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한별의 "Polyphony" for violoncello and woodwind quartet에 대한 분석과 연구

        최한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95

        Choi Hanbiel's “Polyphony” for violoncello and woodwind quartet this thesis deals with is a work the composer composed during her masters coursework, It was chosen by Chamber Music Invitation for the 36th Seoul Creative Music Festival in 2006, and was played and recorded at Sejong Chamber Hall in June, 11, 2006. Its total performing time is about 9 minutes, and all scores inserted in this thesis as examples are notated in actual sound.The work was mapped out to take its first section as the motif, to be divided into 4 elements(a, b, c, and d), and to develope the whole piece by means of the 4 constituents only.The piece can be divided into 5 interrelated sections of A-B-C-D-E, and since 4 elements mentioned above are being developed through expansion and reduction in each section, composer came to choose the title, 'Polyphony.' 본 논문에서 다루어질 최한별의 “Polyphony” for violoncello and woodwind quartet은 모티브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 작품의 세부적인 연구를 통해, 통일성과 모티브의 변형 및 발전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모티브 작업을 밝혀내는 방법으로는 악곡의 짜임새, 음정관계, 리듬변화, 음색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의 연구를 시도 하였으며, 그 결과 첫 번째 악구를 모티브로 하여 각각 a,b,c,d라는 4개의 요소로 세분화 한 후, 철저히 이 4개의 요소만을 가지고 곡 전체를 발전시키도록 구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악곡의 구성은 크게 A-B-C-D-E라는 5개의 연계된 section으로 나눌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4개의 구성요소들이 각 section마다 확장과 축소를 통해 주로 polyphony로 전개되는 것 또한 찾아 볼 수 있었다.

      • 남·북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용 및 탐구활동 비교 분석

        최한별 부산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의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내용 및 탐구 기능을 비교 분석함으로 남한과 북한의 교육 내용 사이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확인하고,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체제 확립과 탐구 학습의 수준을 결정짓는데 기초를 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한과 북한의 초등학교 3, 4학년의 과학 교과서로서 초등과학 교육의 목표와 편제를 확인하고 과학 교과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탐구 유형과 탐구과정 등의 탐구활동을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한 과학 교육의 목표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그 지향점이 있고, 북한에 비하여 학교 실정에 맞게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이 좀 더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의 과학 교육은 실리추구와 사상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룸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남한에 비하여 과학 시수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내용 구성면에서 남한의 경우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지구 영역으로 체계가 분명히 구분되어 있고, 영역별 가르치는 내용의 비율이 일정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각 단원이 10~11차시의 주제별 학습 내용으로 학습자 중심의 실험 및 탐구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한의 경우 영역의 분명한 구분보다는 유용성 있는 내용을 주제 중심적으로 학년별로 11개의 대단원이 구성되어 있으며 생명 영역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탐구활동에 대한 분석에서는 해보기, 실험하기, 자료해석, 조사, 토의토론의 탐구유형 중 남한, 북한 모두 ‘해보기’의 비율이 42.8%, 6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탐구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남한과 북한 모두 탐구 수행(기구조작, 관찰, 분류, 측정, 기록/전달, 자료변환, 수집/조사)의 비율이 높았으며 탐구설계(변인통제, 실험설계)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한의 경우 교과과정에 탐구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여 교과서 내에 중점 탐구요소 등을 명시하고 있으나 북한 교과서에는 탐구 대한 강조점이 거의 보이지 않고 지식의 전달에 우선하고 있는 것 같다.

      • 에이미 비치(Amy Marcy Cheney Beach)의 가곡 연구 : <세 개의 셰익스피어 가곡(Three Shakespeare songs) op. 37>과 <세 개의 브라우닝 가곡(Three Browning songs) op. 44>를 중심으로

