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 원통형 구조물의 접촉-분리를 활용한 마찰대전 바람 에너지 하베스터

        최종안,정진구,강민규,표순재 한국정밀공학회 2023 한국정밀공학회지 Vol.40 No.12

        In this paper, we develop a cylindric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ENG)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by designing a slanted slit structur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The TENG consists of an inner cylinder based on Al film and a 3D printed outer structure. Wind blowing through the slits of the outer structure causes the inner cylinder to rotate in the slanted direction, and the contact-separation between the Al cylinde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tructure generates an output voltage. The performance of the harvester with different inner cylinder diameters under various wind speeds is experimentally studi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ENG with a smaller Al cylinder is suitable for a self-powered wind speed sensor while that with a larger cylinder is optimal for efficient energy harvesting. In addition, the TENG is capable of harvesting wind energy in all directions. Its potential utility to be used as a supplementary power source for small electronic devices is verifi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Based on its compact size, simple design, and ease of manufacturing, the proposed TENG can be used as a low-cost, portable harvester.

      • KCI등재

        다차원 경로격자지도를 이용한 주차 경로계획 알고리즘

        최종안,송재복 한국로봇학회 2017 로봇학회 논문지 Vol.12 No.2

        Recent studies on automatic parking have actively adopted the technology developed for mobile robots. Among them, the path planning scheme plans a route for a vehicle to reach a target parking position while satisfying the kinematic constraints of the vehicle. However, previous methods require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and/or cannot be easily applied t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ath planning scheme that is fast, efficient, and versatile. In this study, we use a multi-dimensional path grid map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is multi-dimensional path grid map contains a route which has taken a vehicle's kinematic constraints into account; it can be used with the A* algorithm to plan an efficient path.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using Prescan which is a simulation program based on MATLAB.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successfully be applied to both parallel and vertical parking in an efficient manner.

      • KCI우수등재

        낙관적인 사람이 행복할까, 행복한 사람이 낙관적일까?: 낙관성과 행복 간 인과관계 탐색

        최종안,이민하,최인철,최은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0 No.3

        개인의 고유한 특질로서의 낙관성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일관되게 행복 관련 변인들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낙관성을 행복의 원인 변인으로 간주해왔지만, 행복의 긍정성이 다양한 삶의 영역들에 미치는 효과를 고려할 때, 행복이 낙관성의 원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낙관성과 행복의 인과 방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낙관성과 행복 간의 쌍방향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대학생들(N=270)을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1년마다 특질 수준에서의 낙관성과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통해 검증한 결과, 이전 시점의 낙관성은 이후 시점의 행복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이전 시점의 행복은 이후 시점의 낙관성을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이 행복의 선행 변인임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가 갖는 함의와 제한점을 검토하였다. The trait optimism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and found to be linked to a host of positive life outcomes. Across previous studies, optimism has been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se correlational data,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optimism increases subjective well-being, without empirically ruling out the possibility that subjective well-being predicts optimism. This possibility needs to be empirically tested considering the recent study findings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positive influence in various life domains such as achievement and relationship.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clarify the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subjective well-being at trait level by analyzing the yearly longitudinal data set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N = 270) across three time points. The results from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showed that previous optimism predicted subsequent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ly, whereas previous subjective well-being did not predict subsequent optimism.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강원도 지역의 행복 진단

