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외 실험적 온난화 처리에 대한 활엽수 3종 묘목의 광합성 반응

        한새롬 ( Sae Rom Han ),윤태경 ( Tae Kyung Yoon ),한승현 ( Seung Hyun Han ),윤순진 ( Sun Jin Yoon ),김성준 ( Seong Jun Kim ),이종열 ( Jong Yeol Lee ),조민석 ( Min Seok Cho ),황재홍 ( Jae Hong Hwang ),손요환 ( Yow Han So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생산성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온 증가에 대한 수목 광합성 반응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활엽수 3종 묘목에 대하여 실외 실험적 온난화 처리에 의한 광합성 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3년 4월, 묘포장에 굴참나무, 거제수나무, 물푸레나무 종자를 파종하고 온난화 처리구의 대기 온도를 대조구에 비하여 지속적으로 3℃ 높게 유지한 후, 2013년 6월부터 10월까지 매월 묘목의 순광합성율을 측정하였다. 조사기간 평균 순광합성율(μmol CO2 m-1 sec-1)은 굴참나무는 온난화 처리구(11.40±0.58)에서 대조구(8.52±0.56)에 비하여 증가하였고(p<0.05), 거제수나무는 반대로 온난화 처리구(6.20±0.64)에서 대조구(7.74±0.54)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한편 굴참나무는 6.8월, 물푸레나무는 9.10월에 월별 순광합성율이 온난화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한 반면, 거제수나무는 6.7월에 온난화 처리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즉 온난화에 의한 순광합성율의 변화가 수종에 따라 상이하였고, 각 수종 내에서도 계절적 반응에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한 예측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온 증가에 따른 산림생산성 및 광합성량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종에 대하여 종 특이적 및 계절적 반응 특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Understanding photosynthetic response of tree species to temperature increase is needed to predict the change in productivity of forest ecosystems under climate chang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otosynthetic responses of three deciduous seedlings to open-field experimental warming. In Apr. 2013, seeds of Quercus variabilis (Qv), Betula costata (Bc), and Fraxinus rhynchophylla (Fr) were sown in a nursery site and the air temperature of warmed plots (W) has been regulated 3℃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lots (C) constantly. Net photosynthetic rates of seedlings were measured every month, from June through Oct. 2013. Mean net photosynthetic rates (μmol CO2 m-1 sec-1) of Qv were increased in W (11.40±0.58) than C (8.52±0.56) and those of Bc were decreased in W (6.20±0.64) than C (7.74±0.54). Monthly net photosynthesis rates of Qv in June.Aug. and Fr in Sep..Oct. were increased in W than C, however, those of Bc in June.July were decreased by warming. The different responses according to species and seasons in this study agree with the prediction of the previous review stud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lucidate the species and seasonal specific responses of various tree species to determine the photosynthetic responses to warming.

      • KCI등재

        ‘아랍의 봄’10년 후 : 튀니지 민주화의 재조명

        한새롬(Han, Sae-Rom) 한국중동학회 2021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42 No.1

        Tunisia is considered the only country that went through bottom-up mobilizations in 2011 and has then successfully shifted from an authoritarian system to a democrac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country is witnessing an upsurge of protests organized by many Tunisian people who took to the street against the dictator and called for democracy. They are staging protests with the same slogans and demands that were raised during the revolutionary moments. How do we make sense of their frustration and grievance in the context of democratizing Tunisia? This article aims to address this question by examining democracy promoted by the Tunisian authorities and democracy called for by the Tunisian people. It argues that these two do not refer to the same thing. There exist gaps and tensions between the post-2011 democratic system, which follows a liberal model of democracy, and the people’s longing for democracy.

