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이념별 정책대상집단이 지방자치단체 보육예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하민지(Ha Min Ji),임다희(Lim Da 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5 지방정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중앙정부의 보육예산 증대에 따른 지방정부의 재정부담과 보육정책 목표설정에 주목하고, 보육과 같은 복지이념에 따라 서비스의 대상범위와 같은 내용이 상이해질 수 있는 정책의 경우 예산을 결정한 시점에서 이념에 따른 대상집단이 실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수도권 내 기초자치단체의 보육이념에 따른 정책대상집단으로 저소득층 집단, 취업여성 집단, 아동 집단이 출산장려예산과 보육지원예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육정책이 정권 등 정치적 · 사회적 여건에 따라 목표 및 성격이 변화해온 상황에서 실제로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었는지에 관해 실증적인 결과를 제시 하였다. 즉, 한국의 수도권 기초자치단체들은 주로 보편주의적 보육모형에 따라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고, 대리적 보육 모형 또한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도권 기초자치단체들이 저소득층을 위한 선별적인 서비스가 아닌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독려하고, 궁극적으로 아동의 복지 실현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보육이념에 따른 정책대상집단에 관한 후속연구들의 축적으로 인해 보육정책을 평가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focuses on child care policy goals and financial burden of the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childcare budge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creased. In the case of policies such as childcare that content can be different from the same scope of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welfare ideology. The idea was to identify target groups according to how the real impact on the budget at the time determined the budget. In 2010-2013 as a policy target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ideology of care in local governments, low-income groups, employment groups of women, children groups analyzed the impact on the budget to encourage childbirth and child care support budget. As a result, in the situation that has the aim and nature of child care policy changes depending on the regime, including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actually presents the empirical results as to whether the budget is determined by some factors. In other words,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mostly going to have to understand that according to the Universalism model was confirmed considering also that subrogate model. This can be seen as suggesting local governments in Korea encourage participation of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not selective services for low-income families, ultimately that focuses more on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welfare. If follow-up studies are accumulating about the policy target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ideology childcare, deemed to be able to provide more meaningful implications tp evaluate and set the desired direction of care policies.

      • KCI등재

        한국 기초자치단체의 문화 및 관광 분야 예산변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장의 영향을 중심으로-

        하민지 ( Min Ji Ha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2

        본 연구는 한국 기초자치단체의 문화 및 관광 분야 예산의 변화와 그 주요 동력으로서 지방자치단체장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과거의 연구들이 주로 점증주의와 예산결정이론에 따라 예산의 규모와 제도환경적 요인에 초점을 둔 접근과는 다르다. 이에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시(市) 기초자치단체의 문화 및 관광 분야 예산을 대상으로 하여 변화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써 지방자치단체장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패널다항로짓(multi nomial logit)과 음이항(negative nomial)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기초자치단체의 문화 및 관광 분야 예산의 비점증적 변화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지방자치단체장의 특성과의 인과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기존 문화 및 관광 예산에 관한 연구들과 차별화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문화예술과 관광 정책사업으로 구분하여 각 정책사업의 특성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장의 구체적인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제시 함으로써 이들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문화 및 관광 정책이 단순히 지역개발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그 지역의 정체성(identity)을 구성하여 실현해낼 수 있는 특별한 정책사업으로써의 역할을 잘 수행토록 하는데 가장 중요한 주체로서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을 강조한 연구결과를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s as a key factor contributing to the budgetary changes on culture and tourism policies. This study attempted to try a different approach than what was tried before, where the policy changes are explained by external, institution-environmental elements based on a structural determinism in a macroscopic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budgetary changes on culture and tourism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an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regularity(kurtosis)/incrementality) budgetary scopes(total budget/municipal expenditures) characteristics of changes(types of changes/rate of change) by applying a variety of statistic models to verify the causality(multi nomial logit, negative binary regressive model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confirmed that the studies on policies and budgetary changes should not be looked at as unrealistic outliers but as universal phenomena. Also, as this study took a microscopic stance on the actors within the system of policy decisions, identified the influence by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we have seen in reality,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play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s and they actively proceed with the local development policies in connection with their political basis,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them could be emphasized both in the theory and reality. The methodology and findings in this study emphasize that the policy actors are deeply related to policy and budgetary changes a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is topic with diverse perspectives that have been discussed so far.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 지방정부의 정책확산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행위자와 환경적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하민지 ( Min Ji Ha ),서인석 ( In Seok Seo ),권기헌 ( Gi Heon Kwon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4

