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응용 프로그램에 독립적인 워크플로우 시스템 모델

        최진일(Jinil Choi),이상근(Sangkeon Lee),최재영(Jaeyoung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워크플로우 시스템은 복잡한 복수의 작업을 사용자가 작성한 작업 플로우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시킴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스템이다. 특정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많은 연구기관에서 자체적인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워크플로우 시스템은 각 연구기관에서 목적으로 하는 특정 작업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는 시스템이지만 특정 작업이나 환경에 종속적인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작업 환경이 확장 혹은 변경된다면 워크플로우 시스템도 수정하거나 처음부터 다시 개발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 작업이나 환경에 종속적인 워크플로우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응용 프로그램 및 실행 환경에 독립적인 워크플로우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 제네라티비티(Generativity), 여성 그리고 생명윤리

        최진일(Choi, Jinil)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1 No.-

        제네라티비티(generativity)는 미국의 정신분석학자 에릭 H. 에릭슨(Erik H. Erikson, 1902-1994)이 인간발달의 한 과정을 설명하면서 소개된 용어이다. 즉 성인이 결혼과 함께 출산과 양육의 경험이 사회적으로 확대되어 미래세대에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고 긍정적인 세계를 물러주고자 노력하는 특성을 말한다. 제네라티비티는 생명을 열망하고 낳으며 양육하며 떠나보내는 의미를 포함하며, 그 안에 부부라는 의미, 부모라는 의미 함께 어른이라는 의미 또한 포함한다. 출산과 양육이 여성만의 역할로 규정하는 편향된 시각은 생명전달에서 있어 가장 중요한 전제를 간과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남·녀 모두가 생명전달의 주체라는 것이다. 남·녀 모두가 생명전달의 공동주체라는 인식의 결여는 생명에 대한 왜곡된 태도와 함께 생명윤리적 문제를 불러 일으킨다. 제네라티비티는 생명을 전달하는 기쁨으로서, 성·사랑·생명의 불가분적 관계 대한 성찰을 고양시킬 수 있는 본질적 요소를 갖는다. 더불어 제네라티비티의 고찰을 통해 우리는 미래세대를 위해 가족공동체와 사회공동체 안에서 생명 문화 건설과 공동선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American psychoanalytic theorist Erik H. Erikson(1902-1994) introduced the concept of generativity to explain one of stages in the human development. It is a quality that generativity is the adult’s concern for and commitment to the next generations, as expressing through the bearing and nurturing of offspring and a host of other activities that seek to pass on values and meanings and aim to leave a positive world for the future. Generativity involves in meanings of desiring, bearing, nurturing, and sending of offspring within which imply ‘spousal meanings’, ‘parental ones’ and ‘adult ones’. However, biased perspectives that regulate the bearing and nurturing as the only women’s role have overlooked the most important premise. It is that human life is transmitted through the union of husband and wife in which they are intimately and chastely united with one another, and thus both of them are the co-subject of transmitting life. The lacking of understanding about it will result in distracted attitudes toward life, simultaneously bringing about bio-ethical problems. Generativity as the joy of transmitting life has the fundamental elements that lead to think about the indivisible relation of sex, love and life. Through the reflection, we will be able to promote the culture of life and common good in a family and a society for the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교회의 가르침에서 바라본 여성의 천성과 그 소명의 위대함에 대하여

        최진일(Choi, JinI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神學展望 Vol.- No.207