        최종안(Choi, JongA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카카오 마음날씨 자료를 활용하여 강원도 지역 거주자들의 행복 수준과 그 양상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참여자 1,756,142명, 강원도 거주 참여자 38,546명으로부터 얻어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원도 지역은 행복 수준이 한국의 17개 시도 중 6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원 남녀 거주민들의 행복 수준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성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도에 거주하는 여성들에 비해 남성들이 행복 수준의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른 차이도 발견되었는데, 10대, 20대, 그리고 30대의 젊은 강원 거주민들의 행복 수준은 여타 지역 거주민들에 비해 낮은 것에 반해, 60대 이상의 노년 거주민들의 행복 수준은 여타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원도 지역 내 18개 시군 간의 행복도를 비교한 결과, 양구군이 강원도에서 가장 행복한 시군으로, 정선이 가장 덜 행복한 시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지니는 이론적/실용적 함의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levels and patterns of happiness among residents in Kangwon-do, using the huge size of dataset collected by Kakao Maum Nalssi(카카오 마음날씨). The data consisting of 1,756,142 Korean respondents (38,546 respondents in Kangwon-do) allowed to overcome previous studies’ limitations and investigate regional differences of happiness in Korean and in Kangwon-do. The results showed that Kanwon-do was ranked 6<SUP>th</SUP> out of 17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Further analyses yielded the results support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happiness; specifically, male residents in Kanwon-do experienc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happiness than did female residents. And, the significant ag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happiness were observed. Younger residents – teens, 20s, and 30s in Kanwon-do reported lower levels of happiness than those of their counterparts live in other regions. By contrast, older residents in Kanwon-do reported higher levels of happiness than those of the old in other regions. Among 18 regions in Kangwon-do, Yanggu-gun was the happiest ranked region in Kangown-do, but Jungsun-gun was the unhappiest ranked region.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행복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믿음과 주관적 안녕감

        설선혜,최종안,최인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4 No.4

        Lay theory is implicit assumptions about the social world that individuals hold, which influences personal experiences and behaviors.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y theories and happiness suggested various lay theories are associated with individual differences in experiencing happines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belief in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happiness is related to individuals’ happiness. In Study 1, belief in happiness distribution was measured by self-reported survey and then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self-reported feeling of happiness, In Study 2 and Study 3, participants performed behavioral tasks in which they predicted others’ levels of happiness on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Participants’ beliefs on the happiness distribution were estimated based on their responses in the tasks and were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Results of Study 1-3 revealed that participants who believed happiness is not equally distributed across space and time tended to feel lower level of happiness and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In Study 4, we found that belief in the economic distribution is no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r other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Our findings suggest that belief in unequal distribution of happiness is negatively linked to individuals’ level of happiness and this relationship may not be domain-general but be specific to the domain of happiness. 내재 이론(Lay theory)은 개인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세상에 대한 암묵적 가정으로 개인의 경험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내재 이론과 행복 경험 간의 관계를 조사한 선행 연구들은 행복과 관련된 다양한 내재 이론들이 행복의 개인차와 관련되어 있음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에 대한 믿음이 개인의 행복 수준과 어떻게 관련되어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행복의 공간적 분포와 시간적 분포에 대한 전반적 믿음을 자기보고 설문을 통해 측정하고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2와 연구 3에서는 사람들이 타인의 행복을 지각하는 양상을 공간적 차원과 시간적 차원에서 각각 측정하고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1-3의 결과, 행복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믿음이 강한 사람들이 행복감을 덜 경험하고,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4에서는 경제적 부의 분포에 대한 믿음이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행복의 불균등 분포에 대한 믿음이 개인의 행복 수준과 부적으로 관련되어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관련성은 자원 분포에 대한 일반적 믿음보다는 행복에 영역 특정적임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사용자 특성이 인공지능 수용성 및 인공지능 기반 제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남희,최종안 한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0 No.4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effect of user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the effects of user percepti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ca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cceptability, the effect of user perception was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other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expectancy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or services and accep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closely related. For anxiety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openness and anthropomorphism among user perception was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users. In the case of product use intention, like acceptability, user perception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and hedonic motivation and social influence were found to be important among user percep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용자 특성이 인공지능 기술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사용자 인식, 성격적 특성,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인공지능 기술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 지능 수용성의 경우 사용자 인식의 영향이 가장 중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자 인식 중 인공지능 기기나 서비스를 유용하게 지각하는 정도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수용성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에 대한 불안의 경우, 성격적 특성과 사용자 인식이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비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가지 성격 요인 중 개방성, 그리고 사용자 인식 중 의인화가 인공지능에 대한 불안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품 사용의도의 경우, 수용성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식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 인식 중 쾌락적 동기와 사회적 영향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