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이 창업자 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태헌 원광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the past, the Korean economy has developed rapidly under the initiative of export-driven growth policy, but recently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s well as the domestic economic slowdown are continuing to widen due to jobless growth, dual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etc. In order to reverse the economic downturn, such agenda as economic revitalization, easing job shortage and creation of new jobs have emerged as the Korean government's key tasks. Although the government is introducing various policies to overcome this economic crisis, what really needs indeed is to map out practical as well as fresh new policies to revitalize the economy in a wa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aradigm. In the midst of this trend, startups of business are being proposed worldwide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issues of unemployment and economic crisi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support from a business incubation center can affect the startup founders' competency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to analyze the founders' capability through support of a business incubation center to see how these factors can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 startup company.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s of supports from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 and the capability of the founder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may thus be used as data for growth and upbringing of startup companies in the future. Such result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of a business incubation center and the founders' competency, it was learned that, among the factors in which the support from a business incubation center influences the startup founders' competency, the support for facilities, space, incubation and startup training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 effect upon the founders' competency, whereas the support of a business incubation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of startup companies exercises no impact on the startup founders' competency. Second, the analysis of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founder's competency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revealed that all factors including management, technological capacity, financing ability, and networking competence among those in which founder's competence influences the company's business performance can positively (+) affect the business achievements of a company. Consequentl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founder's competency has a decisive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Third, it was made known from the analysis of impact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of a business incubation center and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that all the factors including the supports for commercialization, startup training, facilities, space and incubation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show that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he founders' capabilities in order to maximize the startup companies' growth and business performance. To this end, startup founders need to properly utilize the supports from business incubation centers and,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should prompt the former to make good use of various measures of supports provided, and take initiative to improve efficiency of implementing such measures. Since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particularly that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of the companies housed in a business incubation center does not yield a significant effect on startup founder’s competency, it is thought necessary to introduce measures to judge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provided by a business incubation center and to improve such supports.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should mobilize all resources possible to work out a variety of programs to support the in-housed companies for their survival and growth by not only improving the existing programs for supporting business diversification, commercialization, startup training, facilities, space and incubation but also by providing differentiated supports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pecialized areas which aim to strengthen the startup founder's capabilities and enhanc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In addition, startup founders are request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because they would not be in a position to effectively deriv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ir companies if they are found to lack the capacity to accept or utilize the excellent support programs and infrastructure such as funds and technologies provided from business incubation centers. In this connection, the study found that, in order to maximiz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startup founders should not stop making hard efforts to strengthen their own competency and, for this purpose, they should strive to find chances to make optimum use of the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Lastly, it was confirmed from the study that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should continuously endeavor to develop and supplement the startup support program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tartup founders' competency and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tartup companies. 