        1960년대 이후부터 교회는 교회와 세상 안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여성들에게 맡겨진 시대적 소명을 요구한다. 이는 여성들 스스로가 그 존엄과 소명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음을 전제한다. 요한 바오로 2세의 교서『여성의 존엄』(Mulieris Dignitatem, 1988)은 여성을 주제로 다룬 최초의 교회 공식 문헌이다. 이 문헌에서 여성의 소명은 여성의 천성(genius)에서 비롯함을 알려 준다. 인간은 모두 평등하기에 인간의 존엄성에 남녀의 구별은 없다. 반면 남자와 여자는 존재론적으로 다르기에, 여성의 천성과 소명은 그 차이에서 비롯한다. 차이를 평등하게 대우하려고 할 때 오히려 차별을 초래할 수 있다. 남성성과 여성성은 대립의 가치가 아니라 통합이 필요한 역동적인 가치다. “이런 관점에서, ‘여성성’이라고 불리는 것은 단순히 여자의 속성이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을 말한다”(『교회와 세상 안에서 남녀의 협력에 관하여 가톨릭 교회의 주교들에게 보내는 서한』 14항). 따라서 여성의 천성은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여성의 천성은 인간 모두를 위한 인간적 가치다. 인류의 선을 위해 ‘여성이 희생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교회 문헌은 여자와 남자는 상호 보완적 관계로서 이해하고, 이들의 관계는 협력자(helpmate)로서 규정한다. 남자와 여자는 서로에게 주어진 것이다. 이 협력자의 의미는 여자는 남자에게 주어져서 남자 자신을 이해할 수 있고, 남자는 여자에게 여자 자신을 이해할 수 있기 위해 주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남자는 그들에게 부족한 인간적인 면을 여성의 천성을 통해 배우고, 여성 또한 그들의 부족한 인간적인 면을 남성의 천성을 통해 상호 의존하면서 배워 나가야 한다. 남자 없이 여자는, 혹은 여자없이 남자는 자신의 인간적 정체성을 온전히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협력자의 의미를 남성 우위의 종속 관계나 서열 관계에서 이해할 때, 둘 사이의 관계는 왜곡되고 손상된다. 이에 본고는 인간적 가치로서 여성의 천성과 그 소명의 위대함을 그리스도교 인간학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여성의 천성과 그 소명의 인식과 실현의 한계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 극복 방안을 모색한다. Since the 1960s, the church has given special attention to the status and role of women in the world and in the church itself.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oday’s world, the church requires the presence and commitment of woman with her irreplaceable and customary contributions. This presupposes that woman herself knows what her dignity and callings are. The apostolic letter of John Paul Ⅱ, Mulieris Dignitatem(1988), was the first church official document on woman. The woman’s vocation in this letter suggests that it comes from the genius of woman. Since all human beings are equal,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man and woman in human dignity. On the other hand, because man and woman are ontologically different, woman’s genius and vocation are derived from the differences. Attempting to treat differences equally can lead to discrimination. Womanhood and Manhood are not values of conflict, but dynamic values that require integration. “In this perspective, that which is called ‘femininity’ is more than simply an attribute of the female sex”(Letter to the Bishops of the Catholic Church on the Collaboration of Men and Women in the Church and World, n. 14). Thus the woman’s genius is not just for woman. It is a human value for all human beings. It does not mean that woman must sacrifice for the good of mankind. Church documents define woman and man as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nd define their relationships as helpmates. God gave them to each other, mutually. He gave to man the womanhood of the woman who is of his kind, a helpmate like unto him and also gave man to the woman. Therefore, man must learn the human side of himself that is lacking through woman’s genius, and woman must also learn her lacking human side through man’s genius (mutual learning). Woman without man or man without woman do not fully grasp their human identity. However, when the term ‘helpmate’ is understood in the hierarchy of male superior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distorted and damaged. This paper examines the greatness of the genius and vocation of women based on Christian anthropology. Then it critically considers the limitations in the recognition and realization of women’s genius and vocation, and looks for ways to overcome them.

      • KCI등재

        부부일치와 출산의 의도적 분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최진일(Jinil Choi)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4 인간연구 Vol.0 No.27

