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OC에 대한 대학교수 인식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하오선(Ha Oh sun),정민호(Jung Min h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교수의 MOOC 개발 및 참여, MOOC가 고등교육에 미치게 될 영향, 그리고 MOOC 개발 방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국내 MOOC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 종합대학에서 강의 중인 교ㆍ강사 267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6.8%가 교육자원 개방에 긍정적이며, 30%가 대학에서 MOOC를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둘째, 24.1%의 교수가 본인 강의를 MOOC로 개발할 의향이 있었으며 개발참여 이유는 교육자원의 개방ㆍ공유ㆍ참여에 기여, 교육자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중요한 이유로 제시했다. 셋째, MOOC가 고등교육에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해, 대학등록금 감소, 취업시장과 재교육 시장에 영향, 학문융합 흐름 주도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고, MOOC는 사이버강의와 다르지 않으며, 단지 강의 도중 보충 동영상자료로 활용되거나 새로운 교육방법도구로 활용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MOOC 강의를 선정하는 방식으로는 희망교수자(67%), 공모방법(44.2%)을 선호했다. 다섯째, MOOC에 교수들이 참여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제도적 과제는 자료 개발비 및 인센티브 제공, 수업기초자료의 저작권 문제 해결, 자료의 개발ㆍ제작을 위한 전문가의 도움 제공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출범한지 얼마 되지 않은 K-MOOC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필요한 MOOC 개발과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MOOC 개발 및 연구에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p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about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s)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the effects of MOOC on higher education and methods of MOOC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omestic MOOC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ith 267 professors and instructors from D University in Seoul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46.8% of the professors were positive about opening the educational resources and 30% of them thought that universities should develop MOOC. Second, 24.1% of professors were interested in developing their lectures using MOOCs. When asked about why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development, several different responses were gathered. 26.6 % of professors wanted to contribute to opening, sharing and participating the educational resources. 18.2% of professors thought that participating in MOOC development would fulfill their social obligations as educators. 11.8% of professor used MOOC as self-learning materials. Lastly, 10.0% of the professors thought that MOOC development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reputation of the universities. Third, regarding of the effects of MOOC on university education, they had a little negative view because of the reduction in university tuition(M=2.78), the impact on the employment market and the reeducation market(M=2.81) and the impact on academic convergence(M=2.82). Also, they recognized that MOOC isn t different from cyber lectures(M=3.40). Instead, it would be just used as supplementary video materials during lectures(M=3.31), or as new educational tools(M=3.30). Fourth, voluntary professor selection(67.0%) and public contests(44.2%) were the preferred methods in selecting MOOC participants. Fifth, seve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nd solved to encourage professors to participate in this developmen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funding for the material development and incentive for the professors(M=4.24). Other factors include copyrights regarding basic learning materials(M=4.17) and the help of experts on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materials(M=4.05). This paper provides the information on regulation and development of MOOC to successfully stabilize the K-MOOC which has been established less than one year. Furthermore, its purpose is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future MOOC development and research.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국내 대학 학습실태 및 학습태도에 관한 사례 연구

        하오선(Ha, Oh-Sun),신나민(Shin, Nami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4

        This study explored Chinese students' overseas learn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identifying facts related to learning behavior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s learning at a tertiary level education in South Korea. Data were drawn from a survey with 253 Chinese students who enrolled at D University in the Fall semester, 2011. The analyses of the data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more than 91% of the Chinese students were preparing their classes and/or revisiting what they had learned; but they had a great deal of difficulties with learning due to the problems with the Korean language an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matter as well as the lack of communications with peer Korean students and professors. Secondly, a group of students who had positive learning attitudes were likely to be more satisfied with teaching methods, assistance from Korean students and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the University. Thirdly,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quality of lectures’, ‘interaction with professors’, ‘interaction with Korean students’, ‘grades’, and ‘Korean language aptitud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learning attitude variable, explaining 47% of the varianc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environments of Chinese students who enrolled in a university in South Korea, along with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supporting overseas students' learning as well.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학부 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습실태를 살펴보고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4년제 종합대학인 D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부터 수집된 253명의 설문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유학생의 91.7% 이상이 예․복습을 하고 있지만 한국어 실력 부족, 전공 공부의 어려움, 교수 및 한국 학생과의 상호작용 부족 등으로 인해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의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업의 질’, ‘교수와의 상호작용’, ‘한국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점’이었으며 이 변인들이 학습태도 변량의 4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태도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수업의 질, 교수의 지도방식, 한국 학생의 도움, 외국인 지원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을 비롯하여 국내 대학의 유학생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및 실천적 함의가 제시된다.

