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조어의 사전 등재와 실제 -불한사전의 경우-

        최지인 ( Ji In Choi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16 지중해지역연구 Vol.18 No.1

        One of the roles of general purpose dictionaries is to include neologism in word lists and to describe their semantic features. However, not all dictionaries regularly include relevant cases of neologism. French-Korean dictionaries pay even less attention to monitoring of newly created words than French monolingual dictionaries in which a certain number of new words are entered every year. Twenty four neological verbs from a list proposed by Camille Martinez are selected in this study, and they are created by agglutination of affixes. In general, this process in morphological derivation simply generates a new word and allows user to easily assume a new meaning. However, non-native speakers of French may not understand the metaphorical amplification of the meaning (placardiser) or the semantic restriction (dediaboliser). These unexpected chang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French-Korean dictionaries in order to be of more useful tools for Korean users.

      • KCI등재
      • KCI등재

        형태적 동인으로 생성된 프랑스어 신조어의 세부 유형 연구 : 2021년도 『프티 로베르』와 『프티 라루스』 사전을 중심으로

        최지인 ( Choi Ji I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21 불어불문학연구 Vol.- No.127

        본 연구의 목적은 형태적 동인으로 생성된 프랑스어 신조어의 특징을 형태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단어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있다. 우리는 2021년도 『프티 로베르』와 『프티 라루스』 사전에 등재된 76개의 형태 신조어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최신 프랑스어 신조어의 형성 방식을 알아본다. 신조어 생성 양상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의미, 언어사회와 문화의 측면에서 통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연구는 형태적 유형을 파악 및 분류하고 단어 형성 방식을 설명하는 것에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또한 최근에 프랑스어 어휘에 포함된 신조어 조어법과 생산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각 유형별 단어의 수를 집계하고 이를 근거로 사전에서 가장 많이 용인되는 신조어의 형태에 대해 살펴본다. 형태 구성적 특징을 기술함으로써 신조어의 생성을 살펴보는 과정은 새로운 단어의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탐색하는 과정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는 단어 조어 방식과 분류는 어떤 단어가 형성되기 위해 거쳐온 모든 형태론적 특징을 기술하는 것은 아니며 신조어가 된 경위를 나타내주기 위한 것이다. 상당수의 신조어가 다양한 형태 변형을 거쳐 완성된 모습을 가지게 되지만 우리는 단어가 어떤 변형 과정을 거쳤든 신조어로서의 최종 형태로 만들어질 때 작용한 방식만 고려하여 이들의 조어 방식을 다룬다. L’objectif de ce travail est de décrire de manière détaillée la typologie utilisée pour les structures morphologiques et d’examiner la configuration des nouveaux mots introduits dans les deux dictionnaires, Le Petit Robert et Le Petit Larousse (millésimés 2021). Cette étude analyse la méthode de formation des mots et tend à l’appliquer aux 76 néologismes morphologiques nouvellement inclus dans ces dictionnaires, c’est-à-dire dans le lexique du français d’aujourd’hui. Afin d’envisager de manière globale la formation néologique, l’idéal serait d’en analyser non seulement la structure et le sens, mais aussi le caractère sociolinguistique et culturel. Pour ce faire, nous nous sommes penchés sur une catégorisation et une explication des formations morphologiques, première grande étape dans l’identification des néologismes. Ensuite, nous avons lié le nombre de formes (type de néologisme) à leur productivité lexicale. Cette dernière nous a permis de mettre en évidence les formes les plus attestés dans les dictionnaires. La typologie et la classification des mots examinés en fonction de leur forme ne permettent pas, à elles seules, de décrire toutes les caractéristiques morphologiques jouant un rôle dans la formation mais de montrer principalement comment celui-ci est devenu un néologisme.