대한민국 경제는 과거 수출주도형 성장으로 빠르게 발전하였으나 최근 대한민국 경제는 고용 없는 성장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등으로 인한 내수 경기침체 및 빈부 격차는 계속해서 이어져 가고 있다. 이러한 경기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경제 활성화와 취업난 해소 및 일자리 창출은 정부의 핵심과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다. 정부는 이러한 경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지만, 기존 경제 패러다임과 다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제도와 새로운 정책 수립이 필요한 현실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 세계적으로 실업 문제와 경제적 위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창업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이 창업자의 역량 및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을 통한 창업자의 역량을 분석하여 이 요소들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 결과로 파악된 창업보육센터의 지원과 창업자의 역량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들은 앞으로 창업기업의 성장 및 육성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보육센터의 지원과 창업자의 역량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이 창업자의 역량에 미치는 요인 중 창업보육센터의 시설・공간・보육과 창업 교육 지원이 창업자의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보육센터의 사업화 지원은 창업자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자의 역량과 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창업자의 역량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 중 경영・기술 역량, 자금조달 역량, 네트워크 역량의 모든 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창업자의 역량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창업보육센터의 지원과 기업의 경영성과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 중 사업화 지원, 창업교육지원, 시설・공간・보육 지원 중 모든 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창업기업의 성장과 기업의 경영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창업자의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창업자는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며 창업보육센터는 이러한 다양한 지원을 창업기업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알리고, 기업의 역량과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실행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특히, 창업보육센터의 입주기업에 대한 사업화 지원이 창업자의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나타내는 연구 결과에 따라 창업보육센터에서 제공하는 사업화 지원에 관한 실효성 여부와 개선에 대한 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창업보육센터는 창업자의 역량 강화와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 교육 지원, 시설・공간・보육 지원 등 지원프로그램의 다각적인 개선과 창업보육센터 마다 지역적 특성 및 특화된 분야를 활용하여 차별화된 지원을 통해 입주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업자는 역량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창업보육센터에서 자금, 기술 등 훌륭한 지원프로그램과 인프라를 제공해도 창업자가 이를 받아들이거나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다면 기업의 경영성과를 효과적으로 끌어낼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창업자는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를 적절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업보육센터는 창업자의 역량 강화와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을 위해 지속해서 창업지원프로그램에 개발과 보완을 해야 함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 원불교 사상에 근거한 환경경영의 패러다임 정립에 관한 연구

        김영호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Today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world, global warming,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and pollution by chemical materials are in fast progress. Pollution problems are the important tasks for the world enterprises as well as the domestic to solve. This thesis, in relation with this environmental management, analy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case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ries to find the way of the introduction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into the Won-Buddhist industrial institutions. So far major enterprises and advanced nations have endeavored to d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ince long time ago; they have accomplished the basic settlement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by developing eco-friendly goods and improving the producing process dramatically based on the system of the well-equipped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hey are making out numerous achievements related with that. The Won-Buddhist industrial institutions, as after-runner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constructed it later than domestic enterprises and advanced countries so that they cannot be compared with them. However, in the case of Won-Buddhist industrial institutions, they should make up the systematic environmental management necessarily because it is not a problem of choice but for survival that on the basis of Won-Buddhist thought they have to lift up the level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to a higher one whether in quantity or in quality. Recently the needs for eco-friendly goods are increasing domestically and as the restriction on the environment is intensified, the environmental barrier is showing up as a new trade barrier overseas. As a way to correspond to this change, the new paradigm of the enterprise management called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has come up. In order to introduce and carry ou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effectively, the environmental mind of the practice of giving-Grace above all are called for as well. Introducing and carrying out this environmental management in Won-Buddhism, it seems that, will be realized when not only the thought of quality management is converted into the thought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but also the thought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ll the employees including CEO are generalized. And only when Won-Buddhist industrial institutions put into practice, based upon the Won-Buddhist thought, building up the EMS, performing EA and EPE, introducing