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도시 통행발생 원단위 적용 개선에 관한 연구

        추상호(Choo Sangho),정성봉(Chung Sung Bo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10 도시 행정 학보 Vol.23 No.4

        Trip generation rates has been often used to estimate travel demand for specific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land-use developments. However, there has been a number of errors in demand forecasting because a standardized and rational procedure to apply trip generation rates does not exist. In particular, demand for large-scale developments such as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could have been affected by trip generation rates, resulting in huge or small traffic impacts on the arterial roads nearby. Such results heavily depend on their applic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methods for survey, calculation, and application of trip generation rates in order to improve their reliability in travel demand forecasting. For survey of trip generation rates, we proposed a sample size look-up table based on a level of confidence and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considering residential land size. For calculation of trip generation rates, category analysis of trip generation rates was suggested for travel demand analysis of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sites. For application of trip generation rates, weighted trip generation rates need to be applied to demand forecasting for new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considering their locations, development sizes, populations, and so on. Our research results would be expected to improve current travel demand forecasting methods for new residential area developments using trip generation rates.

      • KCI등재

        통행시간예산의 특성 분석

        추상호(Choo Sangho),나승원(Na Seung Wo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1 도시 행정 학보 Vol.24 No.2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ravel behavior of individuals for the efficient transportation investment, and in particular the understanding of the pattern of travel time use has a great usefulness. Hereup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vel time budget that has been discussed continuously, checking the regularity of travel time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at the aggregate level as shown in the previous studies of travel time budget. This study use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ravel Survey in 2002 and 2006, and thereby examined the changes of travel time budget for each individual and total traveler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d for each socioeconomic index as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travel time budge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time classified by travel purpose, mode, and regions. We confirmed that age, gender, income, employment status, ownership of vehicles are significant as the factors that explain daily travel time. It was identified that though individual travel time budget can show differences, the travel time budget classified by type and group at the aggregate level was somewhat consta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travelers tend to extend the distance and frequency of travel rather than diminish the travel time in order to maximize the utility.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공유 모빌리티 이용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신도시 주민을 대상으로

        신송현(SHIN, Song Hyeon),추상호(CHOO, Sangho)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지 Vol.40 No.2

        최근, 코로나 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들이 사람들의 통행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통부문에는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전반적인 변화로는 대중교통과 같은 수단의 이용이 감소하였으며, 새롭게 등장한 공유 경제형 교통서비스인 공유 모빌리티의 이용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중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와 같이, 주로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1인용 교통수단인 개인형 이동수단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처럼 코로나 19 확산에도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공유 모빌리티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이후 공유 모빌리티의 이용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통부문 대응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기주택도시공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 중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가 도입된 1, 2기 신도시의 통근자 자료를 활용하여, 공유 모빌리티 이용변화 정도에 대한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개발하여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통근 시 보행 시간이 길수록 코로나 19 이후 공유 모빌리티 이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퇴근 시 이동수단이 ‘도보와 개인형 이동수단을 함께 이용하는 응답자’, ‘대중교통과 개인형 이동수단을 함께 이용하는 응답자’의 공유 모빌리티 이용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특성변수인 상업 ‧ 업무지역 면적비율, 공원 면적비율이 높은 지역에 거주할수록 공유 모빌리티 이용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통부문의 대응전략과 공유 모빌리티의 운영방안 정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in response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restrict personal trip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has decreased, while the use of sharing mobility such as sharing e-bikes and sharing e-scooters, a newly emerged sharing economy transportation service,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change in use of sharing mobility under the pandemic, and to present strategies for the transportation sector in the post-covid era. To this end, we developed ordered probit models for the degree of change in use of sharing mobility, utilizing the survey for residents of the new tow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conducted by where sharing mobility services were introduced. The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longer the walking time of commuters, the more the use of sharing mobility.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ose who use both walking and personal mobility as commute means, or who use both public transportation and personal mobility, tended to increase the use of sharing mobility. Finally, it was shown that people lived in the area, where either ratio of the commercial/business area or park area was high, were less likely to use sharing mobility. These results can be useful for establishing transport strategies for sharing mobility in the future post-covid era.

