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전공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공연자신감의 관계에서 무용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하지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s of unadaptive perfectionism, performance confidence, and dance stress of graduate students which are majoring in dance . A total of 320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March 3, 2020 to June 4, 2020 to dance majors (Korean dance, ballet, contemporary dance (contemporary, etc.) located in City J and D, and it was instructed to be written with a Self-administration method. Among 320 questionnaire results, a total of 296 were validated and used in the actual analysis while, 24 questionnaire results were excluded due to the lack of reliability in the responses. The measurement tools of the stud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used a five-step equilibrium scale (Likert scale) with a total of 55 questions. The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4 questions), unadaptive perfectionism (20 questions), dance stress (18 questions), and performance confidence (13 questions). Data analysis was done by IBM SPSS Statistics 23 version,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ifference verification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was drawn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gards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1) As a result of difference verification between genders, dance stress has been shown to be highly perceived in women rather than men. 2) As a result of difference verification between grades (year) unadaptive perfectionism was highly perceived by sophomores. Discriminatory evaluation stress of dance stress, environmental stress, economic burden stress, career stress was found to be highly perceived among the seniors. For the physical inability stress and human relationship stress, it was shown that sophomores perceived it to be higher. 3) As a result of difference verification between the majors, th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f the unadaptive perfectionist was highly perceived by ballet and contemporary dance. Differential evaluation stress of dance stress, dance injury stress was perceived higher in ballet. Economic burden stress was highly perceptive in contemporary dance and ballet. Contemporary dance and ballet perceived environmental stress higher. 4) Difference verification results based on the person's dance career showed that the suspicion of the act of unadaptive perfectionism was highly perceived by the group that had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The practical ability stress among dance stress was highly perceived in groups of less than three to five years of career. Performance confidence was high in groups of five to seven years and groups of more than seven years of career. Second,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unadaptive perfectionism, dance stress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1) the unadaptive perfectionism of dance majors has been shown to have a meaningful impact on dance stress. Concerns on the mistakes of unadaptive perfectionis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 with body form stress, dance injury stress, environmental condition stress. Suspicion about the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 with practical ability stress, human relationship stress and economic stress. Socially-imposed perfectionis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 with discriminative assessment, body form stress, practical ability stress, human relationship stress, economic stress, 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and career stress. 2) the misadaptive perfectionism for dance major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meaningful impact on performance confidence. Doubt on the act of unadaptive perfectionism had a negative correlation (-) with performance confidence. 3) the dance stress for college student in dance major has been shown to have a meaningful impact on performance confidence. The practical ability of dance stress and career stress were shown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 with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Third, for dance major students, dance stress had a mediated effect between unadaptive perfectionism and performance confidence.

      • 무용수 자화의 유형과 심리적 기능의 관계

        하지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ed to compare dancers' self-talk used in the dance scene by type and psychological function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dance at the department of dance in the colleges located in Seoul as of 2012 were selected and the dancers' self-talk by type and psychological function wa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s. The scales that are valid for this study were developed through the experts mee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dancers' self-talk and psychological function by background variable and verifying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the two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ifference of the type of dancers' self-talk by background variable: 1) The type of self-talk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ncouragement and performance strategy depending on the grade. 2) The difference in the type of self-talk depending on the majo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havioral guidelines. Second, in the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function of the dancers' self-talk by background variable: 1) The psychological function of the type of self-talk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grade. 2) The psychological function of the type of self-talk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strengthening and positiv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grad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dancers' self-talk and psychological function appeared to be all in the positive (+) correlation. Out of them, performance strategy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correlation in the positive evaluation of performance though it showed relatively low correlation. Fourth, in the effects of the type of dancers' self-talk on the psychological function: 1) It appeared that self-encouragement and motivation out of the sub-variables of the type of dancers' self-talk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positive emotional transition. In particular, the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effect. 2) It appeared that behavioral guidelines, self-encouragement and performance strategy out of the sub-variables of the type of dancers' self-talk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concentration strengthening.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strategy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effect. 3) It appeared that behavioral guidelines and performance strategy out of the sub-variables of the type of dancers' self-talk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positive evaluation of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strategy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effect. 4) It appeared that motivation and performance strategy out of the sub-variables of the type of dancers' self-talk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induction of helplessness. In particular, the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effect.

