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모혼에서 자카르타까지

        한강희(Kang Hee H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8 No.-

        아시아 에큐메니칼운동사에 있어서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의 등장은 아시아교회와 기독교인들에게 교회의 존재목적과 세상에 대한 교회의 선교적 의미와 사명 그리고 실천적 성격을 규정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본 논문은 21세기 이후 개최된 네 차례의 CCA 총회(토모혼, 치앙마이, 쿠알라룸푸르, 자카르타)의 선교신학적 주제와 이슈를 고찰하고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본 연구는 역사적 흐름의 ‘연속성’에 주목하며 20세기 CCA의 선교신학적 특징을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1) 아시아교회의 일치운동과 실천이 태생부터 아시아교회가 직면한 삶의 현실에 대한 성찰로부터 구현되었고, 2) 아시아의 상황을 신학화하고 고난과 희망의 과제를 다룰 수 있는 아시아적 행동신학이 선교신학의 핵심이었으며, 3) 아시아현장의 신학화와 현실적 프락시스를 위한 CCA의 노력에 있어서 아시아 종교전통과의 대화와 연대가 두드러졌다는 점이다. 이러한 선교신학적 방향성을 토대로 본 연구는 21세기 들어 개최된 네 차례 CCA 총회의 역사적 상황과 배경에 대한 개괄적 설명과 함께, 구체적인 선교신학적 담론을 파악하기 위해 총회 주제강연, D. T. 나일스 기념강연 그리고 CCA 포럼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CCA의 선교신학적 평가와 전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자 한다. 1) CCA의 선교신학적 방향이 “예언자적-선교적 교회론”을 추구하고 있으며, 2) CCA의 선교신학의 기본틀이 세계 에큐메니칼운동의 이론적, 실천적 담론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3) 복음주의 진영과 함께 상호보완적인 신학적, 실천적 활동을 전개할 수 있으며, 4) 다른 종교전통들과의 실천적 연대를 통해 아시아의 평화공동체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에큐메니칼 친교 속에서 아시아의 흩어진 교회와 기독교인들을 하나로 모으고, 분열과 갈등이 만연한 이 세상에 하나님의 정의로운 통치를 구현하려는 CCA의 예언자적 비전을 조명하게 된다.

      • KCI등재

        세계교회협의회의 ‘책임사회’ 개념화에 있어서 평신도의 재발견: 제2차 세계교회협의회 에반스턴 총회(1954년)에서 논의된 평신도 담론의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적 이해