        최한별 이화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amine Three Shakespeare Songs op.37 and Three Browning Songs op.44 composed by Amy Marcy Cheney Beach(1867-1944). Amy Beach, one of the important composers in the American history, is the first woman composer and pianist to gain a recognition. She has served as a bridge of music between 19th Century and 20th Century. Amy Beach is categorized into a neo-romanticist in that she has relied on the 19th Century's Romanticism which pursues the Eclecticism rather than the innovative style, unlike the contemporaries who pursue Modernism that newly emerged during the 20th Century. Her works, which range diversely in genre from mass, symphony, opera, to chamber music, have been published up to more than 300 pieces, among which lied accounts for 120 pieces. The songs clearly shows her outstanding sense regarding the harmony and the harmonic color. In her music, she puts importance to the color of harmony, aiming to express poetic feeling rather than progress. By effectively using the various musical factors including harmony to express the poetic sentiment, Amy Beach helps the musicians readily absorbed into the poem. 본 논문은 에이미 마시 치니 비치(Amy Marcy Cheney Beach, 1867- 1944)가 작곡한 가곡 <세 개의 셰익스피어 가곡(Three Shakespeare Songs) op.37>과 <세 개의 브라우닝 가곡(Three Browning Songs) op.44>를 중심으로 한 가곡 연구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미국에서는 뉴잉글랜드를 중심으로 나타난 제 2 뉴잉글랜드 악파(Second New England School)에 의해 미국 음악이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이 시기에 활동한 제 2 뉴잉글랜드 악파 중 한 명인 에이미 비치는 19세기 낭만음악을 바탕으로 유럽 전통을 이어가려는 신 낭만주의(neo-romantic) 작곡가이다. 그녀는 20세기의 새로운 모더니즘(Modernism)을 추구하기 보다는 낭만음악의 산물로써 전적으로 혁신적인 20세기 작곡 기법에 의거하지 않은 절충주의적 양식을 추구하였다. 미국의 대표적인 여성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활동한 그녀는 미국의 19세기와 20세기를 잇는 선구자적 역할을 한 여성 음악가이다. 이와 같이 여성 음악가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그녀는 가곡과 피아노 소품들, 미사, 교향곡, 오페라, 실내악곡 등 모든 장르의 작품을 작곡하였고 이 중 가곡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녀의 가곡 작품은 음악을 통한 가사 표현을 중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선율, 화성과 같은 음악적 요소를 사용하였다. 이로써 그녀의 작품은 연주자로 하여금 쉽게 가사의 내용과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녀의 가곡에 나타난 특징은 이외에도 단순한 리듬과 곡의 대조되는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빠르기의 변화, 점차 후기로 갈수록 명확하게 구분되는 형식적 특징, 그리고 가사로 사용되는 다양한 시인의 시로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서정적이고 단순한 선율 진행에서 점차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나타나는 반음계주의와 불협화음의 사용 그리고 복잡한 화음 진행 등이 있다. 그녀의 가곡 작품은 성악 성부와 더불어 반주 성부도 보조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곡의 가사와 어울려 하나의 작품을 이루고 있다. 에이미 비치의 대표적인 가곡 작품집으로는 <세 개의 셰익스피어 가곡 op.37>과 <세 개의 브라우닝 가곡 op.44>가 있다. 이 중 세 곡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셰익스피어 가곡 op.37>은 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윌리암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1616)의 희극 작품을 가사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그의 희극을 통해 인간의 무절제한 본능과 어리석음 등을 풍자하면서 마지막 순간에 행복을 성취하게 되는 이야기로 세상은 인간에게 우호적이며 희망적인 곳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세 개의 브라우닝 가곡 op.44>는 영국의 시인인 로버트 브라우닝(Robert Browning, 1812-1889)의 시를 가사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로버트 브라우닝의 작품을 통해 인간의 죄와 약점을 넘어선 진보적이고 건설적인 낙천적인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 두 작품은 인간 내면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노래하고 있는 가사와 가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음악적 요소, 그리고 2, 3부분 형식과 단순한 리듬, 박자 등 에이미 비치의 전형적인 가곡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 도시열섬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가로녹화 효과 검증 연구