      • KCI등재

        거제수나무, 물푸레나무, 굴참나무 묘목의 실외 인위적 온난화에 대한 수종 특이적 생장 반응

        한새롬 ( Sae Rom Han ),안지애 ( Ji Ae An ),윤태경 ( Tae Kyung Yoon ),윤순진 ( Soon Jin Yun ),황재홍 ( Jae Hong Hwang ),조민석 ( Min Seok Cho ),손요환 ( Yo Whan So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3

        기후변화 대응 산림 관리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온난화에 따른 수목의 반응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활엽수종인 거제수나무 (Betula costata),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묘목의 실외 인위적 온난화에 대한 생장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적외선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기온을 3oC 증가시킬 수 있는 실외 인위적 온난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엽수 3개 수종을 파종한 후, 온도 증가에 대한 발아 당년 묘목의 생장, 생물량 분배 및 순광합성률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거제수나무, 물푸레나무, 굴참나무 묘목의 생장은 실외 인위적 온난화 처리에 대하여 수종과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을 나타냈다. 즉 거제수나무는 온난화 처리에 따라 근원경 대비 묘고 비율, 총 생물량, 지상부 대비 뿌리 중량 비율, 순광합성률 등이 감소한 반면, 굴참나무는 근원경, 묘고, 총 생물량, 순광합성률 등이 증가하였으며, 물푸레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하여 생장 반응이 뚜렷하지 않았다. 시기별 반응으로는, 7월에는 모든 수종에 대하여 온난화 처리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1월에는 굴참나무의 근원경, 묘고, H/D율이 증가한 반면 거제수나무의 H/D율이 감소하였다. 온난화에 대한 수종별 생장 반응의 차이는 순광합성률 및 생물량 분배의 수종별 반응과 유사하게 나타나, 온도 증가에 의한 순광합성률과 생물량 분배의 수종별 차이가 생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여름에 비하여 가을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 생장 반응은 온난화에 의한 식물 계절 특성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활엽수 3개 수종에 대하여 온난화에 의한 수종 특이적 생장 반응을 밝힌 본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산림 관리 정책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valuation of tree responses to temperature elevation is critical for a development of forest management techniques coping with climate change. We conducted a study on the growth responses of Betula costata, Fraxinus rhynchophylla, and Quercus variabilis seedlings to open-field artificial warming. Artificial warming set-up using infra-red heater was built in 2012 and the temperature in warmed plots was regulated to be consistently 3oC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lots. The seeds of three species were sown, and the responses of growth, biomass allocation, and net photosynthetic rate of newly-germinated seedlings on the open-field artificial warming were determined. As a result, the growth responses of the seedlings differed with the species. B. costata showed decreases in the height to diameter ratio (H/D ratio), biomass, root weight to shoot weight ratio, and net photosynthetic rate. However, root collar diameter (RCD), height, biomass, and net photosynthetic rate of Q. variabilis were increased, while the response of F. rhynchophylla was rather obsc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armed and control plots in seedling growth for 3 species in July, whereas, RCD, height, and H/D ratio of Q. variabilis were increased and H/D ratio of B. costata was decreased in November under warming. Species-specific growth responses to warming were similar to the speciesspecific responses of net photosynthetic rate and biomass allocation; therefore, net photosynthetic rate and biomass allocation might attribute to growth responses to warming. Besides, a relatively obvious response in autumn compared to summer might be affected by the phenological change following artificial warming. Species-specific responses of three deciduous species to warming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daptive forest management policies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강원도 고성군 소규모 신규조림/재조림 CDM 시범사업의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연구

        손요환 ( Yow Han Son ),김지연 ( Ji Yeon Kim ),이수경 ( Sue Kyoung Lee ),노남진 ( Nam Jin Noh ),윤태경 ( Tae Kyung Yoon ),한새롬 ( Sae Rom Han ),( Gui Shan Cui ),이우균 ( Woo Kyun Lee ) 한국산림과학회 201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2 No.3

        Afforestation/reforestation (A/R)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is the only forestry-based activities allowed under the Kyoto protoco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ology to estimate greenhouse gas (GHG) removals of a small scale A/R CDM pilot project in Goseong, Gangwon Province,Korea. AR-AMS0001 was applied as a methodology and selected tree species were Pinus koraiensis, Larix kaempferi, and Betula platyphylla for total area of 75.0 ha. To improve the accuracy on the GHG removals estimation, selection of the baseline scenario and carbon pools and stratification of the project site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eveloped methodology, net anthropogenic GHG removals were estimated as actual net GHG removals, subtracted by baseline net greenhouse gas removals and leakage. As a result, anthropogenic GHG removals of the project were 12,415 ton CO2-e and 165.5 ton CO2-e/ha. This project is the first A/R CDM in domestic site and could enhance the technical accuracy of the GHG removals estimation by using countryspecific data reflecting the site condition.

