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측 난소의 성숙 기형종 중 일측에서 기원한 장형 점액성 선암과 갑상선종 유암 1 예

        김석모(Seok Mo Kim),최호선(Ho Sun Choi),변지수(Ji Su Byun),김윤하(Yoon Ha Kim),김경선(Kyoung Seon Kim),임소이(So Yi Rim),김형록(Hyung Rok Kim),남종희(Jong Hee Na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

        Malignant transformation of mature cystic teratoma (MCT) is an uncommon complication occuring in approximately 1-3%. Any of the constituent tissues of a teratoma has the potential to undergo malignant transformation; squamous cell carcinoma is the most commonly associated cancer, however, adenocarcinomas or carcinoid tumors arising in mature cystic teratoma are uncommon, especially simultaneously. We present an unusual case of postmenopausal women having mucinous adenocarcinoma and strumal carcinoid tumor simultaneously arising in one of bilateral mature cystic teratoma of the ovary. We suggest malignant transformation of MCT should be treated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f the worst histologic diagnosis of the transformations if there are 2 or more malignancies are arised in MCT of the ovary.

      • SCOPUSKCI등재

        Irradiation Alone in Stage IB, IIA, and IIB Cervix Cancer : I Analysis of Survival and Failure Patterns

        안성자,정웅기,나병식,남택근,최호선,변지수,Ahn Sung Ja,Chung Woong Ki,Nah Byung Sik,Nam Taek Keun,Choi Ho Sun,Byun Ji Soo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2

        목적 : 본병원에서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생존율 및 재발 양상을 분석 하고 이에대한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치료방법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7년 5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자궁경부암병기(FIGO) IB, II A, II B 로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2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중 병기 IB환자는 1995년에 개정된 FIGO 분류법에 의해서 분석당시 IB1과 IB2로 재분류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조사를 병용하였으며 방사선치료 후 6개월에서 국소종양의 치유여부를 판정하였다. 추적기간은 3개월에서 115개월까지 였으며 평균 62개월이었고 추적율은 $93.6\%$(206/220) 였다. 결과 :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B1(N=50), IB2(N=15), II A(N=58), II B(N=97)에서 각각 $94\%,\;87\%,\;69\%,\;56\%$였다. 생존과 관계있는 예후인자로는 병기(p=0.00), 진단시 혈색소치(p=0.00), 진단시 종양표지자 수치(p=0.02), 종양의 크기(0.00), 골반단층촬영에서의 임파선전이(p=0.04) 등이 통계적인 유의수준을 보였으나 다요인 분석에서는 병기만이 유일하게 통계적인 유의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판정이 가능한 214명의 방사선치료에 따른 국소종양제어율은 $81\%$였으며, 병기별로보면, IBI, IB2, II A, II B 각각 $100\%,\;86.7\%,\;84.5\%,\;68.1\%$의 결과를 보였다. 치료 후 재발율은 $15.5\%$(27/174)였으며, 병기별로 보면 IBI, IB2, II A, II B 각각 $8\%,\;0\%,\;22.4\%,\;19.4\%$였다. 결론 :촌기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결과는 이미 보고되어 있는 다른 결과와 비교시 비슷한 수준을 보이나 진행된 II B 환자에서는 낮은 생존율의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대한 원인분석과 치료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하겠다. Purpose : We analyzed the survival and failure patterns of cervix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irradiation alone to evaluate our treatment method and to compare with the others Methods and Materials : Two hundred and twenty cervical cancer patients, Stage IB, II A, and II B who completed the planned treatment between Mar 1987 and December 1991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Stage IB patients were restaged to the Stage IB1 and IB2 by the recently revised FIGO classificatio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external irradiation and the intracavitary brachytherapy Determination of the tumor control was done at the time of 6 months Postirradiation. The follow-up time was ranged from 3 to 115 months and the mean was 62 months and the follow-up rate was $93.6\%$(206/220) Results :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Stage IB1 (N=50), IB2(N: 15). II A(N=58), and II B(N=97) was $94\%,\;87\%,\;69\%,\;and\;56\%$. respectively. In the univariat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stage(0.00), initial Hg level (P=0.00), initial TA-4(tumor-associated) antigen level(p= 0.02), initial CEA level(p=0.02), barrel-shaped tumor(p=0.02), whole cervical involvement (0.00), pelvic tyrnphadenopathy(LAP) in CT(p=0.04), and Post-irradiation adiuvant chemotherapy(P=0.00)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rvival analysis. In a while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stage was the most powerful Prognostic indicator and the Post-irradiation chemotherapy factor also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overall local control rate was $81\%$ and by the stage, $100\%$ in Stage IBI, $86.7\%$ in Stage IBS, $84.5\%$ in Stage IIA, and $68.1\%$ in Stage IIB, respectively The overall tumor recurrence rate was $15.5\%$(27/174) and by the stage, $8\%$(4/50) in Stage IB1, $0\%$(0/l3) in Stage IB2, $22.4\%$(l1/49) in Stage II A, and $19.4\%$(12/62) in Stage II B, respectively. Conclusions : We obtained the similar treatment results to the other's ones in early stage cervical cancer patients. But in Stage II B, the local control rate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institutes and also the survival was poorer. So it seems to be necessary to reevaluate the treatment method in advanced cervical cancer patients.