      • 일본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네'의 의미 기능별 사용 양상 연구

        하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언어 사용의 측면에 주목하여 담화표지 ‘네’의 다양한 의미 기능을 찾아 분류하고, 하위권과 상위권으로 구분된 일본인 학습자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네’ 의미 기능의 이해 및 산출에 있어서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이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정리한 뒤 크게 이해 측면과 산출 측면으로 구분되는 4가지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1-1은 학습자들이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는 의미 기능과 그렇지 않은 것을 분석하는 것이었고 연구 문제 1-2는 숙달도에 따라 이해가 높아지는 의미 기능은 어떤 것인지를 분석해내는 것이었다. 연구 문제 2-1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했을 때 학습자들이 ‘네’의 의미 기능을 적절한 빈도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었으며 연구 문제 2-2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비교했을 때 학습자들은 ‘네’의 의미 기능을 얼마나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해내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먼저 담화표지 ‘네’의 특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고의 논의의 중심이 되는 담화표지 ‘네’의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네’의 의미 기능은 총 13가지로 어휘 의미적인 것과 담화 기능적인 것으로 분류되었다. 어휘 의미적인 의미 기능에는 ‘질문에 대해 긍정적 응답하기, 주장에 대해 찬성하기, 제안·요청·명령 등에 대해 수락하기, 알고 있거나 새로 안 사실에 대해 수긍하기1, 언어적·비언어적 부름에 응답하기, 못 듣고 되묻기, 동의 요청 되묻기, 의심의 감정 표현하기, 놀람의 감정 표현하기, 주저의 감정 표현하기’의 10가지가 있고, 담화 기능적인 의미 기능에는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에 긍정적 맞장구 치기, 발화 상황에 대해 수긍하기2, 화자 자신의 발화 내용에 수긍하기3’의 3가지가 있었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피험자 선정 기준,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방법으로 사용된 이해 평가 도구와 산출 평가 도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그리고 예비 실험과 본 실험으로 이루어진 연구 절차, 마지막으로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 및 그 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주장에 대해 찬성하기, 제안·요청·명령 등에 대해 수락하기, 알고 있거나 새로 안 사실에 대해 수긍하기1, 언어적·비언어적 부름에 응답하기, 놀람의 감정 표현하기, 발화 상황에 대해 수긍하기2’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는 반면에 ‘질문에 대해 긍정적 응답하기,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에 긍정적 맞장구 치기’에 대해서는 하위권 학습자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였고 ‘못 듣고 되묻기, 동의 요청 되묻기, 의심의 감정 표현하기, 주저의 감정 표현하기, 화자 자신의 발화 내용에 수긍하기3’에 대해서는 하위권과 상위권 학습자 모두 잘 이해하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문제 1-1을 해결할 수 있었다. 둘째, 숙달도에 따라 ‘질문에 대해 긍정적 응답하기,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에 긍정적 맞장구 치기, 놀람의 감정 표현하기’에 대한 이해는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서는 연구 문제 1-2가 해결되었다. 셋째, ‘질문에 대해 긍정적 응답하기, 주장에 대해 찬성하기, 제안·요청·명령 등에 대해 수락하기’에 대해서는 적절한 사용 빈도를 보인 반면에 ‘언어적·비언어적 부름에 응답하기’에 대해서는 하위권 학습자들이 적절히 사용하지 못했고 ‘알고 있거나 새로 안 사실에 대해 수긍하기1,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에 긍정적 맞장구 치기, 못 듣고 되묻기, 동의 요청 되묻기, 의심의 감정 표현하기, 놀람의 감정 표현하기, 주저의 감정 표현하기, 발화 상황에 대해 수긍하기2, 화자 자신의 발화 내용에 수긍하기3’에 대해서는 하위권과 상위권 학습자 모두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연구 문제 2-1이 해결되었다. 넷째, 하위권 학습자 · 상위권 학습자 < 한국어 모어 화자 순으로 더 다양한 의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연구 문제 2-2를 해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고의 의의 및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담화·화용론적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연구 실적이 미진했던 개별 담화표지의 의미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담화·화용론적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일조하였다. 기초 자료로서 한국어 교육 현장뿐만 아니라 담화·화용론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교재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학습자들이 적절하면서도 다양한 ‘네’의 의미 기능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통해 체계적인 담화·화용론적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었다. 특히 하위권과 상위권 학습자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던 것을 미루어 볼 때, 기존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었다. 셋째, 응대하는 표지인 ‘네’를 연구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화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 대해 청자 또한 그 중심에 있어야 함을 주지시켜 주었다. In this thesis, the writer focused on the aspect of language use, and classification has been made having found out diverse semantic functions of the discourser marker, ‘Ne’, and targeting Japanese learners who were classified into lower rank and higher rank and the group of Korean native speakers as well, the researcher closel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understanding of semantic function of ‘Ne’ and yields thereof. This thesis consists of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writer has stat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elicited four kinds of research subjects through studies of the precedent works. The research subject 1-1 was to analyze the case in that learners showed difficulties in their understanding of semantic function, and also the other case in which they didn’t exhibit any difficulties. The research subject 1-2 was to conduct an analysis to find out what semantic functions w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The research subject 2-1 was to analyze if Japanese learners could use the semantic function of ‘Ne’ in an appropriate frequency comparing with Korean native speakers. The research subject 2-2 was to conduct an analysis to figure out to what extent Japanese learners could use the semantic