        본 연구는 한국 지방정부의 정책확산(Policy Diffusion)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은 관련변수들을 모두 포괄하여 국가별 정치적 특성에 따라 지방정부의 새로운 정책 확산요인들의 영향력이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지방정부의 정책확산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제로 정책행위자(Policy Actors)인 단체장에 초점을 맞추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상도 기초자치단체들간의 저소득층 건강보험료 지원 조례 확산 현상을 패널 로짓(panel logit)을 통해 분석하였다. 3가지 분석모형 결과와 면접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단체장의 리더십과 정치적 지지의 기반 확보를 위한 의지가 작용하여 새로운 정책 채택을 좌우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기존 정책확산 연구들이 미시적, 중시적, 거시적 차원의 요인들을 하나의 모형으로 분석한 것에 비해 특유의 정치 문화를 반영한 분석모형을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argues that previous policy diffusion research across Korean local governments was oriented toward analysis of leading research, such as the model of American state governments, and that these tendencies brought a lack of consideration to distinctive features of national own governments. The design and analysis of research models, including the relevant variables, usually overlook that diffusion factors differ in their influence on impact factors, including policy actors as a critical power, depending on national, historical tradition, and political traits. This article focuses on policy actors, especially mayors, as a most powerful mechanism to adopt new policies. The panel logit model analysis method was used to illustrate the policy diffusion across Korean local governments, with an application to the low-income health insurance ordinance from 2006 to 2010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Gyeongsang province. Through three analysis models and interviews, this analysis reveals evidence of policy diffusion based on the mayor`s leadership and actions to ensure political support, rather than the philosophy of a political party or experience. This study points out the need for access to a policy diffusion analysis model based on factors such a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rather than a model of micro- and macro-dimensional factors.

      • KCI등재

        눈꺼풀에 발생한 에크린 땀샘종 1예

        하민지(Min Ji Ha),박주완(Ju Wan Park),김태정(Tae Jung Kim),이경욱(Kyeong Wook Lee)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5

        목적: 눈꺼풀에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에크린땀샘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1세 여자가 발생일자 미상의 우안 윗눈꺼풀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우안윗눈꺼풀종괴 외에는 다른 안과적 이상은 없었다. 우안 윗눈꺼풀 경계의 가운데 부분에 3 mm 크기의 옅은 분홍색을 띠는 결절성종괴가 관찰되었고 표면은 매끈하였다. 완전 절제 생검을 시행하였고 조직병리 검사에서 경계가 뚜렷한 결절들이 표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상피성 세포들이 코드 형태로 배열되었다. 특히 두 가지의 특징적인 세포들 중에 작고 진한 핵을 가진 세포들은 주변부에 위치하였고, 핵이 크고 연한 세포들은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조직병리 검사결과가 에크린땀생종에 합당하여 에크린땀샘종으로 진단하였다. 결론: 눈꺼풀에 발생하는 에크린땀샘종은 드물지만 단독으로 생긴 눈꺼풀의 낭종성종괴의 감별진단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eccrine spiradenoma that presented as an eyelid nodule. Case summary: A 61-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 mass in the right upper lid margin; the onset time was unknown. An oph-thalmic examination revealed no abnormalities except the eyelid nodule. The nodule was 3 mm in size with a firm, smooth sur-face and light pinkish color, and was located near the lid margin. Excision and biopsy of the nodule was performed. The patho-logical findings of the specimen obtained showed islands of 2 types of lobular cells. Larger, paler cells were grouped around the central area, darker and smaller cells on the periphery. These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eccrine spiradenoma. Conclusions: Eccrine spiradenoma should be considered a differential diagnosis of a solitary eyelid tumor.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5):776-779

