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유권자의 포퓰리즘 성향이 정치행태에 미치는 영향

        하상응 ( Ha Shang E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8 의정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한국에서의 포퓰리즘(populism) 논의를 정치 체제 혹은 정당 구조와 같은 거시적인 차원이 아니라 유권자라는 미시적 차원으로 전환하여, 개인의 포퓰리즘 성향(populist attitudes)과 정치행태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년 대통령 선거를 배경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자료 분석 결과, 기성정치에 대한 불신과 “일반 국민(people)”이라는 배타적인 내집단(in-group)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포퓰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정치에 대한 신뢰도가 낮거나 정치를 혐오하는 사람들과는 달리 포퓰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고, 정치 참여에 적극적인 경향성을 띠고 있었다. 둘째, 포퓰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양대 정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그리고 그 정당 소속 대선 후보들에 대해 낮은 호감도를 보였고, 상대적으로 정의당과 심상정 후보에 대해서는 높은 호감도를 보였다. 셋째, 포퓰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박근혜 정권 때 집행되거나 추진된 정책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포퓰리즘 성향과 진보 성향 간의 친화성을 보여준다기보다는, 박근혜 정권이 기성 정치를 대변하고 있었던 시대적 특수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유권자의 포퓰리즘 성향이 정치 지형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여론 혹은 투표 행태에 투영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보다 장기적이면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recent success of populist parties and candidates in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leads to a massive amount of empirical research on populism, a deviant form of representative democracy. Much ink has been spilled to define populism and to identify the causes of its rise and continued success in democratic political system.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populist attitudes of individual voters. Using a large-scale online survey fielded in the context of the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this study examines (1) what determines populist attitudes of South Korean voters and (2) how populist attitudes are associated with evaluations of political parties, candidates, and political issues. Statistical analysis reveals that people high on populism are more likely to support an underdog left-wing political party and its presidential candidate, and are less likely to support policies implemented or proposed under the auspices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ese findings do not necessarily suggest the inherent affinity between populism and left-wing ideology; rather, it implies populist attitudes happened to appear in 2017, in reactions to lack of confidence in the previous government.

      • KCI등재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 : 트럼프의 등장과 반동의 정치

        하상응 ( Ha Shang E ) 영미문학연구회 2020 안과 밖 Vol.0 No.49

        In 2016, Donald Trump was elected as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by those who shared fou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tes, Protestants, high school graduates, and those living in rural areas. Trump’s core supporters, once the majority in the country, become a minority as the demographic changes take place, and their experience of ‘status threat’ leads them to an overt expression of racism and anti-immigrant sentiments in the political arena. The division between Trump’s core supporters and other Americans is the backbone of ideological and affective polarization, and facilitates the rise of populism, a deviant form of democracy characterized by ingroup favoritism and out-group prejudice. The rise of Donald Trump can be attributed to the nature of American political system, which is systematically biased to over-represent the voices of conservative voters. As the equal number of Senators is assigned to each state regardless of its population size, the Electoral College system is tilted toward the interests of the Republican Party. A political reform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emographic changes among the American electorate. Otherwise, the American politics will continue to be critically affected by a minority, who wants to “make America great again,” a slogan of the reactionary politics.