function of ‘Ne’ diversely comparing with Korean native speakers. In Chapter Ⅱ, the writer 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discourse marker, ‘Ne’. The kind of semantic functions of ‘Ne’ was 13 in total, and was classified into lexico-semantic alternations and discourse-functional variations. There are 10 kinds of semantic functions, which are lexico-semantic, i.e. ‘to respond positively to inquiry’; ‘to say yes on a claim’, ‘to approve proposal, request, and order, etc.’; and ‘to agree on the fact that the learner already knew or that the learner comes to know newly’ 1; ‘to respond to verbal and nonverbal messages’; ‘to ask again having not heard’; ‘to ask back for agreement’; ‘to express suspicious feeling’; ‘to express the feeling of surprise’; ‘to express the feeling of hesitation’. There are three kinds of discourse-functional semantic functions, i.e. ‘to chime in favorably on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to agree on utterance situation’ 2; and ‘to agree on the contents of utterance of speaker, him or herself’ 3. In Chapter Ⅲ, the writer described the research methods. These include selection criteria for subjects, research subjects, and assessment tool for understanding which had been used as the method for material collection, the detailed contents relating to yield assessment tool, and research procedures composed of preliminary test and main experiment. Lastly, the writer described the statistical program and method thereof, which was used for analysis of research materials, in a sequential manner. In Chapter Ⅳ, the writer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from research revealed that: First, Japanese learners had good understanding about ‘to say yes on the claim of learners’; ‘to approve proposal, request, and order, etc.’; ‘to agree on the fact that the learner already knew or that the learner comes to know newly’ 1; ‘to respond to verbal and nonverbal messages’; ‘expressing the feeling of surprise’; ‘to agree on utterance situation’ 2, while lower ranked learners showed little understanding of ‘responding positively to inquiry’; ‘chiming in favorably on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and, regarding such the items as, ‘to ask again having not heard’; ‘to ask back for agreement’; ‘to express suspicious feeling’; ‘to express the feeling of hesitation’; ‘to agree on the contents of utterance of speaker him or herself’ 3, both lower ranked and higher ranked learners had little understanding.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solve the research subject 1-1. Second, understandings of ‘responding positively to inquiry’ and ‘chiming in favorably on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were improved according to proficiency.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solve the research subject 1-2. Third, Japanese learners showed an appropriate frequency of use in relation to the items such as ‘to respond positively to inquiry’; ‘to say yes on claims’; ‘to accept proposal, request, and order, etc.’, meanwhile, however, the lower ranked learners didn’t use the item, such as ‘to respond to verbal and nonverbal messages’ appropriately. And, as to the items, such as ‘to agree on the fact that the learner already knew or that the learner comes to know newly’ 1; ‘to chime in favorably on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to ask again having not heard’; ‘to ask back for agreement’; ‘to express suspicious feeling’; ‘to express the feeling of surprise’; ‘to express the feeling of hesitation’; ‘to agree on utterance situation’ 2; and ‘to agree on the contents of utterance of the speaker him or herself’ both lower ranked and higher ranked learners didn’t use them appropriately.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solve the research subject 2-1. Fourth, by an order such as, lower ranked learner - higher ranked learner < Korean native speakers, the learners could use more diverse semantic function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solve the research subject 2-2. Lastly, in Chapter Ⅴ, the writer has put all research results together, and stated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and suggestions. It is thought that this thesis shall be meaningful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by investigating the semantic function of individual discourse markers for which research works are still relatively poor in spite of many proposals put forward for necessity of discourse-pragmatic educations further, this research has contributed to developing discourse-pragmatic education providing the results therefrom for basic reference materials. Not only for loca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for development of textbooks focusing on discourse-pragmatic values,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as the basic materials. Secon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writer found out that Japanese learners couldn’t make use of varied semantic functions of ‘Ne’ in an appropriate manner, therefore, this finding enabled the writer to propose the necessity of discourse-pragmatic education. Specifically, from the fact that there were not many differences between lower ranked learners and higher ranked learners, the writer could have discovered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by taking the responsive marker, ‘Ne’, a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he writer has reminded the fac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also be carried out by putting the listener in the center of attention during discourse, and that such listener-oriented instruction is required to be applied to the locale of education where speaker-oriented conventional Korean language class has been conducted.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어 위치 및 어순 습득 연구