      • SCOPUSKCI등재

        Results of Postoperative Irradiation in Patients with Carcinoma of Uterine Cervix Stage IB and IIA

        안성자,남택근,정웅기,나병식,최호선,변지수,Ahn Sung Ja,Nam Taek Keun,Chung Woong Ki,Nah Byung Sik,Choi Ho Sun,Byun Ji Soo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1

        목적 :조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보조적 방사선치료요법은 근치적수술을 시행하고 재발의 위험이 높은 불량한 예후를 갖는 환자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생존과 치료실패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5년 8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자궁경부암 병기 IB와 IIA환자 106명중 기록이 충분한 9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적율은 $88\%$(78/90)였고 추적기간의 중간간은 64개월이었다. 결과 : 90명에 대한 5년 생존율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80.0\%$, $80.2\%$였다. 다변량생존분석에서 65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연령, 병기, 조직학적 분류, 수술전 혈중 CIA 농도, 출산력, 경부침윤정도, 종양의 육안적 크기, 종양의 궤양성 유무, 임파선 전이 유무, 수술절단면의 소견, 항암제치료 유무를 변수로 분석결과 수술절단면의 조직학적인 소견(p=0.005), 임파선전이유무(p=0.005)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추적기간중 13명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부위별로 보면 골반내 국소재발이 5명, 원격전이가 8명 이었으며 수술후 3개월에서 39개월사이에 발견되었으며 중간값은 19개월이었다. 골반내 전이는 선암(p=0.034)과 경부침윤 10mm 이상(p=0.02) 그리고 항암제치료(p=0.023)를 시행하였던 환자군에서, 원격 전이에 있어서는 임파선전이와 수술절단면에서 암세포가 양성을 보였던 환자군에서 각각 더 높은 전이율을 보였다. 치료에 의한 합병증을 호소하였던 환자는 15명이었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혈변이나 혈뇨였고 중증의 합병증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 : 이에 저자는 조기자궁경부암 IB와 IIA환자에서 수술병리학적소견중 임파선전이와 불충분한 수술적절제가 예후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소견을 보인 환자는 보다 적극적인 보조치료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adjuva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has been usually applied to the patients with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s after radical operation in early cervical cancer. W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survival status and failure patterns of the patients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ninety patients with FIGO stage IB and IIA cervix cancer who received postoperative pelvic irradiation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1985 and December 1988, Seventy-eight patients had adequate follow-up information for survival analysis. Median follow-up time of these patients was 64 months. Results : The 5 year overal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of ninety patients was $80.0\%$ and $80.2\%$, respectively. The prognostic significance to the survival was determined by multivariate analysis. Adequacy of resection margin(p=0.005) and lymph node status(p=0.005) appeared to b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Recurrence occurred in 13 patients, 5 in the pelvis and 8 at distant sites. The median time to recurrence was 19 months(range:3-39 months). The pelvic recurrence was more prevalent in the group of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depth of stromal invasion more than 10mm and use of chemotherapy. The distant failure was more prevalent in the group of positive resection margin or positive lymph nod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Patients with pelvic lymph node or surgical margin involvement clearly constitute a high risk group in this analysi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candidates for some form of adjuvant therapy.