        한강희(Han, Kang-H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7

        본 연구는 제2차 세계교회협의회 에반스턴 총회(1954년) 제6분과토의 주제인 「평신도: 소명 속에 있는 기독교인」에서 논의된 평신도 담론을 책임사회론이라는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적 주제와 연관시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20세기 중반 서구교회는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나치즘과 파시즘의 전체주의적 이데올로기 문제를 목격하면서 어떻게 이러한 파괴적 도전 앞에서 교회가 세상 가운데 하나님 나라를 구현할 것인가라는 책임사회 개념을 발전시켜왔다. 특히, 본 논문은 에반스턴 총회의 평신도 담론 형성에 영향을 미친 제2차 옥스퍼드 삶과 봉사 세계대회(1937년)와 제5차 빌링겐 국제선교협의회 세 계대회(1952년)의 선교신학적 흐름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옥스퍼드 세계대회는 “책임사회”(responsible society)라는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붕괴된 인류 공동체의 기독교적 회복을 위해 중간 공리의 윤리학적 방법론을 개진했다. 또한 빌링겐 세계대회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라는 새로운 선교신학적 패러다임을 배태시킴으로써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에 근거한 교회의 선교적 본질과 위상 그리고 책임사회 구현에 있어서 기독교인들의 사회적 역할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개념은 에반스턴 총회 평신도 담론의 두 기둥을 형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에반스턴 총회의 평신도 담론을 면밀하 게 조명하면서 세상 속에 샬롬 공동체를 구현하고 성육신적 봉사를 통해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변혁적 존재로서 평신도를 재발견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에큐메니칼 운동 속에 나타난 평신도는 단순히 교회 내 성직자 계층의 목회 사역의 대상으로만 남아 있는 수동적 존재나 교회의 이류 시민이 아니라, 세상을 변혁하시고 구원으로 이끄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사역에 동참하는 책임적인 하나님의 백성이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theme of the laity discussed in the 6th section 「The Laity: The Christian in His Vocation」 of the Second WCC Evanston Assembly by relating it to the concept of “responsible society” as an ecumenical –missiological subject. During the mid-20th century, Western churches witnessed the deepest scars left by the two World Wars and totalitarian ideologies of Nazism and Fascism and developed the concept of “responsible society” which sought to realize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in the face of such a destructive challenge. This paper particularly examines missiological discourses of two events - The Oxford Conference of Life and Work (1937) and The Willingen Conference of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1952) that bot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laity” topic of the Evanston. The Oxford Conference set forth an ethical method of “middle axiom” to achieve a Christian restoration of the human community in crisis by coining the idea of “responsible society”. Willingen Conference also began to observe Church’s missionary nature and significance and Christians’ social roles for “responsible society” by germinating a new missiological paradigm, Missio Dei. These two conceptual pillars supported the Evanston’s formative discussion on the laity. Illuminating the Evanston’s report on the laity, this study focuses on rediscovery of the laity as transformative beings who actively respond to God’s calling and who serve this world with incarnational commitment for building shalom communities on earth. The laity in the ecumenical history appeared not merely as subordinate members of the church, as pure ministerial objects of their clergies, but rather as responsible people of God participating in trinitarian God’s missions which guides both of the church and this world in salvation.

      • KCI등재

        야만에서 존중으로: 에딘버러 백주년 선교대회와 문명론적 인식 틀의 전환

        한강희(Han Kang-H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2

        본 논문은 1910년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의 보고서에 나타난 선구 선교사들의 비서구 문명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고, 지난 2010년 에딘버러 백주년 선교대회에 이르러 그러한 문명적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가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후반 서구 선교사들이 담지하고 있던 선교적 문명론에 큰 영향을 미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문명관을 살펴봄과 아울러, 비서구 문명에 대한 개신교 선교와 선교 이론이 제국주의라는 당대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공모적 관계 속에서 구체화되는 과정을 논구하고자 한다. 또한 과거 19세기 개신교 선교가 인종주의, 자문화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에 근거한 문명의 계층적 개념 속에서 자신의 선교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해 왔음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고서 “선교와 정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19세기와 20세기 초 비서구 분명에 대한 선구 선교사들의 계층적 인식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보여주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1) 서구 문명과 비서구 문명의 이원론적 인식 틀, 2) 선교사 권력과 세속 권력(가령, 제국주의 혹은 식민주의 체제)과의 긴밀한 유착관계, 그리고 3) 선교지 문명에 대한 서구 선교사들의 야만적 인식으로 인한 토착민들과의 상호 배움과 존중의 결여. 하지만, 지난 2010년 에딘버러 백주년 선교대회의 제4주제 연구서 “선교와 권력”은 과거 백 년 전 대회에서 견지되었던 선교지 문명에 대한 인식 틀이 오늘날의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매우 급격하게 전환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대회에서 선교지 문명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1) 서구 문명의 우월성과 비서구 문명의 열등성이라는 이원론적 인식 틀의 극복과 해체, 2) 선교지 문화와 전통에 대한 상호 존중과 대화의 필요성, 그리고 3) 선교와 인간 정체성의 본질이 어느 특정한 인간이나 사회의 문명 상태에 의해서가 아닌 그리스도의 진리가 제시하는 다양한 문화적 형태와 가치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non-Western civilization as presented by the reports from the Edinburgh 1910 World Missionary Conference and then to investigate the paradigm shift at the Edinburgh 2010 World Mission Conference. In particular, this paper traces how the theory of missionary civilization that European missionaries of the late 19th century asserted was rooted in the Scottish Enlightenment and also explores that the Protestant mission and its theory on non-Western civilization materialized in the conspiratorial link of the church to British imperialism. Furthermore, it is critically debated that the Protestant mission, in a conception of the hierarchy of civilization, justified its own missionary business that was founded upon racism, ethnocentrism, and European supremacy. Concretely, Report VII of “ Missions and Governments" published for the 1910 Conference proves that the hierarchical perception of Western missionary societies on the non-Western civilization was basically common and unchangeable. The documents were characterized as 1) the dualistic framework of Western and non-Western civilization, 2) the back-scratching alliance of missionary powers and secular powers (e.g. imperialist and colonialist structure), and 3) the unawareness of the mutual learning from and respect for native peoples due to the uncivilized recognition of Western missionaries to mission-field civilization. One hundred years after the old Conference, however, Study Theme IV, “Mission and Power" of the Edinburgh 2010 Mission Conference shows the radically changed viewpoints on today's missionary civilization in the transforming context. The new Conference suggests a new paradigm in regards to mission-field civilization; 1) the overcoming of dualism of superiority of Western civilization and inferiority of the non-Western one, 2) the necessity of reciprocal respect for and dialogue with mission-field culture and tradition, and 3) the viewpoint that the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시대 증언의 탈육화와 성육화 : 공공성 회복을 위한 “연민-연대”의 선교적 교회