        하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부사어 위치 및 어순에 대한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이 간과하고 있었던 부사어의 교육적 효용성에 주목한 부사어의 위치 및 어순에 대한 논의로 교수‧학습 현장에서 무엇을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논의의 일환이었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문제를 도출하기 위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선행 연구는 한국어 및 영어의 부사어 위치 및 어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문제는 크게 세 가지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통사론적 층위의 부사어 위치에 대한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이었으며 두 번째 연구 문제는 담화·화용론적 층위의 부사어 위치에 대한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살피는 것이었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부사어들 간의 어순에 대한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는 다시 세부적인 질문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습득의 양상은 단편적으로 관찰될 수 없으므로 숙달도에 따른 차이 또한 각 연구 문제에서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부사어의 위치 및 어순 습득에 대한 것이었으므로 먼저 한국어 부사어의 통사론적 층위에서의 위치, 담화·화용론적 층위에서의 위치, 그리고 부사어들이 중첩하여 나타나는 어순 특성을 밝혀 기술하였다. 그 후 영어 부사어의 위치 및 어순 특성과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를 밝혔다. Ⅱ장에서의 논의를 통해 한국어와 영어의 부사어 위치 및 어순에 있어서는 차이점뿐만 아니라 유사점 또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학습자들의 습득에 다양한 변인으로 작용할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실시된 1, 2차 예비 실험의 내용과 수정 내용을 기술한 후 본 실험의 내용을 그 흐름에 따라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 연구 도구, 분석 도구, 분석 방법에 대해 상술하였다. 본 실험의 참여자는 중·고급 영어권 학습자와 비교 집단으로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 총 세 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집단별로 각 30명씩 모두 90명이었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도구로 부사어 위치 및 어순 평가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고 평가지는 총 3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었다. 평가지 유형 1은 통사론적 층위에서의 부사어의 위치에 대해 묻는 것이었고 평가지 유형 2는 담화‧화용론적 층위에서의 부사어 위치에 대해 묻는 것이었다. 평가지 유형 3은 부사어 어순에 대한 것으로 제시된 여러 부사어를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이었다. 집단별 응답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1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응답 자료의 특성에 따라 교차분석 또는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Ⅳ장은 Ⅲ장에서의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한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부사어의 위치에 대한 습득 양상과 부사어 어순에 대한 습득 양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기술하였다. 결과 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연구 문제 1과 관련한 통사론적 층위에서의 한국어 부사어 위치에 대한 습득 양상이었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수식 관계에 있는 부사어 위치는 잘 이해하지 못 했으나 호응 관계에 있는 부사어 위치는 상대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리고 숙달도에 따라서 이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는 연구 문제 2에 대한 것으로 담화․화용론적 층위에서의 한국어 부사어 위치 습득 양상이었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화자의 의도 강화를 위한 부사어의 이동과 화자의 의도 약화를 위한 부사어의 이동 모두를 잘 이해하지 못 하고 있었다. 그리고 숙달도에 따른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세 번째는 연구 문제 3과 관련된 한국어 부사어 어순에 대한 습득 양상이었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부사어들간의 어순에 대해 대체로 잘 이해하지 못 하고 있었고, 숙달도에 따라 그 이해 정도도 거의 향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요약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의 교육 현장에서 집중되어 온 단어 및 문형의 의미 습득에서 나아가 부사어라는 부가어적인 요소에 대해 조명하였다. 둘째, 상대적으로 부수적인 것으로 여겨져 온 위치 및 어순에 대한 인식 고취에 기여하였다. 셋째, 교육 현장에서 다루어야 할 부사어 위치 및 어순에 대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현장에 기여하는 바가 있었다. 넷째, 그간 교육 현장에서 상대적으로 도외시된 담화·화용론적 층위의 학습 대상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는 데에서도 그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그러나 한계점 또한 가진다. 영어권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언어권에 따라 학습자 특성을 다양하게 밝히지 못 했다는 점, 자료 수집의 방법에서 이해 양상을 살펴보아 실제 학습자들의 부사어 위치 및 어순에 대한 생산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 했다는 점, 방대한 부사어 자료에 비해 평가지에 포함된 부사어가 일부에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를 찾을 수 있겠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amine how native English speakers who learn Korean acquire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adverbials.