      • KCI등재

        데스메막각막내피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의 데스메막각막내피이식술

        김기현(Gee-Hyun Kim),하민지(Min Ji Ha),장동진(Dong Jin Chang),황웅주(Woong Joo Whang),변용수(Yong-Soo Byun),황형빈(Hyung Bin Hwang),나경선(Kyung Sun Na),노창래(Chang Rae Rho),이현수(Hyun Soo Lee),정소향(So Hyang Chung),김은철(Eun Chu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시행 후 이식편 실패가 발생한 환자에게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을 재시도하여 성공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7세 여자 환자에게 좌안 푹스 각막내피이상증(Fuchs’ endothelial dystrophy) 진단으로 본원에서 좌안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으나 수술 6주 후 각막부종 및 수포가 발생하여 갈수록 악화되었으며, 시력 또한 감퇴되어수술 7개월 후 이식편 실패 진단하에 좌안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을 다시 시행하였다. 재수술 후 8개월째 특별한 합병증 없이 각막은 투명하며 최대교정시력 0.6 내외로 유지되고 있다. 결론: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 시행 후 이식편 실패가 발생한 환자에서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을 재시행하였는데, 수술 중 기존의 데스메막은 어렵지 않게 온전히 제거할 수 있었으며 합병증 없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secondary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for graft failure after primary DMEK. Case summary: A 47-year-old female underwent primary DMEK in her left eye with a diagnosis of Fuchs’ endothelial dystrophy. At 6 weeks later, corneal stromal edema with epithelial and subepithelial bullae was first observed. From that point on, the condition of the cornea and the visual acuity continued to degrade. After 7 months, a second DMEK procedure (i.e., a repeat DMEK) for graft failure was performed successfully without any complications. Since the second procedure, the cornea has been clear, and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has remained at 0.6 for 8 months. Conclusions: To manage graft failure after primary DMEK, we performed a second DMEK procedure. The removal of the previous graft was easy,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Thus, repeat DMEK may be a feasible procedure.

      • KCI등재

        전층각막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의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

        손우영(Woo Young Son),하민지(Min Ji Ha),황웅주(Woong Joo Whang),변용수(Yong-Soo Byun),황형빈(Hyung Bin Hwang),나경선(Kyung Sun Na),노창래(Chang Rae Rho),이현수(Hyun Soo Lee),정소향(So Hyang Chung),김은철(Eun Chul Kim),조양경(Yang Kyu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6

        목적: 전층각막이식술(penetrating keratoplasty)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게 이차적으로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1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6세 남자 환자는 양안 원추각막으로 30년 전 우안 전층각막이식술, 14년 전 좌안 전층각막이식술을 받고 경과 관찰하던 중 1년 6개월 전부터 좌안 이식편 실패로 좌안 시력이 서서히 감소하였다. 좌안 이식편 실패에 대해 이차 각막이식술로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13일째 각막 비측 1/4의 이식편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어 1차례 추가적인 공기주입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8달째 환자는 나안시력 0.5까지 확인되었으며 각막은 투명한 상태로 이식편 거부반응 없이 잘 유지되고 있다. 결론: 전층각막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 이차적인 각막이식술로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고 결과도 양호하였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 successful secondary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in failed penetrating keratoplasty. Case summary: A 46-year-old male with keratoconus in both of his eyes underwent penetrating keratoplasty in his right eye 30 years ago and in his left eye 14 years ago. From one and a half year ago, the patient’s visual acuity decreased in his left eye due to graft failure. For treatment, secondary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was performed. Partial detachment of Descemet membrane was observed at 13 days after the operation, and an additional air injection was performed. At 8 months after the operation, the patient’s uncorrected visual acuity improved to 0.5 and the cornea maintained its clearance without rejection. Conclusions: Secondary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was successfully performed in a patient with failed penetrating keratoplasty.