        최한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 of green space structure and the street structure’s effect on relieving the Urban Heat Island and reducing Particulate Mat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street planting model was presented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The research sites were Dunsan-ro, Daejeon with wide roads and sidewalks, Bongcheon-ro, Seoul with wide roads and narrow sidewalks, Chunggyeong-ro, Jeonju with narrow roads and sidewalks, Yeonggogae-ro, Incheon, with wide roads and sidewalks, where green buffer zone is located, and last, Beonyeong-ro, Yangsan with wide roads and narrow sidewalks. All four sites were 450m×450m. This study examined the building floor height and land cover,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land use, and as a street status, the number of round-trip lanes, sidewalk width, and green area width were examined.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street trees and street planting structure, such as street trees species, height, underground height, the width of a tree crown, planting types, and green cross-sectional structur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us analysis, a possible method of changing the planting structure was established for the current status of the target site. The method of changing the planting structure was divided into a greenspace structure change and a street structure change. In the case of changing the greenspace structure, increasing the number of trees, creating multi-layered structures, renewing trees (Broad-leaved tree, conifers), and creating median green space. By Using the ENVI-met program, a computer climate model,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 of relieving Urban Heat Island and reducing Particulate Matter due to changes in street structures. An effect evaluat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as a single element, the effect of combining two or more,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roa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of changing green space structure, the most effective factor in reducing the Urban Heat Island was the formation of median green space. The maximum effects of formation of median green space were Incheon -0.40°C, Jeonju -0.31°C, Daejeon -0.15°C, Seoul -0.09°C, and Yangsan –0.02°C. Next, followed by renewing tree species to Broad-leaved tree with large green volume, increased tree row, multilayer structure, and renewing tree species to coniferous trees was effective. In the case of multilayer structure composition, the temperature tended to increase due to a decrease in wind speed. The factors that wer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Particulate Matter were the creation of median green space and the creation of multi-layered structures. The maximum effects of multi-layered structures were Jeonju -2.52㎍/m³, Daejeon -2.10㎍/m³, Seoul -0.68㎍/m³, and Incheon –0.67㎍/m³. The creation of median green space were in the order of Jeonju -2.21㎍/m³, Daejeon -1.80㎍/m³, Incheon -1.69㎍/m³, Yangsan –1.52㎍/m³, Seoul –1.15㎍/m³. Next, it was effective in the order of renewing the tree species with conifer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trees.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changing street structure , the effect of relieving the Urban Heat Island and improving Particulate Matter tended to be the same. When changing the same area to green space, it was more effective to create a median green space than to expand the sidewalk width and plant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the more lanes were changed to green space, the better it was. When the road in Seoul was created as a median green space the maximum effect of reducing the Urban Heat Island was -0.23℃ for two-lane change, -0.37℃ for four-lane change, and -0.48℃ for six-lane change. The maximum effect of improving Particulate Matter was –3.56㎍/m³ for two-lane change, -5.68㎍/m³ for four-lane change, and –7.74㎍/m³ for six-lane change. The composite effect evaluation was conducted to analyze which green space structure changing method can maximize the effect based on the median green space that had the best effect in a single element. In the case of reducing the Urban Heat Island, when the two methods are combined, the effect of "median green space + tree renewal (broadleaf tree)" is up to –0.15℃, and when the three methods are combined, the effect of "median green space + increased row of trees + tree renewal (broadleaf tree)" is up to –0.29℃. In the case of improving Particulate Matter, when the two methods are combined, "median green space + multilayer structure" is up to –2.37㎍/m³, and when the three methods are combined, "median green space + increased row of trees + multilayer structure." is up to –2.66㎍/m³.