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韓國人) 중풍(中風) 환자(患者)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유전자(遺傳子) 다형성(多形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하지영,김창환,고형균,Ha, Ji-young,Kim, Chang-hwan,Koh, Hyung-kyun 대한침구의학회 2003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0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gene polymorphism and stroke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58 stroke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and 61 healthy control subjects. Blood samples from all subjects were obtaind for DNA extration. The extracted DNA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PCR products were visualized by 2% agarose gel electrophoresis. Results : The sub-genotypes of ACE gene were II homozygotes, ID heterozygotes, DD homozygotes. While the distribution of ACE polymorphism in control subjects was 31%, 51%, 18%, the distribution of it in stoke patients was 33%, 52%, 16%(II, ID, DD). Th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stroke groups. Conclusions : we conclud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CE gene polymorphism and storke in Korean papulation.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need to be confirmed in large patients and further studies. Additional epidemiologicallly based studies of the effects and relationship between ACE or other genes and lifesyles with regard to stroke required.

      • KCI등재

        남희채(南羲采)의 「중향국춘추(衆香國春秋)」 소고

        하지영 ( Ji Young Ha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衆香國春秋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으로 필사본 1책, 73장으로 되어있다. 저자는 ``芝山逸人``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南羲采의 호이다. 남희채는 溫陽에 기거하면서 별다른 관직 없이 지내온 소북계 문인으로, 그 동안 龜磵詩話의 저자로도 주목 받아왔다. 양반계층이 급속도로 분화해나가는 19세기 현실에서 남희채는 지방에서 소외된 지식인의 전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선대로부터 내려온 지적 기반과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데서 발생하는 좌절감 및 무료감은, 그에게 전대에는 볼 수 없었던 방대한 시화집과 독특한 구성의 가전 문학을 저술하게 하는 동인이 되었다. 중향국춘추는 우선 그 방대한 분량에 있어서 가전체 및 花史의 전통에서 빠뜨릴 수 없는 작품이다. 아울러 내용 면서도 주목할 만한 점이 많은데, 本紀, 世家, 列傳 부분은 가전체의 형식을 기본적으로 가지면서, 시가 문을 압도하여 마치 꽃에 관한 시화집 형태에 가깝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志에서는 백과전서식 서술이 이어지고 있어 당대의 박학적 풍토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自敍」는 자전적 서술로, 일종의 작은 문집의 성격을 띠고 있는데 편차를 따로 나누지 않고 큰 서사 내에 자신의 작품을 배치한다는 것이 독특하다. 본책은 표면적으로는 기존의 가전 문학 양식을 차용하여 포폄, 권선징악의 뜻을 펼치겠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그 실상은 자기 취향의 정보가 밀집된 가상 공간을 설계하는 데 집중되고 있다. 남희채는 기존의 문학 장르를 변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가상의 세계를 구축하였는데, 이러한 작업에 무수한 지적 정보들이 동원된다. 본책은 문학의 방향이 점차 타자를 향한 발화가 아니라 自好의 문학으로 확대되어 나가는 징후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ntroduces Junghyang-Guk-Chunchiu, a personified biography of flowers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s a manuscript collection. Gisan-Ilmin(芝山逸人), a pen name of Nam Hui-Chae is recorded as an author of Junghyang-Guk-Chunchiu . Nam Hui-Chae has received a great attention as an author of Gugan-Shihhua(龜磵詩話), one of the longest Shihhua(talks on poetry) in the Chosun Dynasty. He lived in On-yang(溫陽) throughout his entire life leaving government service. In the 19th century, the highest class of the Chosun Dynasty, Yang-ban(兩 班), had drastically split into several sectors, and Nam Hui-Chae had affiliated with a socially alienated intellectual group. The frustration of his life and his intellectual family culture and tradition was a strong motive for his unique literary works differentiated from then-other works. First of all, Junghyang-Guk-Chunchiu was indispensable in Kajonche(假傳體) literature history, for it had a large volume of collection, e.g. ``Bon-Gi(本紀)``, ``Se-Ga(世家)``, ``Lie-Zhuan(列傳)``, ``Zi(志)``. In addition, it had departed from standard patterns of then-Kajonche Literature. For instance, he had described flowers in a variety of the poem and encyclopedic information about flower. At the end of the book, he added the story of his own life. On the surface, the book seems to write about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as personified biography of flowers, however, it rather implies his own world expressing his own fantasy. In conclusion, this book has a great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for he changed the trend of literature by focusing on self-satisfaction.

