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우리나라 공과대학 연구실 연구기록의 체계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최현옥,이해영 한국기록관리학회 201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0 No.1

        To be able to present research authenticity, or to cope with patent related cases or any possible law suite for intellectual property, research records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for evidence as well as for providing research information. But record keeping in engineering school laboratory is in an early stage, and lacks associated rules and best practices, which makes systematic research records management hard. This research investigated current practices of engineering school laboratories, analyzed related problems, and provides systematic methods for effective engineering research records management, such as modifying related regulations and process, systematizing the process of research records management, and educating researchers and building infrastructure. 연구의 진실성을 검증하거나 특허권 관련이나 지식재산권에 관한 법적 분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구기록은 증거로도 매우 중요하며, 이전 연구의 정보 제공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공과대학 연구실의 연구기록 관리는 아직 초보적 단계이며, 관련 규정 및 모범 사례도 부족하여 체계적인 연구기록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연구실의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들을 분석해보고, 효율적인 연구기록 관리를 위해 관련 규정 및 프로세스의 정비, 연구기록관리 과정의 체계화, 연구자 교육 및 인프라 구축 등의 체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마음읽기 능력과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성향의 성차와 전공차

        최현옥,김혜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1

        According to Baron-Cohen(2003),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and between science and humanities students could be explained by two psychological dimensions: empathizing and systemizing. Systemizing is the drive to analyse systems or construct systems, and held to be our most powerful way of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the law-governed inanimate universe. Empathizing is the drive to identify mental states and respond to these with an appropriate emotion, and held to be our most powerful way of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social world. In this study, sex and major differences of mindreading abilities, empathizing and systemizing were tested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244 college students in the sciences major and the humanities major were given TOM tasks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the systemizing and empathizing tendencies: SQ and EQ. There were significant sex and major differences on the mindreading scores but not on the empathizing quotient, and significant sex differences on the systemizing quotient. On TOM task, females and humanities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and science students, but on the SQ, 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addition, more females and humanities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the “empathizer” in whom empathizing is stronger than systemizing, but more males and science students were as the “systemizer” in whom systemizing is stronger than empathizing. the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les and the individuals in the sciences were more systemizing-driven than emapthizing-driven, whereas females and the individuals in humanities were emapthizing-driven than systemizing-driven. In addition, the systemizer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mpatizer on the AQ, suggesting that people with high systemizing have higher levels of autistic features. 본 연구에서는 남녀 간에 나타나는 인지적, 행동적 차이는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의 두 가지 심리적 차원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Baron-Cohen의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이론(2003)을 검증하였다. 어문계열 및 이공계열을 전공하는 남녀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마음읽기 과제, 공감지수(EQ) 척도, 체계화지수(SQ-R) 척도, 자폐스펙트럼지수(AQ)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학생과 어문계열 전공생은 남학생과 이공계열 전공생보다 공감하기 능력을 측정하는 마음읽기 과제의 점수가 더 높았으나 공감하기 성향인 EQ 점수에서는 성차와 전공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SQ-R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았으며, 전공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각 개인의 공감하기 수준과 체계화하기 수준의 상대적 차이는 성별에 따라 달라서, 여학생은 체계화하기에 비해 공감하기 수준이 더 높았으나 남학생은 공감하기에 비해 체계화하기 수준이 더 높았다. 또한 각 개인의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의 상대적 수준에 따라 인지유형을 5가지로 나누었을 때 남학생과 이공계열 전공생은 공감하기보다 체계화하기 성향이 더 강한 S형과 극단적 S형에 많았고 여학생과 어문계열 전공생은 체계화하기보다 공감하기 성향이 더 강한 E형과 극단적 E형에 많았다. 또한 S형과 극단적 S형의 자폐스펙트럼 지수는 E형과 극단적 E형의 자폐스펙트럼 지수보다 높았다.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 수준의 상대적 차이가 성차뿐만 아니라 자폐적 성향을 설명할 수 있다는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이론이 지지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마음이해 능력과 사회적 능력

        최현옥,김혜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4 No.1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change of adolescent's theory of mind. In addition, the relations between theory of mind and the social competence were investigated. Sixty students in each the 6th and 8th grade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mind were measured by four kinds of mindreading tasks; the second-order false belief tasks, understanding the ambiguous social behaviors tasks, understading the hidden meaning of a figurative statement tasks, and the “faux pas” tasks. Social skills were measured by social skill scales. Eighth graders performed better than the 6th graders on the understanding the ambiguous social behaviors tasks and faux pas tasks but not on the second-order false belief tasks and understanding the hidden meaning of figurative statement tasks.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mindreading ability continues to develop during the adolescence, especially the ability to interpret others' ambiguous social behaviors by reading their mental states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at a person says a faux pas it is due to a mistaken belief.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the ambiguous social behaviors tasks was found to be the best task to predict social behaviors.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mindreading ability would be a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 on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도 마음이해 능력이 계속 발달하는지, 또 마음이해 능력이 사회적 능력과 관련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 60명과 중학교 2학년 6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마음이해 능력은 2차 순위 틀린 믿음 과제, 애매한 행동 이해하기 과제, 숨은 말뜻 이해하기 과제, 그리고 헛디딤 말 이해하기 과제로 측정하였다. 사회적 능력은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과 마음이해와 무관할 수 있는 관습적 사회행동을 묻는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2차 순위 틀린 믿음과제와 숨은 말뜻 이해하기 과제에서는 두 집단 간의 수행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애매한 행동 이해하기 과제와 헛디딤 말 이해하기 과제에서는 중학생의 수행이 더 높았다. 이는 마음읽기 능력이 청소년기에도 계속 발달하는데, 특히 애매한 행동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과 말하는 이가 상대방에 대한 특정한 사실을 알지 못해 실수로 하는 헛디딤 말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능력이 6학년 이후에도 발달함을 보여준다. 또, 여러 마음이해 과제 중에서, 애매한 행동 이해하기가 사회적 행동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이해 과제들의 사회적 행동 설명력 또한 크지는 않았지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