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adverbials, focusing on its educational usefulness that has been paid less attention so far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how they should be applied on teaching and learning field. This study consists of following chapters. In Chapter I, the purpose of research is introduced and precedent studies are reviewed to find research questions. Literature review focuses on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Korean and English adverbial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First, this study examined how English speakers who learn Korean acquire the position of adverbials in syntactic levels. Second, it attempted to know how they learn adverbials in discourse and practical use. Third, this research looked into how they acquire the word order of adverbials. Thes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more specific questions. Since such linguistic acquisition cannot be observed sketchily, it needs to examine find if there is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by proficiency for each question. Chapter II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dverbial phrase. Because this study focuses on how native English speakers who learn Korean learn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adverbials, this study first analyzed and described the position of Korean adverbials in Korean syntax and discourse and pragma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 order such as overlapping. And then, the finding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pos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d order of English adverbials. From Chapter II, it was known that there are both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Korean and English adverbials. This finding allows us to infer these would affect, as variable, English speakers who learn Korean learn in acquiring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Korean adverbials. Chapter Ⅲ describes research method. The cont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reliminary studies are described for the main study. And then it explained the main study in order. Specifically, research participants, a research tool, analysis methods were elaborated. 90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I (30 native English speakers who learn intermediary Korean), Group 2 (30 native English speakers who learn advanced Korean), and Group 3 (30 Korean native speakers as a control group). As research tool to probe the research questions, 3 types of assessment report form of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adverbials were designed. Form 1 is about the position of adverbials in syntax. Form 2 asks the respondents about the position of adverbials in discourse and practical use. And Form 3 is about the word order among adverbials: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place suggested adverbials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by group, SPSS Statistics 21 program was employed for chi-square test and variance analysis. Chapter IV shows the results of analysis in Chapter III. In this chapter, detailed findings were described on how native English speakers who learn Korean acquire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Korean adverbials. The description of the results is largely divided into 3 parts. First, it was about the acquisition of the position of Korean adverbials in syntax (Question I). The finding shows that the English natives learners do not well understand adverbials in relation of modification, but well understand it in relation of response. And there is no difference by proficiency. Second, it was about the acquisition of the position of Korean adverbials in discourse and practical use (Question II). The finding shows that the English natives learners do not well understand the shifting (positional change) of adverbial phrase both in strengthening and weakening speaker's intention. And there is no difference by proficiency. Third, it was about the acquisition of the word order of Korean adverbials (Question III). The finding shows that the learners do not well understand the word order of adverbials in general. Their understanding on the world order of Korean adverbials is low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in Korea. In Chapter V, these findings were summarized based on Chapter IV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ighlighted the acquisition of additional language element to that of vocabularies and sentence patterns, which have usually stressed in educational field. Second, it contributed to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position and word order, which have been paid attention relatively less. Thir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adverbials, which have to be dealt in class. Fourth, it confirm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language in discourse and practical use again, which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educational field.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studied only on English native learners, so research subjects are not various. In addition, their acquisition of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adverbials were examined only with assessment forms. Therefore, it lacks in data from actual learning, so it could not reveal various aspects of learners acquiring the position and word order of adverbials. In addition, the number of adverbials listed in the assessment form is much smaller than that actually used in daily life.