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effect of roads, the Urban Heat Islan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Particulate Matter tended to be the same. When applied to one road, it had a maximum effect of –0.08℃, -0.46㎍/m³, when applied to two at –0.12℃, -1.64㎍/m³, three at –0.14℃, -1.71㎍/m³, four at –0.15℃, -1.80㎍/m³. The more green space was secured, the better the effect was, and when the same green space was created, the more effective it was when the green space was connected. This result is because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amount of heat reaching the surface by covering the road, which is the site of heat island’s generation, and to block radiant heat to reduce the Urban Heat Island. Also,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spread of Particulate Matter on the road that causes it. 본 연구는 가로녹지를 대상으로 녹지구조 및 가로구조 변경에 따른 열섬현상 완화,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가로녹화 조성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주상혼합지의 도로 및 보도폭이 넓은 대전 둔산로 일대, 도로가 넓고 보도폭이 좁은 서울 봉천로 일대, 도로 및 보도폭이 좁은 전주 충경로 일대, 공업시설의 도로 및 보도폭이 넓고 완충녹지가 있는 인천 영고개로 일대, 도로가 넓고 보도폭이 좁은 양산 번영로 일대였으며 450m×450m 면적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지이용 현황으로 건축물 층고, 토지피복을 조사하였고, 가로 현황 조사는 왕복차선수, 보도폭, 녹지폭을 조사하였다. 가로수 및 가로녹지 구조 현황은 가로수 수종, 수고, 지하고, 수관폭 등의 규격과 식재유형, 녹지 단면구조를 조사하였다. 현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 현황에 가능한 식재구조 변경 방법을 설정하였다. 식재구조 변경 방법은 녹지구조 변경, 가로구조 변경으로 구분하였다. 녹지구조 변경의 경우 교목 열수 증가, 다층구조 조성, 수종 갱신(활엽수, 침엽수), 중앙분리녹지 조성을 통해, 가로구조 변경의 경우 도로 차선 감소 및 다층구조 또는 중앙분리녹지 조성을 통해 녹지량을 확대하는 방안을 설정하였다. 컴퓨터 기후모델인 ENVI-met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녹지구조 및 가로구조 변경에 따른 열섬현상 완화,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단일 요소로서 효과, 두 개 이상 복합했을 때의 효과, 도로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효과 평가를 진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일 요소 중 녹지구조 변경 방법의 효과 평가 결과 열섬현상 저감에 가장 효과가 좋았던 요소는 중앙분리녹지 조성이었다. 최대효과를 살펴보면 인천 -0.40℃, 전주 –0.31℃, 대전 –0.15℃, 서울 –0.09℃, 양산 –0.02℃ 순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녹지용적이 큰 활엽수로 수종 갱신, 교목 열수 증가, 다층구조, 침엽수로 수종 갱신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다층구조 조성의 경우 풍속 감소로 일부 온도가 증가하였다. 미세먼지 개선에 가장 효과가 좋았던 요소는 중앙분리녹지 조성과 다층구조 조성이었다. 최대효과를 살펴보면, 다층구조는 전주 –2.52㎍/m³, 대전 –2.10㎍/m³, 서울 –0.68㎍/m³, 인천 –0.67㎍/m³ 순이었고, 중앙분리녹지는 전주 –2.21㎍/m³, 대전 –1.80㎍/m³, 인천 –1.69㎍/m³, 양산 –1.52㎍/m³, 서울 –1.15㎍/m³ 순이었다. 그 다음으로 침엽수로 수종 갱신, 교목 열수 증가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가로구조 변경 방법의 경우 열섬현상 저감 효과와 미세먼지 개선 효과가 동일한 경향이었다. 같은 면적을 녹지로 변경할 때 보도폭을 넓혀 다층구조를 식재하는 것보다 중앙분리녹지로 조성하는 것이 효과가 더 높았으며, 더 많은 차선수를 녹지로 변경할수록 효과가 좋았다. 서울의 도로를 중앙분리녹지로 조성했을 경우 열섬현상 저감 최대효과는 2차선 변경 시 –0.23℃, 4차선 –0.37℃, 6차선 –0.48℃이었다. 미세먼지 개선 최대효과는 2차선 변경 시 –3.56㎍/m³, 4차선 –5.68㎍/m³, 6차선 –7.74㎍/m³이었다. 복합효과 평가는 단일요소에서 효과가 가장 좋았던 중앙분리녹지를 기준으로 어떤 식재구조 변경 방법을 복합했을 때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을지 분석하고자 진행하였다. 열섬현상 저감의 경우 두가지를 복합하면 ‘중앙분리녹지+수종 갱신(활엽수)’이 최대 –0.15℃, 세가지를 복합하면 ‘중앙분리녹지+교목 열수 증가+수종 갱신(활엽수)’이 최대 –0.29℃로 효과가 높았다. 미세먼지 개선의 경우 두가지를 복합하면 ‘중앙분리녹지+다층구조’가 최대 –2.37㎍/m³, 세가지는 ‘중앙분리녹지+교목 열수 증가+다층구조’가 –2.66㎍/m³로 효과적이었다. 도로의 상호관계 평가 결과 열섬현상 및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동일한 경향이었다. 도로 1개에 적용했을 때 최대 –0.08℃, -0.46㎍/m³, 2개에 적용했을 때 최대 –0.12℃, -1.64㎍/m³, 3개에는 –0.14℃, -1.71㎍/m³, 4개는 –0.15℃, -1.80㎍/m³의 효과가 있었다. 많은 도로에 녹지량을 확보할수록 효과가 좋았으며, 같은 녹지량을 조성할 경우 녹지가 연결될 때 효과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열섬현상 저감을 위해서는 열섬 발생지인 도로를 피복하여 지표면에 도달하는 열의 양을 감소시키고 복사열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미세먼지 개선에는 발생원인 도로에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게 중요하기 때문이었다.