      • KCI등재

        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에 의한 자궁내막증식증의 치료효과

        김석모(Seok Mo Kim),신광식(Kwang Sik Shin),김윤하(Yoon Ha Kim),최호선(Ho Sun Choi),변지수(Ji Soo Byu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목적: 자궁내막증식증의 경구 투여한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에 대한 치료효과를 자궁내막의 조직학적 결과를 통하여 비교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1996년 3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증식증으로 진단받고 일차적으로 프로제스틴으로 치료한 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분류는 세계부인병리학회(ISGP)의 분류에 근거하여 단순성 증식증, 복합성 증식증 그리고 비정형 증식증으로 분류 한 후, 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로 치료를 시작하였다. 결과: 56명의 단순성 자궁내막증식증 환자의 MPA에 대한 반응은 45명(80.4%)에서 반응하였고 11명(19.6%)에서 계속 지속하였으며 진행한 경우는 한명도 없었다. 12명의 복합성 자궁내막증식증 환자에서는 10명(83.3%)에서 MPA에 반응하였고 2명(16.7%)에서 병변이 지속하였으며 한명도 진행된 병변은 없었다. 그러나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환자는 11명중 5명(45.5%)에서만 반응하였고 4명(36.4%)은 병변이 지속 하였고 2명(18.2%)에서는 1기의 자궁내막암으로 진행하였다. 결론: 세포의 비정형이 없는 자궁내막 증식증은 MPA에 대한 반응이 좋고 재발할 가능성도 낮으며 자궁내막암의 위험도 극히 적으므로 일차적으로 MPA를 비롯한 프로제스틴이 선택되어야 하나, 비정형 자궁내막 증식증은 MPA에 반응이 좋지 않을 뿐아니라 자궁내막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므로 젊고 생식능력의 보존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궁적출술이 가장 합리적인 치료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hyperplastic endometrium to Medroxyprogesterone acetate according to the histologic types such as simple typical, complex typical and atypical hyperplasia. Methods: A total of 79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d endometrial hyperplasia were enrolled into this prospective study between March 1996 and May 1998. Patients without atypia were placed on a regimen of cyclic therapy with 10mg MPA orally, each day for 14days per month for 3 months. In the cases in which hyperplasia did not regress , MPA was increased to 20mg.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received continuous MPA therapy, 20mg orally each day for 3 month.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3 months and a maximum of 1 year(mean 7 months). Results : In patients with simple typical hyperplasia, 45 patients(80.4%) had regression, 11 patients(19.6%) had persistence and none had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complex typical hyperplasia, 10 patients(83.3%) had regression, 2 patients(16.7%) had persistence and none had progression. But, in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5 patients(45.4%) had regression, 4 patients(36.4%) had persistence and 2(18.2%) patients had well differentiated endometrial adenocarcinoma.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the follow up. Conclusion : This data suggest that most women with typical hyperplasia respond to progestin therapy, but there is high failure rate of response to progestin therapy and risk of endometrial cancer in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If the young patient desires to preserve her fertility, then progestin therapy may be considered as primary treatment in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But older patients in whom fertility is not an issue, hysterectomy should be selected as treatment of choice for atypical lesion.

