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정치인의 주요 국장(國葬) 사례 분석

        한승대 ( Seungdae H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논문은 북한의 개별 정치인 연구를 심화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국장(國葬) 사례를 발굴하고, 종합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 정권 수립부터 최근까지 장례 관련 자료를 수집ㆍ정리하고, 체계화하였다. 연구 결과 국장 대상자는 김일성과 김정일을 포함하여 총 46명이었고, 남성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들은 큰 틀에서 지도자와의 친밀성, 국가 발전의 기여도, 정치ㆍ사회적 지위, 사망 당시 나이, 개인의 살아온 환경 여부가 망자(亡者)의 위상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자료 접근의 어려움으로 지도자를 제외한 44명이 왜 국장 대상자가 되었는지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다만, 북한 지도자 이외의 인물 연구가 부재하기 때문에 이 연구는 후속 연구를 촉발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cases of state funerals and sum them up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s part of deepening research on individual North Korean politici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sorted out and systematized the materials related to funerals drawn up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o the pres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e state funerals included a total of 46 persons, including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nd most of them were men. It is judged that intimacy with leaders, contributions to national development, political and social rank, age at death,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ndividuals had lived might b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status of the deceased. Due to the difficulty in having access to the materials, it is hard to understand why 44 persons excluding the leaders became the subjects of the state funerals accurately. And yet, since there are few studies of figures other than the leaders of North Korea, this study would be priming water that could trigge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북한 김정일·김정은 위원장의 지도자 참배와 혼종적 마음

        한승대 ( Seungdae H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는 현재의 북한 지도자가 전임 지도자의 시신이 안치된 곳을 참배하는 이유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김정일 위원장과 김정은 위원장의 방문 사례를 취합하여 특징을 살피고, 상호 비교를 통해 지도자가 참배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김정일 위원장은 지난 17년간 금수산기념궁전을 총 29차례 방문하였다. 김정일 위원장의 주된 방문 동기는 일종의 전임 지도자 기일(忌日)을 맞아 추모의 예를 다하는 유교 문화적 마음이 우세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2020년 5월 현재, 햇수로 9년간 총 58차례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았다. 김정은 위원장은 김정일 위원장의 선례를 따르면서도 국가의 기념일이나 주요 행사 일에도 자주 방문하였다. 이는 국가 지도자로서의 의례적 행위를 통해 통치 리더십을 보여주기 위한 행동으로 판단된다. 북한 지도자의 마음이나 의도를 지나치게 단순화하거나 이원론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여러 혼종적 성격을 탐색한다면 보다 확장된 연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reason why the present leader of North Korea worships the place where the previous leaders’ corpses are enshrin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the cases of Chairmen Kim Jong-Il and Kim Jong-Un’s visit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reason why the leader worships there through a comparison of the two. Chairman Kim Jong-Il visited Kumsusan Memorial Palace 29 times for 17 years. His main motivation for the visits was predominantly a kind of Confucian cultural mind in accord with the courtesy of remembrance on the anniversaries of the previous leaders’ deaths. Chairman Kim Jong-Un visited Kumsusan Palace of the Sun 58 times for 9 years as of May 2020. Chairman Kim Jong-Un followed Chairman Kim Jong-Il’s precedent, but he frequently visited there on the national anniversaries or days of major events. It is judged that this is an action to show his ruling leadership through the ritual act as the leader of a country. It would be possible to secure a more extended research sight if we explore various hybrid characters, instead of excessively simplifying or looking at the North Korean leader’s mind or intention from a dualistic perspective.

      • KCI등재

        북한 후계자 등장 관련 한국 언론의 보도 비교 연구 - 1974년, 2009년을 중심으로

        한승대(Han Seungdae),김용현(Kim Yong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3

        북한에 대한 정보가 넘쳐나면서 정보의 사실 여부를 가려내는 일이 중요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한국에서는 북한 지도자에 관한 모든 문제가 주요 관심사항이다. 특히, 우리 언론은 ‘북한 후계 문제’에 신속한 반응을 보여 왔다. 대부분 북한 정보에 대한 접근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언론은 가장 중요한 정보 접근의 창(窓)이다. 본 연구는 국내 언론의 1974년 김정일, 2009년 김정은 보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두 시기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시기 모두 불투명한 취재원, 해외보도의 무비판적인 인용, 언론사간 유사한 보도 등을 통해 오류가 발견되었다. 또 일부 언론은 중대한 오보를 발생시켜 독자에게 혼란을 주기도 했다. 물론, 북한 사회의 폐쇄성으로 인해 정보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다. 하지만 적어도 지나친 가십 기사나 확인할 수 없는 기사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 북한 관련 보도가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국민 정서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항상 인지할 필요가 있다. As information regarding North Korea is overflowing, identifying what is true and what is not is becoming important. In Korea, issues regarding North Korean leaders are main matters of interest above all. In particular, Korean media has shown rapid responses to ‘North Korean successor issues’. Because access to information regarding North Korea is blocked off, the media is a very important window to information acces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domestic media reports on Kim Jung Il in 1974 and Kim Jung Eun in 2009 and compared the two time periods. Conclusively, errors such as ambiguous sources, uncritical citations of overseas reports, and similar reports among the press were discovered in both periods. Also, some press members have made false reports, causing confusion among readers. Of course, due to the obstructive nature of North Korea’s society, it is difficult to judge information regarding it. However, it is at least necessary to be cautious towards excessive gossip or articles which cannot be verified. People must always be aware that reports about North Korea greatly affect North Korean policies, North-South relations, and public sentiment.

