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내장치 사용자의 복강세균학적 연구

        한원보,곽현모,Hahn, Won-Bo,Kwak, Hyun-Mo 대한생식의학회 1984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1 No.1

        자궁내장치 사용군에 있어서 비사용군에 대한 골반장기염의 상대위험도는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있으며 정확한 골반장기염의 진단을 위하여는 복강경을 통한 골반장기의 관찰 및 그 원인균을 규명하기 위한 병소인 난관으로부터의 균주 채취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1982년 11월 1일부터 1985년 5월 31일까지 만 6개월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수태조절실 및 서울시내 성가병원에 복강경을 통한 영구불임술을 시술받기 위하여 내원한 여성중 내원 1개월이내에 항생제나 질정의 사용이 전혀 없는 자궁내장치 사용군 30명과 자궁내장치 비사용군 35명을 대상으로 복강경을 통한 골반장기의 관찰 및 난관에서의 가검물 채취와 동시에 자궁경관에서도 세균검사를 병행하여 균주배양을 시행하므로써 골반장기염의 상대위험도를 연구하고 그 관련 균주를 규명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내장치 사용군과 비사용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31.8세, 30.7세이었고 평균 임신의 횟수는 양군이 3.4회이며 경제적 상태도 양군의 모든 예에서 중류이하로 양군의 차이가 없었다. 2. 복강경을 통한 골반장기염의 소견을 보인 예는 자궁내장치 사용군에서 2예로 6.6%였으며 비사용군에서는 골반장기염의 소견을 볼 수 없었으나 이들사이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05) 자궁내장치 사용군의 적혈구 침강속 는 30%에서 16mm/hr 이상으로 증가를 보였으나 백혈구수의 증가는 3.3%에서 있었다. 3. 복강경을 통한 난관에서의 가검물채취로 균주를 배양한 결과 자궁내장치 사용군 30예와 비사용군 35예의 전예에서 배양된 균주는 없었다. 4. 자궁경관의 균주 배양결과는 자궁내장치 사용군과 비사용군에 있어 골반장기염의 원인균이ㅍ될 수 있는 Hemophilus sp. 가 각각 3예, 1예, alpha-Streptococcus 2예, 1예, Corynebacteria 1예, 0예, Bacteroides 는 4예, 1예로 사용군에서 더욱 자주 배양되는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05). There are numerous reports on the relative risk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among the users versus the nonusers of intrauterine device. Reported relative risk varied from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3-9 fold increase in the users. In an attempt to define this relative risk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and related microorganisms ,pelvic organ observation and bacteriological study were done through laparoscopy. Specimens for microbiologic culture were obtained simultaneously from the fallopian tubes via laparoscopy and from the endocervix via regular pelvic examination method. The study population was consisted of 30 I.U.D.users and 35 J.U.D.nonusers who visited the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and the Sung-Ga Hospital for laparoscopic steriliz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distribution, economic status and numbers of parity and abortion between I.U.D. users and I.U.D. nonusers. 2. The pelvic inflammatory findings were noted on laparoscopy in 2 cases of I.U.D. users, with an incidence of 6.6%. And no pelvic inflammatory finding was noted in any of the nonusers,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5). 3. All the bacteriologic culture of the specimens from the fallopian tubes of both groups yielded negative results. 4. The bacteriologic culture of the spec imens f rom the endocervix revealed more frequent isolation of possible pathogen such as Hem ophilus ,alpha-Streptococcus ,Corynebacteria, Bacteroides in the I.U.D.users than in the nonusers.But,this difference was also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5).