      • KCI등재

        왕세정(王世貞)과 조선 중,후기 한문 산문

        하지영 ( Ji Young Ha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This paper focuses on Wang Shizhen for his writings provide a clue which could explain the middle and late of Joseon literature. A study on Wang Shizhen is essential to understand Joseon literature, for, from the late six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likes and dislikes of the contemporaries to his literary works and theories were clear. In particular, his prose writings were being debated. Some people were negative to Wang Shizhen’s prose writings for his writing styles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his works were somewhat heterodoxy. However, others were optimistic for Wang Shizhen’s writings because of its narrative and formative properties, and positively responded to his fertile imagination in the literature. In fact, Wang Shizhen’s prose writings contributed to Joseon literature. First of all, for example, some writers directly quoted wordings or sentences from Wang Shizhen’s writings, and paraphrased them, and others even plagiarized his literature. This means Wang Shizhen’s writings were accepted as a new canon in Joseon literature. Secondly, Wang Shizhen embarked a new chapter in Joseon literature : His literature had influence on the contemporaries’ writing styles changed from disputatious to narrative and formative, made them deviating from their own standard, and gave them motives to exercise their imagination. Conclusively, Wang Shizhen’s prose writings were main sources to the contemporaries showed the tendency to Neo-Confucianism and their own literary value, when they created. On the one hand, writers of the day accepted Wang Shizhen’s writing style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dhered to their own logical and systematic writing styles influenced by the writing styles of Song Dynasty. A few active and independent authors wrote creative writings reflecting both Wang Shizhen’s prose writing styles and their own unique character.

      • KCI등재

        1920년대 전반기 군산의 일본인 阪上貞信의 제국의회 진출과 활동

        하지영 ( Ha Ji-yo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81

        사카가미 사다노부는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1906년 군산에 정착하였다. 사카가미는 군산거류민단 민장을 역임하면서 군산 내 각종 현안 사업과 지역개발 사업에 매진하는 한편 군산을 근거로 선남권업주식회사 설립해 경영하였고, 국유 미간지와 광산에도 투자하였다. 1910년대 중반부터는 군산과 경부선을 잇는 경편철도 부설도 계획하였다. 1920년 제14회 중의원 총선거에 출마해 야마구치현 대의사로 제국의회에 입성한 사카가미는 조선 문제를 중심으로 의정활동을 전개하였다. 조선으로의 보급금 확대, 철도ㆍ항만 등 기간시설에 대한 투자, 광산 개발 등이 사카가미가 발의한 대표적 안건들이다. 이 가운데서도 군산의 오랜 현안인 군산항 수축 문제를 해결하는 데 특히 열의를 보였다. 군산항은 조선의 대표적 쌀 이출항으로, 군산항 수축은 무역업을 근간으로 한 지역사회의 오랜 요망이었을 뿐만 아니라 본국의 식량문제를 해결할 산미증식계획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의정활동을 펼쳤던 사키가미는 중의원 내에서는 대표적인 ‘조선통(朝鮮通)’ 의원으로 분류되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배경으로 한 1920년대 전반기 조선 관련 문제가 정당 세력 간의 주요 논쟁점으로 부각된 가운데 일단의 ‘정치세력’을 형성한 조선관계 대의사의 역할은 매우 컸다. 군산의 일본인 사카가미의 대의 사로서의 활동은 조선 거주 일본인이 목소리를 제국의회로 전달해 그들의 이해가 식민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대변한 ‘로비스트(lobbyist)’이자 조선에 실정을 근거한 식민정책의 수립 방향을 제시한 제국의 ‘브로커(broker)’였다. Sakagami Sadanobu(阪上貞信) was born in Yamaguchi Prefecture and settled in Gunsan in 1906. Sakagami, who served as the head of the Gunsan Settlement Corporation, devoted himself to various pending projects an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Gunsan. He also founded and managed Seonnam Kwonup Corporation based in Gunsan, and invested in state-owned wasteland and mines. From the mid-1910s, he also planned the construction of a light railroad connecting Gunsan and Gyeongbu lines. Sakagami, who ran for the 14th general election of the Lower House of Representatives in 1920 and entered the Imperial Diet of japan as the representative of Yamaguchi Prefecture, carried out his legislative activities centered on the Joseon issue. Examples include expansion of supply funds to Joseon,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such as railways and ports, and mine development. In particular, he showed enthusiasm for the issue of the construction the port of Gunsan, a long-standing issue in Gunsan. Gunsan Port is the representative rice export port of Joseon, and the construction of Gunsan Port has been a long-time desire of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trade business, and it is necessary for the Rice Production Plan to solve the home country's food problem. Sakigami, who carried out these legislative activities, was classified as a representative “Joseontong(朝鮮通)” member of the Lower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Joseon-related issue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set in the backdrop of Daisho Democracy, emerged as a major point of contention among political parties, and the role of the representative of Joseon relations, who formed a group of “political forces,” was very significant. His activities as a representative of Sakagami, a Japanese in Gunsan, are ‘lobbyists’ who represent the Japanese living in Joseon so that their voices can be conveyed to the Imperial Diet of japan so that their interests can be reflected in the colonial policy. And He was the “broker” of the empire who suggested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colonial policy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in Joseon.

