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사람 폐 섬유아세포의 전환성장인자-β1에 의한 fibronectin 분비와 α-smooth muscle actin 표현에 있어서 활성산소족의 역할

        하헌주,유미라,어수택,박춘식,이희발,Ha, Hunjoo,Yu, Mi-Ra,Uh, Soo-taek,Park, Choon Sik,Lee, Hi Bahl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5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8 No.3

        연구배경 : 전환성장인자-${\beta}1$(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은 폐 섬유화를 매개하는 주된 인자이지만 $TGF-{\beta}1$에 의한 폐 섬유화의 발생과 진행기전의 이해는 아직 불완전하다. $TGF-{\beta}1$은 다양한 세포에서 활성산소족(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통하여 세포내 신호를 전달하고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의 신생합성을 통하여 상피세포와 폐 섬유아세포를 근 섬유아세포 표현형으로의 변화를 유도하는 주된 인자이다. ROS는 또 다양한 세포에서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 ECM) 축적을 유발하는 것이 알려져 있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폐 섬유아세포인 MRC-5 세포에서 $TGF-{\beta}1$이 ROS를 매개하여 fibronectin 분비와 ${\alpha}-SMA$ 표현의 증가에 관여하는지를 검색하였다. 방 법 : 성장이 동일화된 MRC-5 세포를 $TGF-{\beta}1$ (0.2-10ng/ml)으로 96 시간까지 자극하였고,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인 N-acetylcysteine (NAC)이나 NADPH oxidase 억제제인 diphenyleniodonium (DPI)을 $TGF-{\beta}1$ 투여 1 시간 전부터 전처리하였다. Dichlorofluorescein (DCF)에 민감한 세포내 ROS는 FACS로, 분비된 fibronectin과 세포의 ${\alpha}-SMA$ 표현은 Western blo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TGF-{\beta}1$은 용량의존적으로 fibronectin 분비와 ${\alpha}-SMA$ 표현을 상향조절하였다. NAC와 DPI는 $TGF-{\beta}1$에 의한 fibronectin 분비 증가와 ${\alpha}-SMA$ 상향조절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TGF-{\beta}1$에 의한 세포내 ROS의 증가도 NAC나 DPI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폐 섬유아세포에서 NADPH oxidase 에 의하여 생산된 ROS가 $TGF-{\beta}1$에 의한 fibronectin 분비와 ${\alpha}-SMA$ 표현을 상향조절함으로써 폐 섬유화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Background :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plays a key role in lung fibrosi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TGF-{\beta}1$-induced lung fibrosis are unclear. $TGF-{\beta}1$ is the key inducer of myofibroblast transdifferentiation via de novo synthesis of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 Since $TGF-{\beta}1$ signals throug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OS have been shown to induce accumul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ECM) in various tissues, this study examined if ROS play a role in $TGF-{\beta}1$-induced fibronectin secretion and ${\alpha}-SMA$ expression in human lung fibroblasts, MRC-5 cells. Methods : Growth arrested and synchronized MRC-5 cells were stimulated with $TGF-{\beta}1$ (0.2-10 ng/m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cetylcysteine (NAC) or diphenyleneiodonium (DPI) for up to 96 hours. Dichlorofluorescein (DCF)-sensitive cellular ROS were measured by FACScan and secreted fibronectin and cellular ${\alpha}-SMA$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TGF-{\beta}1$ increased the level of fibronectin secretion and ${\alpha}-SMA$ expression in MRC-5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Both NAC (20 and 30 mM) and DPI (1 and $5{\mu}M$) significantly inhibited $TGF-{\beta}1$-induced fibronectin and ${\alpha}-SMA$ upregulation. The $TGF-{\beta}1$-induced cellular ROS level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by NAC and DPI.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NADPH oxidase-dependent ROS play an important role in $TGF-{\beta}1$-induced fibronectin secretion and ${\alpha}-SMA$ expression in MRC-5 cells, which leads to myofibroblast transdifferentiation and progressive lung fibrosis.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경제적 이혼결정요인

        홍성효(Sunghyo Hong),하헌주(Hunjoo Ha),김종수(Jongsu Kim)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3