      • 스마트폰 의존도가 초등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하지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의존도’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실태’, ‘협력적 문제해결력’, ‘자기통제력’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실태’는 다음과 같았다. ‘스마트폰 구매한 가장 큰 이유’는 모든 사용자군에서 ‘가족이나 주변 친구들과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을수록 사용 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사용의 ‘긍정적 측면’은 모든 사용자군에서 ‘어디서든 연락이 가능’이 가장 많았고, ‘부정적 측면’은 ‘일반 사용자군’에서 ‘건강상의 문제’, 과의존 위험군에서 ‘가족과의 대화 시간 감소’ 응답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사용 자기통제 여부’에서 스마트폰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비중’에서 스마트폰의 비중 및 중요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사용자군별로 응답 경향이 달랐다. 셋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따른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그 하위요인에서 모두 ‘일반 사용자군’, ‘고위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군’ 순으로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의존도’와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전체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에서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과의존 위험군은 표본 크기가 작아 상대적으로 상관관계가 낮았다. 넷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따른 ‘자기통제력’은 ‘자기통제력’과 그 하위요인인 ‘충동억제’, ‘유혹저항’에서 ‘일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고위험 사용자군’ 순으로 점수가 높았으며, ‘정서통제’ 하위요인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의존도’와 ‘자기통제력’은 ‘전체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에서 부적 상관으로 유의하였으나, 과의존 위험군은 표본 크기가 작아 상대적으로 상관관계가 낮았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고 스마트폰을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및 교육이 필요하다.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ze its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usage pattern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contr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martphone dependency’ based on gender. Second, the actualities of ‘smartphone usage patterns’ based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s follows. The ‘primary reason for smartphone purchase’ was ‘to communicate with family or friends’ across all user groups,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daily smartphone usage time’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with higher ‘smartphone dependency’,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ositive aspect of smartphone usage’ was consistently identified as ‘accessible communication from anywhere’ across all user group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aspect of usage’ revealed that ‘health issues’ were most frequently cited in the ‘general user group’, while ‘decreased family conversation time’ was predominant in the ‘over-dependency risk group’,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igher ‘smartphone dependency’ correlated with a tendency of inadequate self-control over smartphones in terms of ‘smartphone usage control’,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smartphone dependency’ increased, there was a tendency of an increase in the importance and proportion of smartphones in daily life smartphone usage,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frequently used smartphone features’ varied among user groups. Thir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its sub-factors based on ‘smartphone dependency’ were scored highest in the ‘general user group’, followed by the ‘high-risk user group’ and the ‘potential-risk user group’,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dependency’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was significant in the ‘total user group’ and ‘general user group’, while the ‘over-dependency risk group’ exhibited a lower correlation due to a smaller sample size. Fourth, ‘self-control’ and its sub-factors, excluding ‘satisfaction delay’ and ‘emotional control’ based on ‘smartphone dependency’, ranked highest in the ‘general user group’, followed by the ‘potential-risk user group’ and the ‘high-risk user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elf-control’ and ‘smartphone dependency’, excluding one of the ‘self-control’ sub-factor ‘emotional control’.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dependency’ and ‘self-control’ was significant in the ‘total user group’ and ‘general user group’, but the ‘over-dependency risk group’ showed a lower correlation due to a smaller sample size. In conclusion, it is crucial to educ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reduce ‘smartphone dependency’ and promote proper smartphone usage. In particular, in-depth research and education are needed for the ‘over-dependency risk group’.

