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폐동맥폐쇄와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를 동반한 활로씨사징증 -다양한 외과적 치료접근의 비교-

        이정렬,양지혁,김용진,노준량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5

        배경: 폐동맥폐쇄와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를 동반한 활로씨사징증 환아들은 여러가지 이질적인 외과적인 원칙하에 치료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질환으로 본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아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시도하였던 5 가지 서로 다른 외과적인 치료전략을 중심으로 그 장단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본 질환을 가진 5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최초 수술방법에 따라 일단계단일화술군(A-1, n=9), 단계적단일화술군(A-2, n=11), 우심실-폐동맥 연결술군(B-1, n=11), 우심실-폐동맥연결/단일화술 동시 시행군(B-2, n=11), 일단계 완전교정술군(C, n=8) 등 5군으로 분류하고 군별 형태학적 특성, 수술결과, 완전교정 가능성, 추적결과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50명 환아들의 제 1차 수술당시 평균연령은 39$\pm$31 (1-177) 개월이었다. 결과: 각 군의 최초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각각 57$\pm$18(A-1), 42$\pm$48(A-2), 18$\pm$14(B-1), 52$\pm$55(B-2), 32$\pm$34(C) 개월이었다 (p<0.05). 주대동맥폐동맥혁관부행지의 평균 숫자는 일단계 완전교정술 시행 군에서 가장 적었다 (A-1=4.3$\pm$1.0, A-2=4.5$\pm$1.3, B-1=4.1$\pm$1.9, B-2=4.1$\pm$1.6, C=3.4$\pm$1.8 : p<0.05). 직접 및 간접 주대동맥폐동맥혁관부행지 숫자의 비는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A-1=91%/9%), A-2=78%/22%, B-1=80%/20%, B-2=80%/20%, C=81%/19% : p>0.05). 19명의 환아는 1개 이상의 의존성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를 가지고 있었다. 13명의 환아는 진폐동맥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29명의 환아의 진폐동맥은 좌우폐동맥 연결이 있었다. 수술은 50명의 환아에 대하여 총 101 (1-4)회 시행되었으며 각 군의 최초 수술에 따른 수술사망율은 각각 33%(3/9, A-1), 18%(2/11, A-2), 0%(0/11, B-1), 36%(5/11, B-2), 13%(1/8, C)였다 (p<0.05). 군별 심실중격결손의 완전폐쇄까지를 포함한 완전교정술을 완료한 환아의 백분율은 각각 22%(2/9, A-1), 18%(2/11, A-2). 45%(5/11,B-1), 27%(4/11,B-2), 100%(8/8,C)(p<0.05)였다 (p<0.05). 사망원인은 저산소성 호흡부전 및 심부전(6), 뇌손상(2), 패혈증(4) 등이었고 술후 합병증으로 횡격막신경마비가 5례에서 발생하였다. 6례의 추적실패를 제외한 생존환자 31례는 평균 74$\pm$42 (3-145) 개월 외래추적되었으며 1년 및 5년 생존율이 각각 73%, 73%였다. 결론: 연구자등은 본 연구를 통하여, 본 질환에 대하여 제 1단계로 시행한 시술로 우심실-폐동맥 연결술이 가장 안전하고도 완전교정술 도달 확률이 높은 치료전략이라는 사실을 입증하였으며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의 크기나 숫자가 단일화하기 쉬운 형태학적 특징을 지닌 경우에는 조기에 일단계완전교정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반면 본 환아군 중 단일화술을 먼저 시도한 군에서는 비록 단계적인 단일화를 시도한 군에서 단일화술과 관계된 수술사망율이 약간 낮기는 하였으나 완전교정술까지 완료될 가능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 경우 보다 정련된 적응 환자의 선택을 통한 단일화 우선전략의 시도와 장기 추적결과의 관찰이 요구된다. Background: Patients with tetralogy of Fallot(TOF), pulmonary atresia(PA) and major aortopulmonary collateral arteries(MAPCAs) have been managed by heterogenous surgical strategies. We have taken 5 different surgical approaches to this lesion. In this study, rela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strategy were discussed by analyzing our surgical results.