        우리 문화 안에서 관용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피임은 부부행위의 두 가지 의의인 “일치와 출산의 의도적 분리”를 전제로 한다. 부부행위의 본질적 의미는 이 두 가지의 의의가 갖는 불가분의 연관성을 통해 드러난다. 그러므로 부부행위에 내재한 일치의 의의와 출산의 의의를 깨뜨리는 행위는 그들이 지향하고 있는 근본적인 선과 대립하는 행위가 된다. 인간행위의 윤리성은 근본적으로 자유로운 의지에 따라 이성적으로 선택한 행위의 대상에 달려 있다. 그 자유로운 의지의 행위 대상은 우리가 어떤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선택한 행위 자체를 말하며, 혹자가 피임을 선택했을 경우 피임이 혹자 행위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피임 선택의 기준은 그 행위 대상의 선택으로 예상되는 결과나 선과 악의 효과 대비 등에서 도출한다. 이 경우 부부행위의 본질적 의미는 망각되고, 따라서 그 의미가 갖는 인간학적이고 도덕적인 가치도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된다. 그로 인해 그 구체적인 행위는 윤리적으로 선한지 악한지에 대한 판단 없이, 그 행위의 선택이 가져올 결과나 선악의 효과 대비에 의한 기준만으로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잘못된 결론에 도달한다. 따라서 본고는 부부 간의 인격적 상호증여인 부부일치의 존엄성과 인간 생명의 기원과 출산의 존엄성을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서는 그 근본 전제인 “부부일치와 출산의 의도적 분리”에 대한 면밀한 윤리적 성찰이 필요함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과학의 발전과 함께 부부일치를 배제한 출산의 선택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생명을 경시하는 문화 사조 안에서 인간 생명이 수정되는 순간부터 존중되고 보호받을 수 있는 생명문화의 토대를 정립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In our modern culture, contraception, which is regarded as a defensible choice, presupposes the deliberate separation between the unitive significance and the procreative significance, which are both inherited in the conjugal act. This inseparable unity of its unitive and procreative meanings is reveals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conjugal act. Thus, a human act that intends to separate these two meanings is against the good of the marriage couple. The morality of the human act fundamentally refers to an object rationally chosen by the deliberate will to realize a certain goal. The object of the deliberate act is a kind of behavior itself that one freely chooses. In the case of contraception, the object of one’s deliberate act is contraception itself. The criteria for choosing contraception are drawn from either a calculation of foreseeable consequences or a proportion acknowledged between the good and bad effects resulting from this choice. In this case, the couple tends to leave out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conjugal act, and so the anthropological and moral meanings of the conjugal act are subordinated to them. For this reason, it leads to some erroneous conclusions: the concrete behavior is described as right or wrong solely by weighing from foreseeable consequences or evaluating the proportion between the good and bad effects for the choice, without judging whether the object of the concrete act chosen by the deliberate will of the couple is morally good or bad. Based on this reflection, this paper emphasizes that we need to evaluate the fundamental proposition-the deliberate separation between the conjugal union and procreation-from the ethical point of view so that we can fully preserve the inseparable unity of its unitive and procreative meanings, which are based on the mutual self-giving of the married love of a man and a woman, expressed and realized in the conjugal act. It will als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the culture of life in which human life, from the moment of conception, is respected and protected in our current cultural climate where human life is not respected due to the boundaries of choice with regard to procreation of human life have been broadened along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at have allowed the deliberate separation between the union of husband and wife and the procreation of human life.45)

      • KCI등재

        요한 바오로 2세의 관점에서 바라본 ‘가정’의 의미

        최진일 ( Choi¸ Jini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0

        현대 사회에서 많은 가정은 위기를 경험한다.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이 그 위기를 촉발하고 악화시키는 것이며, 그에 따른 해결책도 다양할 것이다. 요한 바오로 2세는 현대 가정에서 맞이하는 위기는 혼인의 목적으로서 사랑의 가치를 상실하면서 비롯한 것이라는 고찰과 함께 그 문제를 접근한다. 왜냐하면 가정의 시작은 바로 혼인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그는 혼인에 담긴 부부 사랑의 가치에 대한 성찰을 통해 가정의 의미를 고찰한다. 본 논문은 요한 바오로 2세의 가정의 의미를 살펴본다. 먼저 본 논문은 가정과 혼인의 실질적인 기반이 되는 부부사랑과 생명 전달의 의미를 살펴본다. 또한 인격체들의 공동체로서 친교를 기반으로 하는 가정의 의미를 살펴본다. 더불어 그 의미들과 생명윤리와의 관련성을 “부부사랑과 출산”이라는 부분을 통해 살펴본다. 한편 본 연구는 가정교회로서의 가정의 의미는 고찰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한 바오로 2세의 가정 이해에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왜냐하면 그의 가정 이해는 인간학적 그리고 신학적 차원을 종합하는 이 세 가지 측면을 고찰될 때 비로소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현대 사회에서 직면하는 가정의 위기(부부 사이에서,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등)는 부부 사랑에 대한 깊은 통찰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부부 사랑에는 부부의 일치의 의의와 출산의 의의가 불가분의 연관성으로 내재한다. 따라서 부부 사랑은 새로운 생명을 인격으로서 받아들이는 이 불가분의 연관성을 통해서 그리고 그 안에서 온전히 실존하며 보존될 수 있다. 요한 바오로 2세에 따르면, 가정은 각 인격이 그의 혹은 그녀의 대체 불가능한 유일한 존재를 드러내는 장소이다. 가정은 그 인격의 가치 위에서 구성되고, 그 가치에 온전히 집중된 인격들의 공동체이다. 그 공동체는 상호 인격적 친교의 사랑을 기반으로 한다. 사랑이 바로 가정의 본질이며, 생명은 그 사랑의 열매이자 징표이며, 가정 공동체는 이러한 사랑이 실현되는 장소이다. In modern society, many families experience crisis. Various complex causes to trigger and aggravate the crisis, and the solutions might be diverse. John Paul II approached the problem with the consideration that the crisis with which we have confronted has been caused by the loss of the value of love as the purpose of marriage. Because the beginning of the family starts from the marriage. In this sense, he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family through reflection on the value of conjugal love in marriage.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family from the perspective of John Paul II. First, it looks at the meaning of conjugal love and transmitting life as a substantial basis of the family and the marriage. It also finds out the meaning of the family based communion as a community of persons. In addition, we will see that the meaning of the family has relevance to bioethics, in particular through "the conjugal love and procreatio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does not consider the meaning of the family as a family church. Thus, this study has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family of John Paul II. For his understanding of the family can only be grasped when considering these three aspects of the anthropological and theological dimension. Nevertheless, this paper attempts to deepen insight into the love of the couple in the face of the family crisis (between husband and wif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etc.). This will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solution. In the conjugal love, the significance of the unity and that of procreation are inherent in an inseparable connection. The marital love, therefore, can be preserved entirely in and through this inseparable connection to accepting a new life as a person. According to John Paul II, the family is the place in which each person appears in his or her own uniqueness and irreplaceability. It is a profoundly human system, constructed upon the value of the person and concentrated entirely around this value. The community is based on the love of mutual personal communion. Love is the essence of the family, a new life is the fruit and the sign of love, and the family community is the place where this love is realized.