      • 이완휴식 요가 프로그램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 -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수용을 중심으로 -

        하지혜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빠르게 대응하도록 요구받는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그에 부응하는 삶은 우리를 기민하고 불안하게 만든다. 이것이 반복되면 스트레스 반응이라는 만성적인 패턴을 만들어내게 되 는데, 이는 현대인들의 많은 질병을 유발한다. 한편, 요가는 UN에서 세계 요가의 날을 제정할 정도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국민생활체육 범주 안에서 대중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요가는 다이어트, 자세교정 등의 신체적 목적으로 주로 소비되고 있으며, 요가지도자 역시 요가 본연의 기능 및 효과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도구로 지지된 이완 자세와 호흡, 명상이 결합된 이완휴식 요가(restorative yoga)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완휴식 요가는 스트레스 감소에 탁월하고 내적 수련을 통한 자각, 수용, 자연성의 회복을 지향 한다는 점에서 바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이완휴식 요가 경험이 없거나 경험한 지 6개월 이내인 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8명을 각각 공개 모집하였다. 실험은 12주 동안 주 1회, 회당 90분간 서울시 D구에 위치한 A요가원에서 실시되었고, 본 실험에 활용된 이완휴식 요가 프로그램은 임상심리학자이자 요가지도자인 Forbes (2011)에 의해 고안된 불안 완화 프로그램(anxiety-balancing posture sequence)이다.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수용은 각각 상태불안 척도(STAI-S), 자아존중감 척도(RSES), 한국판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UASQ-R)로 측정되었으며,STAI-S와 RSES는 단일요인으로, UASQ-R은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과 공변량 분석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문제 1에 대한 결과로는, 이완휴식 요가를 경험한 실험집단의 상태불안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연구 문제 2에 대한 결과로는, 이완휴식 요가를 경험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 문제 3에 대한 결과로는, 이완휴식 요가를 경험한 실험집단의 자기수용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단, 3개의 하위요인 중 ‘판단분별로부터 자기수용’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완휴식 요가 프로그램은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과 자기수용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이완휴식 요가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이완휴식 요가를 소개하고, 그 이론을 정리하였으며, 이완휴식 요가가 심리적 건강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이완휴식 요가가 바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요가로 진정한 쉼을 경험함으로써 더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는 점에서 가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Hydroxyapatite를 이용한 향균성 응용 및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하지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fabricated novel antibacterial water filters and air filters using hydroxyapatite. Hydroxyapatite (HAp) powder was synthesized using CaCO3 and H3PO4 at 1350℃, as described. For antibacterial water filter, activated carbon was mixing with the HAp using. Antibacterial property of HAp filters was conducted by pour plate method and the requirements of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K 0693:2011). pH and calcium ion of water filtered by HAp filters was measured by pH meter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S). HAp filters had 99% of antibacterial effct about three kinds of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Klebsiella pneumonia ATCC 4352, Escherichia coli ATCC 25922) Then, pH and yield of calcium was 8.0 ~ 9.0 and 17.6 ppm averagely. The microstructure of the HAp-coated filter prepared via a spraying method was evalu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it was found that the HAp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formed a compact coating. We tested the apparent density and tensile strength of the coated filter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The apparent density of the coated filter was 369.25 g cm-3. Tensile strength of length and width section was 280 N and 270 N, respectively. The absorbability of the coated filter was tested to investigate whether HAp was capable of removing bacteria and viruses. A solution of 1% HAp particles displayed 90–99% absorbability. Finally,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evaluated, which demonstrated that the coated filter completely removed E. coli. Interestingly, we found that E. coli is removed by the HAp. Between HAp and E. coli attracted them together through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s and allow the HAp to retain the bacteria. 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of HAp is porous, E.coli is entrapped into the pores on the HAp surface and eventually removed from the environment. We confident that these factors influence the process of E.coli removal. These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our novel HAp coated activated carbon filter and air filter can effectively and dramatically remove contaminated Escherichia coli. As a result, we cautiously expect that these methods and materials could be a new direction for the generation of antibacterial water and air filters.