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uary 1986 and June 1998, 50 patients aged 1 to 177(39${\pm}$31) months at a various morphologic spectrum of this lesion were treated at our institution. The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itial approaches, consisted of one-stage unifocalization(A-1, n=9), staged unifocalization(A-2, n=11), right ventricle to pulmonary artery connection(RV-PA)(B-1, n=11), one-stage RV-PA plus unifocalization (B-2, n=11), and one-stage definitive repair(C, n=8). Morphologic charateristics, operative mortalities, and probabilities of definitive repair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and the causes of death, complications and the follow-up results were described. Result: Mean ages at the first operation were 57${\pm}$18(A-1), 42${\pm}$48(A-2), 18${\pm}$14(B-1), 52${\pm}$55(B-2), and 32${\pm}$34(C) months (p<0.05). Mean numbers of MAPCAs were least in group C (A-1=4.3${\pm}$1.0, A-2=4.5${\pm}$1.3, B-1=4.1${\pm}$1.9, B-2=4.1${\pm}$1.6, C=3.4${\pm}$1.8 : p<0.05). The ratios of the direct and the indirect MAPCAs in each group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sps (A-1=91%/9%, A-2=78%/22%, B-1=80%/20%, B-2=80%/20%, C=81%/19% : p>0.05). Nineteen patients had more than 1 dependent MAPCAs. True pulmonary arteries were not present 13 patients and they were confluent in 29. A total of 101 operations were performed. Operative mortalities of initial procedures were 33%(3/9, A-1), 18%(2/11, A-2), 0%(0/11, B-1), 36%(5/11, B-2) and 13%(1/8, C) (p<0.05). Percentages of the definitive repair among the patients of each group were 22%(2/9, A-1), 18%(2/11, A-2). 45%(5/11, B-1), 27%(4/11, B-2), and 100%(8/8, C)(p<0.05). Hypoxic respiratory and cardiac failure(6), hypoxic encephalopathy(2) and sepsis(4) were the major causes of death. Phrenic nerve palsy occured in 5 patients. Thirty-one patients among the survivals have been followed up for a mean duration of 74${\pm}$42(3-145) months. One and five 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were 73% and 73 %. Conclusion: In conclusion, Right ventricle to pulmonary artery connection used in patients with TOF/PA/MAPCA as an inital procedure appeared to be highly successful in enhancing the chance of satisfactory definitive repair without the significant surgical risks. One-stage total repair at an ealier age group could be performed safely with the resonable outcomes. Unifocalization approach, whether it was performed in a single stage or in the multiple stages, resulted in the high operative mortality and the lowest chance of definitive repair, however more tailored selection of the patients and the long follow-up is mandatory to prove the usefulness of this approach.