      • KCI등재

        전 임신 기간 동안 임산부 체중 변화와 쌍태아가 체중 불일치 변화의 양상의 관찰

        백민정 ( Min Jung Baek ),이경주 ( Kyung Ju Lee ),강석호 ( Suk Ho Kang ),이경진 ( Kyoung Jin Lee ),박상원 ( Sang Won Park ),한원보 ( Won Bo Hahn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2

        목적 : 체중 불일치가 있는 쌍태임신에서 연속적인 임신 기간 동안 산모의 체중변화와 쌍태간 체중 불일치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자 한다. 방법 : 148명의 쌍태임신를 대상으로 2002년 2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의무 기록에 의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이들은 분만 시 25% 미만의 쌍태간 체중 불일치를 가진 A군과 25% 이상의 쌍태간 체중 불일치를 가진 B군으로 나누어 세 임신 기간(1기 : 임신 18주까지; 2기 : 임신 18주에서 28주까지; 3기 : 28주에서 분만까지)에 산모의 체중과 초음파로 태아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결과 : 109쌍의 A군과 39쌍의 B군 산모의 분만시 연령, 임신력, 분만력, 신장, 분만 재태 연령, 임신 전 체중, 임신전 체질량 지수(BMI) , 쌍태임신의 방법은 두 군에서 평균값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평균 산모의 BMI 증가는 임신 시기별 A군과 B군이 각각 0.53±0.10% and 2.01±1.28%, 2.97±0.11% and 4.84±1.23%, and 3.29±0.16% and 2.15±0.63% 이었다. 쌍태간 체중 불일치의 경우 각각 임신 시기별 평균값이 8.29±0.67% and 11.26±1.25%, 7.79±0.05% and 13.03±1.36%, 9.07±0.55% and 32.7±91.13%이었다. 결론 : 쌍태아의 체중 불일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려하더라도 산모의 임신기간별 적절한 체중 증가는 임신 1기의 쌍태 체중 불일치 변화량을 임신이 진행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함을 보여준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patterns of changes in maternal weight and fetal weight discordance in twin pregnancies during consecutive gestational period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done for a total of 148 twin pregnancies taken care of throughout pregnancies between February 2002 and May 2004.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consisting of 109 cases without postnatal complications and with no more than 25% twin weight discordance at birth, and group B consisting of 39 cases with more than 25% twin weight discordance. Both ultrasound examination and maternal weight measurement were conducted in the three gestational intervals; between prepregnant times to gestational age 18 weeks, between gestational ages 18 to 28 weeks, and from gestational age 28 weeks to delivery. Results: Except for maternal weights, none of the pregnancy factors such as maternal age, parity, gravity, height, prepregnant weight, duration of pregnancy, natural or artificial pregnant status, gender and chorionicity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mea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maternal BMI of the group A vs. the group B at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period were 0.53±0.10% and 2.01±1.28%, 2.97±0.11% and 4.84±1.23%, and 3.29±0.16% and 2.15±0.63% respectively. Inter-twin weight discorda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8.29±0.67% vs. 11.26±1.25%, 7.79±0.05% vs. 11.03±1.36%, and 9.07±0.55% vs. 32.79±1.13%, respectively. Conclusions : Although several factors that affect twin weight discordance may be considered, we showed that the pattern of maternal weight gain during the gestational period is associated with the estimated values of twin weight discordances in the first gestational period.

      • KCI등재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독소 A형은 미페프리스톤으로 유발된 조기진통 쥐 모델에서 자궁수축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장항용 ( Hang Yong Jang ),이경미 ( Kyung Mi Lee ),박영신 ( Young Sin Park ),문명진 ( Myung Jin Moon ),한원보 ( Won Bo Hahn ),안은희 ( Eun Hee Ah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9