        이 연구는 여성가족부의 2009년「다문화가족 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경제적 이혼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결혼유지기간을 종속변수로 하는 연속적 생존모형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결혼이주여성의 이혼가능성은 중학교 학력에 비해 고등학교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종교단체를 통한 결혼에 비해 가족 또는 친척이 소개했거나 본인 스스로 배우자를 만난 경우, 출산자녀의 수가 보다 많은 경우, 한국으로 이주해 오기 전 취업경험이 있는 경우,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출산자녀가 존재하거나 그 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이혼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짐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다문화가정의 자녀에 대한 지원의 근거가 단순히 이들이 사회적 약자에 해당한다는 점이나 저출산 문제의 해결에만 있지 않고 이들의 이혼가능성을 낮춤으로써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에도 존재함을 제시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divor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using 2009 Survey on Multi-culture Families by Ministry of Healthy & Welfare. According to the regression results from the continuous hazard model with the duration of being marri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likelihood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o divorce appears to be relatively lower when they are high school graduates rather than middle school graduates, their spouses were introduced by their family members or relatives rather than by religious institutes, they met their spouses by themselves compared with the case that religious institutes introduced their spouses, the number of children born by themselves is relatively larger, they have any work experience in their home country before coming to Korea for marriage, or their household incomes are relatively larger. When there exists any child or as the number of children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marital dissolution seems to relatively be lower.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arguments of public support fo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e families come not only from the fact that in many cases they belong to second-class citizen or the support would be helpful to figure out low fertility problem but also from the fact that the support could reduce social costs b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marital dissolu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 KCI등재

        흰쥐 콩팥 세관 상피 세포에서 E-cadherin의 발현

        황인아(In-A Hwang),하헌주(Hunjoo Ha),한기환(Ki-Hwan Han)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E-cadherin은 상피세포의 이음복합체에 존재하는 주요접합분자이며, 상피세포의 극성을 유지하고 세포간 상호작용을 담당한다. E-cadherin은 콩팥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세관에 따른 정확한 발현양상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콩팥세관에 따른 E-cadherin의 발현양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Sprague-Dawley계 흰쥐의 콩팥을 분리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과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세관에 따른 E-cadherin의 분포를 관찰하기 위해 세관 상피세포의 지표인 bumetanide-sensitive Na+/K+/2Clcotransporter(BSC1), thiazide-sensitive Na+/Cl- cotranstporter(TSC), calbindinD28k, H+-ATPase과 함께 이중염색을 실시하였다. 흰쥐 콩팥에서 E-cadherin은 상피세포의 기저외측막에서 발현되었다. 집합관과 콩팥유두상피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근위곱슬세관, 헨레고리, 헨레고리의 내림가는부분에서 약하게 발현되었다. 원위곱슬세관과 헨레고리의 굵은오름부분에서 중간 정도의 발현을 보였으며, 핵하부세포질에 퍼져있는 양상으로 발현되었다. 토리상피세포와 근위곧은세관에서 E-cadherin이 발현되지 않았다. E-cadherin의 단백정량결과 겉질과 바깥속질에 비해 속속질에서 E-cadherin이 많이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E-cadherin은 콩팥세관 상피세포에 따라 다른 발현양상을 보이며, 집합관과 콩팥유두상피세포에서 주요 접합분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E-cadherin is a cell adhesion molecule that is expressed abundantly in the kidney. However, the expression pattern in various renal epithelial cells is not well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ellular localization along the nephron segments in the rat kidney. Kidneys from adult Sprague Dawley rats were fixed in 4% paraformaldehyde and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stry. Bumetanide-sensitive Na+/K+/2Cl- cotransporter (BSC1), thiazide-sensitive Na+/Cl- cotransporter (TSC), calbindin D28k, and H+-ATPase were used to identify the thick ascending, distal convoluted stubule, connecting tubule, and collecting duct, respectively. In the rat kidney, Ecadherin was expressed mainly in the basolateral domain of the collecting duct and papillary surface epithelial cells. The expression level of E-cadherin changed gradually in the connecting tubule and became moderate in the distal convoluted tubule, thick ascending limb, and loop of Henle. The S1 and S2 segment of the proximal tubule showed weak immunoreactivity. However, E-cadherin was not expressed in the S3 segment of the proximal tubule in the rat kidne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adherin is a major adhesion molecule in the collecting duct and papillary surface epithelium, and that E-cadherin may play a critical role in maintaining the epithelial polarity of these nephron segm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Mycophenolic Acid가 올레산으로 유도한 흰쥐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안형준(Hyung Joon Ahn),박제현(Jehyun Park),송재숙(Jae Sook Song),주만기(Man Ki Ju),김명수(Myoung Soo Kim),하헌주(Hunjoo Ha),송기호(Ki Ho Song),김유선(Yu Seun Kim) 대한외과학회 2007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2 No.3

