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과매개모형을 활용한 영어 사교육 참여의 학업성취도 향상효과 분석

        하여진(Ha Yeo jin),박현정(Park Hyun Je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1

        이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에 인과매개모형을 적용하여 서울시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사교육 참여의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의 선택편의만 조정하여 분석했을 때,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를 매개로 중학교 3학년 시기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와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음으로,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의 선택편의만 조정하여 분석하면,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를 매개로 중학교 3학년 시기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만,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와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의 선택편의를 모두 조정한 인과매개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를 매개로 중학교 3학년 시기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중학교 2학년 시기 사교육 참여가 중학교 3학년 시기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전체효과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사교육 참여의 선택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일반매개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verage causal mediation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seoul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To achieve the purpose, causal mediation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Imai, Keele, & Tingley(2010) is applied.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comprise the first to third year SELS(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and direct effect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year were significant when controlling the selection bias of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year.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year was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when controlling the selection bias of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third year.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year was significant, but the direct and the total effect were not significant, when controlling both of the selection bias of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second and third year.

      • KCI등재

        직무일치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하여진(Ha Yeo ji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직무일치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화경향점수 역확률 가중치를 적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직무일치도는 교육일치와 기술일치 두 측면에서, 직무만족은 내적 직무만족도와 외적 직무만족도 두 측면에서 살펴보아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높은 교육 및 기술수준은 내ㆍ외적 직무만족도를 감소시키며,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낮은 교육 및 기술수준은 내ㆍ외적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높은 교육ㆍ기술수준은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낮은 기술수준도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낮은 교육수준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일치가 외적 직무만족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적 직무만족도를 통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기술일치가 내ㆍ외적 직무만족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불일치가 이직의도로 이어지는 관계를 완화하기 위해 직무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드러난 외적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정한 인사체계와 기술수준에 맞는 보수 체계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직무일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드러난 기술일치를 높이기 위한 대학에서의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과 직장에서의 적응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 및 멘토링 제도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To achieve this, 2013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pplying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inverse probability metho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education mismatch and over-skill mismatch decrease the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o this, the under-education mismatch and under-skill mismatch increase the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Second, the over-education mismatch and over-skill mismatch directly affect on increasing the intention to leave. The under-skill mismatch also in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but the under-education mismatch does not directly affect on intention to leave.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ex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in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s both of external and in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kill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roving job stability, welfare system, and personnel management fairness are needed to improve external job satisfaction which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mismatch and the intention to leave. Second,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infra and job training which can improve job match and job adjustment are required to reduce the frequent turnov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