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경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활동

        한시준(Han, See-j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3

        중경시기 임시정부는 연합국과 국제회의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외교활동을 전담한 부서는 외무부였다. 그리고 외무부 산하에 외교에 관한 원칙·정책 등을 연구하기 위해 외교연구위원회를 설립하고, 미국과의 외교를 전담하기 위해 주미외교위원부를 설치하였다. 이외에 프랑스 파리에 고려통신사와 통신원을 두기도 하였다. 임시정부는 중국 · 미국 · 영국 · 프랑스 등을 상대로 교섭을 벌이고 외교관계를 맺고자 하였다. 가장 우호적이고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것은 중국이었다. 중국은 국민당 조직부장으로 하여금 임시정부를 담당하도록 하였고, 전문소위원회를 조직하여 한국문제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임시정부는 이들을 통해 중국의 당 · 정 · 군과 교섭할 수 있었다. 미국 · 영국과의 외교는 일방적이었다. 이들과는 교섭할 통로가 없었다. 임시정부는 미국과의 교섭 및 외교를 위해 주미외교위원부를 설치하고, 이승만에게 전권을 위임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승만은 친분이 있는 미국인들을 내세워 간접적 교섭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영국도 마찬가지로 통로가 없었다. 다만 광복군 대원들이 인도버어마 전선에서 영국군과 함께 항일전을 전개한 군사적 관계가 있었을 뿐이었다. 프랑스와의 관계는 주중프랑스 대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외무부장 조소앙은 프랑스 대사 페슈코프와 자주 만남을 가졌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임시정부가 한국임시정부를 승인하다는 언급이 있었다. 임시정부는 이를 외교관계가 성립된 것으로 대내외에 공포하고, 서영해를 주프랑스대표로 선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프랑스에서 ‘한국임시정부 인사들과 호의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상은 아니다’라고 밝혀, 정식 승인이나 외교관계를 맺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임시정부는 카이로회의와 샌프란시스코회의에 대해 적극적인 외교활동을 벌였고, 카이로회의에서 전후 한국의 독립을 보장받는 성과를 거두었다. 카이로회의가 개최된다는 정보를 입수한 임시정부는 주석과 외무부장 등 5명이 장개석을 찾아가 전후 한국의 독립을 지지 관철시켜줄 것을 요청하였다. 장개석은 미국과 영국이 국제공동관리를 주장하고 있어 어려운 일이지만, 한국의 독립을 위해 힘써 싸우겠다고 약속했다. 장개석은 카이로에서 루스벨트를 만나 전후 한국의 자유 독립을 제안하였고, 그의 동의를 받았다. 이러한 내용은 초안에 포함되었다. 초안을 가지고 미 · 영 · 중 3국의 실무자들이 협의하는 과정에서 영국측이 한국의 독립을 반대하고, 심지어는 선언문에 포함시키지 않으려고 하였다. 그렇지만 중국측 실무자인 왕총혜가 이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였고, 미국측의 후원을 받았다. 이로써 전후 ‘한국을 자유 독립국으로 한다’는 내용이 카이로선언에 포함될 수 있었다. 이는 임시정부의 외교활동이 거둔 가장 커다란 성과였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광주(廣州)에 머문 자료와 기록