        목적: 우리는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독소 A형(BoNT/A)이 미페프리스톤으로 유발된 조기진통 쥐 모델에 대해 자궁수축억제 효과가 있는지 in vivo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임신 17일, 개복 후 자궁 양측 뿔에 식염수 또는 20 유니트의 BoNT/A를 투여하였다. 임신 18일, 미페프리스톤을 근주하여 자궁의 조기진통을 유발시켰다. 임신 19일, 근전도검사기를 통하여 자궁수축 활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BoNT/A 20 유니트를 투여한 군은 자궁수축 강도가 BoNT/A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45.2% (P<0.05)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자궁수축 기간은 51.6% (P<0.0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자궁수축 빈도에 대한 감소는 5.6% ( P = 0.4)로 유의하게 감소는 없었다. 결론: 미페프리스톤으로 유발된 조기진통 쥐 모델에서 BoNT/A는 자궁의 수축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자궁수축의 감소는 자궁수축 빈도에 대한 억제효과보다는 자궁수축의 기간 및 강도의 억제효과가 유의했다.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in vivo tocolytic effect of Clostridium botulinum toxin A (BoNT/A) on mifepristone-induced preterm labor in rats. Methods: On day 17 of gestation, an incision was made to expose the uterus, and BoNT/A (normal saline or 20 units) was injected into the uterine horns, On day 18, mifepristone was used to induce uterine contractions, Electrical activity of uterine contractions was measured via electromyography on day 19, Results: In rats treated with 20 units of BoNT/A, the amplitude of uterine contractio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45.2 ± 18.4 (P<0.05) from baseline, respectively. The total duration of uterine contractio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51.7 ± 7.9 (P<0.01),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contraction bursts after treatment with 20 units of BoNT/A was decreased by 5.6 ± 16.3 from the baseline (P=0.4). Conclusion: In rats undergoing mifepristone-induced preterm labor, BoNT/A significantly inhibited uterine contractility. The decrease in uterine activity was mainly caused by a decline in the duration and intensity rather than frequency of uterine contractions.

      • KCI등재

        임상 ; 산전에 진단한 태아 난소 낭종의 임상적 경과

        강진희 ( Jin Hee Kang ),박희진 ( Hee Jin Park ),김지연 ( Ji Youn Kim ),조연경 ( Yeon Kyung Cho ),박상원 ( Sang Won Park ),한원보 ( Won Bo Hahn ),권태희 ( Tae Hee Kwon ),이경진 ( Kyoung Jin Lee ),신중식 ( Joong Sik Shin ),김화영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목적: 산전에 진단된 태아 난소 낭종의 초음파 소견과 임상적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10월부터 2007년 9월까지 9년 동안 본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초음파상 난소 낭종을 진단받고,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한 11명의 산모와 이들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 산모의 산전기록과 분만기록, 신생아 기록, 소아과 진료 기록, 수술 기록 및 해부병리 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산모의 평균연령은 30.3세(28~34세), 평균 제태연령 34주 1일(31주 6일~36주 6일)에 태아의 난소 낭종을 진단하였고, 평균 제태연령 39주 4일(37주 5일~41주)에 모두 만삭 분만하였다. 11예 중 7예가 자연분만을 하였고 4예는 산과적 적응증으로 제왕절개 분만을 하였다. 11예의 태아 난소 낭종은 모두 일측성 단순 낭종으로, 크기는 평균 29.7 mm (17~52 mm)였으며, 추적 초음파상에 6예는 낭종의 양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4예에서는 단순 낭종에서 복합 낭종으로 변해 출혈이나 염전의 합병증을 의심되었다. 11예 중 1예는 분만 후 난소 낭종 염전으로 수술하였고, 1예는 산전에, 9예는 출생 후 자연 소멸되었다. 결론: 산전에 진단된 태아의 난소 낭종은 지속적인 산전과 산후의 추적 초음파를 통하여 변화하는 양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 and clinical course of fetal ovarian cyst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11 cases of fetal ovarian cysts, evaluated by prenatal and postnatal ultrasonographic studies was conducted. We analyzed the demographic factors,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the change of ultrasonographic parameters, the mode of delivery, the management of ovarian cysts and pathologic finding. Results: In all cases, fetal ovarian cysts were unilateral simple cysts at the time of diagnosis. The mean sizes of the ovarian cysts were 29.7 mm on prenatal and 19.8 mm on postnatal studies. In four of the 11 cases, the ultrasonographic patterns of cysts changed from simple to complicated cysts on serial monitorng, and one of them required postnatal surgery. Ten of 11 cases were spontaneously resolved during perinatal follow-up ultrasound. Conclusion: We recommend continuous ultrasonographic assessment of antenatally diagnosed ovarian cysts, which is helpful to predict the outcome of cysts and decide on the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