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수축부와 확대부의 중심 유동에서 나타나는 대칭적 난류구조에 관한 연구

        한용운,이장환,Han,Yong-Un,Lee, Jang-Hwan 대한기계학회 199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2 No.2

        In order to look into the comparative flow characteristics between a circular contraction duct and a circular expansion duct the both centerline turbulent structures have been investigated by the hot wire anemometry. Both of the contraction and the expansion have Morel type contours. Means, turbulences, and triple moments have been measured for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budgets along their centerlines. It is resulted that mean velocities of both have much deviated from theoretical values calculated by one-dimensional continuity considerations, and that for the same upstream condition, the expansion maintains the isotropy in general while the contraction maintains a severe anisotropy through the whole duct. The mean transport of the TKE along the expansion is willing to balance mostly with the dissipation in the TKE budgets while that along the contraction is balanced with the production in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equation.

      • SCOPUSKCI등재

        축대칭 회전분사류의 초기 유동특성

        한용운,안영희,김동식,Han, Yong-Un,An, Yeong-Hui,Kim, Dong-Sik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6 No.4

        Flow characteristics of a round jet with swirl number of 0.17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a hot -wire anemometry in the initial region within 10D(exit diameter). Swirl effects were observed by comparing centerline flow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turbulent budgets of a swirl jet and a free jet, respectively. To obtain similarity of the radial profiles mean velocity and higher moments were measured at the vertical pl anes, located at 2.5, 5.0, 7.5D, 10D, respectively. The centerline velocity characteristics were also measured. It is turned out that similarities of mean and Reynolds stress are established. The jet boundary has wider width than that of a free jet and the shear stress also becomes stronger. In addition the centerline decay becomes faster than that of the free jet, indicating that the swirl induces more entrainment in the initial region of the swirl Jet by transferring the axial mean kinetic energy into the swirl energy and, therefore, has wider boundary, compared with that of free jet.

      • KCI등재후보

        남과 북의 언어 통일을 지향하는 사전 편찬 방안

        한용운(Han Yong-un)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0 No.-

        남과 북은 이념과 체제의 차이, 교류 단절 등으로 인해 어휘 면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남과 북의 어휘적인 차이를 해소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남과 북의 겨레가 함께 볼 수 있는 큰 사전(unabridged dictionary)을 편찬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남과 북의 겨레가 함께 볼 수 있는 큰사전을 편찬하기 위해서는 어문규범 단일화 방안, 표제어 배열 방안, 남북에서 다르게 쓰는 어휘의 표제어 선정 및 뜻풀이 방안 등을 논의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앞으로 통일사전을 만들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고, 통일사전이 나오기 전까지 남과 북의 어휘 차이를 해소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남의 국립국어원에서 간행한 『표준국어대사전』(1999)과 북의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에서 간행한 『조선말대사전』(1992)을 참조하면서, 남과 북의 겨레가 함께 볼 수 있는 공동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사전의 거시 구조는 조직화된 표제어의 총체를 말하는데, 이 글에서는 공동사전의 표제어 선정 기준, 표제어 등재 원칙, 표제어 배열 원칙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미시 구조는 표제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명시하는 구조를 말하는데, 이 글에서는 공동 사전의 미시구조를 ‘원어 - 발음 정보 활용 정보 품사(범주) 표시-뜻풀이-용례-관련 어휘(동의어, 유의어, 반의어 등)-어원/최초출현형-삽화’로 설정하여, 개별 항목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have been in strong aspirations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but it would not to be done in a day.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I propose the way to the dictionary compilation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Because I believe that the union dictionary is a requisite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The Union dictionary will be to presented in alphabetical series of the words that have formed from the time of earliest records down to the present day, with all the relevant facts concerning their form, pronunciation, etymologies, parts of speech, etc. We have established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the Union dictionary. The structure of the dictionary is are as follows. headword item (macrostructure) : definition item(microstructure) definition item: the original word - pronunciation information-conjugation information - part of speech (category) information - (included grammatical information)explanation-(included grammatical information) illustrative sentence - idiom/proverb - related word(synonym, similar word, antonym etc)-etymology of a word/first appearance form (process of word change) - illustration.

      • KCI등재

        현대국어 조사의 범주 통용 문제

        한용운(Han, Yong-un) 형태론 2008 형태론 Vol.10 No.2

        현행 국어사전에서는 하나의 형식에 대해 둘 이상의 범주를 부여한 예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국어사전에 수록된 일부 조사는 ‘의존 명사’, ‘접미사’, ‘부사’ 등의 범주와 통용되는 것으로 기술되거나, ‘동사 활용형’, ‘계사 활용형’, ‘조사연속구성’등과도 통용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언어 단위는 정지된 상태로 머물지 않으므로 어떤 형식은 공시적으로 둘 이상의 범주 특징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런데 현행 국어사전에 수록된 조사 가운데 ‘범주 통용’으로 기술된 형식의 대부분은 조사 범주설정 기준이 미비되었거나 그 적용이 잘못되어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하나의 단위에는 하나의 범주만 부여해야 한다는 관점으로, 현행 국어사전에서 조사와의 범주 통용으로 기술된 형식을 유형별로 나누어 그 범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범주 통용으로 기술되었던 형식의 대부분은 하나의 범주로 설정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t a category which is regarded as ‘Categorial Conversion’ in Korean Particles,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one category for one grammatical unit”. In Korean dictionaries, some Particles are classified into two or more categories [i.e.,‘Particle/bound noun’, ‘Particle/suffix’, ‘Particle/ adverb’, ‘Particle/conjugation forms’, ‘Particle/particle sequence’ etc.] But one Particle should be given one category. In this sense I proposed ‘the principle of setting category’. Then I examined the category of several elements that has been classified as ‘Categorial Conversion’ in Korean Particles. As a result, all of them should be classified as one category.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남북 규범어의 통합 방안