      • SCOPUSKCI등재

        이소 생쥐심장이식 모델에서 조기 시간경과에 따른 관상동맥의 면역병리학적인 변화

        이정렬,임홍국,서정욱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12

        배정: 연구자 등은 본 연구에서 가속화된 이식동맥 경화증의 조기 진행경과를 규영하기 위하여 제1분류 주 조직적합성항원(빠IC class 1)의 한지 라만 다른 생쥐 종조합을 이용하여 이소심장이식을 시행하고 이식성장 의 관상동맥에서의 주조직적합성항원(MHC), 세포간부착분자-1(ICAM-l), 혈관세포부착분자-1 (VCAM-l), 인터 루킨-6의 발현 및 조직병리학적 병변의 변화 양상이 이식 후 4주 이내의 조기에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생후 7-10주된 BIO.A 생쥐를 공여심장으로, BIO.BR 생쥐를 피이식 생쥐로 이용하였다. 이식후 피이식생쥐에 면역억제요법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군을 7일, 15일, 21일, 30일 등 네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 해당되는 날짜에 공여심장과 피이식생쥐의 심장을 적출하였다. 성장조직표본은 면역조직화학법, 현미경적소견, 형태학적 측정법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가는 중복관찰을 통한 경, 중등, 강의 등 급체계로 반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제1분류 주조직적합성항원의 발현은 7일 경과 표본에서 이미 강하게 발현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에도 계속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제2분류 주조직적합성항원 의 발현은 모든 군에서 미미하거나 발현이 되지 않았다, 세포간부착분자-1 발현은 7일 경과 표본부터 경도 내지 중등도로 관상동맥내펴세포에서 발현되었으나 혈관중층세포에서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혈관세포 부착분자-1 발현은 네군 모두에서 헐관내피세포 및 중층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인터루킨-6의 발현은 모든 군에서 중등도로 발현이 되었다.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변화양상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을 보이는 혈관 이 7일 경과 표본에서는 관찰혈관 중 평균 10%에서 보이다가 30일 경과 표본에서는 50%의 혈관에서 관찰되었다. 그 결과 혈관 내강의 면적의 감소가 20%에서 40%로 증가하였다. 혈관중층펑활근의 증식여부를 관찰 하기 위한 트로포마이오신 염색의 결과는 적어도 30일까지는 경도 이하로 관찰이 되었으며 중층완전성도 역시 잘 유지되었다. 혈관주변 단핵세포 침윤은 7일 경과 표본에서 중등도 정도로 관찰되다가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피이식생쥐의 심장표본에서는 네군 모두에서 연역병리학적인 소견이 전혀 관찰 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이소 생쥐심장이식 모델에서 공여심장의 관상동맥에서 발현되는 부착물질 및 싸이토카인 등이 이미 7일 이내의 조기부터 발현되기 시작하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혈관내막세포증식, 혈관주변세포침윤 등 조직영리학적인 병변의 진행양상 역시 30일이 경과하는 사이에도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양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연구자 등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속화된 이식동맥 경화증이 급작스런 현상이 아닌 만성적인 면역반응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론하였다. Backgroun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arly time course of expression of the major histocompatibility(MHC) antigens,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VCAM-1), interleukin-6 and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coronary arteries of cardiac allografts exchanged between inbred mice strains that differ in one loci of class I major histocompatibility antigen (B10.BR to B10.A). Material and Method: No immunosuppressive therapy was used. Both allografts and the hearts of the recipients were harvested at 7(group 1, n=6), 15(group 2, n=6), 21(group 3, n=6), and 30(group 4, n=6) days after transplantation. They were exa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microscopy and morphometry. All allografts had contractions at the time of harvest. Result: A strong MHC class I antigen expression was present on the endothelial and medial cells of the coronary arteries in group 1 and remained unchanged in the rest of the groups. However, MHC class II reactivity was none or very little at any time. Mild to moderate ICAM-1 expression was observed on the endothelial cells, but not on the medial cells at any time by 30 days. VCAM-1 expression was strong both on the endothelial and medial cells at any time. Moderate degree expression of interleukin-6 was observed from 7 to 30 day specimens. Histopathologically, percentage of affected vessels(vessels with intimal thickening) was less than 10 % in 7 day group and increased up to 50 % at 30 days. Mean percent narrowing of the lumen of the affected vessels revealed less than 20 % at 7 days and 40 % at 30 days. The area occupied by tropomyosin positive cells in the intimal lesion, graded from 0 to 3, showed gradual increase but remained between grade 0 to 1 by 30 days. Medial integrity was also well preserved at any time. Moderate perivascular mononuclear cell infiltration was observed at 7 days and it was progressively increased upto 30 days. Recipients' heart revealed no positive immunopathologic finding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early time course of progression of the transplantation vasculopathy was demonstrated in the murine heterotopic heart transplant model.

      • SCOPUSKCI등재

        원발성 하지정맥류의 임상적 고찰 - 209례 보고 -

        이연재,박철,김종석,김한용,유병하,Lee, Yuen-Jae,Park, Chul,Kim, Jong-Seok,Kim, Han-Yong,Yoo, Byung-Ha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2