      • KCI등재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호감도의 심리적 결정 요인들

        하상응(Shang E. Ha),이보미(Bomi Lee) 한국정당학회 2017 한국정당학회보 Vol.16 No.1

        이 논문은 심리적 요인이 한국 유권자의 정치 행태를 설명하는 데에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다. 유권자들의 정치 행태에 영향을 미칠만한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 중에서 이 연구가 특히 관심을 갖는 개념은 우파 권위주의 성향(right-wing authoritarianism)과 사회지배 성향(social dominance orientation)이다. 2016년 4월 국회의원선거를 배경으로 수행된 두 개의 서로 다른 온라인 설문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이 두 가지 심리적 요인들이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태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우파 권위주의 성향과 사회지배 성향이 강해질수록, 보수 정당과 보수 정당 소속 정치인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고, 이 두 가지 심리적 요인들이 강하게 드러나지 않을수록 유권자들은 상대적으로 진보 정당과 진보적 정치인에 호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확인되었다. 이는 설문 응답자들이 보고한 자신의 정치 이념과 무관하게 나타나는 결과이다. 따라서 우파 권위주의 성향과 사회지배 성향이 정치 이념, 즉 보수-진보를 나누는 데에 기여하는 요인이기는 하나, 서로 동일한 개념으로 취급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 한 가지 주목할만한 결과는 국민의당과 안철수에 대한 호감도가 높은 사람들은 우파 권위주의 성향과 사회지배 성향이 높으면서 동시에 자신의 정치 이념이 진보에 가깝다고 생각하는 유권자라는 것이다. 이 모든 분석 결과는 보통 한국 유권자들의 정치 행태를 잘 설명한다고 알려진 교육수준, 나이, 지역 등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황에서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향후 정치행태 연구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wo psychological factors — right-wing authoritarianism an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 affect South Koreans’ attitudes toward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s. Analysis of two large-scale online survey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2016 parliamentary election reveals that voters high on right-wing authoritarianism or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re more likely to be in support of conservative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al elites affiliated with them, whereas those low on two psychological factors tend to demonstrate an opposite behavior. This finding — even after controlling for a key confounding variable, political ideology, and a set of socio-demographic determinants of public opinion — calls for a special attention to fundamental psychological determinants in explaining political behavior of South Korean citizens.

      • KCI등재

        국가의 시민적 자유 제약에 대한 개인의 태도 결정 요인 연구

        이보미(Bomi Lee),하상응(Shang E. Ha)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8 평화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시민적 자유(civil liberties)를 제한할 수 있는 제도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결정 요인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2016년 3월 국회를 통과한 테러방지법과 같은 시민적 자유 제약 제도가 현존하는 상황에서, 어떠한 성향을 지닌 사람들이 이를 지지 혹은 반대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시민적 자유 제약 제도에 대한 태도의 결정요인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confidence in government)와 우파 권위주의 성향(right-wing authoritarianism)을 고려한다. 2016년 실시된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은 사람들은 평상시 자유 제약 제도를 상대적으로 더 지지하고, 우파 권위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도 상기 제도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정부 신뢰와 우파 권위주의 성향 간에 존재하는 상호작용(interactive effects)을 확인하였다. 우파 권위주의 성향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정부 신뢰가 높아짐에 따라 평상시 자유 제약 제도에 대한 지지가 높아지는 경향성이 두드러진 반면, 우파 권위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에게서는 정부 신뢰의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정부에 대한 신뢰와 우파 권위주의 성향 간의 상호작용은 유사시 자유 제약 제도에 대한 태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s what determines South Koreans’ attitudes toward civil liberties in the context where Anti-terrorism Act was passed in the legislative branch in 2016.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201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demonstrates that people high on confidence in government or those high on right-wing authoritarianism are more likely to support laws that may restrict individuals’ civil liberties, when external threat is not salient. Right-wing authoritarianism also functions as a moderating variable: among people high on right-wing authoritarianism, confidence in government exerts stronger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civil liberties, while among those low on right-wing authoritarianism, the effects of confidence in government become weaker. Such a moderating effect is not detected, when external threat is primed in the survey.

      • KCI등재

        당파적 편향에 따른 책임 귀속: 여야간 갈등인식과 정당 호감도를 중심으로

        길정아 ( Jung-ah Gil ),하상응 ( Shang E. Ha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9 의정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민주주의 사회에 상존하는 갈등이 양극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미시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다. 구체적으로 유권자들의 갈등인식과 정당에 대한 호감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이 관계를 결정하는 데에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이 주는 효과에 주목한다. 유권자들이 정파성을 띠지 않는 경우 에는 여야간 갈등인식이 반드시 정당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지지 않지만, 유권 자들이 정파성을 띠고 있는 상황에서는 갈등인식이 상대방 정당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설을 2014년 지방선거 맥락에서 구축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검증한다. 분석 결과, 정당일체감이 강한 유권자들은 갈등이 심각하다고 느낄수록 상대방 정당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가질 분만 아니라,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과 지지하지 않는 정당 간의 상대적 호감도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념적으로 양극화된 정치 환경에서 정당 간 갈등이 기존 정당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져 양극화를 더욱 강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perceptions on party conflict and affective polarization.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party identifica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Using a survey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2014 Korean local election,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s that perceiving serious inter-party conflict in the political arena is likely to increase negative feelings toward out-group political party among partisans only. Not only do the results confirm our hypothesis but suggest that conflict perception leads to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partisan voters. This paper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that links the attribution of blame to out-group political party for legislative gridlock with ever-growing affective polarization of the electorate.