      • 세계박람회 주제구현을 위한 공간구축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하지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World Expositions have notably changed over time and have established the value of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on common tasks of humanity in the 21st century. If World Expositions have displayed or presented developm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past, today's World Expositions emphasize the realization which shows and delivers thematic consciousness that involves discussing and solving the common subject matter on humanity. The Bureau International des Expositions selects a theme for World Expositions according to its farsighted, wide applicability and universality, thus claims that the goal of spatial planning should be distinctly clear in order to pursue successful expositions. Visitors at exposition sites may or may not experience the theme with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crucial for the exposition's spatial planning to help practice thematic consciousness in life and its goal should be set to solve the problems of humanity for the better futu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value of World Exposition's theme and the followings are spatial planning for space realization. First, the definition, the purpose and the effect of World Expositions are theoretically considered. The change in characteristic of expositions from 'showing off' to 'practical' categorizes World Expositions by periods. In addition, this study defines the theme of World Exposition as 'an ideological framework of thematic space that brings experience to visitors. Second, in order to deliver the theme of World Exposition in a well-organized manner to visitors, the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the spatial planning by thematic development, thematic expression, and thematic utilization. In thematic development, the role of content classification and storytelling are mentioned. Thematic express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place and is defined as the place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and be aware of thematic consciousness. Thematic utilization explains about the cyberspace, which has become the place where the world can communicate and exchange ideas about the core part of the common tasks on humanity. And through a virtual space, a method of delivering thematic consciousness to the people who cannot visit an exposition site is proposed.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a method that can selectively utilize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by interacting between the cyberspace and the exposition site is also mentioned. Third, World Expositions require a physical space and within that specific space exist realizations which the theme is delivered. To lay out the space, factors are analyzed and summarized as follows. World Expositions from 2005 to 2012 are defined as 'The Era of Common Tasks on Humanity' and through the spatial planning case analysis, it is said that mediation, experience, contemplation, extension, flexibility and interaction are necessary elements for spatial planning. Moreover, with these elements and Expo Milano 2015 theme, Feeding the Planet, Energy for Life, a virtual spatial planning space is designed to demonstrate how thematic consciousness can be delivered through spatial planning. The above references are the fundamental properties for spatial planning of World Expositions and these properties display the aspects of thematic realization in order to establish World Expositions. This study is based on the value of World Expositions’ spatial planning and has a significance in creating and applying desirable future realizations at World Expositions. 세계박람회는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였고, 21세기 인류 공통현안의 주제로 전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과거 박람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상을 전시하거나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면, 현재의 박람회에서는 인류 공통의 문제를 논하고 해결하기 위한 주제의식을 보여주고 경험하는 공간을 강조하고 있다. 국제박람회기구(Bureau International des Expositions; BIE)는 미래성, 광범위한 적용성, 보편성을 포함하여 세계박람회의 주제를 선정하고, 주제를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가 분명해야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람회장에서 관람객들이 주제를 의식이나 무의식 속에서 경험하고, 삶 속에서 주제의식을 실천하는 것이 주제구현의 역할이며, 인류문제가 해결되고 더 나은 미래가 되는 것이 세계박람회 주제구현의 목표이다. 본 연구는 세계박람회의 주제가 갖는 가치에 주목하고, 주제구현을 하기 위한 공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첫째, 세계박람회에 대한 정의, 개최목적 및 효과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박람회를 시대별로 구분하여 박람회의 성격이 ‘과시’에서 ‘실용’으로 바뀌는 주제의 흐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세계박람회 주제에 대해 ‘박람회장은 주제라는 관념적 틀을 가진 공간으로 관람객들에게 주제를 경험하게 하는 행사’라고 정의하였다. 둘째, 세계박람회의 주제를 관람객에게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구현방법을 주제전개, 주제표현, 주제활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주제전개는 세계박람회의 주제가 전개될 때 콘텐츠의 분류와 스토리텔링에 역할을 언급하였고, 주제표현은 박람회장에서 관람객들이 주제를 경험하여 주제의식을 가지는 것을 장소성이라고 정의하고, 장소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주제활용은 디지털 사회가 되면서 세계박람회 주제의 핵심인 인류 공통의 문제가 세계적으로 소통하며 교류할 수 있는 사이버공간을 설명하였으며, 가상공간을 통하여 박람회장을 오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주제의식을 전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리고 박람회장에서 사이버공간과 상호작용하여 경험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세계박람회는 본질에서 물리적인 공간이 필요하고, 그 공간 안에서 주제를 전달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정리·분석하였다. 2005∼2012년의 세계박람회를 ‘인류 공통과제의 시대’로 정의하고 이 시대의 세계박람회 주제구현공간의 사례분석을 통해 매개성, 사색성, 체험성, 가변성, 확장성, 상호작용성의 요소가 주제구현공간에 필요한 요소임을 밝혔다. 또한, 이 요소를 이용하여 2015 밀라노엑스포 주제인 ‘지구 식량 공급, 생명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가상 주제구현공간을 디자인하여 박람회장에서 주제구현을 통해 주제의식이 전달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세계박람회 주제구현을 위해 박람회장의 근본적인 속성이며 이러한 속성은 세계박람회 공간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공간구축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박람회 주제구현의 가치에 근거한 세계박람회 공간에서 바람직한 미래의 공간으로 예비적 가치를 만들고 적용한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