        한시준 ( Han See-jun ) 단국사학회 2017 史學志 Vol.55 No.-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37년 7월 20일부터 10월 18일까지 3개월 동안 광주에 머물렀다. 임시정부가 광주에 머문 자료와 기록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임시정부에서 생산한 자료이고, 다른 하나는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인물들이 남긴 회고록이다. 임시정부에서 생산한 자료는 『大韓民國臨時政府公報』와 제31회 임시의정원 회의록 이 있고, 金九·鄭靖和·崔善嬅·池復榮·金信등이 남긴 회고록이 있다. 임시정부는 1938년 7월 17일 湖南省長沙를 떠나 7월 20일 廣州에 도착하였다. 이동에 큰 도움을 준 것은 호남성 主席張治中이었다. 장치중이 기차한 칸을 마련해주었고, 廣東省주석 吳鐵城에게 소개장도 써 주었다. 임시정부는 오철성의 도움으로 광주시내 東山柏園에 사무소를 설치하였고, 가족들은 亞細亞旅館에 머물렀다. 광주로 이동한 인원은 1백여명이었다. 광주시가 일본군의 공습을 받게 되면서, 임시정부는 9월 17일 佛山으로 옮겼다. 불산으로 옮겨간 인원은 임시정부 요인들과 한국국민당 소속 인사들이었고, 한국독립당과 조선혁명당 소속 인사들은 광주시내에 남아 있었다. 불산에 임시정부 사무소를 마련하고, 국무위원들이 머물며 사무를 보았다. 일본군이 불산을 공격해 왔다. 임시정부는 다시 피난을 떠나야 했다. 1938년 10월 18일 불산과 광주시내에 있던 임시정부 요인들과 가족들은 기차를 타고 三水로 집결하였다. 여기서 木船을 타고 廣西省柳州를 향해 떠났다. 임시정부가 광주에 머문 것은 3개월이었다. 최근 광주총영사관에서 임시정부가 청사로 사용하였던 동산백원을 찾아냈다. 동산백원은 임시정부와 광주의 관계를 상징할 수 있는 건물이다. 이를 보존 복원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tayed in Guangzhou 3 months from July 20, 1937 till October 18 of the same year. There are two kinds of evidences and record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staying in Guangzhou. The first kinds are materials produc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second are memoirs written by personnel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first are the Official Bulleti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大韓民國臨時政府公報』) and the Minutes of the 31st Provisional Assembly’s(「제31회 임시의정원 회의록」), and the second includes memoirs of Kim Gu(金九), of Jeong Cheonghwa(鄭靖 和), of Choi Seonhwa(崔善嬅), of Ji Bokyeong(池復榮), of Kim Shin (金信), and so on. The Provisional Government left Changsa of Hunan province on July 17, 1938, and arrived at Guangzhou on the 20th of July. Zhang Zhizhong(張治中), the Governor of Hunan Province, provided a big help for the migration. Zhang Zhizhong arranged a car of train, and wrote a letter of introduction to Wu Tiecheng(吳鐵城), the Governor of Guangdong Province. The Provisional Government, with Wu Tiecheng’s aids, got an office at Dongshanbaiyuan(東山柏園) in the downtown Guangzhou, and family member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s personnels stayed in Asia Inn. A hundred some joined this migration. As Guangzhou came under Japanese forces’ air strike, the Provisional Government moved to Foshan(佛山) on September 17. Members who moved to Foshan were personnel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of Korean National Party, but personnels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of Joseon Revolutionary Party were still in the downtown Guangzhou. The Provisional Govenment arranged an office in Foshan, and the cabinet members stayed there for their office works. Japanese army invaded Foshan; so the Provisional Government had to flee again. On October 18, 1938, personnel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ir family members who were staying in Foshan and Guangzhou took trains and gathered in Sanshui(三水). There they took a wooden boat and left for Liuzhou(柳州) of Guangxi Region. The term the Provisional Government stayed in Guangzhou for was 3 months. Recently, the Korean Consulate General in Guangzhou found Dongshanbaiyuan(東山柏園) which the Provisional Government used for its office building. Dongshanbaiyuan is a building that can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Guangzhou.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restore the 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
      • 정정화의 생애와 독립운동