      • KCI등재

        1분과 : 토양 코어 및 미니라이조트론을 이용한 소나무 임분의 세근 바이오매스 연구

        한승현 ( Seung Hyun Han ),윤태경 ( Tae Kyung Yoon ),한새롬 ( Sae Rom Han ),윤순진 ( Soon Jin Yun ),이선정 ( Sun Jeoung Lee ),김성준 ( Seoung Jun Kim ),장한나 ( Han Na Chang ),손요환 ( Yo Whan Son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1

        본 연구는 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토양 코어 샘플링과 미니라이조트론 방법을 이용하여 세근의 분포를 파악하고, 미니라이조트론 자료를 세근 바이오매스로 환산할 수 있는 변환계수와 회귀식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토양 코어 샘플링은 2012년 10월부터 2013년 9월까지 겨울을 제외하고 매월 1회씩 총 9회 실시하여 세근 바이오매스를 측정하였고, 미니라이조트론을 이용하여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매월 1회씩 총 4회 세근 표면적을 측정하였다. 0-30 cm 토양 깊이에서 세근 바이오매스와 표면적은 지표에 가까울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계절별 바이오매스(kg ha-1)는 여름(3,762.4)과 봄(3,398.0)에 가을(2,551.6)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이와 같은 토양 깊이별 분포는 토양의 양분, 용적밀도 그리고 온도 등의 차이 때문으로 사료되며, 계절적 경향은 대기 온도 및 토양 온도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양 깊이별 세근 표면적과 바이오매스 사이의 변환계수를 구하고, 이를 통하여 미니라이조트론 자료를 환산한 세근 바이오매스와 토양 코어 샘플링 자료인 실측값 사이의 선형회귀식(y = 79.7 + 0.93x, R2= 0.81)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변환계수 및 회귀식은 추후 국내 소나무림의 장기적인세근 동태를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ne root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in Pinus densiflora stands using soil core sampling andminirhizotrons, and conversion factors and regression equations were developed for converting minirhizotrondata into fine root biomass. Fine root biomass was measured by soil core sampling from October, 2012 to September, 2013 once a month except for the winter, and surface area of fine roots was estimated byminirhizotrons from May to August, 2013 once a month. Fine root biomass and surface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soil layers than in the lower soil layers. Fine root biomass showed seasonal patterns; the mean fine root biomass (kg ha-1) in summer (3,762.4) and spring (3,398.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autumn (2,551.6). Vertical and seasonal patterns of fine root biomass might be related to the soil bulk density, nutrient content and temperature with soil depth, and seasonal changes of soil and air temperature. Conversion factors (CF) between fine root surface area from minirhizotron data and fine root biomass from soil core sampling were developed for the three soil depths. Then a linear regression equation was developed between the predicted fine root biomass using CF and the measured fine root biomass (y = 79.7 + 0.93x, R2= 0.81). We expect to estimate the long-term dynamics of fine roots using CF and regression equation for P. densifloraforests in Korea.

      • KCI등재

        기후변화 영향 모의를 위한 실외 실험적 온난화 및 강수 조절 시스템 설계 연구

        윤순진 ( Soon Jin Yun ),한새롬 ( Sae Rom Han ),한승현 ( Seung Hyun Han ),이선정 ( Sun Jeoung Lee ),정예지 ( Ye Jee Jung ),김성준 ( Seoung Jun Kim ),손요환 ( Yow Han Son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2