        배경 : 하지정맥류는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혈관 질환으로 흉부외과 영역에서도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99년 4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하지정맥류 환자 209명 혹은 269족의 임상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 관찰하였다. 결과 : 남자는 52명, 여자는 157명으로 1:3의 비율이었고, 연령은 평균 42.2$\pm$9.7세 이었으며, 평균 발생기간은 12.2$\pm$9.7년이었고, 평균 추적간은 2001년 7월을 기준하여 평균 14.8$\pm$6.1개월이었다. 증상은 하지 통증이 122례(58.4%)로 가장 많았다. 장시간 서있는 직업(44명), 임신(37명), 가족력이 있는 경우(7명) 및 이들의 조합이 주원인으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주병소는 대복제정맥까지 침범한 경우가 126례, 소복제 정맥까지 침범한 경우가 18례, 망상혈관 및 모세혈관확장증만 있었던 경우가 65례 있었다. 치료는 대복제정맥 발거,분절 절제술, 대복재정맥-대퇴정맥 연결부위 결찰, 혈관 경화요법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경우 발거를 시행한 군(A군)과 혈관경화요법을 시행한 군(B군)을 비교했을때, 시술후 합병증은 A군에서 많았고(p 0.05), 재발은 B군에서 많았다(p 0.05). 소복재정맥까지 침범한 경우 stab avulsion을 시행한 경우(C군)와 혈관 경화요법을 시행한 경우(D군)의 비교시 D군에서 2례의 재발이 있었으나 합병증 및 재발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혈관 경화요법에서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경우(B군)와 망상정맥 및 모세혈관확장증이 있는 경우(E군)의 비교시 합병증은 차이가없었으나(p 0.05), 재발률은 B군에서 높았다(p 0.05). 발거후 합병증으로는 발목 무감각 및 저린 느낌(2례), 발목 통증(2례), 족부부종(2례),창상감염(1례)등이 있었고, 혈관 경화요법의 경우 정맥혈전염(1례), 피부궤양(1례)등이 있었다. 결론 : 대복재정맥의 혈관경화요법은 발거술 보다 재발률이 높았지만. 망상정맥 및 모세혈관확장증에서의 혈관경화요법은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정맥류의 혈관 경화요법을 시행한 경우보다 재발률이 낮았다. 하지만, 혈관경화요법은 수술 및 입원이 필요없는 간편한 치료이기에 대복재정맥의 경우에도 더욱 연구 보완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Varicose vein is a very common vascular disease and has recently become a matter of concern for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ns. Material and Method : We analyzed 209 cases or 269 feet with varicose vein retrospectively, which had been treated in our hospital from April 1999 to December 2000. Result : Male : Female ratio was 1:3(Male : 52 cases, Female : 157 cases), mean age was 42.2$\pm$9.7 years old, mean duration of varicosities was 12.2$\pm$9.7 years, and mean follow up was 14.8$\pm$6.1 months from July 2001. Most common symptom was leg pain(122 cases, 58.4%). Long standing job(44 cases), pregnancy(37 cases), and family history related to varicose vein came to 79.9% as the major predisposing or precipitating factors. Anatomic classifications of main lesion were GSV (greater saphenous vein,126 cases), LSV(lesser saphenous vein,18 cases), and reticular veins and telangiectasias(65 cases). Main treatments were stripping of GSV, stab avulsion, ligation of saphenofemoral junction, sclerotherapy, and conservative treatment. Comparing A group (stripping of GSV) with B group(sclerotherapy of GSV), A group had more complications than B group; however, A group had less recurrences than B group(p 0.05). Comparing C group(stab avulsion of LSV) with D group(sclerotherapy of LSV), there were 2 cases of recurrence in D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omplication and recurrence(p>0.05). Comparing B group(sclerotherapy of GSV) with E group(sclerotherapy of reticular vein and telangiectasi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mplication; however, B group had more recurrences than E group. Post-stripping complications were ankle numbness and tingling(2 cases), ankle pain(2 cases),ankle swelling(2 cases), and wound pain(1 case). Postsclerotherapy complications were thrombophlebitis(1 case) and skin ulcer(1 case). Conclusion: Sclerotherapy for varicose vein involving GSV had more recurrences than stripping for lesions involving GSV. Sclerotherapy for reticular vein and telangiectasia had less recurrences than sclerotherapy for lesion involving GSV. Sclerotherapy is a very convenient method without operation and admission, thus further research is demanded in case of varicose vein involving GSV.

      • SCOPUSKCI등재

        체폐단락술에 사용되었던 PTFE 인조혈관 내면의 변화

        박영환,장병철,신동환,조범구,Park, Yeong-Hwan,Jang, Byeong-Cheol,Sin, Dong-Hwan,Jo, Beom-Gu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8