        한시준 ( See Jun Han ) 단국사학회 2013 史學志 Vol.47 No.-

        정정화는 독립운동에 참여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한 대표적 사례의 하나이다. 그녀는 권문세가에서 태어나 자랐고, 또 권문세가로 시집을 갔다. 더욱이 그의 친정이나 시댁은 모두 일제로부터 작위를 받았던 집안이다. 대한제국 시기에 고관을 지냈거나 일제로부터 작위를 받았던 인물과 그 집안이 독립운동에 참여한 경우가 많지 않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정정화가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된 것은 시아버지 김가진과 남편 김의한의 상해 망명이 계기가 되었다. 1919년 10월 김가진과 김의한이 상해로 망명하였다. 이것이 그의 인생행로를 뒤바꾸어 놓았다. 그는 고민 끝에 자신도 상해로 가겠다는 것을 결심하고, 자신의 결정으로 상해 망명을 결행하였다. 정정화는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특파원``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상해에 수립된 임시정부는 국내와의 연계를 위해 연통제ㆍ교통국 등을 설치하고, 특수한 임무를 부여한 특파원들을 국내로 파견하고 있었다. 특파원은 요즈음의 정보요원과 같은 것으로, 극비리에 상해와 국내를 오가며 주요인사의 탈출ㆍ선전ㆍ시위운동ㆍ비밀결사 조직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녀는 자신이 국내에 가서 독립운동 자금을 구해오겠다고 제의하였고, 임시정부로부터 그 임무를 부여 받았다. 그리고 1920년부터 모두 6차례에 걸쳐 상해와 국내를 오가며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해오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아직까지 여성이 특파원으로 활동한 예는 밝혀지지 않았다. 정정화가 ``유일한`` 여성 특파원이 아닌가 생각된다. 정정화는 임시정부를 지탱해준 보이지 않는 버팀목이었다. 임시정부는 수립 이후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처했지만, 이를 극복하였다. 그리고 27년 가까이 정부의 조직을 유지 운영하면서 활동하였다. 여기에는 임시정부를 지키고 있던 요인들을 뒷바라지 한, 또 임시정부의 안살림을 맡았던 정정화의 역할이 컸다. 드러나거나 보이지는 않지만, 정정화는 임시정부를 지탱하게 한 버팀목이었다. Jeong Jeong-hwa was a symbolic woman who was active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spite of difficult condition. She was born in a powerful family and married a man of a powerful family also. Her native family and the groom`s family were made titles of nobility by Japan. We have to know that there were few fought against Japan among people who were knighted by Japan in Korean Empire. Her father-in-law Kim Ga-jin and husband Kim Ui-han`s exil in Shanghai made her participate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er father-in-law Kim Ga-jin and husband Kim Ui-han fled to Shanghai in October, 1919. This incident changed her life. She also decided by herself to go to Shanghai after agonizing for a while. Jeong Jeong-hwa acted as a secret agent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organized systems connecting China and Korea, so called ``Yeontongjae``, ``gyotongkuk`` and dispatched secret agents into Korea. The secret agent was like an intelligence agent in nowadays. They executed tasks such as escape, propaganda, demonstrations, making secret organizations in secret. Jeong Jeong-hwa suggested fund raising to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n was allowed it. Jeong Jeong-hwa accomplished the mission coming and going between Shanghai and Korea six times from 1920. Until now, We don`t know woman agent`s activity like Jeong. Therefore we could think Jeong Jeong-hwa as a sole woman secret agent. Jeong Jeong-hwa was an invisible but important supporter for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lthough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met several difficulties from establishment, it overcame all difficulties by many people`s help almost through 27 years. In this course, Jeong Jeong-hwa`s role was not tiny. Jeong Jeong-hwa was a householder keeping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men.