        소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한 50년 후 온도 3℃ 증가와 강수량 30% 변화의 영향을 모의하고자 실외에서 온난화 처리와 강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4월에 묘포장을 조성하고 2년생 소나무 묘목을 식재한 다음 5월부터 적외선등을 이용하여 온난화 처리구(W)의 대기온도를 대조구(C)에 비하여 3.0℃ 높게 설정하여 가열하였으며, 강수 대조구(P0)와 강수 차단 덮개를 이용한 강수 감소(대조구 대비 -30%; P-) 조절, 그리고 펌프와 점적관수를 통한 강수 증가(대조구 대비 +30%; P+) 조절을 실행하였다. 온난화 처리구의 대기 온도는 초기에 대조구에 비하여 평균 2.2℃ 높았으나 이후 점차 목표치에 근접한 3.0℃로유지되었다. 또한 온난화 처리에 따른 평균 토양 온도는 온난화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평균 3.1℃ 높게 나타났다. 강수 증가 및 감소 조절에 따른 평균 토양 수분 함량은 온난화 처리구에서 P0W에 비하여 P+W는 13.9% 증가하고, P-W는 10.0% 감소하였으며, 온난화 대조구 중에서 P+C는 23.7% 증가하고, P-C는 7.6% 감소하였다. 환경요인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실외 실험적 온난화와 강수 조절 시스템이 적정하게 설계되고 가동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open-field experimental warming treatment and precipitation manipulation system to simulate climate change impact for Pinus densiflora seedlings based on a climate change scenario in Korea. Two-year-old seedlings were planted in a nursery in April, 2013. The air temperature of warmed plots (W) was set to increase by 3.0℃ compared to control plots (C) using infrared lamps from May, 2013. The three precipitation manipulation consisted of precipitation decrease using transparent panel (-30%; P-), precipitation increase using pump and drip-irrigation (+30%; P+) and precipitation control (0%; P0). Initially, the air temperature was 2.2℃ higher in warmed plots than in control plots and later air temperature was maintained close to the target temperature of 3.0℃. The average soil temperature was 3.1℃ higher in warmed plots than in control plots. Also the average soil moisture content after the precipitation manipulation increased by 13.9% in P+W and decreased by 10.0% in P-W compared to P0W, and increased by 23.7% in P+C and decreased by 7.6% in P-C compared to P0C.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n-field experimental warming and precipitation manipulation system was properly designed and operating.

      • 위도와 고도에 따른 낙엽낙지 유입량 및 낙엽 분해율의 변화 연구

        이종열 ( Jong Yeol Lee ),윤태경 ( Tae Kyung Yoon ),한새롬 ( Sae Rom Han ),한승현 ( Seung Hyun Han ),장한나 ( Han Na Chang ),이명종 ( Myong Jong Yi ),박관수 ( Gwan Soo Park ),김춘식 ( Choon Sig Kim ),김래현 ( Rae Hyun Kim ),손영모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위도와 고도에 따른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의 연간 낙엽낙지 유입량과 낙엽 분해율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 지역에 20 m × 20 m 크기의 54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낙엽틀과 낙엽봉지을 이용하여 2011년 5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낙엽낙지 유입량과 낙엽 분해율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위도와 고도에 따른 낙엽낙지 유입량과 낙엽 분해율의 변화는 ANCOVA로 검정하였다.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의 평균 낙엽낙지 유입량은 각각 5.52±2.16, 5.68±1.83Mg ha-1 yr-1이었으며, 평균 낙엽 분해상수(k)는 각각 0.39±0.12, 0.44±0.17로 나타났다. 낙엽 분해율은 소나무림보다 참나무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낙엽낙지 유입량은 위도에 따라 감소하고, 낙엽 분해율은 위도와 고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에서 나타난 위도와 고도에 따른 낙엽낙지 유입량과 낙엽 분해율 감소 경향은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한다. 이 자료는 국가 단위의 산림 내 물질순환을 추정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variation of annual litter production and decay rate of leaf litter with latitude and altitude in pine and oak forests. We established 54 plots (20 m × 20 m) over Korea and estimated the annual litter production and decay rate of leaf litter using littertraps and litterbags from May 2011 to April 2012. The changes of annual litter production and decay rate of leaf litter with latitude and altitude were analyzed using ANCOVA analysis. The mean annual litter production was 5.52±2.16 and 5.68±1.83 Mg ha-1 yr-1 and the mean decay rate of leaf litter (k) was 0.39±0.12 and 0.44±0.17 for the pine and oak forests, respectively. The decay rate of leaf litter was higher in the oak forests than in the pine forests ( P<0.05). The annual litter production decreased with latitude and the decay rate of leaf litter decreased with latitude and altitude ( P<0.01). The decreasing trends in annual litter production and decay rate of leaf litter with latitude and altitude agreed with previous studies. This result could be used in estimating the nutrient cycle of forest ecosystem in national scale.

