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Centered on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Collegiality

        한대동(Hahn, Dae-D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3

        이 연구는 대도시지역의 한 공립 초등학교에서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수업 및 교사협의회 개선을 주제로 거의 2년 동안 시범연구학교를 운영, 실천한 과정과 결과를 기록한 현장연구이다. 시범연구학교의 교장과 교사들은 대학의 연구진과 협력하여 그들이 제안한 배움과 돌봄의 학교공동체에 관한 철학, 원리, 실천 가이드를 수용하고 수업과 교사협의회의 개선에 중점을 둔 학교개혁을 시도하였다. 연구 자료는 현장에서 설문지 조사, 인터뷰, 관찰, 및 비디오 녹화 등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대학연구진의 긴밀한 협조와 시범연구학교 교직원의 학교개혁을 위한 실천노력을 통하여 나타난 학교의 변화과정은 대체로 다음의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단계는 시범연구학교의 학교개혁 실천이 시작되고 난 후 약 한 학기 동안의 시기로서 교장 및 교사들과 대학연구진과의 만남과 갈등이 일어난 시기이었고, 두 번째 단계는 그 후 1년 정도의 시기로서 시범연구학교 교직원들의 학교공동체 개혁 아이디어에 대한 이해와 적응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그 이후의 시기로서 수업과 교사협의회의 개선을 통한 학교공동체가 어느 정도 정착되기 시작하였으나 뿌리를 내리기는 아직 불안정한 시기이었다. 이러한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시범연구학교의 운영은 교사들의 수업과 수업협의회의 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고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는 미약하지만 일부 학교공동체 의식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의 기미를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2년에 걸친 학교개혁은 안정된 체제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개혁 리더십, 교사들의 자율적인 참여와 실천, 교사들의 순환근무제 개선과 같은 몇 가지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될 필요가 있었다. 아울러, 이와 같은 학교개혁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적어도 2년 이상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is a case study of action research on an urban public elementary school implemented for about two years. In consultation with a university research team, the pilot school personnel employed the philosophy, principles, and practical guides o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of learning and caring based on reform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meetings.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 interview, observation, and videotaping. The progresses of the action research in the pilot school, observed by the university research team,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initial stage of encounter and conflicts between the university research team and the pilot school personnel; the stage of understanding and adjustment; and the stage of settling-down but still unstable reform. During the pilot school reform there were slow but steady improvements in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collegiality. And the students and parents had a slight degree of positive changes in the limited areas of a sense of community. The pilot school had still many problems on the road to the stable system of building a school community. It was anticipated to take longer time than expected to solve those problems. In sum, I foun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the practices of building a school community of learning and caring through reforming the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 teacher meetings.

      • KCI등재

        국제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초등학교 수학과 수업에 대한 관찰연구

        한대동(Dae-Dong Hahn),Janlce Grow(Janice M. Grow) 한국비교교육학회 1998 比較敎育硏究 Vol.8 No.1

        This IS a replicate study which used the same instrument and classroom observation methods as in previous studies done by Dr. Stevenson's research team. The previous studies compared classroom instructions between the U.S., Japan, Taiwan, and China by making an observation of mathematics lessons in primary schools. They found that American classroom instruction was inferior in many aspects to Asian classrooms. The sample of this study are 40 mathematics lessons out of 20 classrooms (10 first grade and 10 fifth grade)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0 primary schools in Pusan metropolitan area. Two kinds of classroom observation were made: one is a quantitative observation called "time-sampled observation" and the other IS a qualitative observation called "narrative description". The findings reported in here is largely based on the "time-sampled observation" data in which a variety of classroom and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were checked in everyone minut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Korean classroom instruction is similar to those 111 Asian countries but different from American classroom instruction in many aspects such as classroom rganization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modes. Korean classroom instruction is, compared to the U. S., more teacher-centered whole-class instruction in which teacher spends more time in academic activities, wastes less time in non-academic and inappropriate classroom activities, provides students with more knowledges and information by using direct instruction, uses more frequently the verbal mode of question/choral respons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uses more frequently the evaluation and feedback at the end of each lesson. Korean teachers in the primary schools guide students to highly engaged learning by giving them a consistent, systematic, and coherent instruction. In addition, Korean teachers are successful in maintaining classroom order and discipline and students' attention to the teacher and their classroom work by using appropriate methods of supervision and control. Nevertheless, the classroom atmosphere of Korean primary schools are hardly coercive, intense, or oppressive. In conclusion, the mathematics instruction of Korean primary schools are, compared to the one of the U. S., more efficient and coherent, and thus more learning. In addition, we need to adopt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Japanese primary schools which tend to be balanced between the individualistic American instruction and the collective Asian i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수업과 교사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학교혁신 사례연구 - 한국과 일본의 시범학교 비교