        한강희(Kang-Hee Ha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1

        본 논문은 코로나19 이후 시대 한국 교회가 직면한 선교적 도전과 위기를 고찰하고, “선교적 교회론”(missional ecclesiology)에 근거해서 공공성 회복을 위한 대안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대 교회가 직면한 본질적 문제인 기독교 증언의 탈육화와 사사화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 공적 영역에서 게토화된 신앙 공동체의 한계와 복음의 공적 정체성을 논의한다. 이후 공공 신학을 토대로 증언의 사회적 자리를 밝히고, 특별히 “연민-연대”의 선교를 통해 교회가 어떻게 재난 시대 “타자와 함께 하는 존재”로 표현될 수 있을지 살펴본다. 구체적인 대안적 신앙 공동체 건설을 위한 선교신학적 준거 틀로 선교적 교회론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가 지향하는 하나님 나라 운동을 강조하면서 기존 교회 성장 운동의 패러다임에서 파생하는 문제점들을 비판한다. 아울러 목회 현장에 접목시킬 수 있는 변혁적 표징을 살펴보고, 기존 교회의 선교적 구조와 인식 틀을 전환시킬 방향성에 대해서 제시한다. 팬데믹의 위협 가운데 선교적 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향한 성육신적 선교를 구현하고, 생명 살림의 대안 공간으로 위치하여 공적 책무를 상호 보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alternatives for recovering public witness on the basis of “missional ecclesiology” while diagnosing missional challenges and crises Korean churches face in the Post-Covid-19 era. It investigates several causes of excarnation and privatization of Christian witness as an essential matter of faith communities and discusses the limits of their isolated conditions in a public sphere and the rediscovered public identity of the gospel. Dealing with social dimensions of witness from a viewpoint of public theology, it attempts to revisit how churches with public emotion of “compassionsolidarity” can be truly represented as “the churches with others” in this time of coronavirus disaster. Specifically, missional ecclesiology will be employed as a missiological framework of rebuilding alternative faith communities.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the ultimate task of missional churches is founded upon the movement of the Kingdom of God and criticizes fundamental problems of a traditional paradigm of the church growth movement. Furthermore, it provides signposts for transforming missional structures and recognitions of established churches, thereby looking at their possible applications to ministerial situations. In the pandemic threat, missional church can contribute to the embodiment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current setting of life in an incarnational way and to accomplish public responsibility of churches as alternative spaces for sustaining communal life.

      • KCI등재

        내한 선교사들은 정말로 오리엔탈리스트였나?