        Purpose: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prolife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hronic allograft vasculopathy. Mycophenolic acid (MPA) inhibits various mesenchymal cell prolifer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involved in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P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PA on oleic acid (OA)-induced VSMC proliferation and also the role of ROS in these processes. Methods: Primary cultured rat VSMCs from Sprague-Dawley were stimulated with OA 100μM. MPA 0.1∼10μM and N-acetylcystein (NAC) 5 mM were administered 1 hour before adding the OA.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Methylthiazoletetrazolium (MTT) assay,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expression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dichlorofluorescein (DCF)-sensitive cellular ROS by flow cytometry. Results: OA at 100μM significantly increased MTT level by 1.6-fold as well as PCNA expression at 48 hours in rat VSMCs. OA also induced DCF-sensitive cellular ROS by 1.6-fold at 5 minutes and the increment of cellular ROS remained for up to 1 hour. MPA at above 1μM inhibited OA- induced VSMC proliferation and cellular ROS in a dosedependent manner. NAC 5 mM also inhibited OA-induced rat VSMC activ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PA inhibits OA-induced VSMC proliferation partially through the inhibition of cellular ROS.

      • KCI등재

        Carvedilol이 배양된 사람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과 그에 관여하는 세포내 신호전달계에 미치는 영향

        박제현,하헌주,오재원,김명수,서지연,김혜진,박기일,김유선 대한혈관외과학회 2002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18 No.1

        장기이식 후 만성거부반응이나 혈관손상 후 재협착 등의 복원과정(remodeling) 그리고 동맥경화증의 병태생리는 비슷하여 물리적 손상이나 면역학적 또는 비면역학적 원인에 의해서 혈관내피의 손상이 발생하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과 이동이 항진되며 세포 외 기질이 과다 생산되어 혈관의 내막증식과 섬유화가 초래된다. 이러한 병태 생리과정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으로 여러 약제를 사용하여 다양한 cytokine과 성장인자의 생성과 빈혈을 억제함으로써 혈관 병변과 재협착을 억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으나 임상에서 사용할 정도로 그 효과가 확연하게 밝혀진 제제는 아직까지 없다)1-3). 연구자들은 최근에 항고혈압제로 사용중인 carvedilol 제제가 백서의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관찰하여 보고한 바 있다(4-5). 아드레날린성 β억제제로 개발된 carvedilol은 아드레날린성 α억제제 및 항산화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제제로서(6) 다양한 혈관 병변을 가진 환자나 신장이식환자에서 항고혈압제제의 복용이 필요한 상황을 고려해 보면 carvedilol의 투여는 혈압 강하효과 이외에도 혈관병변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세포의 성장과 증식은 이를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 합성에 의해 이루어지며 정상 생리 상태에서는 유기적으로 잘 조절되는 신호변환기전에 의해서 조절된다. 성장인자는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그 수용체를 활성화시킨 후 신호변환기전을 경유하여 핵내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특히,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인산화 효소로서 extra-cellular-regulatory protein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p38 MAPK의 세 가지 형태가 있으며, 각각 세포외부의 각종 자극 인자들에 의해 연속적으로 활성화되어 전사조절인자를 활성화한다(7-11).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MAPK나 전사조절인자의 활성조절에는 활성산소족(reactive oxygen species)과 이들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내 산화-환원 상태의 변화가 상당부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12,13).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carvedilol 제제가 인체 유래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계 중 활성산소족생성과 MAPK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Purpose: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Ss) migration and prolifer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transplant vascular sclerosis and restenosis afer balloon vascular injury. The antiproliterative and anti-migratory effects of carvedilol (CA), a unique α-and β-blocking anti-hypertensive drug, on the VSMCs were confirmed previously. Sinc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family play important roles in proliferation of VSMC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A on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activation of ERK 1/2 and p38 MAPK, and proliferation of VSMCs were cultured with RPMI-1640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Near confluent VSMCs were incubated with serum-free media for 48 hours to arrest and synchronize the cell growth. CA was administered 1 hour before the addition of PDGF. 5-(and-6)-chloromethy-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CF)-sensitive intracellular ROS was detected by FACS. Activations of ERK 1/2 and p38 MAPK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Proliferation of VSMCs was assess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Results: PDGF at 10 ??/㎖, which induced human VSMCs proliferation, rapidly increased intracellular ROS by 1.6-fold (P < 0.01), ERK 1/2 activation by 2.1-fold (P < 0.01), and p38 MAPK activation by 1.9-fold (P < 0.01),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control. CA 1 and 10μM effectively inhibited PDGF-induced human VSMCs proliferation. CA also effectively inhibited PDGF-induced intracellular