      • KCI등재

        Rally Around the Cross

        장승진(Seung-Jin Jang),하상응(Shang E. Ha)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5

        본 논문은 2003년부터 2009년까지의 한국종합사회조사 누적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인들의 종교적 신념이 그들의 이념적 선호와 정권지지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명박 정권 출범 이후 종교 편향에 대한 논란을 거치면서 과연 개신교인들 사이에서 이명박 정권에 대한 지지도가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과 종교를 가지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는지, 그리고 만일 그렇다면 이러한 정권지지도의 변화는 단순히 동일한 종교적 신념을 가진 대통령 개인에 대한 호불호를 반영하는 것인지 아니면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종교에 따른 이념적 차이에 기인한 것인지 살펴보고 있다. 통계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이전과는 달리 이명박 정권 하에서는 개신교인들이 타종교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로 높은 정권지지도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진보-보수 성향이나 북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종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발견이 가지는 함의를 한국 정치에서 종교가 중요한 정치적 균열로서 작동할 가능성과 한계와 관련하여 논의한다. Using the 2003-2009 Korean General Social Surveys (KGSS), we investigate how religious affliations of South Koreans affect their ideological preferences and attitudes toward government. We examine whether, after recent controversies regarding religious bias of the Lee Myung-Bak government, government approval rates among Protestant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other religious or non-religious groups, and if so, whether such an increase simply reflects positive feelings toward the president with same religious beliefs or it relates to more fundamental, religion-based, ideological differences.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ough Protestants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Lee Myung-Bak government, they are neither more politically conservative nor more hostile to North Korea than other religious or non-religious group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cusing on the potential role of religion, and the limitation thereof, as an important political cleavage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기본소득 담론의 이념적 지형: 이슈 소유권의 변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노기우(Gi-Woo Roh),하상응(Shang E. Ha)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2020 미래정치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한국 정치권에서 기본소득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면서, 기본소득에 대한 유권자의 태도의 결정 요인으로서 정당일체감을 주목한다. 제19대 대선을 기점으로 주요 정치 의제로 부상한 기본소득 논의는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였지만, 원래 이 의제를 처음 제기한 정치집단은 현재 정의당 계열 정치인들이다. 만약 다른 집단에 비해 정의당 지지자가 기본소득에 우호적이라면 한번 형성된 이슈 소유권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시사해줄 것이다. 반대로 다른 집단에 비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이 기본소득에 우호적이라면 이슈 소유권의 변화가 정의당에서 더불어민주당으로 이루어 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 분석 결과, 정의당 지지자들의 기본소득에 대한 태도가 상대적으로 우호적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유권자들 특정 이슈를 처음으로 제시한 정당을 그 이슈와 연관지어 기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South Koreans’ attitudes toward universal basic income, focusing on the roles of party identification. Universal basic income is a novel political issue, which was originally raised by the Justice Party, a left-wing political party in South Korea. However, universal basic income drew public attention only after a major center-left political party, Democratic Party of Korea, made it salient in the context of the 2016 local election. Using the 201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this study reveals that issue ownership in the voters’ minds remains stable: those identified with the Justice Party are more likely to hold favorable attitudes toward universal basic income than other partisans and non-partisans.