        한강희(Kang Hee H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6 No.-

        내한 선교사들은 정말로 오리엔탈리스트였는가? 본 논문은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가 제기한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담론에 의해 “오리엔탈리스트”로 고발되어온 초기 내한선교사들의 선교적 삶과 그 양태를 재조명함으로써,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는 성육신적 선교와 동일시의 타자 인식론이 한국 선교현상에서 작동했음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한국에 온 서구 선교사들은 그들의 서구 문화 속에서 배태된 사회 진화론적 문명론, 기독교 우월주의, 자문화중심주의를 토대로 선교적 타자인 한국과 한국인들을 열등하고, 미개하며, 이교적인 존재로 재현했다고 비판받아 왔다. 게다가 내한 선교사들의 이러한 오리엔탈리즘적 인식 배후에는 그들이 한국에서의 통제적인 위치와 모든 형태의 선교적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작업이라고 규정짓곤 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당시 하나의 서구적 시대정신으로서 오리엔탈리즘이 지배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선교사들에게는 서구 중심적 온정주의와 우월주의를 넘어서, 성육신의 방식으로 한국과 한국인들의 삶에 동화하고 상호공생의 관계를 모색하려는 인식론적 패러다임이 존재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인 엘리자베스 쉐핑(Elisabeth J. Shepping, 1880-1934)의 선교적 삶의 자취를 추적해 가면서 그녀가 보여준 한국문화와의 동일화적 삶의 추구, 하나님의 선교에 있어서 현지인들과의 협력적이고 동반자적 관계의 구축, 소외된 자들을 위한 우선적인 관심과 그들을 향한 자기희생과 자기 비움의 모습을 통해서 오리엔탈리즘과는 다른 차원의 인식론적 특징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포스트오리엔탈리즘으로서의 성육신 담론과 연결시킴으로써 선교적 타자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제국주의적 방식이 아닌 온전한 그리스도적 방식에 대해 다시금 성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성육신적 선교와 인식론은 협력과 파트너십의 상호교제가 절실히 요청되는 오늘의 세계기독교 시대, 선교적 타자를 “우리”와 “그들”로 이원화하여 지배와 종속이라는 불평등의 관계로 두지 않고, 오히려 서로를 포용하고 환대하며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동반자로서의 인식을 넓혀가는 데 기여할 것이다. Were Western missionaries to Korea really orientalists? This article aims to shed a critical light on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n missionary practice and perception of the missionaries who have often accused of being “orientalists” and to highlight a new mode of missionary epistemology based on God’s incarnation beyond Orientalism. It has been widely argued that Western missionaries in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represented Korea and Koreans as inferior, savage, and heretical in terms of inherent ideologies of social evolutionary worldview, ethnocentrism, and western Christian superiority. However, this paper attempts to find out a hidden epistemology which enabled a few of the missionaries to contextualize and acculturate themselves into Korean culture with deep sympathy and to maintain a cooperative mission relationship with Koreans in an incarnational way. It particularly tries to trace some vestiges of American missionary Elisabeth J. Shepping (1880-1934) and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incarnational missions shown in her Korean life, such as identification with Korean conditions and life of sufferings, equal and cooperative partnership with Koreans, preferential concerns on the marginalized, and selfemptying (kenosis) attitudes toward them. This paper then relates Shepping’s mission and perception to a discourse on imperial mission and post-orientalism and interrogates what Christ’s way in mission means in perceiving Koreans as missional others. This discussion reconsiders traditional dualistic positions between missionaries and Koreans as well appeared in Us/Them nature of the framework of Orientalism. It seeks a more inclusive understanding of missional others and new relationships which leads to embrace one another in divine hospitality of incarnation.