      • 포도당분해산물이 사람 복막중피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송재숙,이경림,하헌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 2008 藥學硏究論文集 Vol.- No.17

        상용 복막투석액에 함유된 고농도의 포도당과 포도당 분해산물(glucose degradation products: GDP)이 복막의 비후, 복막 투과성의 증가 및 한외여과 부전과 같은 복막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초래하리라 추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DP 성분이 사람 복막중피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고 또 이때 ROS와 PKC가 관여하는지를 검색하였다. 혈청이 배제된 M199 배양액으로 성장을 동일화시킨 사람 복막중피세포를 GDP인 methylglyoxal(MGO), acetaldehyde, 그리고 3,4-dioxyglucosone-3-ene(3,4-DGE)으로 48시간 동안 자극하였고, 복막의 투과성에 대한 지표로서 혈과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를, 섬유화의 지표로서 fibronectin과 heat shock protein 47(hsp47)의 단백을 정량하였다. 활성산소족(reactive oxygen species: ROS)과 protein kinase C(PKC)의 관여여부는 각각 항산화제 N-acetylcystein(NAC)과 PKC 억제제 calphostin C의 억제 효과로 검색하였다. MGO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VEGF분비를 1.9배, fibronectin 분비를 1.5배 그리고 hsp47 표현을 1.3배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MGO에 의한 VEGF 상향 조절은 calphostin C와 NAC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사람 복막중피세포에서 VEGF 분비는 acetaldehyde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나 3,4-DGE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fibronectin 분비와 hsp47 표현은 acetaldehyde나 3,4-DGE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할 때, ROS 생산과 PKC 활성화가 상용투석액내 함유된 MGO에 의한 점진적인 복막의 투과성 증가, 세포외기질 축적 그리고 복막 섬유화를 유발하는 주된 신호체계로서 이를 선택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복막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oth high glucose and glucose degradation products (GDP) have been implicated in alterations of peritoneal membrane structure and function during long-term peritoneal dialysis (PD).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ole of GDP including methylglyoxal (MGO), acetaldehyde, and 3,4-dideox-yglucosone (3,4-DGE) in HPMC activation with respect to membrane hyperpermeability or fibrosis. The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C (PKC) in GDP-induced HPMC activation were also examined. Using M199 culture medium as control, growth arrested and synchronized HPMC were continuously stimulated by MGO, acetaldehyde, and 3,4-DGE for 48 hour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as quantified as a marker of peritoneal membrane hyperpermeability and fibronectin and heat shock protein 47 (hsp47) as markers of fibrosis. Involvement of ROS and PKC was examined by the inhibitory effect of N-acetylcystein (NAC) or calphostin C, respectively. MGO significantly increased VEGF (1.9-fold), fibronectin (1.5-fold), and hsp47 (1.3-fold) secretion compared with control M199. NAC and calphostin C effectively inhibited MGO-induced VEGF upregulation. Acetaldehyde stimulated and 3,4-DGE inhibited VEGF secretion. Fibronectin secretion and hsp47 expression in HPMC were not affected by acetaldehyde or 3,4-DGE. In conclusion, MGO upregulated VEGF and fibronectin secretion and hsp47 expression in HPMC, and PKC as well as ROS mediate MGO-induced VEGF secretion by HPMC. This implies that PKC activation and ROS generation by GDP may constitute important signals for activation of HPMC leading to progressive membrane hyperpermeability and accumul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and eventual peritoneal fibrosis.