      • 성교육의 역사와 성윤리에 관한 교회 가르침 : 「학교 성교육 표준안」과 교회 내 성교육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최한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sex education standard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pivotal shift from a 'biological perspective' to a 'personalist perspective.' The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limitations and main issue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t "Sex Education Standard for School" and proposes an alternative approach rooted in the 'personalist perspective' within the context of church-based programs.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Instruments of Hope and Healing Member's Manual" program developed by the 'Conference of Major Superiors of Men' in the United States, the thesis explores the changing landscape of sexual ethics teachings within the Church. Employing a genealogical approach, the research analyzes national-based sex education programs, tracing the historical inflection point that signifies the transition from an 'act-centered' or 'sin-oriented' morality to a more 'human-centered' and 'relational-oriented' morality. Through a thorough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composition and major issues of the "Sex Education Standard for School," the study establishes the need for a paradigm shift in both the church's teachings on sexual ethics and the design of sex education programs. Ultimately, this thesis proposes an integrated 'personalist perspective' that prioritizes the education of the equal dignity and identity of all humans. By advocating for a holistic approach to sex educat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ongoing discourse on reshaping societal attitudes towards sexuality within the framework of church teachings.

      • 고의 개념의 특정을 위한 사실의 착오론

        최한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형법 도그마틱의 임무는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사안을 유형으로 묶어 사안이 발생하기 이전에 그 해결방법을 공식화하는 데에 놓여 있다. 어떤 사안을 대상으로 하든, 이처럼 미리 준비한 체계에 따르면 어느 정도 일관된 답을 내놓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사실의 착오론이 이러한 기대를 충분히 만족시켜 왔는지는 의문이다. 사실의 착오론은 형법학 이론 영역에서 가장 많은 논의를 촉발하였고, 지금까지도 고도로 첨예한 학설대립이 끊이지 않는 영역이다. 그럼에도 실무에서 사실의 착오이론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드문 것은 물론, 아예 착오 개념이 언급조차 되지 않는다는 것은 쉽게 간과할 만한 사정이 아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이론과 실무의 괴리가 어디에 기인하는 것이며, 도대체 해소될 수는 있는 것인지, 어떻게 그 목적을 달성할 것인지를 묻고 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 시도로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괴리가 짐작했던 것과 달리 해소될 수 없는 것이 아님을 사실의 착오론의 의의를 분명히 하고 실무상황을 살펴봄으로써 보이고자 하였다. 사실의 착오론은 고의 대상의 구체화 정도 면에서의 여러 다른 관점을 논함으로써, 결국 고의 개념이 무엇인지를 소극적 방법을 통해 알게 해주는 영역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우리는 이를 거쳐 행위자의 인식⋅의욕이 어느 정도로 구체적인 객관적 구성요건에 가닿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를 비로소 깨달을 수 있다. 고의는 특정한 시간⋅공간 안에 존재하는 사실적⋅개별적인 대상을 향해 있는 인식과 의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선은 실무에서 고의의 성립 여부와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에 이미 녹아있다. 비록 이와 같은 판단방식이 사실의 착오 논의로 분류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결국 사실의 착오론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점에서 고의 판단의 엄격성을 깨닫게 하는 사실의 착오론에 뚜렷한 공로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사실의 착오론의 진정한 의미는, 오히려 사실의 착오 사례로 불리지 않는 곳에서 실현되고 있다.

