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河秀昊

        하수호 釜山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63
      • 초고층 디자인을 통해 관광거점 장소성 확보를 위한 하부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 서울 강남권을 위한 한전부지 사용을 중심으로

        하수호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건축문화적 가치관은 두가지 시각에서 개진될 수 있다 하나는 외적 형태에 관한 견해로 건축물 그 자체의 거리의 조형성 또는 상징성에 대한 평가와 건축물은 거리의 공적 외관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이기 때문에 초고층 건축물이 지니는 랜드마크나 심볼(symbol)로서의 이미지는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초고층 건축물의 활용방법은 인구의 과밀화 및 도시 환경개선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도시 관광의 인프라 형성에 또 다른 전환점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 2000년대 전후 한국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능력주의 : 가부장제와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하수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depiction of ‘Meritocracy of Love’ in Korean novels produced around the industrialization era and following the IMF crisis. The analysis critically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love within the contexts of patriarchy and neoliberalism, while also identifying depictions of love that are not confined by these dominant ideologies. The ‘Meritocracy of Love,’ initially perceived as individuals evaluating conditions and capabilities under societal norms, is reinterpreted in this study. This redefinition views the ‘Meritocracy of Love’ as an act where individuals thoughtfully consider the necessary conditions and capabilities for love in relation to social norms. The objective is to demonstrate the ambivalence in the ‘Meritocracy of Love,’ suggesting that love is not consistently dominated by prevalent ideologies. The paper argues that the capability for such a nuanced form of love is achievable. For this analysis, the term ‘Meritocracy of Love’ is applied in a dual sense in the examination of Korean novels from the 2000s. While individuals might internalize the ideologies of patriarchy and neoliberalism, in the act of loving, they display subjectivity, thereby showcasing forms of love that do not fall under the shadow of these ideologies. The study observes that the dual nature of the ‘Meritocracy of Love’ opens possibilities for conceptualizing love relationships that are not oppressed by dominant ideologies. The selected novels for in-depth analysis reflect specific periods and themes.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era in a patriarchal society, women and men are shown practicing romantic love and fulfilling their roles within the gender-based division of labor as part of the ‘Meritocracy of Love.’ Women accept the conditions and capabilities needed for the roles of wife and mother as fundamental to love, whereas men consider economic strength essential for the patriarchal role as vital for love. The study uncovers a critical aspect of the ‘Meritocracy of Love,’ where both genders navigate the challenges of gender inequality and the oppressive dynamics of capitalism. On the flip side, the ‘Meritocracy of Love’ also involves women and men actively engaging in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a patriarchal society to ensure life’s safety and happiness. This exploration reveals the ‘Meritocracy of Love’s potential in enabling romantic love to transcend the restrictions of patriarchal oppression. The study next turns its focus to the period following the IMF economic crisis, characterized by the emergence of neoliberalism and a shift from romantic love to intimate relationships. This period has seen a variety of expressions of the ‘Meritocracy of Love.’ In this context, the ‘Meritocracy of Love’ is observed as individuals either embracing or opposing social norms, based on their valued life within societal relationships. The research highlights a critical dimension of the ‘Meritocracy of Love,’ which may hinder the development of intimate relationships. Conversely, the study also notes a positive aspect, where individuals, amid repeated challenges in intimate relationships, reassess the essential conditions and capabilities for such connections. This process is found to prompt individuals to rethink intimate relationships from new angles, stimulating the imagination of novel possibilities within these relationships. By focusing on the portrayal of love in Korean novels from the industrialization era and the period after the IMF crisis, the study critically demonstrates the connection of the ‘Meritocracy of Love’ with the ideologies of patriarchy, capitalism, and neoliberalism. At the same time, it reveals how the ‘Meritocracy of Love’ intersects with individuals’ pursuit of safety and happiness, presenting examples of love that rise above dominant ideologies. This facet is recognized as a positive inherent element of the ‘Meritocracy of Love.’ The study, therefore, emphasizes the ambivalence within the ‘Meritocracy of Love,’ acknowledging that the personal subjectivity of individuals in specific love contexts can lead to forms of love that escape the bounds of prevalent ideologies. These manifestations are considered examples of the ‘capability of love,’ envisioning relationships that exist outside the dominion of dominant ideologies. Through this examination of the ambivalence in the ‘Meritocracy of Love’ as depicted in Korean novels from the industrialization era and post-IMF crisis, the study seeks to expose the present-day challenges of love. This paper also aims to show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subjectively confront and resolve these issues in love. 본 논문은 2000년대 전후 산업화 시대 및 IMF 경제 위기 이후라는 두 시기에 생산된 한국 소설에서 ‘사랑’을 재현할 때 나타나는 ‘능력주의’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논문은 사랑을 가부장제와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로 해석하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면서, 이러한 지배 이데올로기에 포섭되지 않는 사랑의 양상을 찾으려고 한다. 사랑의 능력주의는 표면적으로 해석할 때, 사회적 규범의 억압에 의해 개인이 조건과 능력을 따지는 행위를 의미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사랑의 능력주의는 개인이 주체적으로 사회적 규범을 고려하여 사랑에 필요한 조건과 능력을 생각하는 행위로 규정하고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사랑의 능력주의에는 비판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의 양가성이 존재하여 사랑이 늘 지배 이데올로기에 포섭되는 것만은 아님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사랑의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2000년대 전후 한국 소설을 분석하면서 ‘사랑의 능력주의’를 양가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한 개인은 가부장제와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할 수밖에 없지만, 사랑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주체성을 발휘하여 가부장제와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섭되지 않는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본 논문은 사랑의 능력주의에는 양가적인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배 이데올로기에 억압받지 않는 사랑의 관계를 상상하게 하는 측면이 있다고 파악한다. 구체적인 분석 대상이 되는 소설의 시기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화 시기의 가부장제 사회를 배경으로 여성과 남성은 낭만적 사랑을 실천하고, 성별 분업 체계에 해당하는 역할을 ‘사랑의 능력주의’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여성은 아내이자 어머니의 역할에 필요한 조건과 능력을 사랑에 필요한 것이라 수용하고, 남성은 가부장의 역할에 필요한 경제력을 사랑의 조건과 능력으로 인식한다. 여기에서 본 논문은 ‘사랑의 능력주의’에는 여성과 남성에게 젠더 불평등한 권력과 자본주의 억압 체계를 경험하게 하는 비판적인 측면이 있음을 확인한다. 다른 한편 ‘사랑의 능력주의’에는 여성과 남성이 가부장제 사회에서 삶의 안전과 행복을 담보하기 위해 주체적으로 성별 분업 체계를 실천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논문은 ‘사랑의 능력주의’에는 낭만적 사랑을 가부장제의 억압 너머에 존재하게 하는 가능성이 있음을 분석한다. 둘째, 본 논문은 IMF 경제 위기 이후에 신자유주의 사회가 도입되고, 낭만적 사랑이 친밀한 관계로 대체되면서 ‘사랑의 능력주의’가 다양하게 나타난 사실에 주목한다. 이때 ‘사랑의 능력주의’는 개인이 사회와의 관계에서 스스로 가치 있다고 여기는 삶을 따라 사회적 규범을 수용하거나 저항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 본 논문은 ‘사랑의 능력주의’가 개인간의 친밀한 관계 형성을 어렵게 하는 부분을 비판적인 측면으로 관찰한다. 다른 한편, 개인이 친밀한 관계의 실패와 좌절을 반복하면서 친밀한 관계에 필요한 조건과 능력을 새롭게 고민하는 지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논문은 ‘사랑의 능력주의’가 기존의 친밀한 관계와는 다른 관점에서의 친밀한 관계를 개인이 사유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친밀한 관계의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하게 한다고 파악한다. 요컨대 본 논문은 2000년대 전후 산업화 시대와 IMF 경제 위기 이후라는 두 시기에 생산된 한국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재현에 주목함으로써, 사랑의 능력주의가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와 관계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보여준다. 다른 한편, 사랑의 능력주의에는 삶의 안전과 행복을 추구하는 개인의 주체적인 욕망이 결부되면서, 지배 이데올로기에 포섭되지 않는 사랑을 보여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다. 이를 사랑의 능력주의에 내재한 긍정적인 측면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사랑의 능력주의에 있는 양가성에 주목하고, 사랑을 수행하는 개개인의 구체적인 상황 속에는 개인의 주체성이 있기 때문에 지배 이데올로기에 포섭되지 않는 사랑의 경우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경우들은 지배 이데올로기에 포섭되지 않는 관계를 상상하게 하는 ‘사랑의 능력’에 해당한다고 제시한다. 이처럼, 본 논문은 2000년대 전후 산업화 시대와 IMF 경제 위기 이후라는 두 시기에 생산된 한국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능력주의의 양가성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사랑이 갖는 문제점을 드러내는 동시에 개인이 주체적으로 그러한 사랑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