Green accounting, carrying out LCA about goods and enterprise, and application of DFE, the management outcome by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will be raised up. In conclusion, in order to construct and intensify the environmental system of enterprises in the Won-Buddhist industrial institutions; the firm intention of the CEOs of the Won-Buddhist Order, in other words decision-maker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is required; the reliability ab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showing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enterprises in the industrial institutions should be guaranteed by the 3rd independent inspection institution; in the course of educating Preliminary Devotee the education system concern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hould be made to be established; and the training program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mong the industrial institutions within the Order should be made newly or expanded. Since according to insufficiency of fore-study material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not complete; the aspect of the industrial institutions operated by Won-Buddhism is not verified objectively but supplied the subjective contents and conclusion of the study partly based on the Won-Buddhist thought in this thesis; I admit there is a little shortage. However, at the times when not only domestic enterprises but also overseas on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management ways to pursuit benefits in the past, think highly modern environmental management, this thesis has the meanings; it surveyed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of the enterprise appropriate to the change of the times and markets by the new paradigm of environmental management of enterprise based on the Won-Buddhist thoughts; it tried to seek the ways of the practic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pplicable to the industrial institutions operated by Won-Buddhism. 오늘날 급속한 세계경제발전과 함께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화학물질의 오염 등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기업은 물론 세계기업에 있어서도 환경문제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경영과 관련해 환경 경영의 이론적 배경 및 사례를 분석해 보고 원불교 산업기관의 환경경영 도입 방안을 찾고자 했다. 그동안 국내의 대기업과 선진국들은 오래전부터 환경경영에 힘써왔고, 이미 오랜 세월동안 잘 갖추어진 환경경영체제를 바탕으로 해서 환경 친화적 제품의 개발 및 생산 공정의 획기적 개선 등으로 환경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이룩하고 있으며 그와 관련된 성과물들을 무수히 쏟아내고 있다. 원불교에서 산업기관의 경우에 환경경영의 후발주자로서 국내기업과 선진국들에 비해 늦은 환경경영 구축으로 비교는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원불교 산업기관의 경우, 원불교 사상에 근거하여 환경경영 수준을 양적이든 질적이든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문제는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에 반드시 체계적인 환경경영체제를 수립해야만 한다고 본다. 최근 국내적으로도 환경친화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하고 국외적으로는 환경규제가 심화되면서 무역과 환경을 연계한 환경장벽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환경경영이라는 새로운 기업경영 패러다임이 등장하게 되었다. 환경경영을 효율적으로 도입하고 실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은혜의 실천이라는 환경마인드가 요구되기도 한다. 원불교에서 이러한 환경경영 도입과 실천은 품질경영 사고에서 환경경영 사고로의 전환뿐만 아니라,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전직원들의 환경경영사고가 일반화될 때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 그리고 원불교 산업기관에서 원불교사상에 근거하여 EMS의 구축, EA와 EPE의 수행, 그린회계의 도입, 제품 및 사업에 대한 LCA 실시, DFE의 적용 등을 효율적으로 실천할 때 비로소 환경경영에 따른 기업의 경영성과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결론적으로 원불교 산업기관에서 기업의 환경체제의 구축 및 심화를 위해선 원불교 교단의 최고 경영자, 즉 의사결정권자들의 환경경영 도입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필요하고, 독립된 제3의 감사기관으로 산업기관내에서 기업의 환경경영 현황 및 실적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예비교역자 양성과정에서 환경경영 관련 교육체제가 확립되게 하고, 교단내 산업기관의 환경경영 훈련 프로그램이 신설 및 확대 되어야 한다. 또한 現정부의 미흡한 지원책보다는 환경경영 도입자금 지원 및 세제 혜택 등 적극적인 지원으로 비영리조직의 기업활동이 자연스럽게 환경경영체제의 도입을 하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선행연구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연구내용에 미진한 부분이 있었고, 원불교에서 경영하는 산업기관의 환경경영적인 면을 객관적 검증을 통하지 않고 일부 원불교 사상에 근거하여 주관적인 연구내용 및 결론을 제공하였다는데 아쉬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기업은 물론 국외기업들이 환경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거 전통적인 이윤추구만의 경영방식을 탈피하여 현대적 환경경영이 중시되는 시점에서 시대의 변화와 시장에 맞는 기업의 환경경영체제를 원불교 사상에 근거하여 기업의 새로운 환경경영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원불교에서 경영하고 있는 산업기관에 적용이 가능한 환경경영의 실천방안을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대학에서 ERP 회계교육의 효율적인운영 방안

        유성관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식혁명의 본격화, 기술혁신의 가속화, 정보화의 급진전 등으로, 세계는 점차 경쟁이 심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업에서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각 부문에서 만들어지는 단편적인 정보가 아닌, 기업 전체에 관련되어 산출되는 회계정보와 적시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기업에서 기업의 자원을 각 부문이 아닌, 전사적으로 통합관리해 주는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 ERP는 영업에서 생산출하에 이르는 기업의 모든 업무과정을 컴퓨터를 이용해 유기적으로 연결,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최신 경영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ERP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서도 ERP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실무자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는 학교에서의 ERP 교육을 통하여 실무요원의 양성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ERP교육에 관한 여러 연구사례들을 문헌을 통하여 정리․분석하여 현재 실시중인 ERP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ERP 교육의 효율적인 운용방안에 모색하였고, 그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히 ERP 프로그램의 사용 방법에 대한 지도가 아닌, ERP 프로그램의 운영 원리에 대한 수업도 비중 있게 실시해야 한다. 둘째, 실무교육 강화를 위해 일반 전산실이 아닌 전용 회계실무실습실을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에 있어서 ERP에 대한 이론은 최소화하여 활용측면에 비중을 두고, 사용능력을 습득시켜야 한다. 