        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85년 부터 1992년까지 청색성 선천성 심장기형환자에서 시행한 체 폐동맥 단락술에 사용되 었던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인조 혈관을 재수술시 절 제하여 꽝학 현미경 및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체폐 동맥 단락술의 종류는 Blalock-Taussig형 10 례. Waterstone-Cooley형 1례, Pott 형 1례등이었다. 사용된 PTFE 인조 혈관의 크기는 5mm가 10개, 4mm가 1개, 6mm가 1개였다 이들의 평균 사용 시간은 31개월(12개월에서 55개월)이었다. 10개월에서 20개월사이의 PTFE 인조 혈관은 틈새에 매우 많은 혈소판이 끼어 있었고 내막 비후가 관찰되었다. 40 개월이상 기능을 하는 PTFE 인조 혈관에서는 혈관 내피 세포가 광학 및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막힌 PTFE 인조 혈관의 내면은 매우 심한 내막 비후와 혈전으로 차 있었다. 이와 같은 우리의 경험을 토대로 PTFE인조 혈관과 자신의 혈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결체조직이 잘붙어 혈관내피세포가 덮을수 있게 된다면 혈소판의 응집을 막아 오랫동안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istologi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 ions were made of 12 biopsy specimens from polytetrdiluoroethylene (PTFE) grafts that had been Implanted as systemic-pulmonAry shunt for improving oxygenation of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harvested near the end of pulmonary artery side at the time of redo shunt or tonal correction between 1985 and 1992. The types of shunt operation are modified Blalock-Taussig shunt in 10 cases, Waterston-Cooley shunt in 1 And Potts shunt in 1 case. The 5 mm PTFE graft was used In 10, 4mm in 1 and 6mm in 1 case. The mean duration of implantalion was 0 $\pm$ 14.1 months(rl.on 12 months to 55 months). The plAtelets were aggregated between gaps'of Coretex surface and intimal thickening was noted about 10 to 20 months after implantation. Endothelial cells were found in the 40-months patent PTFE graft b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the specimen of poor flow or zero flow graft, severe intimal hyperplasia and thrombi which was made of platelets were noted . Based on this experience, we think that the patency will be maintained well if the connective tissue could be Hxed firmly over the Inner layer of the Goretex and the endothelial cell layer sllould form over the con- nective tissue and platelet aggregation should be prevented.

      • SCOPUSKCI등재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한 뇌혈관계 합병증

        진웅,김영두,윤정섭,김치경,Jin, Ung,Kim, Young-Doo,Yoon, Jeong-Seob,Kim, Chi-Kyu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11

        배경: 뇌혈관계 합병증은 관상동백우회술 후 발생하는 사망률 중 10% 이상을 차지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최근들어 고령 환자, 고혈압, 당뇨병 등이 병발하고 고 위험군에 대한 수술이 증가하면서 뇌혈관계 합병증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되는 뇌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를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3월부터 1999년 7월 사이에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185명을 조사하여, 뇌혈관계 합병증의 위험 인자들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뇌혈관계 합병증의 유병율은 7.57%(14명)였으며 이중 5예는 사망하였다. 동 기간 중 전체 사망은 11예이므로 사망자의 45.5%가 뇌혈관계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이다. 통계적의의가 있는 뇌혈관계 합병증 위험 인자로는 수술 후 부정맥(p=0.0064), 기왕의 뇌혈관계 병력(p=0.0090), 체외순환시간(p=0.0181), 대동맥의 동맥경화(p=0.03575) 및 당뇨병(p=0.0452) 등이었다. 경동맥협착이 동반되어 경동맥 혈관내막 절제술(carotid endarterectomy)을 동시에 시술한 경우는 2예였으나, 뇌혈관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75세 이상의 고령환자는 3명이었으며 모두 뇌혈관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하는 뇌혈관계 질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요인은 수술 후 부정맥, 뇌혈관이상의 기왕력, 체외순환시간, 대동맥궁의 동맥경화, 당뇨 등이었다.

      • KCI등재

        Lipoprotein에 의한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과 MCP-1 발현에 관한 연구

        박재경,박호철,주홍재,장영복 대한혈관외과학회 1999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15 No.2