      • KCI등재

        《 ‘사전 제작 문법’에 관하여: 불한-한불사전의 예 》

        최지인(CHOI, Ji In) 프랑스학회 2015 프랑스학연구 Vol.71 No.-

        Le dictionn aire de langue est un ouv rage qui décrit le lexique d ’une langue de maniè re systém atique. Une telle description implique qu’il e xiste une règle organisant les constituant s du dictionnaire. Après ma ints tâtonnements depuis plusie urs siècles, u ne structure congruent e à l’élaboration d’un dictionnai re de langue a é té formalisée. Les régular ités imposéesa prior i dans t o ut l’espace lexico graphique facilite l’élaboration même de c e typ e d’ouvra ge et développe la lexicographie en tant que ter rain d’étude privilég ié pour des travaux de re cherche sur la scientificit é des dictionnaires. Par ailleurs, l es règles struct urelles permettent aux usa gers d’accéder facileme nt et di rectement aux in formations qu’ils recherc hent. Toutefois,cela ne g si nif ie pas nécessair ement qu’il existe une règle unique. Il s’agi t plutôt d’une convention académique, ce qui permet d’ avoir forme partagée par la p lupart des diction naires. Certaines règles, app elées grammaire d’élabor ation du dictionnaire, so nt partagées par l’ensemble des ouvrages de ce g enre san s se soucier de l a (des) langue(s) concernée (s). D’autres s’adressent spécifiquement a ux ouvrages bilingues. P lus précisément, ce que comporte la structure int erne, en tant que constitua nts formels, comme l a mégas tructure, macro structure, microstructur e et mésostructure peut généralem ent apparaître d ans nombre de dictionnai res, tandis que les paramè tres externes, c omme la fonction (décodag e / encodage), le public visé, entre autres, sont susceptibles de décider de la Étant donné q ue les corpus concerné s sont ici les dictionna ires français-coréen / coréen-franç ais, la langue f rançaise, la langue corée nne, ainsi que leur s locute urs, à l’exceptio n de ceux qui sont parfaite ment bilingues et avert is dans les deux langues , seront cités en exemple. Par ailleurs,not r e poi n t de vu e linguistiqu e apparaîtra dans les concepts ou notions proposés.

      • KCI등재

        코로나19 관련 프랑스어 신조어의 형태와 의미 범주

        최지인(Ji In Choi) 프랑스학회 2022 프랑스학연구 Vol.- No.100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로 전 세계는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새로운 용어는 기존의 언어와 급변하는 현실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지속해서 생성된다. 팬데믹이 언어에 미친 영향은 코로나19를 언급하는 모든 자료에서 살펴볼 수 있다. 감염병이 확산하여 감에 따라 각 언어 공동체에서는 이 바이러스와 질병을 기술하기 위해 여러 용어를 사용해왔고, 인류가 맞서 싸우는 새로운 바이러스가 ‘코로나19’라는 공식적인 이름을 가지게 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이와 관련한 소통이 용이해졌다. 나아가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물품, 행동, 일상에 미친 영향 등을 표현하기 위하여 늘어난 신조어 및 표현은 감염병을 둘러싼 언어 공동체의 모습을 반영하고 언어 공동체의 사회와 문화를 경제적으로 기록하였다. 본 논문은 코로나19에 관련한 프랑스어 신조어의 모습을 살피기 위해서 감염병이 확대되면서 생성된 프랑스어 신조어 용어를 형성 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용어가 사용되는 목적이나 분야를 기준으로 몇 가지 의미 집단으로 나누어 본다. 우리는 단어의 형성 방식과 의미 집단을 살펴보며 생성된 단어의 특징을 어휘론적인 차원에서 조망할 것이다. 프랑스 정부와 매체, 프랑스어 사전은 감염병으로 인한 개념적, 용어적 혼란기 직후에 언어사회적으로 합의를 거친 일련의 단어 목록을 구성하고 대중에게 공개했는데, 우리는 이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La crise liée à la pandémie la COVID-19 ayant eu un impact considérable sur notre vie, et cela à travers le monde, des néologismes concernant cette épidémie n’ont pas arrêté d’apparaître depuis, surtout pour réduire l’intervalle entre la langue existante et le brusque changement du réel. Au fur et à mesure que la COVID-19 progresse, chaque communauté linguistique cherche à expliquer cette crise sanitaire, ce fameux virus, ainsi qu’à créer des mots pour en parler. Aussi les néologismes permettent de communiquer de façon efficace et de décrire non seulement le virus lui-même mais aussi les mesures de prévention, son traitement et toutes les actualités sociales le concernant. Ajoutons que les nouveaux mots reflètent et dessinent sans doute très clairement les impacts du changement socio-culturel de la communauté. Dans le présent article, nous nous proposons d’abord de faire des typologies, consistant à étudier un ensemble typologique de néologismes liés à l’épidémie, en vue de les caractériser sur le plan morphologique. Nous présentons ensuite la classification sémantique des mots sélectionnés appuyée sur leur appartenance conceptuelle : plan descriptif du virus lui-même, médical et social. Cela permet de montrer la particularité des néologismes apparus dans le contexte de la COVID-19. Notre corpus de travail est constitué de données concernant la pandémie qui ont été annoncées par le gouvernement, ou par différents médias, ainsi que de nouveaux mots enregistrés dans le Petit Robert et le Petit Larousse millésimés 2022.