      • KCI등재

        육용정(陸用鼎)의 기몽(記夢) 연작 연구

        하지영 ( Ji Young Ha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0 한국고전연구 Vol.0 No.22

        본 연구는 19세기 새로운 글쓰기 방식을 보여주는 육용정(陸用鼎: 1843-1917)의 기몽 연작을 검토한 것이다. 총 9작품으로 구성된 기몽 연작은 전통적인 한문산문 양식을 차용하면서도 그 안에 다양하게 일탈과 변주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글과 글을 유기적으로 조직하는 연작 구도, 그리고 하나의 사건을 다양한 양식으로 재편성하는 방식은 기존의 한문 산문에서는 보기 드문 것이다. 기몽연작에서의 꿈은 <설몽>에서의 논해지고 있는 꿈과, 환진·곡흠으로 허구화된 꿈으로 두 가지 층위로 나누어 분석될 수 있다. 전자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이미지가 강조되어 나타나 극변하는 당시 시대상에 대한 메타포로 이해할 수 있다. 또 후자는 기존의 억압기제를 해제하고 본연의 자아를 발견하고자 하는 작자의 욕구로 독해된다. 이전 시대 한문학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자기 내면에 대한 깊은 탐구가 이 시기에 나오는 것은 흥미롭다. 이러한 기몽 연작은 이전 18세기부터 시도된 문예의 변화, 그 연장선에서 논의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회 및 문단의 판도가 달라지는 19세기 말 시대적 상황이 그 일탈을 자극했으리라 생각된다. This article approaches the Gi-mong serial works written by Yuk Young-jeong which shows new written style in 19 century. This serial works are composed of nine short compositions. While borrowing from traditional Chinese writing, these experiment with deviations and variations in various ways. These are rare works in Chinese classical prose, because all of work has one theme and is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one episode is reconstructed of a variety of styles. In Gi-mong serial works, the dream should be discussed in two ways. In <Seol-mong> constant changing image of dream in strongly emphasize, that can be understood as a metaphor for those fast-paced times. In others, by building fictional character-``Whan-jin`` and ``Goek-Hum``-that can be understood as deep desire of the writter for discovering self and deconstructing suppression mechanism. It is interesting the exploration of the deepest reaches of the human mind appeared in those times. Gi-mong serial works can be discussed in an extension of changing in literature from 18 century. Also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Late 19th-Century stimulates the desire for deviation.