        목적: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은 주로 혈관내피세포와 평활근세포에서 분비되며, 단핵구를 혈중에서 혈관내막으로 끌어들이는 chemokine이다. 내막으로 들어온 단핵구는 탐식세포가 되어서 여러 가지의 cytokine들을 분비하는 한편, 지질을 탐식하여 포말세포가 되는 과정이 죽상경화증의 초기 경과이다. 이어서 평활근세포들이 내막쪽으로 이동하여 증식하게 되므로써 혈관내막이 비후되고, 많은 기질단백을 생성하여 죽상경화증의 병소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MCP-1은 죽상경화증 병소의 형성에 중요한 초기 물질이지만, 혈관평활근세포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부분이 알려져 있지 않다. 산화 저밀도 지단백은 강력한 죽상경화증 유발 물질이며 단핵구의 이동과 지질 탐식에도 관여하는 한편, 세포에 대한 독성 작용이 있는데 이런 산화 저밀도 지단백이나 산화 초저밀도 지단백으로 혈관 평활근세포에 자극을 가했을 때 MCP-1이 어떻게 발현되는 지에 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방법: Probucol은 동물실험에서 죽상경화증을 예방하는 물질로서 임상에서도 일부 사용되고 있으나 그 구체적인 약리 작용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산화 저밀도 지단백, 산화 초저밀도 지단백이 죽상경화증 형성에 중요한 세포인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과 MCP-1의 발현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 Probucol이 이 과정에서 산화 저밀도 지단백의 작용을 차단할 수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결과: 산화 저밀도 지단백, 특히 산화 초저밀도 지단백으로 자극하였을 때는 저농도에서는 평활근세포를 자극하여 증식시키지만 고농도에서는 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 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Probucol 처치군에서는 산화 저밀도 지단백에 대해서만 이와 같은 세포 독성 작용이 의미 있게 감소되었고 또 MCP-1의 발현 정도도 보호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상과 같은 결과로 산화 저밀도 지단백과 산화 초저밀도 지단백은 배양 혈관 평활근세포에 대해 저농도에서는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고, 고농도에서는 독성 작용이 있어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MCP-1 발현을 억제하여 평활근세포가 죽상경화증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자가 조절 능력이 있을수도 있다는 사실과, Probucol은 배양 혈관 평활근세포에 대한 산화 저밀도 지단백의 독성 작용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SCOPUSKCI등재

        흉부외과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 설문조사 연구

        우건화,오상준,김창호,U, Geon-Hwa,O, Sang-Jun,Kim, Chang-H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2

        흔히 일반인들은 종합병 원에 대한 인식이나 신뢰도가 개인병원이나 규모가 좀 작은 준종합병원에 비해 높은 편이나 그 자체 내에 포함되어 진료하고 있는 소속분야에 대한 상식선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저자는 이런 상황을 감안하여 본인이 속해있는 "흉부외과"라는 특수 진료과목에 대한 우리 나라 성인의 인식도와 진료과목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정도와진료및 수술, 어떠한 질병을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통계를 도표로 정리하여 분석해 보았다. 흉부외과에 대한 물음에 따른 상황을 균형 점검하여 현시점에서 "흉부외과"라는 의료진들의 현실영역과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내용을 비례하여 점검하고자 이들의 현실적인 사고를 제시한다.자 이들의 현실적인 사고를 제시한다. In general, common people have more understanding of and confidence in the university hospital than the private and the smaller semi-general hospital. But they know little about an appropriate field that is a part of the university hospital And takes care of them. Taking these situations into consideration, we, writers made analyses of statistics by putting into the form of diagrams. Stati tics are about these questions. 1. How much Korean adults know about nly major, a special treatment field-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T.C.S). 2. How much Korean adults know about the detailed parts of the T.C.S. 3. How much korean adults know about how medical treatment and operations are performed, and which diseases are concerned with the T.C.S. At this point, to compare the medical team's practical province in the T.C.S. surgery with the contents of 'common people's knowledge of the T.C.S., we made a balanced-check of many situations according to questions about the T.C.S. We present common people's actual answers.

      • SCOPUSKCI등재

        폐 혈관종의 외과적 치험 -2례 보고-

        박재길,박성용,이선희,Park, Jae-Gil,Park, Seong-Yong,Lee, Seon-Hui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6

        혈관에서 기원되는 종양은 혈관외피 세포로부터 발생되는 종양 혈관외피종과 glomus tumor)관 혈관내피 세포로부터 발생되는 종양(를상피 혈관내피종)의 두가지로 구분된다. 이들은 매우 드물게 발생되며 악성종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폐에서 발생된 경우에는 무증상의 작은 종괴로부터 증상이 있는 커다란 종양 의 형태로 나타난다. 최근 저자들은 단일성의 유상피 혈관내피종과 혈관외피종 각각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 고하는 바이다. a Tumors of vascular origin a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composed of pericytes (hemangiopericytoma and glomus tumor), and those composed of endothelial cells(hemangioendothelioma). They are uncommon, potentially malignant tumors, and in the lung, the tumors may present as a small asymptomatic nodule or a large symptomatic lesion. Recently we experienced two cases of solitary pulmonary vascular tumors(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and hemangiopericytoma), and reviewed them with references.