      • KCI등재

        평화운동으로서의 에큐메니즘

        한강희(Kang Hee H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1 No.-

        본 논문은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가이자 전략가인 신계(新界) 안재웅(1940-)의 아시아 에큐메니즘에 대한 이해와 교회일치의 과제로서 평화공동체 구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안재웅은 오늘의 세계가 미국, 유럽연합(EU) 그리고 중국과 일본을 주축으로 하는 동북아시아라는 삼극(Tripolar)체제로 재편된 채 이들의 지정학적 패권주의 속에 있는 아시아를 정치적 종속, 경제적 불평등, 가난과 질병, 인종적, 종교적 갈등으로 점철된 공동체로 인식한다. 그는 20세기 중반 아시아 국가들의 독립과 민족주의의 발흥 속에서 개발이라는 국가 단위의 개발정책이 독재와 비인간화적 근대화를 창출하고 심화시켰음을 지적한다. 안재웅은 이러한 아시아 위기의 상황 속에서 교회의 책임적이고 공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교회 일치를 통한 새로운 에큐메니즘을 건설하고 아시아에 평화공동체를 구현할 비전과 정책을 제시한다. 안재웅이 지향하는 교회일치의 목적과 당위성은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입각한 하나님 나라 건설과 인간화에 맞춰져 있다. 그는 하나님의 선교 개념 안에 이미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이 조화롭게 자리 잡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는 “신-생태-지구” 에큐메닉스 원리를 제시하며, 아시아 교회의 샬롬 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해 당면한 문제들인 안보문제, 핵위협, 아시아의 갈등상황, 환경위기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평화공동체 구상과 실천에 있어서 아시아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세 가지 차원에서 제시한다. 그것은 서구 중심적 에큐메니칼 경계를 넘어서 아시아인들의 주체적 선취권과 책임을 수반하는 새로운 아시아 에큐메니즘을 구축하고, 기독교라는 협소한 종교적 경계를 넘어서 동양종교 및 동양철학과의 예언자적 대화를 통해 온전한 평화공동체를 구상하며, 종교를 넘어 시민사회 및 세속적 영역과 평화를 위한 연대를 추구하는 일이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an ecumenical activist and strategist Singye(新界) Ahn Jae-Woong"s new understanding of Asian ecumenism and conception of building a peace community as a task of church unity. By Ahn"s analysis, this world has been reorganized into one tripolar system of the United States, European Union and North East Asia dominated by China and Japan and in this geopolitical hegemony Asia has been dotted with a series of political alignment, economic inequality, poverty, diseases, and ethnic-religious conflicts. He points out that since the mid-20th century Asian countries have faced dictatorship and inhumane modernization due to government-led development policies in waves of Asian independence and emerging nationalism. In this crisis, Ahn emphasizes the responsible and public duties of Asian churches and suggests the reconstruction of new ecumenism and visions and policies for building a peace community in Asia through a church unity. Ahn"s purpose of church unity ha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humanization in light of Missio Dei. He underlines the harmony between individual salvation and social salvation in the concept of Missio Dei. Suggesting a principle of "Theo-Eco-Geo" ecumenics, Ahn tries to solve the urgent problems of international insecurity, nuclear threat, diplomatic-militaristic conflicts, and environmental crisis in order to realize a shalom community in Asia. He proposes three dimensions for Asian churches as mission tasks for conceptualization and practice of a peace community; they should cultivate new Asian ecumenism with Asian initiative and responsibility beyond the boundary of Western ecumenism, design a whole peace community through a prophetic dialogue with Asian religions and philosophy, and seek a solidarity for peace with civil societies and secular sectors.