      • KCI우수등재

        대중교통 이용특성과 코로나19 감염 위험 인식에 미치는 요인 분석

        이경재(LEE, Gyeongjae),추상호(CHOO, Sangho),김기용(KIM, Ki Yong),정준영(JOUNG, Junyoung)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5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으로 전 세계가 전례 없는 전염병 위기를 겪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백신 등의 약물적인 예방수단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개인 및 집단 간의 접촉을 줄임으로써 바이러스 노출을 최소화하여 코로나19의 전파를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많은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에 따라 사람들의 활동이 감소하였고, 이는 이동의 감소로 나타났다. 특히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이 크게 감소하였다. 다만, 국내의 연구는 주로 수단별 이용량의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개인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느끼는 대중교통 수단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이와 함께 대중교통 수단의 방역조치에 대한 만족도,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대중교통 통행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중교통 수단과 공간(차량/정류장)별로 방역조치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중교통 이용 빈도, 이용 시간 등의 통행행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통행행태 개인 속성, 대중교통 이용 특성, 지역에 따른 개인이 느끼는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나아가 대중교통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인식에 대한 순서형 로짓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개인 속성, 대중교통 이용특성, 대중교통에 대한 인식, 지역적 요인이 대중교통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으며,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지하철 서비스 제공 여부에 따라 결과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요구되는 대중교통 정책을 수립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ld is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pandemic crisis of COVID-19. In the absence of any pharmaceutical intervention, social distancing measure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countri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 19 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virus by reducing contact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People’s activity decreased according to social distancing measures, which resulted in a decrease of travel demand.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the public transportation ridership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focus is mainly on the change in the amount of use by means, and few studies have analyzed individual perceptions in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of COVID-19 inf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along with this,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disinfection measures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changes in public transportation traffic behavior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Satisfaction with the disinfection measures divided into public transportation means and space (vehicle/stop) and changes in travel behavior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are compared. In addition, we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o compare differences in personal perceptions caused by travel behavior, personal chracteristics, trip attributes, and regional factors, and further, ordered logit model is estimated to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 factors and perceived risk of COVID-19 inf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sonal chracteristics, trip attributes, percep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regional factors affect perception of the risk of COVID-19 inf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The influence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subway service is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respondent resides.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and prioritize public transport policies required in the post-corona era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통행목적을 고려한 통행시간 영향요인 분석

        구자헌(KOO, Jahun),추상호(CHOO, Sangho)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5

        하루는 24시간으로 제약되어 있으며, 사람들은 저마다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통행은 파생수요라는 특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통행시간 역시 다른 활동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반해, 통행시간예산 이론에 따르면 하루 평균 통행시간은 비교적 일정한 것으로 나타난다. 종합해보면, 하루 전체 통행시간은 비교적 일정하며, 통행시간은 다양한 활동에 영향을 받는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목적별 통행시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활동시간에 따른 통행시간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2009년 및 2019년 생활시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목적을 고려하여 전국 학령이상 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분석에 앞서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목적별 통행시간은 모두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오차항 간 상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 겉보기 무관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밀도 및 도시비율변수는 모두 양의 영향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관련변수에 비해 개인관련변수에서 유의한 변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든 목적통행에서 통행횟수 영향력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 day consists of 24 hours, and people perform a variety of activities during the time period. Travel time is related to activities, since travel is derived demand. According to the travel time budget theory, the average travel time appears to be constant over time. However, travel time by purpose affects each other given that the total travel time is const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tors to influence the changes of travel time by purpose considering their correlations. The data for this analysis come from the time use survey data of Statistics Korea in 2009 and 2019, focused on people over school age. Prior to modeling, we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resulting in significant correlations of all pairs of travel times by purpose. Accordingly, a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model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oth population density and urban ratio had positive influences on travel time. Second, the individual variables are more significant than the household variables in the model. Thir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trips on travel time by purpose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These results can be useful for establishing transport policy strategies related to travel tim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