        한용운 ( Yong Un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40 No.-

        체제가 다른 상황에서 반세기가 넘는 시간을 교류 없이 지내면서 남북의 우리 겨레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어휘에 적지 않은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어휘적인 차이는 남북의 이념과 체제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므로 단기간에 해소하려 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그 차이를 줄여나가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차이나는 남북 규범어의 통일을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우선 남북 규범어 차이를 ``규범어 설정 지역``, ``언어관 및 언어 정책``, ``표기 규범``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후 이러한 규범어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규범어 비교``, ``규범어 통합``, ``규범어 통일``이라는 세 단계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규범어 비교`` 단계에서는 남북 규범어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서로의 규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아울러 그 차이점을 밝히게 된다. 다음으로 ``규범어 통합`` 단계에서는 ``규범어 비교`` 단계에서 밝혀진 차이점을 줄이기 위해 남북 규범어를 통합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규범어 통일`` 단계에서는 통합된 규범어를 하나의 규범으로 완성하는 단계인데, 규범어의 완전한 통일은 체제가 통일된 뒤에야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단계를 상정한 뒤에 현재는 ``규범어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시기라고 보면서, 그 방안으로 남북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대사전을 편찬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사전편찬과 더불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남북 겨레의 활발한 교류``와 ``어문규범과 문법 등을 체계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국가 기구``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고, 또한 체제가 통일되기 이전에 남북 규범을 더 이상 개정하지 않아야 한다는 제안을 하였다. We have been in strong aspirations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but it would not to be done in a day. South and North Korea betray differences in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the rules of standard Korean, the spelling system of foreign words, the Romanization, etc. How to unify these systems will cause a lot of controversy. In order to reach a mutual agreement on these differences, both Koreas are urged to move beyond concepts of the South`s ``standard language`` and the North`s ``cultural language`` and make endeavors to introduce a new concept of ``a unified language`` integrating our national language. In this paper, I proposed step-by-step phase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The first-phase is ``making a comparis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the second-phase is ``integrating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the third phase is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then, I also proposed the practicable measures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those are as follows. <The way for South and North standard language unification> a.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b. The promotion of exchange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c. Set up a national institutions to discuss unifica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and prescriptive grammar of South and North Korean d. The current orthography system must not revised before a unitary state as possible. I believe that the union dictionary is a requisite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And what is more important Union dictionary will serve as brid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 KCI등재

        현대 국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특징 -『큰사전』을 중심으로-

        한용운(Han Yong-un)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5

        이 글에서는 현대 국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특징을 『(조선말) 큰사전』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대 국어사전의 대부분은 직 · 간접적으로 『(조선말) 큰사전』의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말) 큰사전』은 우리말을 집대성한 최초의 사전이며, 그 이후의 대사전들은 이 사전의 바탕 위에서 올림말 수를 늘리고 뜻풀이를 깁고 더해 왔다. 또한 『(조선말) 큰사전』 편찬 과정에서 ‘표기법 제정’, ‘사전 편찬을 위한 문법 및 문체 통일’, ‘표준어 선정’ 등의 작업을 완료하여 일제 강점기의 국어사전을 편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분단 이후의 남북어문 규범 및 문법이 전혀 별개의 것으로 이질화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조선말) 큰사전』편찬 작업을 추진하여 「한글 마춤법통일안」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준비하고 광복 후 어문 생활의 토대를 마련했던 것처럼, 오늘날 우리도 『(조선말) 큰사전』 편찬 의의를 되새기면서 통일시대를 위한 준비를 하나하나 해 둘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reviews the compilational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dictionaries with a focus on how Joseonmal Keun-sajeon influenced modern Korean dictionaries. Korean dictionari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compiled as part of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t that time, there was no corpus, notation, standardized language, grammar, or style which are the basic content of dictionaries. However, dictionaries such as Botonghaggyo Joseoneo Sajeon (1925), Joseoneo-sajeon(1938), Pyojun Joseonmal Sajeon(1947), and Joseonmal Keun-sajeon(1947) overcame these difficulties. After the North-South division, North Korean dictionaries were compiled only by government agencies. In contrast, in South Korea, most dictionaries were published by private publishers. The Joseonmal Keun-sajeon became the basis for dictionary compilation in bo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fter the North-South division. In addition, those who participated in compiling the Joseonmal Keun-saje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notation and language policy after the North- South division, which in turn contributed greatly to preventing inter-Korean language heterogeneity. In 2005, dictionary editors from both Koreas agreed to compile the Gyeoremal Keun Sajeon to overcome language heterogeneity and prepare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lthough Korea is still divided, this dictionary will allow people in each country to access the other country’s vocabula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rammarians created Korean notation and compiled Korean dictionaries with faith in their eventual independence from Japan. Today that same level of faith in unification should drive dictionary compi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