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소득 여성노인의 거주이동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마산시를 중심으로

        하춘광 ( Ha Choon-kwang ),김효순 ( Kim Hyo-so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이사 온 지 5년 이내인 마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저소득 여성 노인 8명을 대상으로 거주이동 경험에 대해 탐색하였다. 4 개월간에 걸친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지오르기(Giorgi) 방식으로 범주화를 시도한 결과, 저소득 여성노인이 주거를 옮기며 겪는 경험을 관계적 차원, 경제적 차원, 환경적 차원 등 세 개의 핵심범주로 정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약화된 부양의식: 그래도 한결같은 부모마음, 든든한 자녀에게 의지함, 짐이 되기 싫은 마음: 홀로 남음, 외로움보다는 정: 사회적 관계 맺기(관계적 차원), 경제적 갈등: 잃어버린 희망(경제적 차원), 저렴한 주거 비용과 물가 및 복지서비스접근성, 사회기반시설 및 편의시설 부족(환경적 차원) 등 총 7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핵심범주들로 묶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저소득 여성노 인의 거주이동에서 드러나는 삶의 모습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개입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추후 저소득 여성노인의 거주이동에 대한 학술적 논의의 지평이 확장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w-income elderly women`s residential mobility experiences. The subjects were the eight low income female elderly people over 65 who had moved into Masan city from another are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urned out that the major experiences of their residential mobility were three categories such as the relational dimension, economic dimension, environmental dimension and seven important categories like week consciousness of supporting depending on child, living alone, social relationship, economic conflicts, low housing expenses, easy access to welfare service, and lack of convenience fac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ought to give not only supportive strategies, but academic information and social intervention policies for low income elderly women`s mobility.

      • KCI등재

        노인 일자리 참여노인의 심리적 만족도에 관한 퍼지분석

        하춘광(Choon-Kwang Ha)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8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8 No.3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을 대상으로 참여만족도 구성요소가 심리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복지관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18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참여만족도 구성요소와 심리적 만족도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신적 만족과 대인관계만족이었다. 자아존중감에는 정신적 만족과 근무시간만족이 영향을 미쳤으며 생활만족도는 정신적 만족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심리적 만족도의 평가를 위한 모델을 구축함에 있어 참여 만족도 구성요소를 입력변수로 하여 상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퍼지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하였고, 구축된 모델의 유효성도 체킹데이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 참여 노인들의 우울감, 고독, 외로움, 상실감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심리적 만족도 강화 요인을 개발하여 활기찬 노후생활을 보낼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empirical evidence whether the components of satisfaction participation affect psychological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job project.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are research survey was used for 181 elderly peopl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elderly job project at a senior welfare center.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 of satisfaction in participa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al analysis and the effective factors were check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ffective factors of self-efficacy were men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 It is found that self-esteem is affected by men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duty hours, and satisfaction in life is affected by mental satisfaction. Further, in constructing the model to evaluat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in this elderly job project, fuzzy system was used for modeling to grasp mutual relation by taking the components of participating satisfaction as input variables. The effectiveness of the constructed model was confirmed by using checking data.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quired to develop diverse practical programs for vigorous life in declining years by developing the reinforcing factors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which can overcome depression, solitude, lonesomeness, sense of loss, etc of the senior person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elderly job project.