        한대동(Hahn Dae-D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1

          이 연구에서는 수업과 교사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학교혁신을 시도한 한국과 일본의 초등 시범학교의 실천과정과 결과를 비교하였다. 일본의 시범학교로서 배움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하마노코 소학교의 학교혁신모델을 벤치마킹한 한국의 B 초등학교는 대학연구진의 협조 하에 2년 동안 시범학교로 지정되어 수업과 교사 협의회의 혁신을 중심으로 한 학교공동체 형성 사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서 두 학교는 모두 처음에는 교사들로부터 반발과 몰이해가 있었으나 2년째 후기에 가서는 어느 정도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한국의 시범학교는 일본의 시범학교에 비해 학교혁신의 변화가 미흡하였다. 그 주요한 이유로는 첫째, 학교혁신에 대한 교장의 전문적 리더십이 부족하였고, 둘째, 수업과 교사협의회의 혁신에 대한 교사들의 내적 동기와 자율적 참여 의욕이 부족하였다. 한국에서 교사의 전문성 및 동료성 향상을 위한 수업협의회와 배움과 돌봄을 지향하는 수업혁신을 통한 학교혁신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장의 전문적 리더십과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및 학교혁신에 대한 자율적 실천의지가 강화되어야 하고 이러한 학교혁신 노력이 장기간 지속되어야 한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through reform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meeting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ublic elementary pilot schools. The Korean pilot school which was implemented for about two years(2005-2006) with a consultation of a university research team, emulated the model of a Japanese pilot school called Hamanoko which had been successfully practicing a community of learning and caring through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meeting since its opening in 1998.<BR>  One of the major changes which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schools was that their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meeting began to change positively and gradually after a considerable time of resistance or misunderstanding from teachers. There were, however,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chools in principal"s profess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autonomous motiva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here the Korean pilot school lagged behind the Japanese counterpart.

      • KCI등재

        중학교 입학 초기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원인 탐색

        한대동(Hahn Dae-Do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심신의 변화가 급격한 사춘기가 시작되고 새로운 친구를 만나 새로운 학교체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학교폭력에 노출될 개연성이 큰 중학교 입학 초기에 놓여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원인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과 경남 지역의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4,526명을 표집한 다음, 자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학교폭력 가해경험 유무와 그 원인에 해당되는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집단과 비관련집단의 비교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이에 대한 측정변인들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하여 이분형로지스틱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측정변인들의 영향은 예상 외로 크지 않았으나 그 중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은 가정배경 요인으로 가정 내의 불화와 갈등, 학교수준의 맥락적 요인으로는 학교의 학교폭력 수준, 학교 및 교사에 대한 만족도, 친구관계 및 또래집단 요인으로는 또래집단의 불량성, 개인수준의 일탈과 비행 정도, 학교적응 요인으로는 학교 규칙 및 규율 준수의 어려움, 등이었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측정변인들의 영향은 성별에 따라 공통된 것도 있지만 차이가 나타난 변인들도 많았다. 논의 및 결론: 측정변인들의 영향력이 남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에게서 더 크게 나온 변인들은 학교의 학교폭력 수준, 학교나 교사에 대한 불만족, 학교폭력의 책임소재에 대한 불만, 또래집단의 나쁜 영향, 흡연과 음주, 등이었고, 반대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은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이 학교나 교사에게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causes of bullying in the early phase of middle school. Method: The sample of 4,526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rawn from 7th graders in Busan and surrounding rural area in Korea.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using a questionnaire containing items on bullying experiences and correlates of bully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stimates the effects of explanatory variables on bullying. Major findings were a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ajor variables which hav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s on bullying were as follows: the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the level of bullying in a school, the dissatisfaction with teachers, the harmful influences of peer group, the deviances and misbehaviors, and the fun of teasing friends. Second, varying differences in the effects were found between sexes. Conclusion: A number of causes of bullying were found out to be significant though many hypothetical measures of correlates have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unexpectedl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programs of bullying in school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친구관계의 양상과 발달에 관한 조사연구