      • KCI등재

        하계(霞溪) 권유(權愈) 산문 소고

        하지영(Ha Ji you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2

        숙종 연간 남인계 관각 문인들은 전대 문인의 상고적 정신과 문학적 시도를 계승하면서도, 자기들만의 독특한 문체를 발전시켜 나갔다. 이처럼 문예, 문체, 수사(修辭)에 대한 높은 관심은 전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숙종 연간 남인계 관각 문단을 대표하는 권유는 노론계 문인과는 다른 글쓰기 미감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은 자구의 조탁에 힘쓰고 생경한 전고를 끌어오는 등 난해성이 두드러진다. 인물의 삶을 기록하는 전장, 비지류의 글쓰기의 경우 대상인물을 적극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그대로 그의 삶을 보여주는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노론계 문인과의 차이를 드러냈다. 이러한 권유의 글쓰기 방식은 자신의 주관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보다 대상 인물의 삶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물론, 권유 문학에서 진단되는 난해성, 서사성을 남인계 문단 일반에 적용할 수 있을지 여부는 추후 다른 남인계 관각문인의 작품 분석이 병행되어야 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관명, 송시열 등의 노론계 문인의 글쓰기와 권유의 글쓰기가 보이는 차이가, 각 당파가 내세우고 있는 전범인 당송과 진한고문 간의 차이와 겹쳐진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권유의 문학은 기이한 개성의 반영이라기보다는, 당대 남인들의 요구와 취향을 극단적으로 추구한 결과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King Sookjong’s period, Namin(南人) Gwan-gak literati developed their own unique writing style while succeeding the antiquarianism and literary attempts of writers from the previous period. Thus, there is no precedent for the high interest in literature, style, and investigation seen in this period. Gwon-yu represents the Geungi Namin Gwan-gak literati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He exemplifies a different aesthetic of writing. His work has been intensifying the esotericism, such as his efforts of phrasing and quoting from the classics. In case of the writing of Jeonjangryu (傳狀類) and Epitaph (碑誌類) that record the life of the character, he showed the difference with the Noron(老論) writers by choosing to show a character’s life as it was rather than actively evaluating the character. The writing method of Gwon-yu can be evaluated as focusing on the life of the character rather than conveying his subjectivity to the reader. Of course, whether or not the esotericism and narrativity diagnosed in Gwon-yu’s literature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 Namin Gwan-gak literati sould be discussed in parallel with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Namin Gwan-gak literati. Of course, whether or not the esotericism and narrativity diagnosed in Gwon-yu’s literature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 Namin Gwan-gak literati should be discussed in parallel with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Namin Gwan-gak literati. Nevertheless, it seems clear that the differences in the writing of the Noron writers such as Lee Gwanmyeong, Song Siyeol etc. overlapp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ang-Song and Qin-Han Writings that exemplified the ideal model of Literature of each party. Gwon-yu’s literature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an extreme pursuit of the demands and tastes of the contemporaries of Namin, rather than a reflection of a unique individuality.

      • KCI등재

        미적 체험 중심의 아동미술 수업을 통한 예비보육교사의 미술 및 미술지도 관련 인식 변화 과정

        하지영(Ha,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는 미적 체험 중심의 아동미술 수업을 통해 예비보육교사의 미술 및 미술지도 관련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D시의 4년제 대학에서 아동미술 수업을 수강한 2학년 학생 40명이었다. 자료의 수집은 2017년 6월 15일부터 7월 18일까지 진행된 아동미술 수업의 전 과정과 결과물이 포함되어 있는 연구참여자들의 포트폴리오와 심층면담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의 미술 관련 인식은 전문가들만의 미술에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미술로, 틀에 박힌 미술에서 정답과 실패가 없는 미술로, 거리를 두었던 미술에서 이론과 실제를 통해 적극적으로 다가가는 미술로 변화하였다. 둘째, 미술지도에 관한 인식은 기술을 가르치는 미술에서 즐기는 태도를 경험하게 하는 미술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에서 진지한 고민으로, 미술지도를 잘 하겠다는 단순한 각오에서 구체적인 준비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 양성과정의 미술 수업에서 미적 체험의 중요성을 입증함으로써 미술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change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art and art education through art lesson based on aesthetic experience.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40 students who took classes on children’s art in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at D-city. The art lesson consisted of lecture, activiti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workshop activities, project, field trips, open-ended questionnaires, reflective journals, and portfolio. Data were collected from portfolio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a qualitativ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toward art were changed from art of professionals into art for everyone, from stereotyped art into art without correct answers and failures, and from keeping a distance into getting close through theory and reality. Second, their perceptions toward art education were changed from teaching art skills into having attitude of enjoyment, from vague fear into serious concerns, and a simple resolution into specific preparation. These results stressed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curriculum for art education. And directions in art education for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ere provided.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의 업무 실태 및 만족도 조사