      • KCI등재

        해외이주 한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와 문화적응의 관계

        하춘광(Choon Kwang Ha) 한국사회정책학회 2014 한국사회정책 Vol.21 No.4

        본 연구는 해외이주 한인 중년층의 여가활동 참여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두 변수를 매개할 것으로 보이는 우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호주의 시드 니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중년층 23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방법은 SPSS ver.18.0을 사 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가 제안한 연구모형의 가설을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AMOS ver.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가활동은 문화적응과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은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쳤 다. 그리고 여가활동은 우울을 매개로 하여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중년층의 문화적응을 돕는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동시에 해외 이민자들의 문화적응을 위한 해외이민자 정책과 해외이주동포의 복지관련 프로그램을 지원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grasp the influence which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y of middle-aged Koreans residing overseas on acculturation and to investigate depression which seems to mediate these 2 variables. For this study, 233 middle-aged Koreans residing in Sidney Australia were chosen as object an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of correlation, analysis of reliability were done by using SPSS ver.18.0 for statistical method. By utilizing structure equation AMOS ver.7.0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study model suggested by this study.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Acculturation and depression are directly affected by leisure activity and acculturation is affected by depression. Then, leisure activity affected acculturation by mediation of depression. The result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y which helps the middle-aged Koreans residing overseas for acculturation and to support the welfare-related program of overseas immigrant policy and compatriots emigrating overseas for acculturation.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내세관에 관한 연구: 긍정적 만족감 및 죽음준비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하춘광 ( Choon Kwang Ha ),김효순 ( Hyo Soon Kim ) 대한가정학회 2014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view of the afterlife of the elderly b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satisfaction and death preparation.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st of life and contributes as exploratory research toward strengthen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the elderly. After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found that self-esteem influenced their view of the afterlife through mediating effects such as positiv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death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esent not only in recovering from death anxiety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death preparation and, the view of the afterlife but also in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intervention materials, which can be useful in social work for the elderly. The elderly’s view of the afterlife should be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rograms on death preparation that deal with the existence of the afterlife and life after death. However,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only peopl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not in the other areas of the country were considered in this research. Nevertheless, within its limitation, this study’s findings are promising, as the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the elderly; further, the study has academic meaning with respect to helping the elderly successfully carry out their life development tasks and significantly prepare for the rest of their life.

      • KCI등재후보

        공적연금수급노인과 일반노인의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비교연구

        하춘광(Ha Choon Kwa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硏究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적연금수급노인과 연금을 수급하지 않고 있는 일반노인들의 삶의 만족도 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노인복지 정책에 대한 이론적,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공적연금수급노인과 연금을 수급하지 않고 있는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삶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경상남도 진해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385명이다. 조사대상 노인 전체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한달용돈, 한달주요수입원, 친구/이웃 수등이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자녀의 지지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왔는데 이러한 결과는 관념적으로 생각하는 노인의 자녀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음을 보여주며 자식의존형 노인보다 사생활과 독립성을 중요시하는 노인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만족도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차이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연금을 수급하는 노인들은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이 경제적 수준으로 간결한 반면, 일반노인들은 교육수준,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수준, 한달용돈, 한달주요수입원, 친구/이웃 수, 친구/이웃 접촉빈도 등이 만족도와 관련을 보여서, 연금수급노인에 비해 주변의 환경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공적연금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고, 현재 연금을 수급하고 있지 않은 노인들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mpares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life satisfaction and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between senior citizens on public pension plan and those without pensions. This study surveys 383 senior citizens aged 60 and higher in Jinhae-city Kyungsangnam-do. It finds that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se senior citizens’ life satisfaction are age, academic career, health state, subjective economic state and the number of friends/neighbors. Support from a spouse or children use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on their satisfaction according to most of previous studies but this study finds that many elders do not have much expectation from their children and most of them emphasize on their private life and independence rather than relying on their children. With this subject on the satisfaction that both two groups feel with their life, what you need to pay attention to is that in case of the elderly who receive pensions, only economic state plays a role in influencing on their life satisfaction while other non-economic factors such as age, academic career, health state, subjective economic state, the number of friends/neighbors and frequency of contact with friends and neighbors play such a role for the elderly without pensions. This finding shows that the elderly without pension are more influenced by other surrounding circumstances than the elderly on the pension plans and it also implies that pension is an important source to rais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t also suggests that the elderly without pensions have to be cared by other alternative polices. This result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know how public pension programs can fully play its role in securing senior’s well-being and other welfare policies for senior citizens are required based on that.