        한대동 ( Hahn Dae Dong ),길임주 ( Gil Im Jo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의 일상적 삶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친구관계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것이 학년 간에 어떤 변화와 발달을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로서 조사대상의 표본은 부산광역시의 신도심에 위치한 한 대규모 초등학교의 4, 5, 6학년 전체 학생으로서 표집인원수는 685명이었다. 친구관계의 양상에 대한 측정은 친구의 범위와 수, 이성친구와 이성교제, 친구의 중요도, 친구선택의 기준, 인기있는 친구의 특성, 친구들 간 서열, 친구에 대한 인식과 같은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문항들에 대한 측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친구의 수를 보면 친한 친구가 없는 경우는 0.7% 정도로 매우 적었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친한 친구가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학년 간 차이는 별로 없었으나 6학년 여학생의 경우에 친한 친구의 수가 약간 적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성친구와 이성교제는 대체로 매우 적고 낮은 수준이지만 5학년 이후에 뚜렷이 더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친구 간의 의리나 우정을 학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의 선택 기준, 인기있는 친구의 특성, 친구들 간의 서열 기준에서 나타난 학년 간차이를 보면 대체로 4학년은 5, 6학년에 비해 좀 더 순수한 면을 더 많이 보였으나 5학년이 되면서 좀 더 세속적이고 계산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6학년에서 그 이하 학년에 비해 뚜렷한 변화를 보인 친구관계의 양상으로는 이성교제와 같은 사춘기의 특징, 용모의 중시, 그리고 여학생들에 있어서 온라인 상의 집단따돌림 등이 현저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요약하면, 초등학교 고학년 간에 친구관계의 양상은 크게 달라지지는않았지만 대체로 5, 6학년이 되면서 친구관계에서 좀 더 세속적이고 계산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 and their development across higher grades(4<sup>th</sup>-6<sup>th</sup> grade) in an large urban elementary school. A questionnaire survey was employed as a device of collecting data from 685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 were measured by such a group of items as the number of close friends including opposite-sex friends, the criteria of choosing friend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tudents, the criteria of hierarchy in students, the perception of one`s frien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who had no close friends were very few(0.7%) and male students had a bit more close friends than female students. Although the percentages of students who had opposite-sex friends and dated with them were very low they grew visible as the grade went up, particularly in the 5<sup>th</sup> grade. There was a common tendency of students in the criteria of choosing friend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tudents, and the criteria of hierarchy in students that the 4<sup>th</sup> grade students, compared with the 5<sup>th</sup> and 6th graders, turned out to be more innocent than the upper graders, while they became more secular and calculative as they went up to the upper grades. Lastly, among the visibl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 for the 6th graders there were the appearance of adolescent traits(e.g. the increase in the concerns with opposite-sex) and their greater concerns with physical appearance in the peer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교선택권의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재구조화 방안에 관한 연구

        주철안(Chul An Joo),한대동(Dae Dong Hahn),성병창(Byung Chang Sung),손흥숙(Heung Suk Son)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02 지방교육경영 Vol.7 No.-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hool restructuring alternatives in order to ensure students and parents the right of school choice. For the purpose it adopted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subject. As a literature review it examined the theoretical ground of the school choice policy,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he school choice policy, and compared school choice policies among the countrie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It also utilized survey research to gain opinion from parents on the school choice and the school restructuring policy. The major finding of the opinion survey are the followings. First, parents respond that present school system does not adequately meet the needs of students' aptitude and interest. Secondly, they respond that when the education authorities provide more right on school choice to the parents, it will influence positively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well as school accountabilities and educational quality. On the contrmy, they respond, it will increase the gaps among schools. If they choose among schools, they consider important factors schools' records of college admission, humanity education as school goal,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distance and access to school etc. Thirdly, they respond positively that high schools be diversified in educational purpose and ideals as well as in educational program. However, they afraid that it is related to the matters such as the choice information among schools, policy consistency, disadvantage of college admission. Due to the societal changes it requires for students and parents to exercise more rights on school choice. Diversified high school system will provide students and parents more school choice rights that affect positively the quality of education. However, It might affect negatively the eq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it needs that the policy ensuring students and parents the rights of school choice he introduced incrementally and controlled in a certain degree to harmonize important educational values.

      • KCI등재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과 열망에 관한 이해

        오경희(Oh, Kyoung Hee),한대동(Hahn, Dae D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과 열망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층적 차이가 나는 두 지역의 학부모들 12명을 선정하여 면담하였다. 면담결과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과 열망의 정도에 있어서 계층과 자녀의 성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우선, 중 상류층 학부모들은 하층 학부모들에 비해 현 학교교육 전반에 대한 강한 불신을 가지고 있었으며, 보다 학교교육과정에 깊이 관여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가르침과 돌봄을 분리하지 않는 교사에 대한 열망은 모두 학부모들의 동일한 바램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젊은 교사들에 대해 호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녀의 학업성취에 대한 열망이 모든 학부모들로 하여금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었다. 특히, 하층이며 자녀의 성적이 하위권인 학부모의 경우, 정보수집가로서 그리고 학교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학교와는 거리두기를 하였으며, 중 상류층이며 자녀의 성적이 상위권인 학부모의 경우, 자녀교육을 위해 교육행정 및 정책에 민첩하게 대응해 나갔다. This study attempts to re-examine parents' consciousness and aspirations on schooling whose children are middle school students. Open-ended interviews were employed as a tool to collect qualitative data from twelve parents whose social classes were divided into middle and lower clas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rents from both social classes had a difference in some degree in their consciousness and desires on schooling. First, the middle class parents showed stronger mistrust than the lower class parents on the overall present schooling and the former showed a higher degree of concerns with participation on schooling. Second, regardless of social class and children's achievement level the parents had a preference for teachers with high level of instruction and caring of students. Especially, the parents showed a preference for young teachers. Finally, the parents were eager to take multiple roles for the achievement of their children, including information collector, school constituents, and evaluator of educational policy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ir emphasis of the roles was a little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class and their children's achievement level. For instance, as information collector and school constituent the parents from lower social class and whose children's achievement level was relatively low showed a soci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ir schools, while the parents from middle class and whose children's achievement level was relatively high showed a sensitive response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with a keen interest in their children's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dvan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