        하지영 ( Ha Jiyoung ),윤형준 ( Yun Hyungjun ),김영교 ( Kim Young Ky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업무 실태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C시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 6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고유 업무의 중요도에서는 장애학생의 개인욕구지원, 교수-학습 지원, 그리고 문제행동 관리지원이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실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수행하는 업무로는 현장학습 도우미와 식사지도, 그리고 학교 내 이동으로 나타났다. 고유 업무 외 잡무여부를 묻는 응답에서는 “하고 있다”의 응답률이 높게 나왔으며, 잡무 유형으로는 담당학급과 교내외 청소, 그리고 사무 업무보조와 같은 행정업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만족도에서는 비교적 만족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만족하는 이유로는 수월한 학급업무와 수업진행에 대한 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당특수교사와의 협력관계 실태에서는 근무기간에 따른 다양한 업무전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업무관계에서도 상호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담당특수교사와의 협력관계 실태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담당특수교사와의 업무관계에서 만족하고 있는 반면, “인간적인 무시 면”에서 높은 불만족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특수교육보조원의 근무여건의 개선과 역할, 업무 만족도 등 특수교육보조원의 전반적인 업무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rk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68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t elementary schools in Changwon Cit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presented here: First, as for the importance of peculiar task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dividual need support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and problematic behavior support were their important tasks. The tasks they actually do the most were helpers on field trips, eating guidance, and movement inside schools. When they were asked whether they had miscellaneous duties in addition to their peculiar tasks, they responded that they do a lot. As for types of miscellaneous duties, classes, cleaning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office work assistance were investigated.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working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it was discovered that they were relatively satisfied because of easy class work and teaching support. Third, as for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used diverse communication ways and were cooperative each other. Fourth, as for satisfaction in cooperation between them, they were satisfied, but they were very unsatisfied in that they were ignored and did not have humane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task management wit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 KCI등재

        18-19세기 꿈의 형상화와 자기표현 방식 -기몽(記夢)류 산문을 중심으로

        하지영 ( Ha Ji 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6 No.-

        본고는 18-19세기 기몽류 산문의 특징적 양상을 조명하였다. 우선 꿈에 관한 인식이 꿈의 형상화와 자기표현 방식에 작용한다는 전제하에 꿈 담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자연적인 공간, 도덕적으로 제어 가능한 대상으로서 꿈을 이해하는 방식에서, 인간의 심리, 감정, 무의식의 자연스러운 발현으로 꿈을 이해하는 방식이 이 시기에 확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이전 시대 기몽 산문에 허구와 우언이 많이 가미되고 학문적 모델을 만나는 에피소드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다면, 18세기 이후에는 이러한 꿈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창작되는 한편 개성적 작가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기몽 작품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실제 꿈을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소품 형태의 글쓰기와 함께, 꿈을 통해 현실에서 통제되었던 감정을 확대 발산하거나, 꿈을 바탕으로 자신에 대한 깊은 성찰과 반성을 보이는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기몽 산문은 장르적 규식성이 약하기 때문에 오히려 당대 담론과 글쓰기 방식에 싶게 영향을 받는 유연성을 담지하고 있다. 역으로 말하자면 기몽 산문은 당대 담론과 글쓰기의 유행을 짐작할 수 있는 좋은 대상에 해당한다. 18-19세기 기몽 산문에서 우리는 소품적 글쓰기의 유행을 다시 확인할 수 있고, 인간의 감정과 자신에 대한 이해가 달라지는 것을 포착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윤리에 벗어나고 의리에 위배되는 꿈에 관한 기록이 등장하지 않는 것은, 또 조선 사대부의 글쓰기가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지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In this thesis, I investigated Essays on dream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ast writers show interest in dreams continuously, and discourse and writing about this changed with the times. In the Koryo period and early Joseon, Dreams were recognized as an opportunity to receive God`s will or to experience the transcendent world. After that, the dreams was thought could be controlled morally under the Neo-Confucian idea. After the 18th century, the discussion of understanding dream s as human psychology, emotion, unconscious natural expression expanded. A lot of fictional dream stories were written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Since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by strengthening Neo-Confucian, a lot of stories about dreams to meet academic models came out. Since the 18th century, these types of dream stories are constantly being created, but new forms of Essays on dreams are confirmed by individual artists. Small articles (Sopum) that continuously record their actual dreams appeared, In addition, a prose that reveals emotion through dreams, a prose that shows deep reflection of oneself after dreams was also written. Essays on dreams has a weakness in genre and modality, so it has the flexibility to be influenced by the contemporary discourse and writing style.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Gymont prose, we can confirm the fashion of Sopum, and understand how human emotions and understanding of oneself are chan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