      •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삼균주의

        한시준 ( See Jun Han ) 단국사학회 2014 史學志 Vol.49 No.-

        삼균주의는 독립운동 과정에서 생성된 정치이념이었고, 1926년경 조소앙에 의해 창안되었다. 삼균주의의 기본이념은 ‘균등’이며, 최고목표는 균등생활을 실현하는 데 있었다. 그 방안으로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통해 개인과 개인의 균등생활을 실현하고, 이를 토대로 민족과 민족·국가와 국가의 균등생활을 이루며, 나아가 세계일가를 추구한다는 이론체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보통선거제와 기본권리 보장, 토지와 대생산기관의 국유, 국비의무교육제도 등을 규정해 놓았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이러한 삼균주의를 정치이념으로 수용하였다. 1930년 1월 임시정부 인사들이 한국독립당을 창당하면서, 삼균주의에 근거한 黨義와 黨綱을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한국독립당은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에 기초한 신민주국을 건설한다’고 하여, 삼균주의를 기초로 한 독립 후신국가 건설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독립당에 이어 임시정부도 삼균주의를 기초로 하여 독립 후 신국가 건설 계획을 마련하였다. 임시정부에서 이러한 계획을 처음으로 천명한 것은 1931년 4월에 발표한 ‘대한민국임시정부선언’을 통해서였다. 이를 통해 임시정부는 삼균주의에 기초한 ‘건국원칙’을 천명하였다. 그리고 1941년 11월 28일에도 국무위원회 명의로 독립 후 신국가 건설 계획인 ‘대한민국건국강령’을 제정하여 발표하였다. 건국강령을 발표하면서 1931년 4월에 발표한 건국원칙을 ‘삼균제도의 제1차 선언’이라고 하였으니, 건국강령은 ‘삼균제도의 제2차 선언’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겠다. 임시정부가 독립 후 건설하고자 하였던 신국가는 ‘신민주국’이었다. 신민주국은 구미 각국이 건설하고 경험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즉 舊민주주의의 결점을 補救한 것으로, 민족최대다수의 행복을 실현할 수 있는 국가였다. 민족최대다수의 행복을 실현하는 정치이념이 바로 삼균주의였다. 결국 임시정부에서 독립 후 건설하고자 하였던 신민주국은 삼균주의 국가였다고 하겠다. The Three Equalitarianism(Samgyunjueui) was a political ideology advocated on the way of independence movement by Cho So-ang in about 1926. The basic ideology of it was “equality” and its prime goal was to realize equal life of everyone. To the goal, it has a logical frame that individual equality based on Politics, Economy, and Education become a base of international equality and it would make world a family. And as methods to realize equality, it regulated a popular election, guarantee of a basic human right, nationalization of real estates and mammoth production lines, and compulsory education.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received the Three Equalitarianism as the political ideology. While some members in Government formed Korea Independence Party in January, 1930, they made a party policy and manifesto based on Three Equalitarianism. And Korea Independence Party pronounced a orientation of new state to build based on Three Equalitarianism. “We will build a new democratic state based on equality of Politics, Economy, and Education” said they. Also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Korea Independence Party prepared for the schedule to build a new state after liberation based on Three Equalitarianism in Manifesto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pronounced at first in April, 1931. By this manifesto,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clarified the principles of building state based on Three Equalitarianism. And also the committee of state ministers pronounced Korean state-building rules on November 28th, 1941 as second manifesto after the first manifesto in 1931. The new state for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o build after independence was a new democratic state. The new democratic state meant a kind of socio-democratic state lot a few European states built, to realize utilitarianism. the utilitarianism for all nation meant the Three Equalitarianism. Eventually the new democratic stat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o build after independence was a state based on Three Equalitarianism.