      • KCI등재

        소득 불평등 인식과 정부신뢰: 주관적 계층 상승 가능성을 중심으로

        김동훈(Donghun Kim),하상응(Shang E. Ha)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20 평화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개인의 주관적인 불평등 인식과 정부신뢰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 주관적 계층 상승 가능성 인식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경험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작업이다.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분석 결과, 소득이 불평등하게 분배된다고 인지할수록 정부를 신뢰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소득이 불평등하게 분배된다고 인지할지라도 계층 상승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있으면 정부를 불신하는 정도가 줄어든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니 불평등 인식과 정부신뢰 간 관계를 조절해 주는 계층 상승 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효과는 세대 내 계층 상승(즉, 설문 응답자 본인의 계층 상승)의 경우에서만 나타나지 세대 간 계층 상승(즉, 응답자 본인 대비 응답자 자손의 계층 상승)에서는 확인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소득 불평등의 심화가 민주주의의 안정화에 위협이 된다는 기존의 논의를 확인해 주는 결과이긴 하나, 세대 내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공고한 경우 경제 불평등이 정치 체제에 주는 악영향이 완화되거나 지연될 것임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examines how perceived economic inequality is associated with trust in government among individuals. Also, it tests another hypothesis that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trust in government. Analysis using the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reveals that voters who think economic inequality is severe are less likely to demonstrate trust in government. As hypothesized, such a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perception and trust in government tends to be dampened among those who believe upward social mobility is possible during their gener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economic inequality and trust in government is not straightforward; rather it depends on individual differences, i.e., subjective evaluation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and one’s own social status.

      • KCI등재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한준(Joon Han),김석호(Seokho Kim),하상응(Shang E. Ha),신인철(In Chol Shin)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5

        최근 들어 국내외 사회과학에서 행복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행복에 대한 관심은 1960년대 국제적으로 확산된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 사회지표 운동, 그리고 1970년대 경제학자 이스털린(Easterlin)의 역설의 발견 등에 의해 높아졌으며, 1980년대와 90년대에 걸쳐 주춤하는 듯하다가 2000년대 들어 다시 사회과학 및 정책의 담론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다. 행복 연구는 ?GDP를 넘어서(beyond GDP)?라는 큰 흐름 속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GDP가 아닌 무엇이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는가에 대해서는 학문에 따라, 또한 학자들에 따라 서로 다른 의견을 보였다. 최근 들어 행복의 차이를 낳는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받는 것이 사회적 관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계의 행복에 대한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사회적 관계가 행복을 저하시킬 수 있는 부정적 효과에 대해서 함께 살펴보았다. 삶의 만족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역할은 한편에서는 물질적, 정서적, 도덕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만족도를 높이는 통로(pipe)로서의 긍정적 측면과 함께, 다른 한편에서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멸시를 받거나 아니면 스스로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자신을 비하함으로써 만족도를 낮추는 일그러진 거울(mirror)과 같은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가진다. 삶의 만족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이러한 양면적 효과를 본 연구에서는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통해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경험적 분석의 결과 도움을 받을 이웃이 많고, 주변에 소통할 사람이 있으며, 일인가구가 아닌 경우 삶의 만족이 높은 반면, 자신의 객관적 소득계층에 비해 스스로를 낮게 평가하거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무시당하거나 인정을 받지 못한 경험이 있으면 삶의 만족이 낮았다. Studies on happiness have proliferated in social sciences recently. Academic interests in happiness have been fueled by the international social indicator movement during the 1960’s and the formulation of Easterlin’s paradox during the 1970’s. Happiness research stagnated during the 1980’s and 1990’s, but regained momentum in the 2000’s. Most studies on happiness have followed the trend of ‘beyond GDP’, but there has been less consensus among disciplines and scholars on what promotes or contributes to happiness. Social relations have been believed to be a main factor in happiness. Persons with more and richer social relations, it has been suggested, are more likely to get help when they need one, are more prone to seize opportunity for success, and feel more confident about themselves and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vely unexplored negativ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on happiness, focusing on the imagery of social relations as distorted mirror by which people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and feel unhappy. It is contrary to the more prevalent imagery of social relations as pipes through which material, emotional, and moral support flow among people, which help people feel happy. Using 2012 KGSS data, we tested the hypothesis on the ambivalent effects of social relations on happiness. Statistical analysis reveals that persons with more neighbors to help them, enjoying higher chances of communication, and not living alone enjoy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ose locating themselves lower in class hierarchy than their objective position and having experienced humiliation or lack of recognition suffer from low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