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특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최항준(Hang Jun Choi),조수경(Su Kyoung Cho),김미정(Mi Ju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양육방식이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11) 4차년도 자료를 사 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월령이 35개월 이상 42개월 이하의 1,754명의 아동을 자녀로 둔 아버지와 어 머니이다. 각 변인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모델의 적합도는 매 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양육특성이 어머니심리특성을 매개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 양육스트레 스에 부적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로한 간접효과 역시 부적 영향력을 가진 것 으로 나타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여줬다. 아버지 양육특성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부적효과를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역시 부적영향력을 증가시켰다. 매개변인으로 선정한 어머니 심리특성은 본 연구에서 매개변인으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a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hildcare activities of his infant child and his method of childcare affects the childcare stress of the mother, mediated by 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data used are the fourth year data of the Korea Child Panel from the Institute of Childcare Policy (2011).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1754 parents of infant children aged 35 to 42 months. A structural model is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ir effect. The fitness of the model appears to be high. The findings show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in childcare and their childcare characteristics has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 childcare stress of the mother, mediated by 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in childcar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mother’s childcare-related stress.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is also negative. The indirect effect of the father’s childcare characteristics, mediated b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on the mother``s childcare stress is also negative. The variable of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lected as a mediating variable, is proven to live up to its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is study.

      • KCI등재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유아의 내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 차이 연구

        최항준(Choi, Hang 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6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유아의 내적 변인(성별, 기질, 발달)과 환경적 변인(교수효능감, 교수-유아 상호작용, 교실환경)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간 성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 간 기질과 언어발달 및 인지발달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 간 환경적 변인인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실환경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가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을 할수록 유아의 사회성 기질은 또래 상호작용을 건강하게 유도할 것이며, 언어발달과 인지발달도 긍정적 발달과정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살펴봄에 있어서 유아가 소유한 내적 변인에 속하는 성별과 기질, 언어와 인지발달, 그리고 환경적 변인인 교수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 교실환경이 지니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또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살펴봄에 있어서 긍정적·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을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본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유아의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에 속하는 모든 분야를 살필 수 없어 한정된 범위에서 변인을 결정한 점이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에 해당되기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s internal variables(gender, temperament,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eaching efficacy, teaching - child interaction, classroom environment)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t-test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er interaction of the infant showed a difference in sex between the types. Second, children "s peer interaction showed differences in interstitial temperament, language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Third, the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as different between the types of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teaching efficacy, teacher - infant interaction, and classroom environment.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children "s social temperament will lead to healthy peer interaction, and that language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will lead to a positive developmental process.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meaning of children "s intergenerational behaviors in children" s gender and temperament,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eaching efficacy, teacher - infant interaction, I check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s are segmented and analyzed in detail to examine the peer interaction of infant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not possible to investigate all the fields belonging to the infant "s personal variabl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 영아의 사회·정서행동,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항준(Choi, Hang-Jun),최선녀(Choi, Seon-Nyeo),임현주(Lim, Hyun-Ju)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6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영아의 사회?정서행동,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아 238명과 영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담임교사이다. 자료의 분석은 Amos에 의해 통계처리 되었는데 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다소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긍정적이었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매개로 양육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영향력이 크지는 않았지만 긍정적이었다. 또한 영아의 사회?정서행동이 어머니의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으로 가는 경로에서 직접효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매개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에서는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on infant"s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 This study surveyed 238 infants, infants" mothers and fathers and their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The fitness of the model was good. The finding showed that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to infant"s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 somewhat affected. The direct effect of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infant"s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 positive and the effect of it became some positive with the medica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lso the direct effect of th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on infant"s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 was positive and the effects of it became negative with the medita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The effect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 KCI등재