      • 탈인습적 기독교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해석학적 기독교교육 모형 연구

        최한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presents an educational model for Christians living in the modern era that helps them achieve Christian ideals of knowledge and to spread Christian values in the world. Christians today have confused ego identities due to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and the limitations of church education. For this reason, helping people to establish identity as Christian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task, which can be accomplished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and answering questions asked by modern society. Establishing Christian identity is a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Christian life in society and the world, so it is urgent that Christians today do so.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a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that will help learners develop the postconventional Christian identity required by modern society. This system is developed by analyzing how identities are formed and presenting ways to do so. The educ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has three components: faith (with), Bible (why), and practice (will). These components form the relational, open, and equal selves, respectively, and help learners to establish a holistic view of church and society. Answering questions about life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will show how Christians should live their lives. The proposed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Richard Osmer’s consensus model. The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es the confused Christian ego identities of modern Christians, which is a descriptive-empirical task. Chapter 2 presents the social and religious causes of this confusion, which is an interpretive task. Chapter 3 presents the concept of Christian ego identity and its postconventional form. Chapter 4 presents the theology and theory of how hermeneutical Christian education can help learners form postconventional Christian ego identities and the necessity of doing so, which is a normative task. Chapter 5 presents the interpretive fusion model that overcomes the problems with the proposed hermeneutical Christian education model, which is a pragmatic task. Chapter 6 concludes the study by presenting a summary, limitations of the model, and how the model can be appl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dentifies why so many Christians today have confused identity, shows why this situation has to change, and presents a hermeneutical educational model for forming postconventional Christian identity.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이 기독교적 앎과 삶의 통전성을 회복하고, 나아가 세상 속에서 기독교적 가치를 실현하며 살도록 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대 기독교인은 포스트모던 사회의 영향과 교회교육의 한계로 인해 기독교 자아정체감 혼란 현상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 답습되어 온 기독교교육의 한계를 딛고 현대사회가 끝없이 던지는 물음에 답을 내리는, ‘기독교인으로서 나’라는 정체성 확립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것은 사회와 세계 속에서 기독교적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찾아가는 과정이므로 현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시급한 일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기독교 자아정체감 형성의 저해 요인을 분석하고 극복 방안을 제시함으로,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탈인습적 기독교 자아정체감 형성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해석학적 기독교교육의 모형은 신앙(with)-성서(why)-실천(will)의 세 가지 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업은 관계적 자아, 개방적 자아, 평등적 자아의 형성을 돕고, 교회와 사회를 잇는 총체적 시각을 확립하도록 이끌 것이다. 무엇보다 개개인이 기독교적 시각으로 삶의 다양한 질문을 해석 및 판단하게 됨으로써, 바람직한 ‘기독교인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선도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리차드 아스머의 ‘합의 모델’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장 서론에서 현대 기독교인의 기독교 자아정체감 혼란 현상에 대해 문제제기하고(기술-경험적 과제), 2장에서는 문제 상황에 대한 사회적, 교회적 원인을 분석하였다(해석적 과제). 이후, 3장에서 기독교 자아정체감 및 탈인습적 기독교 자아정체감의 개념을 정리하고, 4장에서 탈인습적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교육으로 해석학적 기독교교육을 제안 및 이에 대한 신학적 배경, 주요 이론, 필요성을 살폈다(규범적 과제). 또한 5장에서는 탈인습적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해석학적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인 ‘해석적 융합’(interpretive fusion)모형을 제안함으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였다(실용적 과제). 앞선 내용을 종합하여, 6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 한계점, 전망으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독교 자아정체감 혼란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필요를 설파한 것, 그리고 이를 해석학적 기독교교육과 연관 지어 탈인습적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형성할 새로운 모형을 마련한 데 있다.

      •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결정감의 조절효과

        최한별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직 구성원의 임파워먼트 지각 및 실행은 기업 성과를 높이며 개인의 자율적인 책임관리체계를 구성하는 핵심 매커니즘으로 강조되고 있다. 조직은 구성원에게 임파워먼트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의 몰입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직무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직 유효성 달성을 위한 구성원의 직무동기 향상을 위해 전통적인 임파워먼트 관점과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심리적 임파워먼트(psychological empowerment)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구성원의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를 상위 20% 수행자와 하위 20% 수행자로 분류하여 선정하여 객관적인 수행 정도를 바탕으로 고수행자와 저수행자 간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지각 정도 및 직무동기가 다를 것이라는 이론적 부분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하위 요인인 유능성(competence), 의미성(meaning), 자율성(determination), 영향성(impact)이 각각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하위 요인과 직무동기와의 관계를 자기결정감(self-determination)이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기결정감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역량성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미성, 자율성 및 영향성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는 자기결정감 정도에 따라 다르게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객관적인 직무 수행을 바탕으로 대상자를 선정하여 이론적으로만 규명되었던 수행수준에 따른 임파워먼트 지각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결정감이론에 바탕을 두고 개인의 내적동기 수준과 밀접한 자기결정감 정도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서 직무동기로 영향 미치는 관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에서는 구성원의 자기결정감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심리적 임파워먼트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는 시사점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work motivation. Related with the fact that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employees has provided the positive functioning, this research attempts to pract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work motivation with moderator of self-determinati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ver 230 samples show that as follows. 1) There are four componen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such as pervceived competence, meaningfulness, determination, and impcat. 2) Of four componen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meaningfulness,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is influencing on the work motivations. 3)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he componen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work motivations are moderated with th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limitation of his study,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