      • KCI등재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진일(Jinil Choi)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3

        헌법재판소 2010. 5. 27.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이하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은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하였다. 이 결정에서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하기 위해 제시된 논거에는 여러 가지 의문점이 제기된다. 그 가운데 본 논문은 헌재 2005헌마346 결정에서 배아의 지위와 관련된 자연과학적 인식 수준에 함의된 여러 논의와 관점을 분석한다. 과학적 관점에서 생명의 시작과 개체의 시작은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의 ‘개체적 연속성’의 논거는 인간 생명체로서 존재하는 배아에 대한 자연과학적 관점이라기보다는, 배아의 존재를 어떤 특정 목적을 달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대적 가치를 가진 대상적 관점에 더 큰 무게를 둔다. 따라서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은 인간 배아의 지위에 대한 왜곡된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A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on May 27, 2010, case no. 2005 heonma 346 (hereafter, 2005heonma346), defined that the human embryo is not entitled to fundamental rights, and thus cannot have the right to life. There are a number of questions on the reasons presented in 2005heonma346 that deny the human embryo"s subjectivity to fundamental rights. Among these reasons, the present paper analyzes the various arguments and perspectives implied in the natural scientific perception level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human embryo. From the scientific perspective, the beginning of life represents the beginning of the individual. However, the reason for “individual continuity” in 2005heonma346 places a greater weight on the viewpoint of the object, which has a relative value that can be used to achieve a certain purpose, rather than a scientific perspective of the human embryo that exists as a human organism. Thus, it appears that 2005heonma346 resulted in a distorted decision on the status of the human embryo.

      • KCI등재

        김수환 추기경의 관점에서 바라본 가톨릭 의료윤리

        최진일(Jinil Choi)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4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4 No.1

        이 논문은 김수환 추기경의 관점에서 의료 활동의 기본원칙을 고찰하고 있다. 물질중심의 사회에서 전도된 가치는 생명경시풍조를 양산하고, 이는 인간 생명에 봉사하는 의료 행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김수환 추기경에게 따르면, 의료는 전인적인 차원에서 생명에 봉사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그는 시대의 징표를 읽고 비판적 성찰과 함께 의료활동의 기본 원칙 세 가지 즉 인간 존엄성과 인간 생명 존중 그리고 이웃사랑(인간애)을 제시한다. 의료 분야에서 그의 관심사는 인간에 있으며, 그의 의료윤리의 사상적 배경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압축된다. 또한 그리스도의 사랑은 전인적인 차원에서 실현되며 이는 영혼과 육체의 단일체인 인간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기초한다. 그는 인간에 대한 사랑 안에 인간의 존엄과 인간 생명에 대한 존중을 통합하고, 의료인과 환자가 구성하는 공동체가 인간다운 가치를 실현하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healthcare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ardinal Kim Soo-Hwan. The values propagated in a material-centric society generate a culture that disregards the sanctity of human life, which could adversely affect medical practices dedicated to human life. According to Cardinal Kim Soo-Hwan, healthcare serves life in a holistic dimension. To actualize this, he reads the Signs of the Times and, with critical reflection, presents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of medical activities: human dignity, respect for human life, and love for neighbors(humanity). In the field of healthcare, his focus is on humanity, and the foundation of his healthcare ethics is encapsulated in the love of Christ. Furthermore, the love of Christ is realized on a holistic level, grounded in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as a unity of soul and body. Cardinal Kim Soo-Hwan integrates love for humanity with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life. He also presents a path for the community formed by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to embody human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