        유아의 기질,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차이 및 영향 연구

        최항준(Choi, Hang J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4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활동수준, 반응강도), 아버지 양육행동(강압적, 방임적, 논리적 설명)을 군집분석하여 각 집단 간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 주의집중), 내재화 문제행동(정서불안, 불안/우울, 신체증상, 위축)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D”시의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만 3∼6세 유아 355명과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활동수준 기질은 강압적 양육행동, 반응강도 기질은 강압적 · 방임적 양육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수준 기질은 상위집단에서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 주의집중)이 발생하였고, 반응강도 기질은 상위집단에서 외현화 · 내재화 문제행동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강압적 · 방임적 양육행동은 상위집단에서 외현화 · 내재화 문제행동 발생이 많은 반면, 논리적 설명 양육행동은 상위집단에서 외현화 · 내재화 문제행동 발생이 덜하였다. 또한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아의 반응강도․활동수준 기질, 아버지의 논리적 설명 · 강압적 양육행동이,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아의 반응강도 기질, 아버지의 논리적 설명 · 강압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의 기질 활동수준 · 반응강도가 높으면 아버지는 논리적 설명보다는 강압적 양육행동을 많이 하고 유아의 외현화 · 내재화 문제행동 발생이 높아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기질적 특성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부정적 양육행동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by analyzing the infant’s temperament (activity level) and father"s nurturing behaviors (coercive, neglectful, logical explanation). We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ggression, attent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emotional anxiety, anxiety/depression, somatic symptoms, atrophy) among the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5 infants aged 3-6 years and their parents who were reimbursed at the day care center of "D" city. The data for the study were verified by SPSS 18.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wo-step clustering statistics, and one-way ANOV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tivity level temperament is a coercive parenting behavior and the response intensity temperament was found to be coercive · neglectful nurturing behavior. The activity level temperament was also a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ggression, attention) in the upper group. The response intensity temperament appeared to be externalizing․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in the higher group. The father"s coercive · neglectful nurturing behaviors were mostly externalizing․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in the upper group. On the other hand, logical explanation nurturing behaviors were less externalizing ·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in the higher group. Through this study, the father had more coercive nurturing behavior when the infant"s activity level · response intensity level was higher. Thus, we confirmed that the infant"s externalizing ·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could be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fant’s phys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event the infant’s problem behaviors, which should provide multifaceted efforts to ensure that the quality of negative nurturing behaviors can change problem behaviors to positive nurturing behaviors.

      • KCI등재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선녀(Choi, Seon-nyeo),최항준(Choi, Hang 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취업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에 취업모의 양육태도는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6세 유아와 그들을 자녀로 둔 160명의 취업모였다. 연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유아의 성별에 따라 일상적 스트레스와 취업모의 양육태도, 문제행동(공격성, 주의집중,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의 문제행동 중 공격성과 주의집중은 취업모의 강압적 양육태도와, 불안/우울은 논리적 양육태도, 불안/좌절감 경험·자존감 상함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아의 문제행동 중 공격성은 취업모의 강압적 양육태도와, 주의집중은 불안/좌절감 경험스트레스, 강압적·논리적 양육태도와, 불안/우울은 비난/공격적 상황 스트레스, 강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간의 취업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는 남아의 경우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고, 여아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어머니는 강압적이거나 방임적인 양육태도보다는 상호보완적인 논리적 양육태도를 증진시켜 자녀가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스트레스를 낮추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daily stress and employed mothers" nurturing attitude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d mothers" nurturing attitude. 160 children (aged 3-6, in city "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daily stress, their problem behavior and the employed mothers" nurturing attitude,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n the case of the boys, their aggression and attention have effects on their coercive attitude, and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have effects of decreasing magnitude on their logical attitude, blaming / offensive stress and pride-hurt stress in that order. Secondly, in the case of the girls, their aggression has effects on their coercive attitude, and their attention has effects of decreasing magnitude on their anxiety / frustration stress and coercive·logical attitude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their anxiety / depression have effects of decreasing magnitude on their accused/offensive stress and coercive attitude in that order. Third, the employed mothers" nurturing attitude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ir problem behavior. However, no such mediating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case of the boys. Therefore, the mothers tend to foster complementary and logical parenting, rather than coercive or negligent parenting. It is thought that children need to reduce their stress level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reduce their problem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방식 유형 집단 간 가정 내·외적 지원, 유아의 언어발달, 또래와의 상호작용 차이 연구

        임현주(Hyun Ju Lim),최항준(Hang Jun Choi),이대균(Dae Kyun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방식 유형 집단 간 가정 내·외적 지원, 유아의 언어발달,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11) 4차년도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은 36∼42개월의 유아 1,718명과 그의 어머니이다. 기술통계,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다변량분산분석(MANOVA)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양육방식 상위집단에서 남편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의 점수가 높았다. 어머니의 양육방식 유형에 따라 수용언어 발달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표현언어 발달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회적 양육방식 상위집단에서 표현언어 점수가 높았다. 어머니의 사회적·한계설정 양육방식 상위집단은 놀이상호작용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사회적 양육방식 하위집단에서는 놀이방해와 놀이단절의 점수가 높았다. 이에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과 한계설정 양육방식이 자녀의 발달에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of the home,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peer interactions according to a mother’s parenting style. The data of 1,718 children, between 36 and 42 months old, and of their mothers were extracted from the 4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in 2011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Data analysis methods consisted of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OVA, and MANOVA.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high in the upper group of social parenting styles was the husband’s participation in the child care and the social support. In receptive languge development no difference was found, though a difference was found in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between social support and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s.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was high. only in the upper group of the social support. Play interaction was high in both upper groups of the social support and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s, In the upper group of the social support, the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were high. In conclusion, th mothers’ social parenting style and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child’s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의 개인변인, 모의 양육변인, 사회적 지원군집에 따른 유아의 수용 ·표현언어 발달 차이 연구