      • KCI등재

        신흥무관학교와 한국독립운동

        한시준(Han See-J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0

        신흥무관학교는 1911년 6월 서간도 유하현 삼원포에서 설립되었다. 설립 주최는 신민회 인사들이었다. 이들은 경술국치 직후 회의를 통해 국외에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고 독립군을 양성하기로 하였다. 이에 의해 이회영 6형제를 비롯하여 이동녕·이상룡 등의 인사들이 서간도로 이주하고, 그곳에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한 것이다. 이후 신흥무관학교는 1920년까지 약 3, 5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이러한 신흥무관학교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갖는 의미를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신흥무관학교 설립자들이 보여준 노블리스 오블리쥬의 정신이다. 이회영 6형제를 비롯하여 이동녕·이상룡 등 서간도로 이주한 인사들은 기존의 기득권과 영예를 모두 버렸다. 뿐만 아니라 전재산을 팔아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바쳤다. 이들의 헌신적인 희생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사회지도층이 보여준 노블리스 오블리쥬 정신의 표본이 된다. 둘째, 신흥무관학교는 한국독립운동사에서 '독립전쟁론'이란 독립운동의 전략을 정착시켰다. 신민회 인사들은 무관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다가 일제가 중국·미국·소련 등과 전쟁을 하게 될 때, 이들과 함께 대일전쟁을 전개하여 독립을 쟁취한다는 생각으로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였다. 이것이 한국독립운동의 전략이었다. 셋째,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이 이후 독립운동에서 주요한 지도자로 역할하였다. 신흥무관학교는 10여 년 동안 3,5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이들이 만주와 중국대륙에서, 그리고 1945년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많은 졸업생들이 1920년 청산리대첩에서 활동한 것을 비롯하여, 만주지역에서 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을 조직하여 일본군과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중국관내에서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을 창설하고, 그 핵심간부로 활동한 것도 신흥무관학교 출신들이었다. 넷째, 신흥무관학교는 한국독립운동사에서 독립군을 양성하는 전통을 세웠고, 그것은 해방 때까지 계속되었다. 신흥무관학교는 1920년에 문을 닫았지만, 독립군 간부를 양성하는 사업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육군무관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 간부를 양성한 것으로 비롯하여, 1940년대까지 독립군을 양성하는 사업이 계속 추진된 것이다. Sinheung Military School was established in Samwonpo, Yooha-hyeon, West Jiandao in June, 1911. Its establishment was sponsored by the members of Sinminhoi (a secret society for Korea's independence). They decided to establish the base for independence movement abroad and train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t a meeting right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According to their decision, the figures like Lee, Hoi-young and his 5 brothers, Lee, Dong-nyeong, Lee, Sang-ryong and others emigrated to West Jiandao and established Sinheung Military School there. Since then, Sinheung Military School graduated about 3,500 students till 1920. The meaning of Shinheung Military School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summarized into four items as follow ; The first one is the spirit of noblesse oblige shown by the founders of Shinheung Military School. The figures like Lee, Hoi-young and his 5 brothers, Lee, Dong-nyeong, Lee, Sang-ryong and others who emigrated to West Jiandao gave up all their vested rights and honors. In addition, they sold all of their belongings and donated them to the establishment of Sinheung Military School. Their devotional sacrifice is the model of the spirit of noblesse oblige shown by the people in the leadership class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econdly, Sinheung Military School settled the strategy of independence movement which is called "the theory of independence war"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leading figures of Sinminhoi established Sinheung Military School with the thought that when Japanese imperialism would begin to fight a war with China, America and Russia,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would join the war with them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then win our independence. This was the strategy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irdly, the graduates of Sinheung Military School played a leading part in independence movement afterwards. For about 10 years Sinheung Military School graduated 3,500 students. They played a leading parts in various fields in Manchuria and China till Japanese imperialism's defeat in 1945. Many graduates participated in Cheongsan-ri Military Campaign. Organizing the Joseon Revolutionary Army and the Army for Korean Independence, they carried out an armed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military. Also the people who established Joseoneuiyongdae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and actively worked there as core leading members were the graduates of Sinheung Military School. Fourthly, Sinheung Military School formed tradition to train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its tradition continued till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Although Sinheung Military School closed in 1920, even since then, the work to train the staffs of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continued. As the Korea government-in-exile established the Military Academy to train the staffs of the Army for Korean Independence, the work to train the Army for Korean Independence was continuously underway by 1940s.

      • KCI등재

        중경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위상과 역할

        한시준(Han See-j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3

        임시정부가 중경에서 활동한 기간은 1940년 9월에서 1945년 11월 환국할 때까지였다. 중경시기는 5년이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임시정부 27년 활동기간 중 가장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민족의 대표기구이자 독립운동 중심기구로서 위상을 되찾아 본연의 역할도 수행한 시기였다. 임시정부는 수립 초기에 성황을 이루었다. 하지만 이승만 대통령의 탄핵을 둘러싸고 세력이 분열되면서 침체상태에 빠졌다. 李奉昌 · 尹奉吉의사의 의거를 결행하면서 활기를 되찾았으나, 상해를 떠나 중국대륙 여러 곳으로 옮겨 다녀야 했다. 이 과정에서 임시정부를 폐지하자는 주장이 대두되기도 하였고, 정부의 조직을 유지 운영할 수 없는 정도로 무정부상태에 빠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난간을 극복한 시기는 중경에 도착한 이후였다. 중경에 정착하면서, 임시정부는 정부로서의 위상을 되찾았다. 민족주의 세력을 통일하고 한국독립당을 창당하여 세력기반을 확대하였고, 정부의 조직과 체제를 확대 정비한 것이 그 계기였다. 그리고 단일지도체제를 확립하여, 주석이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정부의 위상이 크게 제고되었다. 중경시기에 임시정부가 거둔 가장 큰 성과는 중국관내 독립운동 세력을 임시정부로 결집시켰다는 점이다. 조선민족혁명당을 비롯한 좌익진영의 독립운동 세력이 모두 임시정부로 참여한 것이다. 좌익진영의 무장세력인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하였고, 정부도 좌우연합정부를 구성하였다. 이로써 임시정부는 민족의 대표기구이면서 독립운동 중심기구라는 위상을 확립하고,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여 연합군과 공동작전을 전개하고, 국내진입작전을 시도한 것도 중경시기에 수행한 대표적 활동이었다. 한민족의 독자적인 힘만으로 일제를 패망시킬 수 없는 것이 객관적 상황이었다. 최선의 전략은 연합군과 함께 대일전쟁을 수행하여, 전후에 연합국의 지위를 획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국군과 인도 버어마전선에서, 그리고 미국의 OSS와 함께 국내진입작전을 추진한 것이 그러한 전략이었다. 중경시기의 임시정부는 그 존재나 역할에 대해 앞으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고, 그 위상을 크게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임시정부는 그 위상이나 역할에 비해 과소평가된 면이 없지 않다. 임시정부가 27년 동안 활동하면서 어려움도 있었고, 본연의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며 활발하게 활동한 적도 있었다. 어려움을 겪었던 시기를 임시정부 전체로 이해하는 경향이 많다. 상해시기와 이동시기에 비해 5년이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중경시기는 임시정부가 민족의 대표기구이자 독립운동 중심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 시기이고, 임시정부 27년사에서 가장 빛나는 시기였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尹奉吉의사의 홍구공원의거에 대한 중국신문의 보도