      • KCI등재

        정부 지원 대학통일교육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한승대 ( Seungdae Han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본 연구는 정부(통일부) 지원 대학통일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남북한은 평화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춰 통일교육의 중요성도 점차 강조되는 추세다. 하지만 대학사회는 현실의 장벽에 가로막혀 통일문제에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대학사회의 통일교육 저변 확대를 위해 지난 2016년부터 통일교육 선도대학, 옴니버스 특강, 통일·북한 강좌가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업별 선정 대학수를 분석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대학 통일교육이 나아갈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난 3년간 정부의 지원으로 많은 대학이 통일교육을 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대학이 통일교육의 사각지대에 있으며 권역별 편중 현상도 심하다. 전국 4년제 국·공·사립 대학교 이외의 대학은 통일교육의 기회조차 없다. 앞으로 대학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기회의 확대, 통일교육의 학문적 지위 획득, 참여형 통일교육 확충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the government (Ministry of National Unification)-supported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and get ready for tasks in the future. Currentl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open a new era of peace, and going along with this atmosphere, the importance of unification education also gradually tends to be emphasized. However, college communities cannot raise their voices, concerning the issue of unification, obstructed by the barrier of reality. To expand the base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university society, leading universities for unification education have been designated, and omnibus special lectures and lectures on Unification and North Korea have been in progress since 2016. This study would draw implications, analyzing the number of universities designated by each project and suggest directions in which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proce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any universities have provided a unification education by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past three years. But still many universities are in the blind spot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unequal distribution by region is severe. Colleges other than four-year national,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do not even have a chance to provid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the revitalization of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including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he acquisition of the academic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participatory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통일 대비 북한의 인구이동 대응 방안 연구: 주거와 인프라 공급을 중심으로

        이종석 ( Jongsuk Lee ),한승대 ( Seungdae H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통일 대비 북한의 인구이동 발생 요인을 분석해 향후 주거와 인프라 분야의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8년 9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졌다. 앞으로 북한 핵 문제 해결의 진행 상황에 따라 남북관계는 과거와는 다른 차원으로 전개될 것이다. 여전히 한반도 차원에서의 통일은 요원하고 불확실하다. 하지만 그동안의 남북관계사를 고려한다면 통일 상황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향후 통일 환경에서 시급히 대응해야 할 문제로 사람의 이주, 특히 북한 주민의 인구이동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급진적 통일 환경과 점진적 통일환경에서 나타날 북한 주민의 인구이동 발생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을 통한 주거 공급과 인프라 조성 대응 전략을 제안하였다. 특히 점진적 통일 환경 대응 전략에서는 우리의 단계적 통일 방안과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이 연관성을 갖도록 하였다. 우리 정부는 선제 대응의 원칙과 남북한 합의의 정신을 핵심 가치로 삼아 한반도 불안과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epare countermeasures in the fields of housing and infrastructure in the future, analyzing the causes for the occurrence of population movement in North Korea to get ready for reunification. In September 2018, the third Inter-Korean Summit meeting was held between President Moon Jae-in and Chairman Kim Jong-un. In the future, the North Korea-South Korea relation will be developed in a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past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solution of the nuclear issue in North Korea. Reunification is still far-off and uncertain in the dimen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reunification situation is predictable enough, considering the history of North Korea-South Korea relation till now. This study would pay attention to the migration of people, in particular,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North Korean people as a problem that should be urgently responded to in the environment of unification in the future. Concretely,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causing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North Korean people that would occur in the radical reunification environment and the gradual reunification environment. Through this, counter-strategies for providing housing and creating the infrastructure were proposed. Especially, the strategies for the gradual reunification environment were proposed so that our phased unification plan would be correlated to the Moon Jae-in government’s reunification policy toward North Kore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minimize anxie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ocial costs, taking the principle of the preemptive move and the spirit of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s the core values.

      • KCI등재

        ‘고난의 행군기’ 북한 군대의 사회적 역할 연구

        김용현(Kim Yonghyun),한승대(Han Seungda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고난의 행군 시기 조선인민군의 사회적 역할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이것이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로동신문』을 연구의 주요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고난의 행군 이후 선군정치의 등장에서 주목할 점은 ‘혁명의 주력군’의 변화이다. ‘노동계급’에서 ‘인민군대’로의 변화는 사회주의 건설에서 군대가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특히 고난의 행군이라는 극심한 체제위기 속에서 군대는 가장 유일한 통제 가능한 조직이었다. 이 시기 대민지원과 일상의 영역에서 군대 의 역할은 강조되었다. 군대는 가장 모범적인 대상이었으며, 건설과 농업 분야에서 역할이 두드러졌다. 김일성 사망 후 그의 혁명사적지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대상도 군대였다. 이를 통해 북한 군대는 기존의 체제수호를 포함해 경제건설, 정치사상적 모범으로서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 결국, 군대의 지위와 역할이 강조되면서 체제의 경직성과 군사적 사회질서는 더욱 강화되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social roles of the Korean People’s Army by each type during the Arduous March Time and their implications. The Rodong Sinmun was used as the main analysis data of the study. What should be noted in the appearance of the military-first policy after the Arduous March is a change in ‘the Main Force of the Revolution.’ The change from ‘the laboring classes’ to the ‘Korean People's Army’ means that the status and role of the army has increased in building socialism. In particular, in the extreme crisis of the system, the Arduous March, the army was the only controllable organization. During this time, the army’s role was emphasized in the military aid to civil authorities and the domain of everyday life. The army was the most exemplary subject, and its role was noticeable in the construction and agricultural sectors. The army was the subject tha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historic sites of the revolution after Kim Il-sung died. Through this, the North Korean Army came to take on rol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economy and as a model of political ideology, including the protection of the existing system. Consequently, emphasizing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the army has caused issues such as the rigidity of the system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military social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