      • KCI등재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취업불안에 미치는 효과

        최지인(Choi, Ji-In),팽은경(Paeng, Eun-Kyu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취업불안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서적으로 친근함과 안정감을 주며 최소화된 방어로 편안한 표현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점을 가진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매체에 대한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문제 해결방안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K대학교 3, 4학년 재학생들 중 취업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12명을 선발하였으며, 각 6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 검사와 취업불안 검사,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자기효능감 검사의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을 탐색할 수 있는 PPAT의 하위요인인 색칠정도, 색의 적절성, 내적 에너지, 공간, 통합, 논리성, 사실성, 문제해결력, 대상과 환경의 세부묘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취업불안 검사의 취업불안 전체와 하위요인인 취업불안 유발원인, 취업불안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에 따라 대학생들이 긍정적인 자아를 탐색하고 자기이해와 가치를 높여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경험함으로써, 취업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으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affects the on self-efficacy and job-seeking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we form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the Korean painting media, which provides emotional familiarity and stability, and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relaxed expression with minimal defense. Through success and failure experiences within the media, it is possible to find various solutions to problems. In this study, 12 students who were worried about finding a job were selected from the third-and fourth-year classes of K University in Seoul; half, of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self-efficacy test, job-seeking anxiety test, and 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PPAT) test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self-efficacy test showed that the therap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self-efficacy,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Moreo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the PPAT when exploring self-efficacy, such as prominence of color, color appropriateness, internal energy, space, integration, logic, realism, problem solving, and details of objects and environments. Second, job-seeking anxiety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job-seeking anxiety, the cause of job-seeking anxiety, and the state of job-seeking anxiety.

      • KCI등재

        Informations culturelles dans le dictionnaire bilingue :le cas des dictionnaires francais-coreen

        최지인 ( Choi Ji In ),앙투안블레 ( Blais Antoine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8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13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어휘는 사회·문화적인 개념을 담고 있다. 포괄적인 의미의 ‘문화’와 관련하여 어휘가 가지는 내포의미connotation, 즉 암시된 의미는 외국어 어휘를 이해하거나 사용함에 있어 형태, 통사적 정보 그리고 외연의미denotation 만큼이나 중요하다. 어휘의 형태나 공기cooccurrence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의미 유추가 늘 가능한 것도 아니고 어휘 사용자의 언어 능력에 따라 그 가능성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일반 이개어 사전에서 이러한 내포의미를 가진 표제어를 찾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며, 따라서 문화적인 개념을 등가어나 예문 등 표제항 텍스트에 어떠한 형태로든 기술하여 그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원천언어의 외적 현실에 기반한 내포 의미 정보는 대응되는 목표언어의 등가어나 등가표현으로 제시되는 것이 우선시되는 방법이지만 그렇지 못 할 경우에는 예문을 통해 소개될 수 있다. 사전에서 예문은 모호한 의미를 명확히 하고 문장에서의 올바른 형태적, 어휘적 사용을 보여주는 기능적 장치로 표제어의 이해와 사용을 돕는다. 본 연구는 대응되는 등가어나 등가표현이 수정되어 제시될 필요가 있는 표제어를 우선 논의하고, 이어서 인지적 등가 관계와 번역적 등가 관계 설정이라는 전략에 따라 예문을 기술하여 이개어 사전 이용자에게 원천언어에 담긴 어휘 정보뿐 아니라 내포된 문화적 의미, 표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원어민이 아닌 이개어 사전의 이용자들에게 어휘의 외연과 내포의미를 모두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언어구조와 의미구성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좀 더 유 용한 참고서로 이개어 사전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시도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이개어 사전에서의 전문 용어 표제어 처리에 관하여

        최지인 ( Choi Ji I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8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15

        La nomenclature des dictionnaires de langue est constituee du lexique general et du lexique specialise. La vie langagiere generale et quotidienne ne se circonscrit pas seulement autour du lexique general. Le lexique specifique, appele terminologie, est vu comme l’ensemble des unites utilisees dans la communication specialisee par opposition au contexte du discours general. La description lexicographique du lexique general et de la terminologie est nettement differente selon leurs caracteres naturels : pour le premier, on met l’accent sur les informations linguistiques ; pour le second, sur le concept et la connaissance du domaine et de l’objet. Lorsqu’une terminologie est introduite dans les dictionnaires de langue en tant qu’entree, la presence des informations linguistiques, telles que l’explication du sens, de l’emploi dans la langue courante, sur cette entree est legitime. Le dictionnaire tend a suivre des logiques lexicographiques qui reposent sur des approches academiques a partir de la construction de la nomenclature jusqu’a la redaction de l’article. Cela fait distinguer, en principe, des types du dictionnaire, particulierement dictionnaire de langue, encyclopedie et dictionnaire de la terminologie, de maniere stricte. Du point de vue des utilisateurs du dictionnaire, cette distinction risque d’etre peu utile en vue de construire la connaissance intra- et extra-linguistique. Cette etude propose une reflexion sur 1) la presentation des exemples pour les entrees qui sont terminologiques et sur 2) l’exploitation des liens hypertextes en recherche des informations du domaine specifique et technique. Pour le premier, les exemples servent a informer aux utilisateurs non seulement sur l’emploi linguistique du terme mais aussi sur l’idee du concept ; pour le second, en liant les terminologies, a travers l’hyperlink, aux autres dictionnaires qui sont hors du dictionnaire en question, l’absence de l’explication permettant de preciser des concepts n’aura pas laisse un vide a l’aide des dictionnaires de la terminologie ou des encyclopedies.