      • KCI등재

        노인여가시설 여가프로그램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연구

        하춘광(Choon Kwang Ha),김효순(Hyo Soon Kim)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3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f 403 elderly people in attending the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s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sex difference and two dimensional structure. This purpose has the special feature that life satisfaction was understood as two dimensional structures-positive and negative concepts.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1(positive emo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such as subjective economic status, physical self-efficacy, education, using agency to male elderly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situation, physical self-efficacy to female elderly in order. In life satisfaction 2(negative emotion and negative self-image) physical self-efficacy was the influencing factor to the only mal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s understand the elderly people`s life satisfaction deep and intervention policy must to be prepared carefully upon sex difference to enhance the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 KCI등재

        청소년자녀가 있는 재혼가족의 새부모역할 경험에 관한 연구

        김효순(Kim Hyo-Soon),하춘광(Ha Choon-Kwang)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본 논문에서는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재혼가족의 새부모 역할경험에 대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청소년기 자녀(중·고등학교)가 있는 재혼자로 총 9인에 대한 사례연구와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재혼가족 부모의 새부모 역할경험을 살펴보았다. 범주화를 통하여 재혼가족부모의 역할경험에서 도출된 주제들은 모두 3개의 핵심범주와 14개의 하위 범주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청소년기 자녀 재혼부모는 재혼 초기에 새로 시작한 로맨스, 준비 안 된 결혼, 정서적 애착보다는 외로움으로부터의 탈출을 원함, 재혼상대에 대한 불신과 갈등, 부모-새자녀 간 친밀감 부족, 재혼가족 간 삼각관계, 새부모로서의 권위·권한의 부재, 친부모에 대한 충성심 갈등, 시댁친족관계에서의 소외감, 전혼자녀에 대한 차별 및 취약한 사회적 연계망 등의 불안정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남편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바탕으로 소속감과 연대의식이 형성된 한 가족으로 거듭 태어나는 새부모역할의 긍정적 경험도 갖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부모의 역할에 대한 가족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에 따라 재혼부모의 스트레스 감소방안에 대한 필요성, 재혼준비 교육 프로그램, 예비재혼부부 프로그램 및 재혼가족관계 강화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들은 재혼가족의 역기능은 예방하고 순기능은 기능적으로 작동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stepparenting role experiences of stepfamilies with adolescent stepchildren at home by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ine remarried couples with adolescent stepchildren such as middle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interviewed in depth. Qualitative case researches revealed three major categories and 14 sub categories related to the step-parenting role experiences: the unstable starts(newly beginning romances, lack of preparation in remarriage, escape from loneliness without emotional attachment), factors of negative role experiences as step-parents(mistrust or conflict toward remarriage spouses, lack of intimacy between parent-stepchild relationship, triangulation between step-family members, loyalty conflict to biological parents, lack of authority and power as step-parents, exclusion from husband's family, vulnerable social networks, spouse's differentiation to a child), and factors of positive role experiences as step-parents(spousal support and trust toward a husband, expectation and trust toward biological children, confirmation for belonging and united consensus). Based on these researches, there are giv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necessity of family welfare intervention to the stepparenting role such as stepfamily education program, or remarriage preparation program

      • KCI등재

        내세관과 죽음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미순 ( Mi Soon Kim ),하춘광 ( Choon Kwang Ha ),김효순 ( Hyo Soon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죽음과 관련된 요인으로서 내세관과 정신적 죽음준비도, 물질적 죽음준비도 즉 사후세계의 관념인 내세관과 죽음에 대한 심리적 혹은 행위적 반응으로서의 죽음준비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험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내세관에 관한 긍정적 관념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내세관과 생활만족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세관이 긍정적일수록 그리고 정신적 죽음준비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연구 가설이 지지되어 노인들의 내세관이 긍정적이고 정신적 죽음준비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죽음준비도의 하위요인으로서 물질적 죽음준비도가 전반적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물질적 죽음준비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세관 관련 죽음교육 프로그램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verify how positive thoughts of the afterlife and readiness for death influence the level of living satisfaction of the ag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view of the afterlife and the attitude towards readiness for death that the aged hav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we need to promote to positive thoughts of the afterlife through the oper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aged. Secondly, considering that one`s religious life may influence one`s mental level of death preparation, we need to collaborate with religious organizations. Thirdly, the operation of death preparation service programs to make the aged prepared for death w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living satisfaction of the ag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