그리고 기초 학문으로 회계원리에서 세무회계, 원가회계의 개념까지 학생들이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ERP 교과목 관련 자격 제도를 전문분야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자격증으로써 자리잡게 하고, 이를 학점으로 인정해 주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현장실습과의 연계를 강화로, 산업체 현장의 직무경험을 전문교과 이수 단위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과 함께, 이수결과가 자격증 취득에도 유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e-learning 강화를 통해 조직원들에게 경쟁자들보다 앞서서 빠르게 지식을 부여함으로써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with it realization of intellectual revolution, acceleration of technical innovation and rapid advance of informatization, by thus increasingly intensifying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all aspects of the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companies are forced to demand for timely accounting information over all, not fragmentary, sectors of their business in order to make decisions in a reasonable manner. In response to such needs, companies have taken measures to introduc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which will control the resources of business not from the standpoint of individual section but from the overall view of an enterprise. ERP may be defined to be an up-to-dat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a company to control in real time all of its business processes ranging from sales through production to delivery by means of organically networked computers. In reality, however, it is hard for the companies intending to introduce ERP to find personnel to be assigned for ERP programming, a situation that calls upon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tart conducting ERP curriculum in order to train administrative workforce to be engaged practically in the field. This paper is therefore aimed at seeking methods of effectively operating ERP curriculum by reviewing and analyzing examples of studies from the concerned literature and deriving the issues from ERP education conducted currently. The suggestion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 depth class for teaching operational principles of ERP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class for simple use of ERP programs. Second, an exclusive room for accounting practice should be set aside to reinforce practical training. Third, theoretical education of ERP should be minimized in the curriculum but a focus should be placed instead on its utilization in a try to help students enhance the ability to use it. Moreover, students should be taught fully of fundamental steps from the accounting principles to the concepts of tax accounting and cost accounting as well. Fourth, ways should be found to recognize publicly the proficiency in the ERP-related fields as a series of qualifications which must then be considered when rating academic grades. Fifth, approaches should be made to approve on-the-job experiences in the industrial field as completion of professional courses needed to acquire credits for professional subjects of the curriculum and to give advantage when winning qualifications. Lastly, e-learning should be intensified to let members of organizations have edge over competitors by providing them with the knowledge required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장재호 원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다가오는 21세기에는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이 지식 경영, 정보화 사회, 신기술에 의해서 신속하게 변하고 있다. 작은 개념에서 큰 개념의 시대로 변화하는 이때, 중요한 혁신의 시대로 도래하며 더 이상 과거의 생활로는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고만이 생존할 수 있고 보통은 과거의 생활로는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고만이 생존할 수 있고 보통은 생존할 수 없는 시대인 것이다. 정보 혁신이 신속히 진행되기 때문에, 이것은 기술혁신의 가속화, 국경이 없는 무한 경쟁, 정보화 사회로 진행되는 결과를 자극한다.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자본, 종업원수, 매출액에서 적은 규모의 사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대규모 사업의 개념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보통 사용되어 진다. 중소기업을 규정할 때는, 중소기업의 결정을 하는 기준은 나라와 사업의 분류에 의존된다. 그러나 모든 나라에서 중소기업은 전체사업에서 크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가고 있다. 중소기업은 개발도상국에서 매우 발전하며, 또한 대기업과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 세계 모든 곳에서 중소기업에 관한 관심은 높아져가고 있으며, 새로운 고용과 사업의 창출의 방법과 모든 중간 기업의 집약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높은 경쟁력의 원천처럼 중소기업을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로의 신속한 변화의 상황은 우리나라에서는 괄목한 만한 수준이다. 정보화 사회는 산업화로부터 얻어진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개별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 수단이 정보 기술력으로 규정되어진다. 정보화 기술은 21세기의 가장 유망하고 중요한 사업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독립적인 중소기업을 양성하기 위해서 그리고 21세기에 중소기업의 새로운 개념을 고려하여 발전시키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정책의 중요한 골자는 경영 혁신, 중소기업의 설립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 system에 있으며, 중소기업의 그들의 창조력을 드러낼 수 있다. 21세기의 새로운 경제paradigm은 조직, 시장, 기술과 함께 확장될 것이다. 향후 중소기업은 경제적인 약자로 인식되어졌고 반드시 보호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21세기에는 중소기업은 소량 다품종을 생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 지식의 가속화 그리고 정보화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있는 장점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경제에서의 중소기업의 상대적인 중요성과 역할은 점점 커져 갈 것이고 이것은 경제를 부흥시키는 중요한 힘으로 발전될 것이다. 따라서 그들 운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적인 요구와 노력으로 난관을 극복하는 중소기업은 그들 자신이 기업정신에 의해서 다양하고 활동적이며 독자적인 사업으로 개발되어지는 것을 고려한다면 21세기의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발전될 것이다. Upcoming 21st center, Management circumstance for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have been rapidly changed bar Knowledge management, Informationization, Hi-technology. Changing from an era of small conceit to strong concept, It will be a severe innovation period and can not survive with life as the same as the past, It is the era of best which mean only the best can survive, None of the average faculty can survive. Due to raid proceeding of innovation of informationization, It stimulate acceleration of technology innovation, infinity competition regardless the nation boarder, result in proceeding to informationization.