      • KCI등재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의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

        오시은(Si Eun Oh),하민지(Min Ji Ha),황웅주(Woong Joo Whang),변용수(Yong-Soo Byun),황형빈(Hyung Bin Hwang),나경선(Kyung Sun Na),노창래(Chang Rae Rho),이현수(Hyun Soo Lee),정소향(So-Hyang Chung),김은철(Eun Chul Kim),조양경(Yang Kyung C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12

        목적: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Descemet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 2차적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6세 여자 환자가 6년 전 우안에 백내장수술을 받고, 한 차례 인공수정체교환술을 받은 뒤 수포각막병증이 발생하여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을 시행받았다. 5년간 시력을 잘 유지해오다가, 이식편 실패로 인해 시력이 감소하게 되었다. 해당 환자는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녹내장이 발병하였던 상태로, 2차 각막이식술은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로 시행하였으며 추가적인 공기주입 없이 수술은 성공하였다. 수술 3개월 후 교정시력은 0.2였으며 각막은 투명하였다. 결론: 데스메막박리 자동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 2차적으로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5개월까지 각막이식편의 실패 없이 투명한 각막을 유지하였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secondary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to treat graft failure after Descemet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Case summary: A 66-year-old female underwent DSEK of her right eye to treat pseudophakic bullous keratopathy that developed after cataract surgery and intraocular lens exchange. After 5 years, she complained of decreased vision; graft failure was observed. Secondary DMEK was performed; no additional air injection was needed. The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2, 3 months after surgery, and the cornea became clear. Conclusions: Visual recovery can be achieved by performing secondary DMEK after primary DSEK graft failure.

      • KCI등재

        반복적인 전층각막이식실패 환자에서 데스메막박리 자동 각막내피층판이식술을 시행한 1예

        황규덕(Gyu Deok Hwang),윤혜연(Hye Yeon Yun),하민지(Min Ji Ha),황웅주(Woong Joo Whang),장동진(Dong Jin Chang),황호식(Ho Sik Hwang),나경선(Kyung Sun Na)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3

        목적: 두 차례의 전층각막이식 후 재차 이식 실패가 발생하여 데스메막박리 자동 각막내피층판이식술을 시행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3세 인도 국적의 남자 환자로 우안 아메바각막염이 발생하여 인도에서 2차례 전층각막이식수술 및 각막윤부이식을 시행받은 후 본원에 내원하였다. 경과 관찰 도중 우안 이차성 녹내장 진단하에 아메드밸브이식술을 시행하였으며, 우안 각막신생혈관에 진행하여 우안 결막후전술 및 양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각막이식 실패 상태로 진행하여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7개월째 우안 나안시력 20/320으로 특별한 합병증 없이 유지되고 있다. 결론: 전층각막이식 후 각막신생혈관 및 녹내장수술로 인한, 각막내피세포 부전으로 반복적인 이식 실패가 발생한 환자에 있어서 기질 상태가 양호할 경우 데스메막박리 자동 각막내피층판이식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좋은 시력회복을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추후 국내에서 더 많은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for graft failure after re-penetrating keratoplasty (PK). Case summary: A 33-year-old man of Indian nationality who had developed right eye amoeba keratitis and had received two penetrating keratoplasties and allogeneic kerato-limbal transplant in India sought treatment at our hospital. During the follow-up, Ahmed valve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under the diagnosis of secondary glaucoma in his right eye; the patient also underwent conjunctival recession and conjunctival permanent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as corneal neovascularization had progressed. Subsequently, the corneal transplantation failed and DSAEK was performed. At 7 months after the operation, the right-eye visual acuity was 20/320 without any complications. Conclusions: DSAEK may restore good vision without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repeated corneal graft failure after PK from corneal endothelial cell failure followed by corneal neovascularization and glaucoma surgery but with good stromal conditions. We present this case,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Future studies will require more surgical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