 분자의 단백질 발현 양상은 ERK는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JNK는 불레기말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p38은 바위수염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뛰어난 활성 저해 증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독성물질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에 의해 유도된 신경 세포의 독성을 억제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갈조류를 이용하여 신경세포 보호 작용 및 항치매, 항염증작용을 갖는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 가능성과, 이들 물질들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의 개발에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병원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의 관계

        한은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place bullying in hospital nurs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the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workplace bullying prevention program in hospital nurses. The 122 nurses were collected from three general hospitals in J-si during April 27th to May 31th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by frequency, ratio, average,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nurses experiencing with workplace bullying was 24.6%. The offender was reported as nurses(73.3%), patients or a guardian(63.3%), doctors(33.3%), and aid nurses(3.3%). 2. The score of self-esteem was 3.48 points (range: 1~5) and 4.91 points for social support (range: 1~7). The score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was 3.07 points(range: 1~5) for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2.87 points(range: 1~5) for innovation-oriented culture. The score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Type Inventory(WPBN-TI) was 1.89 points (range: 1~4); 1.97 points for verbal & non-verbal bullying, 2.09 points for work-related bullying, and 1.34 points for external threats. The score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Consequence Inventory (WPBN-CI) was 2.44 points (range: 1~4); 2.50 points for physical and phychological withdrawal, 2.38 points for poor quality of patient care, and 2.34 points for increasing disturst of others. 3. The differences in WPBN-CI by nurse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results, four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gle or married(t=2.540, p=.012), monthly income(t=2.395, p=.018), career within current department(F=6.192, p=.003), recently experience workplace bullying after 6months(t=3.760, p=.000). The differences in physical and phychological withdrawal that the sub-domains of WPBN-CI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nurses were analyzed. As results, four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gle or married(t=2.614, p=.010), monthly income(t=2.088, p=.039), career within current department(F=6.704, p=.002), and recently experience workplace bullying after 6months(t=2.935, p=.004). And, The differences poor quality of patient care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nurses were analyzed. As results, three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nthly income(t=2.541, p=.015), total clinical career(F=4.955, p=.009), recently experience workplace bullying after 6months(t=3.436, p=.001). Lastly, The differences increasing disturst of other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nurses were analyzed. As results, two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nthly income(t=2.084, p=.039) and recently experience workplace bullying after 6months(t=3.657, p=.000). 4.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WPBN-TI, and WPBN-CI. WPBN-CI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r=-.379), social support(r=-.229),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relation-oriented culture(r=-.368)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r=-.326). In contra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PBN-CI and WPBN-TI(r=607). 5. As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WPBN-TI(β=.459) and self-esteem(β=-.313) explained WPBN-CI with 53.3%. Based on the findings that higher scores on WPBN-TI for workplace bullying were likely to increase workplace bullying in hospital nurses. In contrast, nurse’s self-esteem for workplace bullying were likely to decrease workplace bullying in hospital nurses. Therefore, there are a need to develop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decreasing workplace bullying behaviour.

      • 국내 영어 어휘 교수 방법 관련 연구 비평적 분석

        한은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2언어 교육에 있어서 어휘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언어 사용의 기초가 되며 따라서 필수적으로 학습되어야 할 요소이다. 제2언어 어휘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어휘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여러 교수 방법들과 교실 활동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개개의 활동이나 교수자료 등 단편적이고 일회적인 연구에 그쳤으며, 어휘 학습을 바라보는 일관적인 이론적 토대나 체계가 없이 독립적이고 산발적으로 진행되어왔다. 따라서 영어 어휘 교육에 관한 이론들이 갖는 총체적 관점과, 개별 연구에서 증명되는 효과에 관한 유기적 통찰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 어휘 교육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그 이론적 토대에 따라 국내에서 진행된 영어 어휘 교수 방법에 관한 연구 논문들의 연구 방법 및 그 결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이 되는 자료는 RISS에서 제공하는 논문 중, 한국 EFL 상황의 중등학교에서 사용된 영어 어휘 교수방법의 효과에 대한 정량적 결과를 제시하는 논문 100편을 선정하였다. 각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어휘 교수 방법과 그 이론에 따라, 도구적 관점, 인지적 관점, 인지심리학적 관점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 및 개선되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방법론에 있어서는 여러 변인을 혼합하여 제시하거나, 실험집단의 동질성 검증 혹은 통제집단이 없는 경우, 또한 어휘력 측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검사지의 신뢰도가 검증되지 않은 경우 등, 해당 교수 방법의 효과를 인증하기 어려웠다. 또한 짧은 기간 일회적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각 방법이나 활동에 대한 장기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주제 측면에 있어서는 도구적 관점 중 문맥적 방법을 활용하는 연구 및 인지심리학적 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인지적 관점의 의미자질분석 방법, 인지심리학적 관점의 상위인지전략이나 사회적 전략 등의 어휘학습전략에 관한 연구가 미비했으며, 이중부호이론에 관련한 연구는 그 결과들이 상충된다는 점 등을 논의하였다. 국내 연구가 많은 논문들이 제2언어 교육과 인지심리학의 학제간 연구를 시도하였는데, 이는 언어학습이 교수자-학습자 간의 일방적 정보전달이 아니며, 학습자를 인지적 주체로 인식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뿐 아니라 정의적, 사회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어휘 교수법에 대한 연구 및 논의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