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s defined as smaller size of business than big business as point of capital, employee, output. It is conceit, which usually used against conceit of big business. When define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criteria to determine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s defends on country and a category of business. However, In every country,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s getting be bigger and importance factor in whole industry.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s ell developed and also well balanced with a large enterprise in the developed country. All around in the or1d, Interest about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s becoming higher. It is actively researching into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s the means to create new employment, new industry, as means to form integration of a all and medium enterprise, as source of high competitive power. The status quo of rapid changing into informationization have been realized at considerable level in Korea. Information society is defined as information technology is main key to determine individuals competitiveness, hick can solve effectively the side effect result from industrialization. It clearly imply that information technologic the most promising and important industry in 21st century. Therefore, We should seek to foster independent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develop them corresponding to new concept of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n 21st century. The main frame of policy should be new economic system, which can contribute establishment of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management innovation. It also attribute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o reveal their creative. New economic paradigm in 21st will be expanded with organization, market, technology. So far,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has been acknowledge as economic weaker and the one should be protected. However, In 21st century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ill be considered as active majority a source of creativ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produce a small quantity with variety product and acceler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ization will result in comparative merits of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Hereby, The role and relative importance of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n our economic will getting be larger and It will be developed as the main force to activate the economic. However, Only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hich overcome difficulty with active desire and effort to improve their lot can be developed as a competitive enterprise in 1st century in considering themselves to be developed as diversity, active, independent business ban enterprise.

      • 6시그마 기법을 이용한 입원환자 재원적절성 평가를 통한 병상가동효율성 증대

        김영진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DMAIC 방법(정의, 측정, 분석, 개선, 관리)으로 구성된 기업경영혁신의 새로운 모델인 6시그마 기법을 이용하여, 입원환자 재원적절성 평가를 통한 병상가동효율성 증대의 효과에 대해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 진료 과의 입원환자 입원 부적절의 원인에 대해서 분석하고,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본 후, 입원 병상의 적절한 수준을 만드는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6시그마 활동 효과에 대해서는 진료과별 부적절한 재원율, 90일 이상 장기 재원율, 응급실 입원환자 평균 재원시간으로 측정하였고, 통계학적인 검증은 Minitab(Ver. 14)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0.05에서 판정하였다. 6시그마 활동이후, 진료과별 부적절한 재원율은 27.7%에서 23%로 감소하였고, 90일 이상 장기 재원율도 12.7%에서 9%로 줄어들었으며, 응급실 입원환자 평균 재원시간도 역시 7시간 45분에서 5시간 20분으로 단축되었다. 진료과별 부적절한 재원율, 90일 이상 장기 재원율, 응급실 입원환자 평균 재원시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소견이 관찰되었다(P<0.05). 따라서 6시그마 기법을 이용하여 입원환자 재원적절성 평가의 효과적인 프로세스 관리는 병상가동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병원 경영측면에서 입원환자 재원적절성 평가의 경제적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hospital bed operation by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inpatients using 6-sigma strategy which was processed by DMAIC methods(define, measure, analysis, improve and control). The research procedure was as follows; analyzing the main causes of in-appropriateness of each clinical department, and then finding out the standardized problem solving methods, and finally reforming appropriate levels of hospital bed operation. The effectiveness of 6-sigma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rate of in-appropriateness at each clinical department, rate of over 90 days of hospital treatment, and mean elapsed times for admission in emergency room. By performing 6 sigma activity, rate of in-appropriateness at each clinical department was decreased from 27.7 to 23%, rate of over 90 days of hospital treatment was decreased from 12.7 to 9%, and mean elapsed times for admission in emergency room was shortened from 7 hours 45 minutes to 5 hours 20 minutes. Satisfaction of the rate of in-appropriateness at each clinical department, rate of over 90 days of hospital treatment, and mean elapsed times for admission in emergency room were significantly improved(P<0.05).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efficacy process by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inpatients using 6sigma strategy showed improved results in terms of rate of hospital bed operation and be used for financial value in hospital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