      • KCI등재

        동북아시아 오이코스 구축을 위한 한·일 기독교 에큐메니칼 협력의 역사, 쟁점, 전망

        한강희(Kang Hee H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1 No.-

        본 연구는 현재 한·일 평화체제의 와해에도 불구하고, 동북아시아에서 샬롬(shalom)의 오이코스를 실천해 온 한·일 교회의 노력과 과제를 논의한다. 그리스도 평화를 하나의 중요한 가치로 공유하는 한·일 그리스도인들은 민족주의와 이념적 편협성을 초월하여, 신앙에 기초한 상호 이해를 통해 협력의 전통을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동북아시아의 오이코스”를 구성하기 위한 신학적 개념, 한·일 관계의 역사적 흐름과 쟁점, 그리고 새로운 평화 프레임을 위한 한·일 교회의 과제와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로우크 안드리아노스(Louk A. Andrianos)의 “공동의 오이코스” 개념을 적용한다. 안드리아노스는 현대 지구 공동체에 내포하는 비인간화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신학적 근거로써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오이코스 신학의 속성을 제시한다: 1) “하나님 창조의 연합된 가정으로서 오이코스”(신 중심적, theocentric), 2) “인간 책임성 하의 한 가계로서 오이코스”(인간중심적, anthropocentric), 3) “하나님 창조의 지구적 집으로서 오이코스”(지구 중심적, geocentric). 본 연구는 이러한 오이코스 개념을 토대로 1965년 한·일 기본조약 이후 한일교회의 정의와 화해를 위한 만남과 구체적인 실천 과제들을 살펴본다. 일본기독교단,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기독교대한감리회, 한국기독교장로회 등 한·일 교회는 상호교류를 통해서 한국 민주화 운동, 한반도평화 통일운동, 전후책임문제 등을 다루어 왔다. 이와 같은 역사적 과제와 함께 본 연구는 더욱 건설적인 에큐메니칼 협력과 영역을 고찰한다. 한·일 교회가 “에큐메니칼 평화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기독교계뿐만 아니라, 정부와 시민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확장된 에큐메니즘을 구축할 것을 제시한다. 2015년부터 2030년까지 지구사회와 세계기독교계가 동참하고 있는 “지속가능한개발목표”(SDGs) 체제를 한·일 협력관계 방법과 영역에 적용한다. 특별히 한·일 교회가 공동으로 협력할 수 있는 세 가지 영역을 살펴본다. 첫째, 환경 공동체로서 오이코스, 둘째, 평화(에이레네) 공동체로서 오이코스, 셋째, 경제와 정의 공동체로서 오이코스다. 이러한 과제를 통해 한·일 교회는 진정한 에큐메니칼 파트너십을 추진하면서, 자원공유를 넘어 동북아시아 공동체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신앙과 삶의 나눔에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ecumenical efforts and tasks of Korean-Japanese churches which have tried to build the Oikos of shalom in Northeast Asia in spite of the current disruption of Korea-Japan’s peaceful relations. On the shared value of Christ’s peace, both Christians have showed a possibility to develop a cooperative legacy with mutual understanding beyond their own nationalism and ideological narrowness. This article concerns three aspects: a theological concept of “Northeast Asian Oikos”, histories and issues of Korean-Japanese ecumenical cooperation, and tasks and prospects for their new peaceful frameworks. Louk A. Andrianos’ methodology of “the Common Oikos” will be employed to this research. He suggests three theological dimensions of oikos in order to alleviate inhumanity and conflicts in contemporary global societies: 1) oikos as one united family of God’s creation (theocentric), 2) oikos as one household under human responsibility (anthropocentric), and 3) oikos as one earthly home of all God’s creation (geocentric). On the basis of Andrianos’ concept,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both churches for justice and reconciliation after the 1965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Both churches have dealt with crucial matters of democratization movements, peaceful reunification movements, Japan’s post-war responsibility and so on.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issues, this research also looks at more constructive ecumenical cooperation and areas. As the “ecumenical peace platforms,” the churches should suggest the formation of wider ecumenism in which governments and civil societies as well as Christian bodies can participate in common. In particula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need to be applied to their specific methods and practices of ecumenical cooperation, a blueprint involved by all global societies and world Christians by 2030. The three cooperative spheres by the churches are argued here: 1) oikos as an environmental community, 2) oikos as a peace community, and 3) oikos as economy and justice community. For the challenges, the churches, toward sincere partnership, will contribute to the sharing of faith and life as well as the sharing of resources to resolve common problems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문화 유산 콘텐츠 향상 기제로서 스토리텔링의 도입과 적용 -국내 스토리텔링 공모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강희 ( Kang Hee Han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e tourism storytelling contest hosted by the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became a good opportunity that allow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in tourism to be ruminated. In other words, aiming at the emotional story that is possessed by tourism attraction, it offered a belief with saying of being able to be helpful for inducing tourists. It is judged to have found a breakthrough enough to accompany synergy by publicizing most efficiently to tourists as for the tourism contents field, which is still left as blue ocean sphere in frontier. Given arranging a few problems that were revealed through contest, those are as follows. Those are tasks that will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First of all, it is a point that needs to implement the standard model of further segmenting six items such as ① execution in storytelling, ②establishment in a target, ③ selection in a story theme, ④ strategy for media publicity, ⑤ execution in storytelling, ⑥ analysis and evaluation in the execution program. In case of ①, there is necessity of being formed with the transformational text(theme, contents, phrase), which was added the fact-based fundamental text, entertainment, and enlightenment. This is directly linked to what adds the interest to the tourism attraction while preventing modification in a fact. Items in ①, ③, ⑤, which can be said to be core elements in storytelling, are important even in a case of the execution program. However, given the evaluation program, the weight needs to be added. That is because the storyteller, which is not information available for extracting through the internet search, is the planning and strategic aspect that needs to process by mixing a fact with fiction, namely, is the excavating element. On the other hand, the final examination needs to be verified through presentation, if possible. That is because there is necessity of considering aptitude and ability as a storyteller. The primary data in storyboard is, if possible, better to be closely surveyed and arranged. Only when storyboard needs to be filled enough quantitatively, it can be organized in line with customers situation for 10 min, for 30 min, for 1 hour, and for 2 hours. Of course, how will be spoken, which is the secondary element, is more important. A reason that presentation will need to be accompanied at the contest is here. In other words, only when entertainment·edutainment elements, which satisfy customers needs, are expressed with orality, it becomes the successful storyboard. What dresses a proper design by freely choosing materials, which overflow tremendously in the era of internet & knowledge information, is both alpha and omega in a storyteller as the tourism commentator.