      • KCI등재

        연계(융합)전공 졸업자의 연계(융합)전공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하오선(Ha, Oh-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연계전공 이수 졸업자의 연계전공에 대한 인식, 연계전공의 취업도움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여, 연계전공 이수자 지원 및 융합교육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대학에 개설된 연계전공을 이수하고 졸업한 학생 5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116(21.6%)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계전공 이수 졸업자들이 연계전공을 신청한 이유는 지식을 확장하기 위해서(25.2%), 취업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19.7%), 커리큘럼을 보고 관심이 가서(18.3%), 본인의 전공에 만족하지 못해서(13.3%)였다. 둘째, 연계전공을 알게 된 경로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홍보가 69.1%, 인적 홍보가 21.5%였다. 셋째, 연계전공 이수 시 어려움은 행정서비스의 부족(19.9%), 함께 공부할 동료의 부재(17.2%), 융합의 모호성(16.4%), 기대에 못 미치는 수업내용(13.3%)이었다. 넷째, 졸업생의 44.1%가 연계전공 관련분야에 종사하고 있고, 60.6%가 연계전공이 취업에 도움이 되었고 생각했다. 다섯째, 연계전공이 취업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연계전공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빈도, 취업 면접 시 연계전공 관련 질문을 받은 경험, 연계전공 담당 교수와의 상담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연계전공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interdisciplinary majors among graduates of interdisciplinary majors to support learners who have completed interdisciplinary major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substantiality plans of convergence education. For this study, there was a survey with 538 graduates, who completed the interdisciplinary major at D University in Seoul and questionnaires from 116 respondents(21.6%)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s for applying were ‘because I wanted to broaden my knowledge’ (25.2%), ‘help me get a job’ (19.7%), and ‘because I m not satisfied with my major (13.3%). Second, the graduates got to know about the interdisciplinary major through school promotion(69.1%) and through human promotion(21.5%). Third, the graduates responded they had difficulties in completing the interdisciplinary major because of a lack of administrative services(19.9%), an absence of colleagues to study together(17.2%), ambiguity of convergence(16.4%) and disappointing class contents(13.3%). Fourth, 44.1% of the graduates are engaged in the interdisciplinary major-related fields and 60.6% of them thought the interdisciplinary major helped them find a job. Fifth, the group of the graduates thinking that the interdisciplinary major was helpful in finding a job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frequency of engagement in the interdisciplinary major-related fields, experience in being asked questions about the interdisciplinary major during job interviews and counseling with professors in the interdisciplinary major than the group with the opposite view.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level of perceptions of satisfaction with the interdisciplinary major class.

      • KCI등재

        평생교육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장애 요인 탐색과 학업중단의사에 따른 인식 차이- D대학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하오선(Ha Oh-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평생교육 단과대학 학습자의 학습장애요인을 밝히고, 학업중단의사에 따른 학습장애요인, 강의 및 학사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지속적 학업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대학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8.3.24.-4.21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분석에는 114명(70.8%)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는 총변량을 64.9%를 설명하는 4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학사장애’, ‘공부장애’, ‘강의장애’, ‘외적지원장애’로 명명하였다. 이중 ‘외적지원장애’ 요인과 ‘공부장애’ 요인을 상대적으로 높이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업중단의사는 강의와 학사운영에 대한 인식보다는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강의에 대한 인식은 총변량 63.3%를 설명하는 2개 요인이 도출되었고, ‘학습자 고려 강의’, ‘체계적인 강의’로 명명하였다.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강의 설계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넷째, 학사운영과 관련해서 입학 전 사전 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진로지도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하지만 유연한 학사제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평생교육단과대학 학습자의 학업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which help in seeking plans for sustainable learning of lifelong education college adult learners and, implications by analyzing learning obstacle factor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learning obstacle factors, lectures and academic affairs depending on the school dropout intention. For this study, there was a survey targeting D lifelong Education college students in Seoul from March 24th to April 21st 2018, and the data from 114 students(70.8%)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4 learning obstacle factors explaining 64.9% of the total variance were extracted and they were named as an ‘academic affairs obstacle’, a ‘study obstacle’, a ‘lecture obstacle’ and an ‘external support obstacle’ respectively. Among them, the ’external support obstacle’ and the ‘study obstacle’ were highly perceived relatively. Second, the school dropout intention was affected by the preception of learning obstacles rather than the perception of lectures and academic affairs management. Third, in relation to the preception of lectures, 2 factors explaining 63.3% of the total variance were extracted and they were named as a ‘lecture considering learners’ and a ‘systematic lecture’ respectively. It was supposed that there is a very high demand for systematic lecture design, which takes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into consideration. Fourth, in terms of academic affairs management, there was a demand for preliminary education before entering the school,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career guidance. However, students showe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academic affairs system.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results can serve as underlying data to sustain learning of lifelong education college learners.

      • KCI등재

        대학 교수자와 학습자의 원격 수업을 위한 물리적 학습 환경 실태 비교 분석 -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하오선 ( Oh-sun Ha ),김수영 ( Su-young Kim ),정민호 ( Min Ho Jung ),나윤주 ( Yoonjoo Na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4

        이 연구는 대학에서 원격수업에 참여하는 교수, 학생의 물리적 학습환경 실태 및 수요를 살펴보고,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D대학의 교수ㆍ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는 대면수업을, 학생은 원격수업을 더 선호하였으며, 원격수업 유형별로는 교수, 학생 모두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교수는 연구실에서 원격수업을 진행하는 비율이 높았고 학생은 집에서 수강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교수는 직급, 계열, 성별로, 학생은 계열과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원격수업 시 활용 기기에 있어서 교수는 주기기, 주변기기를 학생보다 더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었으나, 직급, 계열별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교수, 학생 모두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제공되는 온라인 플랫폼 및 학습관리시스템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교의 원격수업을 위한 기기 지원은 교수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학생 역시 기기 지원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 원격수업 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교수-학생, 학생-학생 간 물리적 학습환경의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좀 더 적극적이고 세심한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demand for and environment of physical learning environments of professors and students participating in distance classes at universities and to seek support measur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professors and students at D university in Seoul, and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Firstly, professors preferred face-to-face classes and students preferred distance classes. When it comes to distance class types,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synchronous interactive classes, but students preferred content-based classes more than professors did. Secondly, the laboratory was the most common physical location professors reported teaching distance classes from, but there were differences based on position, department, and gender. Home was the most common location students participated in distance classes from, bu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department and age. Thirdly, as for devices used in distance classes, professors had more main and peripheral devices than students,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position and department. Fourthly, both of professors and students were using online platform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s officially provided by the school. Fifthly, device support by schools for distance classes was more concentrated on professors than on students, and students showed high demand for device support. Therefore, more active and careful support of the distance class physical environment will be necessary at the university to avoid creating a gap in the physical learning environment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of different mea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