      • KCI등재

        시간과 어휘, 단어의 삶과 사전

        최지인 ( Choi Ji I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21 불어불문학연구 Vol.- No.126

        시간의 흐름 속에서 불변하는 것을 찾기는 어렵다. 언어도 시간적 한계를 벗어날 수 없으며 언어 사용자의 경험과 함께 연속적인 시간의 흐름 안에 그 역사를 만들어 나아가고 있다. 자연 언어의 어휘는 그것이 존재하는 시간적 환경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우리는 본고에서 삶의 과정에 따라 단어가 겪게 되는 단계별 변화상과 단어의 정체성에 대해 시간성을 전제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현재 사용되는 어휘와 관련하여 새로운 것과 존속하는 것 그리고 오래된 것을 규정하고 구분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개념을 살펴볼 것이다. 신조어나 고어가 현상적 결과로서 언어 변화의 단면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반면에 단어가 생성되고 사라지는 현상 자체를 이해하고 현상을 규정하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대체로 모호하다. 본고에서는 어휘를 추상적인 차원에서 구체적인 차원으로 실재하게 해주는 언어 사전이 단어의 삶에서 단계별로 나타내는 역할을 활용하여 이러한 현상을 살펴봄으로써 이론적인 관점과 실용적인 관점에서 야기되는 개념적 혼란을 경감시켜보고자 한다. Aucune chose n’est immuable dans le temps. La langue, elle aussi, ne peut pas échapper à cette contrainte temporelle, et son histoire se construit dans un continuum temporel via diverses interactions entre les locuteurs. Le vocabulaire d’une langue naturelle est directement influencé par l’environnement temporel dans lequel il subsiste. Dans cet article, nous discutons les phases et les processus de changement qui affecte les mots en ce qui concerne leur identité au cours du temps. Puis nous examinons les différents concepts nécessaires pour définir et différencier ce que nous entendons par néologismes, mot persistant et archaïsme. En effet, si de nouveaux mots ou des mots archaïques montrent clairement une coupe traversante d’un changement linguistique comme le résultat d’un phénomène d’évolution, il n’est généralement pas aisé d’établir des critères permettant d’expliquer et de percevoir la création ou la disparition de mots en tant qu’un simple phénomène. Pour finir, nous analysons ces phénomènes en recourant au dictionnaire de langue, qui change le statut d’un mot, en passant d’un niveau abstrait à un niveau concret dans lequel son statut se précise pour la vie d’un mot. L’intérêt de notre étude est de réduire une certaine confusion conceptuelle causée par des points de vue théorique et pratique différents.

      • KCI등재

        Le mot nuit dans le Livre de la fontaine de toutes sciences

        최지인(Choi Ji In) 프랑스학회 2015 프랑스학연구 Vol.74 No.-

        현대 사회에서 백과사전은 과학과 자연 및 인간 활동에 관한 모든 지식의 총체로 여겨진다. 비록 백과사전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16세기 이후이나, 중세에도 일반 지식을 모아 엮은 책이 존재하였다. 13세기에 통속 프랑스어로 쓰인 『모든 지식의 원천』은 이러한 책들 중 하나이다. 짤막한 여러 텍스트의 모음집인 이 책은 왕과 철학자가 세상의 여러 가지 이치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로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현대의 백과사전처럼 과학적으로 증명되거나 사회적으로 합의된 객관적인 지식을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당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어휘 사용 방식을 보여줄 수 있는 백과사전의 가치를 지닌다. 『모든 지식의 원천』에서 ‘밤’에 관한 연구는 중세에 인간이 이러한 현상자체와 단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언어학적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명확한 천체학적 개념이 정립되기 이전의 시대에 ‘밤’이라는 개념과 단어를 설명한 텍스트들을 바탕으로 어떻게 재기술하고 이해하려고 하는지 살펴본다. 이 책에서 철학자 시드라는 왕의 질문에 직접적인 방식으로 대답하기 보다는 소위 에둘러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데, 이러한 말하기 방식에서 동의어나 반의어의 사용은 물론, 환언과 문제되는 단어를 언급하지 않고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다른 단어들의 사용하는 등 언어학적 도구의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밤’을 표현하는 공통의 의미 속성을 기술하는 대표적인 방식을 구분하고 예시 텍스트를 제시하며 논의를 전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