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Design Study of The Energy Selection System for Carbon-ion Therapy

        한가람,안동현,홍봉환,김근범,임희정,장홍석,정인수,강건욱,남상훈,박인규 한국물리학회 2015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6 No.3

        KHIMA, a research project to construct a carbon radio-therapy facility in Korea, has been developinga superconducting cyclotron named KIRAMS-430 as a carbon(12C6+) particle accelerator. Due to the fixed beam energy of the cyclotron, an energy selection system (ESS) is required fortreatment of tumors located at various depths in the human body. In the present paper, two designstages of the ESS are discussed. First, the beam tracks behind the degrader block and the statisticaltwiss parameters for the entire energy range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GEANT4 simulationtoolkit. Analysis of the beam transmission and the contamination ratios were performed. In thesecond stage, the beam optics was designed to support the same phase profile at the end regardlessof the variations in all of input twiss parameters and the emittance.

      • KCI등재

        韓國禪의 보편성과 특수성- 普照 知訥과 眞覺 慧諶을 중심으로 -

        한가람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본고는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법인 간화선(看話禪)이 어떤 경로를 통해 형성되고 누구를 중심으로 대중화 됐으며, 과연 어떻게 오늘날에 정착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과정을 추적하는 논문이다. 사실 오롯한 한국만의 ‘불교’, 한국만의 ‘선법’은 존재할 수 없다. 이는 불교가 지정학적으로 인도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동점(東漸)된 사실만 보더라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 불교의 ‘선법’ 역시도 마찬가지이다. 과거 한국에서 유행했던 선법, 그리고 지금 한국을 대표하는 선법 역시도 불교의 ‘동점’이라는 사실 관계를 무시하고 한국만의 독자적인 선법만이 존재한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현재 한국에 존재하는 선법은 동아시아 내에서 중국, 일본 등과는 다른 특수성을 담지(擔持)하고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에 한국 선법 형성에 기여했던 보조 지눌과 이를 대중화하고 정착화 시킨 공로가 큰 혜심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은 비단 당시 중국 불교에서 유행했던 선법을 수용한 인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현재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법으로 계승·발전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우선 보조 지눌은 규봉 종밀과 대혜 종고의 선법을 수용하여 한국 불교의 선법을 형성한 인물이다. 지눌은 규봉 종밀과 대혜 종고의 사상을 많이 접하고 그들의 저서를 많이 탐독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지눌은 단순히 이들의 사상을 순수하게 수용하는 입장에만 그치지 않고 비판적으로 받아 들여 한국의 선법으로 형성하였다. 보조 지눌이 생존하였던 당시의 상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두 중국 불조의 사상을 받아들이는 한편으로 시대상을 고려하여 불교의 선교일치(禪敎一致), 그리고 돈오점수(頓悟漸修)를 강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반조법’과 ‘간화선’이라는 한국의 선법을 형성하였다. 보조 지눌을 통해 형성된 한국의 선법은 혜심을 통해 더욱 발전하게 된다. 지눌이 한국에 간화선을 받아들인 인물이라고 한다면, 그 체계와 방향성, 나아가 현재 한국에 존재하고 있는 간화선에 가깝게 발전시킨 인물은 혜심으로 볼 수 있다. 慧諶은 간화선의 대중화에 주력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狗子無佛性話’를 통한 중국 불교 선법과의 변별성, 그리고 한국 불교만의 독자성을 담보할 노력도 시도하였다. 더욱이 혜심은 지눌이 최상근기에 간화선을 둔 것과는 달리, 화두를 참구하는 것만으로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변별적 계승으로 현재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법인 ‘간화선’이 자리매김 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현재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법인 ‘간화선’이 어떠한 과정으로 형성되고 정착되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에 한국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간화선’이 단순히 불교의 동점 과정에서 중국적 요소의 이식(移植)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선법은 보조 지눌의 ‘비판적 수용’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를 혜심이 더욱 대중화시키려는 노력이 더해진 산물이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해 볼 때, 한국의 ‘간화선’은 지역성을 뛰어넘는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불교 내에서의 특수성도 함께 지니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track a process of Ganhwaseon, a zen doctrine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being developed including which channels were involved in its formation, who led its popularization, and how it could settle down in today's world. There can be no “Buddhism” and “zen doctrine” unique only to Korea, indeed, which cannot be denied given that Buddhism originated in India geopolitically and later moved eastward. It is the same with the “zen doctrine” of Korean Buddhism. Both the zen doctrines that were in vogue in the nation in the past and the zen doctrine representing Korea today cannot ignore the fact relevance of Buddhism' “eastward move” and argue that there is Korea's own independent zen doctrine. Despite these, however,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current zen doctrine in Korea contains its own unique feature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and Japan in East Asia. The present study thus decided to investigate Bojo Jinul tha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zen doctrine and Hyesim that contributed to its popularization and settlement since they accepted the zen doctrine that was in vogue in Chinese Buddhism those days and further inherited and developed it into the zen doctrine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today. Bojo Jinul accepted the zen doctrines of Gyubong Jongmil and Daehye Jonggo, forming the zen doctrine of Korean Buddhism. He was much exposed to their ideas and indulged in the reading of their works, in which process he accepted their ideas critically instead of accepting them purely and based the formation of Korean zen doctrine on them.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situations where he was in. While accepting the ideas of these two founders of Buddhism in China, he took into consideration the aspects of his times and put an emphasis on Seon-Gyo Agreement and Donojeomsu in Buddhism. Based on these, he created two types of Korean zen doctrine called “Banjobeop” and “Ganhwaseon.” The zen doctrine of Korea formed by Bojo Jinul was further developed by Hyesim. While Jinul introduced Ganhwaseon into Korea, Hyesim developed its system and directionality close to the Ganhwaseon that was found in today's Korea. He focused on the popularization of Ganhwaseon, in which process he made an attempt at distinguishing it from the zen doctrine of Chinese Buddhism through “Gujamubulseonghwa(狗子無佛性話)” and securing Korean Buddhism's own independence. Furthermore, he maintained that one could achieve a realization just through the Chamgu of Hwadu unlike Jinul that put Ganhwaseon in Choisanggeungi(最上根機). Thanks to his distinctive inheritance, “Ganhwaseon”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 zen doctrine representing current Korean Buddhism. This research process helped to figure out the process of “Ganhwaseon,” a zen doctrine representing current Korean Buddhism, being formed and settling down. The findings show that “Ganhwaseon,” which holds a firm place in Korea, does not simply represent the transplant of Chinese elements in the process of Buddhism moving eastward. The zen doctrine representing today's Korean zen doctrines was formed by Bojo Jinul's “critical acceptance” and completed by Hyesim's efforts to promote its popularization furt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anhwaseon” of Korea has not only acquired universality beyond locality, but also has its unique features in the Buddhism of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