      • KCI등재

        실외 실험적 온난화 처리가 굴참나무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이선정 ( Sun Jeoung Lee ),한새롬 ( Saerom Han ),윤태경 ( Tae Kyung Yoon ),정혜근 ( Haegeun Chung ),노남진 ( Nam Jin Noh ),조우용 ( Wooyong Jo ),박찬우 ( Chan Woo Park ),고수인 ( Suin Ko ),한승현 ( Seung Hyun Han ),손요환 ( Yowhan 한국산림과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4

        Climate change affects all biological processes in terrestrial ecosystems including photosynthesis plant growth and produ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erimental warming on the growth of quercus variabilis seedlings. One-year-old Q. variabilis seedlings were planted in control and warmed plots in April 2010. The air temperature of warmed plots was increased by 3°C compared to control plots using the infrared lamp from November 2010. Shoot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were measured in March 2011 and June 2012 respectively and aboveground and belowground biomass were also measured in March 2011 and 2012 respectively. Shoot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armed plots than in control plots except for root collar diameter in March 2011 Increment (mm) of shoot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were also higher in warmed plots (529±30 5.6±0.5) than in control plots (464±28 4.5±0.4).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armed and control plots except for root collar diameter. Increment (g/year) of total aboveground and belowground biomass were higher in warmed plots (36.88±6.52 11.91±3.44 24.97±3.73) than in control plots (30.59±5.51 8.73±1.66 21.86±3.88)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eedling growth and biomass of warmed plots might be related to the enhanced net photosynthetic rates in spring and the extended growing season.

      • 브루나이 열대 원시 dipterocarp 혼효림의 탄소 저장량 추정 및 불확도 평가

        이동호 ( Dong Ho Lee ),한새롬 ( Sae Rom Han ),이소혜 ( So Hye Lee ),( Kamariah Abu Salim ),이우균 ( Woo Kyun Lee ),손요환 ( Yow Han So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브루나이 열대 원시 dipterocarp 혼효림에서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고, 추정치의 불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쿠알라벨라롱 지역에 연구 대상림을 설정하고 이 안에 6개의 60 m × 60 m의 조사구를 설치한 다음 임목, 고사목, 낙엽층 및 토양 내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였으며, 탄소 저장고별 불확도는 t-분포를 가정하여 95% 신뢰구간에서 추정하였다. 탄소 저장량(Mg C ha-1; mean±SD)은 임목의 지상부에서 183.2±34.0(비율, 53.7%; 불확도, 19.5%), 지하부에서 33.0±6.1(9.7%; 19.5%), 고사목에서 25.5±30.2(7.5%; 124.1%), 낙엽층에서 2.8±1.2(0.8%; 46.3%), 토양에서 96.4±16.9(28.3%; 18.4%) 등으로 총 340.9±49.2(100%; 15.2%)이었다. 연구 대상림의 총 탄소 저장량 추정치는 유사한 기후대인 말레이시아 사바 지역의 택벌된 diptercarp 혼효림의 2배 정도에 해당되며, 전 세계 산림의 탄소 저장량을 추정한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임목에 저장된 비율은 높고 고사목, 낙엽층, 그리고 토양에 저장된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탄소 저장고별 불확도는 선행 연구에 비하여 높아 조사구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aimed to estimate carbon (C) stocks of tropical intact mixed dipterocarp forests (MDF) in Brunei and to analyze uncertainties of the estimates. We established 6 plots (60 m × 60 m) in Kuala Belalong and estimated C stocks in tree, dead wood, litter, and soil. Uncertainties of the estimates were evaluated at the 95% confidence interval assuming t-distribution. We found that the C stocks (Mg C ha-1; mean±SD) in aboveground tree, belowground tree, dead wood, litter, soil, and total C pool were 183.2±34.0 (proportion, 53.7%; uncertainty, 19.5%), 33.0±6.1 (9.7%; 19.5%), 25.5±30.2 (7.5%; 124.1%), 2.8±1.2 (0.8%; 46.3%), 96.4±16.9 (28.3%; 18.4%), and 340.9±49.2 (100%; 15.2%), respectively. Total C stock in the research area was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elective logged MDF in the same climate zone in Sabah, Malaysi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ree C was higher while that of the dead wood, litter, and soil were lower than the literature values of the world`s forests C stock. Uncertain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therefore, it seemed that larger plots are required to estimate forest C stocks in th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