        임현주 ( Lim Hyun-ju ),최항준 ( Choi Hang-j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1

        연구에서는 유아의 개인변인(성별, 자아개념, 인지발달), 어머니의 양육변인(온정적 양육방식, 자녀상호작용), 사회적 지원에 따라 유아의 수용언어·표현언어 발달은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60∼66개월의 유아 1,662명과 부모이다. 수집된 데이터의 동질성과 이질성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는 군집분석과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성별, 자아개념, 인지발달에 집단에 따라 유아의 수용언어·표현언어 발달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여아의 수용언어·표현언어 발달은 남아보다 우수하였다. 자아개념과 인지발달 상위·중위·하위집단의 순서로 유아의 수용언어·표현언어 발달이 우수하였다.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방식 상위·중위·하위집단의 순서로 유아의 수용언어 발달이 우수하였으며, 자녀상호작용이 활발한 집단일수록 유아의 수용언어·표현언어 발달이 우수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는 집단일수록 유아의 수용언어 발달이 우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hild`s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by child`s personal variables and mothers` parenting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cluster analysis. The 6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2013) data were used. The subjects are 1,662 children and their mothers. It was analyzed with methods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lustering statistics. child`s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were shown a difference in according to gender, self-concept,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Girl`s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than boys were superior. And, the more highly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and self concept groups was excellent the child`s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more highly mothers` warm parenting style groups was excellent child`s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And, more highly mother and child interaction groups was excellent the child`s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Also, the more highly social support groups was excellent child`s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의 성별과 출생순위, 어머니변인 및 가정환경,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현주(Hyun Ju Lim),최항준(Hang Jun Choi),김현정(Hyun Ju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2012)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49~55개월의 유아와 부모, 교사 각각 1,017명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유아의 성별과 출생순위에 따라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은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성별, 부모 및 가정환경,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적 검증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에 있어 여아의 점수가 높았으며, 출생순위에서는 첫째아의 언어발달이 후순위 출생아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유아의 성별, 가정환경, 어머니의 학력, 교사효능감이었으며, 유아의 언어발달에는 유아의 성별, 출생순위, 가정환경, 교사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이었었다. 유아의 성별, 가정환경, 교사효능감은 유아의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017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2012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girls was better than those of boys. Further, first child’s language development were higher than subordinated child’s language development. In addition, child’s sex, home environment, the mother’s education, and teacher’s efficacy variables affected on the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The child’s sex, birth order, home environment, and teacher’s efficacy variables affected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Child’s sex, home environment, and teacher’s efficacy variabl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친지의 사회적지원, 부부특성,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현주(Hyun Ju Lim),최항준(Hang Jun Choi),최선녀(Seon Nyeo Choi)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various factors,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couple`s characteristics, and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upon infant development.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data was taken from 2078 infants who were born in 2008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1st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of the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means of a structural model and the fit of the model was also found to be very goo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and couple`s characteristics did indeed impact upon an infant`s development, with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having a mediating effect. The direct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on infant development was positive and the results of the effect were the same even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The direct effect of a couple`s characteristics on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was negative but the result of it was also positive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 KCI등재

        아버지의 양육참여, 부부특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이 어머니 양육특성에 미치는 변인탐색

        임현주 ( Hyun Ju Lim ),최항준 ( Hang Jun Choi ),최선녀 ( Seon Nyeo Choi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양육참여, 부부특성이 어머니의 양육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매개변인인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어머니의 양육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각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도에 출생한 2,078 신생아 가구이며 이를 대상으로 한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1차년도 데이타를 사용하였다. SPSS Windows 12.0과AMOS 7.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는데 모델의 적합도는 매우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특성에 긍정적 영향을 보였으나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을 매개로 하였을 때는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부부특성은 어머니의 양육특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부정적이었으나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을 매개로 하였을 때에는 매우 강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e parental characteristics, the mot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from 2078 infants who were born in 2008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1st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of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fit of the model was very goo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but the result was adverse with the mediation of the mot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 direct effect of the parental characteristics was positive. However, the effect of the parental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be very negative when the mot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medi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