      • SCOPUSKCI등재

        위대망동맥의 혈관 수축제 및 이완제에 대한 반응

        이종태,이응배,박창률,김인겸,유완식,유영선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9

        우측 위대망동맥이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에 사용되는 이식혈관으로서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980년대 중반 관동맥 우회로 이식술후 내유동맥의 장기 개통성이 복재정맥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것이 알려진 다음부터였다. 처음에는 재수술을 하는 경우 등에서 사용 가능한 다른 이식혈관이 없을 때만 선택되었고 이식장소도 심장 후면에 위치하고 있는 후하행지 등에 제한되었으나, 최근에는 좌전하행지에도 이식되고 있고 위대망동맥의 중단기 개통성이 내유동맥의 것과 비슷한 것으로 보고된바 있으며, 일차 수술에서도 선택되는 경우가 늘어 나서 내유동맥과 복재정맥 다음으로 중요한 이식혈관이 되었다. 아직 장기 개통성이 알려 있지 않은 위대 망동맥에 대하여 이식도관으로서의 기능과 개통성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 이 혈관의 수축성 및 이완성이 조사된 바 있으나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위절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 수술 중에 위대망동맥을 채취하여 고리절편으로 만든 후 organ bath내에 장치하여 혈관 수축제 및 이완제에 대한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도관으로서의 가치 평가를 함과 동시에 이식된 도관의 경련발생 및 이의 치료를 위한 이완제 투여 등에 관해 연구하였다. 수축제들 중 epinephrine, noprepinephrine 및 KCl은 강한 수축력을 보였고 5-HT의 수축력이 가장 약했으며 전자들의 것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Nitroprusside과 histamine은 norepinephrine으로 유도된 수축의 거의 전부를 이완시켰으며 acetylcholine의 이완력은 이들의 것에 비해 유의하게 약했다. 이완제들중 isoproterenol의 이완력이 가장 약했으며 나머지 이완제들의 것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에서 위대망동맥의 강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력은 본 혈관이 관상동맥우회로이식술에 도관으로 사용되었 을 때 개통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고, 위대망동맥은 catecholamine에 대한 반응이 커서 관상동맥우회 로이식술후 혈중 catecholamine치료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이식된 위대망동맥에 경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의 치료에는 nitroprusside가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내피세포가 보존된 위대망동맥의 beta-adrenoceptor 촉진제 및 5-HT에 대한 반응은 약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gastroepiploic artery is not only an alternative graft but also may be considered an important primary graft for coronary revascularization. However, the long-term patency of the gastroepiploic arterial graft is yet to be determined and the incidence of perioperative spasm and long-term patency of a coronary graft may be affected by the properties of the graft response to certain vasoactive substances. The reactivity of the gastroepiploic artery to vasoactive substances has not been studied extensively and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contradictory. Material and Method: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reactivity of human gastroepiploic artery to four constrictors and four relaxants. The middle sections of the human gastroepiploic arteries were collected from the 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y and the arterial rings with intact endothelium were suspended in organ baths for isometric tension recording. Result: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potassium chloride induced the maximum constriction to higher forces (7.0$\pm$1.1g, 6.6$\pm$0.9g, and 6.5$\pm$1.1g) than 5-hydroxytryptamine did (3.8$\pm$1.7g, p<0.05). Nitroprusside and histamine induced almost full relaxation in the gastroepiploic arteries preconstricted with norepinephri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relaxants regarding maximum relaxation force. Acetylcholine induced the maximum relaxation to weaker force when compared with nitroprusside and histamine (p<0.05), and isoproterenol was the weakest of the relaxants (p<0.05 compared with acetylcholine). Conclusion: The gastroepiploic artery has a strong capacity of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which could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long-term patency. The gastroepiploic artery exhibits a potent contractility to catecholamines and the enhanced contractility may facilitate vasospasm in the presence of high circulating levels of catecholamines. Nitroprusside, a potent relaxant in gastroepiploic artery, might be beneficial for the treatment of gastroepiploic arterial graft spasm. The gastroepiploic arterial graft with intact endothelium may respond weakly to beta-adrenoceptor agonist and 5-hydroxytryptamine.