      • KCI등재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진단된 미세 폐 전이가 임신성 융모종양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김석모(Seok Mo Kim),김기민(Ki Min Kim),최영삼(Young Sam Choi),김윤하(Yoon Ha Kim),최호선(Ho Sun Choi),변지수(Ji Soo Byu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임신성 융모종양 환자의 병기설정에서 컴퓨터 단층 촬영에 의한 미세 폐 전이의 진단이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1989년부터 1998년까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교실에서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으로 진단된 48명과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으로 진단된 11명 등 총 59명을 대상으로 치료전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폐에 전이가 없는 경우를 진성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으로, 1cm미만의 미세한 폐전이가 발견된 경우를 미세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폐에 전이가 발견된 경우는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WHO 예후 점수를 기록하여 7점이하의 저 및 중증도 위험군은 1mg/kg Methotrexate를 1,3,5,7일 그리고 0.1mg/kg Folinic acid를 2,4,6,8일 각각 근주하는 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8점이상의 고위험군은 EMACO 복합 화학요법을 일차적으로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1년간 경구 피임약으로 피임을 하도록 하였으며 임신성 융모종양이 완해된후 한달 동안은 1주 간격으로, 그후는 한달 간격으로 1년간 혈청 hCG수치를 측정하여 재발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59명 중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48명(81.4%)이었고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11명(18.6%)이었다.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 중 진성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33명(68.8%)이었고 미세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15명(31.2%)이었다. 진성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과 미세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나이, 완해 될 때까지의 기간 및 화학요법 사용횟수, 일차 화학요법에 대한 실패율 등 예후 지표는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완해율도 두군 모두 100%로 같았다. 완해후 추적검사에서 1명이 미세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에서 재발하였으나 진성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에서는 한명도 재발하지 않았다. 결론: 임신성 융모종양에서 폐전이를 발견하는데 있어서 컴퓨터 단층 촬영은 흉부 엑스선에 비해 보다 더 민감한 방법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컴퓨터 단층촬영에 의한 미세 폐 전이의 발견이 환자의 치료결과나 예후에 어떠한 의의있는 영향도 끼치지 못하므로 폐 전이의 발견을 위한 치료전 병기설정 검사는 흉부 엑스선으로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CT scan is more accurate method than chest X-ray for detecting small pulmonary metastasis in GTT. About 40% of nonmetastatic GTT based on conventional chest X-ray have pulmonary metastasis detected by CT scan. However, prognostic significance of small pulmonary metastasis detected only by CT scan is not well determined.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know whether small pulmonary metastasis detected only by CT scan affect treatment outcome worse or not. Methods: Forty eight GTT patients without any metastasis and eleven GTT patients with lung metastasis as determined by conventional GTT staging studies were evaluated with CT scan of the lungs before treatment between 1989 and 1998. A total of fifty nine GTT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rue nonmetastatic and micrometastatic groups based on CT scan finding, and nonmetastatic and metastatic groups based on conventional chest X-ray finding. They all received methotrexate therapy except three patients with high risk WHO score. All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to detect any differences in the treatment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according to the groups. Results: Fifteen of forty eight patients(31.2%) had pulmonary micrometastasis detected by CT scan. Three of thirty three patients(9.09%) in the true nonmetastatic group failed initial therapy with methotrexate while two of fifteen patients(13.3%) in the micrometastatic group failed initial therapy(p value: 0.642). Five of forty eight patients(10.41%) in the nonmetastatic group failed initial therapy while one of eleven patients(9.09%) in the metastatic group failed initial therapy(p value: 1.00). All patients who failed initial methotrexate therapy finally achieved remission with EMACO therapy regardless of their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prognostic parameters among the groups. Conclusion: CT scan was a more sensitive imaging tool than chest X-ray for detecting pulmonarymetastasis in GTT. But lung micrometastasis detected by CT scan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clinical outcome of patients with GTT, chest X-ray is adequate method for the detection of lung metast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