      • KCI등재

        Adenosine Deaminase 수치가 높은 골수종 흉수 1예

        문한주 ( Han Ju Moon ),신동엽 ( Dong-yeop Shin ),김혜련 ( Hye Ryoun Kim ),박연원 ( Yeon Won Park ),우승민 ( Seung Min Woo ),차진훈 ( Jin Hoon Cha ),한강희 ( Kang Hee Han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1 No.3

        다발성 골수종은 주로 골수와 골격계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흉수의 발생은 6% 정도이며 주된 원인은 심부전, 결핵이나 폐렴, 폐색전증, 신부전, 저알부민혈증 등이고, 다발성 골수종이 직접적으로 흉수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1% 내로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흉수 검사에서 ADA 수치가 50 IU/L 이상일 경우 결핵성흉수 진단에 중요한 생체지표가 된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흉수로 인한 호흡곤란을 호소하여 내원한 환자의 흉수 검사에서 림프구성 삼출액으로 ADA 수치가 높을 경우 결핵성 흉수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저자들은 다발성 골수종으로 항암 치료를 받는 47세 여자가 2달 동안 좌측과 우측으로 독립적인 흉수 증가가 있었고 우측 흉수는 림프구성 삼출액으로 ADA 수치가 100 IU/L 이상 상승하여 결핵성 흉수에 대해 감별 검사를 해야 했으나 흉수의 AFB 염색 및 배양과 TB-PCR 결과가 음성으로 확인되었고 세포병리에서 형질세포종이 포함되어 최종적으로 골수종 흉수로 진단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ADA 수치가 상승된 골수종 흉수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Multiple myeloma is a plasma cell neoplasm mainly involving the bone marrow and skeletal system. Myelomatous pleural effusion is rare, accounting for less than 1%. In cases with high adenosine deaminase (ADA) activity, with lymphocytic exudate in the pleural flui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irst. We report herein a rare case of a unilateral pleural effusion in a patient who wa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multiple myeloma, with an ADA level of > 100 IU/L and lymphocytic exudate in the pleural fluid. An acid fast bacillus stai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for tuberculosis were negative. Consequently,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myelomatous pleural effusion with elevated ADA activity. (Korean J Med 2016;91:316-3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