      • SCOPUSKCI등재

        생체적합성 인조혈관의 개발 -혈관내피화 인조혈관-

        김형묵,이윤신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4

        소구경 인조혈관의 생 체적합성 향상은혈전생성을막는것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정상혈관의 혈 관내피세포는 항상 정상기능 혈관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공성 폴리 우레탄소구경 인조혈관의 생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 것인데,혈관내피 세 포화를 위해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분비되는 세포외기 질이 어느정도 유용한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 인조혈관골격은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직경 3mm와두께 0.3mm,길이 6cm로 가공하였고,체 중 15kg되는 잡종개의 경정맥에서 얻은 섬 유아세포를 배양하여 폴리우레탄 튜브벽에 부착배양하여 세 포외기질층을 형성시켰다. 그다음 개의 경정맥에서 내피세포를 분리배양하여 충분한 세포를 인조혈관 내면을 세포 배양한 자가혈관내피세포로 증착시키서 자연혈관과 비슷한 형태의 3층 구조 인조혈관을 만들었다 혈관내퍼세포가부착된 직경 3rnm의 소구경 인조혈관을 길이 km로잡종견의 경동맥에 자가 이식하였고, 이식후 3주, 6주에 이식한 인조혈관을 적출하여 조사하였다. 동물실험의 대조군으로는 시 판되고 있는 직경 4mm 길이 6cm PTFE 혈관을 사용했다. 결\ulcorner: 개의 경정맥내피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직경 3mm폴리우레탄 인조혈관 내벽을 내피세포화 하 는데는 섬 유아세포를 먼저 배양하여 생성된 세포외 기질을 기반으로하여 혈관내피세포를 부착시켜 생 체적합성이 개선된 인조혈관을 개발할 수 있다. 동물실험한 3마리의 개에서 내피세포 부착 인조혈관 3 개와 다공성 폴리우레탄 인조혈관 3개를 이식한 결과는 내피세포 부착인조혈관에서 33%의 개방성이 있었으나 혈전형성도 관찰되 었다. 개에 이식된 혈관내피세포화 인조혈관을 6주안에 제거한 혈관에서 혈전이 생겨 폐색되기는하였지만 앞으로내피세포의 생육성 향상으로 혈전방지 소구경 인조혈관의 개발에 새로운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여 주었다. 우심유출로확장술을 받은 환자가 1명 있었다. 전반적으로 14명의 환자에서 양호한 경과(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 I~II)를 보이고 있다.er$인문지리학 원리$\lrcorner$가 나왔다. 1970년대 중반이후 인문지리의 실증-계량적 분석에 대한 비판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그런 중에 1980년대 초반에 인문지리 학 방법론상 중요한 2개의 대립적 논문 (김인의 공간지리학 옹호와 최기엽의 장소이해 옹 호)이 나왔다. 그후 방법론상의 논의가 5-6편 나와 오늘에 이르렀다. $\ulcorner$인문지리조사법$\lrcorner$ 교 재가 역시 비포괄적이나마 국내 최초로 출간된 것은 1988년 (조동규)의 일이다. 포괄성이 훌 륭한 인문지리학 체계서의 출간이 절실히 요망된다. 방법론에 있어서는 공간-계량적 입장과 지역-종합-해석적 입장간의 조화와 상호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pacts, competitive advantages of Korean agricultulal products,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agricultural restructuring. Research in industrial geography has remarkably progressed since the 1980s. Locational changes,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formation of industrial region were the major topics of interest in the research of industrial geography in Korea before 1980. Since the early 1980s, in addition Prevention of thromboembolism is the most important task in the development of bioconpatible small caliber artificial vascular graft. In normal vessels, vascular endothelial cells maintain homeosatsis by secreting numerous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method which Improves biocompatibility of small caliver polyurethane graft using endothelial cell culture technique, and ev luate the efTectiveness of extracelluar matrix for endothelization which was produced by cultured fibroblast. Methods ; Multiporous polyurethane tube of 3 mm diameter, 0.3 mm thickness was manufactured for vascular graft. Three mongrel dogs were intubated and internal jugular veins removed. Extracelluar matrix produced by cultured flbrobast which was obtained from dog's internal jugular vein were coated to the polyurethane graft. Then, endothelial cells extracted from Jugular vein were cultured and fixed on the extracelluar matrix layer of vascular graft. Endothelial cell coated vascular grafts were implanted to the carotid arteries of experimental dogs as interposed autograft. Implanted grafts were removed after 3 and 6 weeks. As a control, PTFE graft was interposed on carotid artery. These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extracelluar matrix produced by fibroblast can afford a base for endothelial cell linings of polyurethane graft. Although thrombosis were developed on autografted en othelial cell coated graft, 33% opening was noticed, and showed less adhesion to adjacent tissue lay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iboblast produced extracelluar matrix which can be used for edothelial cell lining vascular graft, and by improving the cultured endothelial cell function, there will be a new modality for reducing thrombosis on small vascular graf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