      • KCI등재후보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에 의한 사람 복막 섬유아세포의 Fibronectin 분비 증가

        유미라,이희발,하헌주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2

        배 경: 단핵구 화학주성단백(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 MCP-1)은 단핵구에대한 화학주성 인자일 뿐 아니라 폐 섬유아세포에서는 직접 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factor-β1 : TGF-β1)와 collagen 생산을 증가시켜 폐 섬유화에 능동적으로 관여한다고 보고 되었다. 고농도의 포도당이 사구체 혈관간세포와 복막 중피세포에 의한 MCP-1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이 관찰된 바 있지만, MCP-1이 당뇨병성 신증이나 장기 복막투석 환자에서 관찰되는 복막 섬유화에 미치는 역할은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는 MCP-1이 배양 혈관간세포, 복막 중피세포 및 복막 섬유아세포의 fibronectin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당뇨병성 신증과 복막 섬유화 유발에 관여하는지를 검색하였다. 방 법: 혈청 배제 배양액으로 24시간 배양함으로써 성장을 동일화한 각 세포를 MCP-10.1-100 ng/mL이나 TGF-β1 0.1-10 ng/mL로 48시간 동안 자극하고 배양액을 취하여 분비된 fibronectin 단백질을 Western blot 분석으로 정량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MCP-1은 0.1-100 ng/mL 농도에서 생쥐 사구체 혈관간세포에 의한 fibronectin 단백질 분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TGF-β1 10 ng/mL은 fibronectin 단백질 분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2.8배 증가시켰다(p<0.05). 사람 복막 중피세포에 의한 fibronectin 단백질 분비도 0.1-100 ng/mL 농도의 MCP-1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TGF-β1은 0.1ng/mL에서 fibronectin 단백질 분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1.8배 증가시켰다(p<0.05). MCP-1은 0.1-100 ng/mL의 농도에서 용량의존적으로 사람의 복막 섬유아세포에 의한 fibronectin 단백질 분비를 증가시켜, MCP-1 1-10 ng/mL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100 ng/mL MCP-1에 의한 fibronectin 분비는 1과 10 ng/mL MCP-1에 의한 분비보다도 의의 있게 높았다(p<0.05). 결 론: 이상의 결과는 복막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생산이 증가된 MCP-1이 복막 섬유아세포에 작용하여 ECM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복막의 섬유화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High glucose upregulates MCP-1 expression in rat glomerular mesangial cells and in human peritoneal mesothelial cells. However, the role of high glucose-induced MCP-1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diabetic renal injury and peritoneal injury during peritoneal dialysis(PD) using high glucose PD solutions are not clear. Since MCP-1 was shown to upregulate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TGF-β1) and collagen expression in lung fibroblas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CP-1 on fibronectin secretion by mouse mesangial cells(MMC), human peritoneal mesothelial cells (HPMC), and human peritoneal fibroblasts(HPFB). Methods : Synchronized cells were stimulated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CP-1(0.1-100 ng/mL) or TGF-β1(0.1-10 ng/mL) for 48 hours. Fibronectin protein secreted into the media was analyz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MCP-1 up to 100 ng/mL did not affect fibronectin secretion by MMC. TGF-β1 10 ng/mL, however, increased fibronectin secretion by MMC 2.8 fold that of control. MCP-1 up to 100 ng/mL did not affect fibronectin secretion by HPMC. But, TGF-β1 0.1 ng/mL increased fibronectin secretion by HPMC 1.8 fold compared to control. On the other hand, MCP-1 increased fibronectin secretion by HPFB in a dose-dependent manner. MCP-1 at 1-10 ng/mL significantly increased fibronectin when compared to M199 control. 100 ng/mL MCP-1 further increased fibronectin secretion by HPFB compared to 0.1-10 ng/mL MCP-1.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a possible role for MCP-1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peritoneal fibrosis and support the view that in addition to recruiting inflammatory cells MCP-1 may play a role in tissue fibrosis in other organs. (Korean J Nephrol 2002;21(2):259-26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