        한시준(Han See-J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2

        1932년 4월 29일 윤봉길의사가 상해의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결행하였다.의거가 일어나자 중국의『時事新報』 · 『時報』 · 『申報』 · 『上海報』 · 『大晩報』 · 『大公報』 · 『中央日報』 등 여러 신문들이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하였다.중국신문의 보도는6월까지 2개월 동안 계속되었다. 이 논문은 중국의 여러 신문들이 윤봉길의사의 의거를 보도한 내용을 조사·분석한 것이다. 중국신문들의 보도는 매우 상세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일본당국이 철저하게 보도를 통제하였지만, 중국의 각 신문들은 보도통제와 관계없이 의거 당일부터 직접 취재하여 보도하였다. 보도의 내용은 홍구공원 기념식장의 모습과 폭탄투척 당시의 상황, 윤봉길의사의 체포 및 심문,일제 요인들의 사망 및 부상, 이들에 대한 치료 경과, 프랑스 조계에 있는 한인들의 체포 및 수색. 일본당국의 대책, 중국인들의 반향, 각국의 반응 등 다양했다. 이러한 내용들 중에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않은 새로운 사실들이 적지 않다. 일본천황이 白川義則의 죽음을 애도하여, 賜酒를 내리고 男爵작위를 수여하였다는 것이 그 하나다. 그리고 5월 25일 상해파견군 군법회의에서 윤봉길의사에게 사형을 선고한 것은 백천의칙의 죽음에 대한 보복성이었다는 것도 새로운 사실이다. 이 연구를 통해 중국신문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신문의 보도내용 중에는 새롭게 알려지는 내용들이 많다. 윤봉길의사의 의거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국신문의 보도는 매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 A Korean patriot, Yoon Bong Gil carried out a worthy undertaking to throw a bomb in Hongkou Park in Shanghai. As soon as his patriotic deed took place, many Chinese press including “Shishixinbao, 時事新報”, “Shibao, 時報”, “Shenbao, 申報”, “Shanghaibao, 上海報”, “Dawanbao, 大晩報”, “Dagongbao, 大公報”, “Zhongyangribao, 中央日報” extensively reported the event. Chinese press continued to report it for 2 months till June of the year. In the article I examin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reports on the event appeared in many Chinese newspapers. The reports of Chinese press include very detailed and concrete contents about the event. Though the Japanese authorities carried news censorship thoroughly, Chinese newspapers covered it on the spot from the day of the event and reported it. The contents of their reports were various as follows; the scene of the commemorative ceremony in Hongkou Park and the situation at the moment of bombing, Arresting Yoon Bong Gil and examining him, deaths and injuries of Japanese key figures and their treatment progress, searching and arresting Koreans in a French concession, the measures of the Japanese authorities, Chinese response, response of various countries, etc. In these contents of the reports there are considerable fresh facts which were not known up to now. One of them is that the Emperor of Japan awarded General Sirakawa special wine and dubbed him a baron mourning his death. And it is another new fact that the court-martial of the Japanese expeditionary army to Shanghai sentenced Yun Bong Gil to death on the 25th of May in retaliation for the death of General Sirakawa I could confirm the importance of Chinese press in my study one more time. There are many fresh facts in the contents of the reports of Chinese press. They have very important value as data for studying Yun Bong Gil’s patriotic d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