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학급별 미술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시각 문화 내용 분석

        최정아 ( Chung Ah Choi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6 No.-

        Today the Visual culture at the Art-education is often focused. It has an effect on our thinking and behavior, cultural life. And many educator look for the solution of educational problem at the integrated education. I foresee that the Visual culture is possible for us to make an integrating Art-education. So first of all I see the contents and goal of visual culture in the Art-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ing the Visual culture of Art-education in the course of study. First, I look into the course of Art-education that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uggested. And I anlayze the text book of the Art-education -using at the elementary school, a junior high school, and a high school. The result of analysis describes what students are learning and what we improve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system. I this study will have played a role in a base of checking the system of the Visual Culture and leading the other stud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in the Art-education.

      • 디자인 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방향성 연구

        최정아 ( Chung Ah Choi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1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ing the role and prospect of the design education. Today design contains the social meaning and is the main composition of culture. But the design education is organized by the area of design like visual communication, industrial design, and space design. I think now the design education is reviewed from a social point of view. First, I divided the design education by 3 part - the course of the arts eductaion, content fo deisgn education, and metode of teaching. And analyzed those and found the social characters that the role of social education based on. I deduced three social characters of the design education ana prospecting the system of the design education in elemantery school. I hope this deducing the social characters and prospecting can be annouced the design education of the day.

      • KCI등재

        중등 예비미술교사의 디자인 교육을 위한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 적용 가능성 연구

        최정아(Choi Ch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일반 디자인 교육은 전문 디자인 교육의 내용을 축약해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디자인 교육은 교육현장에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는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디자인 사고의 적용으로 일반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찾아 보았으며. 가장 먼저 교육현장에 나아가 학습자와 호흡할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 교육으로 그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미술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디자인 교육현황을 분석하면서 특징점이나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디자인 사고의 의미와 프로세스를 살펴봄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 교육으로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예비교사를 위한 디자인 교육으로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의 적용이 첫째, 학습자중심의 교육, 둘째, 일반디자인 교육 내용의 범주, 셋째, 일반 디자인 교육의 효율적 구성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적합의 가능성과 효과적인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형성할 것에 대한 확인을 하였다. 이렇게 진행한 금번의 연구가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일반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차별화되게 찾아주는 전환점이 되었으며 앞으로 일반 디자인 교육의 기반이 되길 기대해 본다. Most of design education contents for teaching general citizen usually have used the concise summary or the experience of some design area. Students can not catch up the social changes and the needs of the times by the design education. The meaning and solution of the design are not fixed. they change consistently. But it is hard that teachers apply the changes quickly in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system. Now I try to find the solution of the design education for general citizen through the design thinking. First, I check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process for the art pre-service teacher because the art pre-service teacher will meet the several students in the future. I checked the curriculum of art education of the Universities that have the department of the art education or applied art education. I find there is no curriculum applied the design thinking and each Univ. runs their curriculum diversely. And then I survey the meaning and process of design thinking. When I survey the case of D. school and design tool kit for educator, I feel certain of the application for the design education of the art pre-service teacher. All people can learn through the process of the thinking like designer. I find the value of this application by three points. First, the art pre-service teacher will not be designer. Though they have more knowledge about design than the pre-service teacher of other departments, they are not professional designers. This is like the students of Design Thinking. Second, we can make a grade of rank of design education. The basic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education can be classified as design thinking process. Lastly third, we can use the design thinking process by the guide for composing the contents considering the needs and changes of the times. This approch makes a basement for general design education and gives a turning point we can think about education system differently.

      • 기관기관지 1 례

        최정아(Jeong Ah Choi),정낙균(Nak Gyun Chung),이준성(Joon Sung Lee),황경태(Kyung Tai Whang),조성훈(Sung Hoon Cho)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1998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8 No.1

        Tracheal bronchus is an aberrant bronchus that arises most often from right tracheal wall above the carina. It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which is usually asymptomatic but occasionally associated with recurrent pneumonia, chronic bronchitis and bronchiectasis. Anomalies found in association with tracheal bronchi include respiratory (tracheal hypoplasia, tracheal stenosis, cystic lung lesion), gastrointestinal and musculoskeletal systems. Tracheal bronchus has been diagnosed by conventional tomography, bronchography and bronchoscopy in the past. Technical advances have greatly enhanced the utility of this diagnostic modality. So chest CT, even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is of particular importance in the evaluation of mediastinal, pleural and lung parenchymal lesions. We experienced a case of duodenal atresia and tracheal bronchus in 6-month-old child who suffered from recurrent pneumonia and dyspnea. So we report with a brief review and its related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 누리과정을 기반한 공공디자인 교육

        김사랑(Sa Rang Kim),최정아(Chung Ah Choi) 한국미술교육학회 2024 美術敎育論叢 Vol.38 No.1

        실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디자인은 사회문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경험하는 시각문화미술교육측면으로 교육적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공공디자인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유아 누리과정에서 공공디자인과 근접한 생활주제 ‘우리동네’의 내용을 분석하여 공공디자인 범주-공공공간, 공공시설물, 공공시각매체에 적용한다. 이를 바탕으로 5주간의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수업을 제안하였다. 유아수준의 공공디자인교육은 주변을 탐색하고 감상하며 일상생활에서 디자인을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용적 자세를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며 현상에 대한 비판적 사고 및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예술경험영역에서 미술활동에만 제한 할 것이 아니고 언어, 수학, 과학, 놀이 등 영역간의 통합, 융합으로 간학문, 다학문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Public design encountered in real life can be approached educationally in terms of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that understands and experiences the context of social culture. This study presents a direction for public desig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infant Nuri process, the contents of the life theme 'Our Neighborhood' close to public design are analyzed and applied to public design categories-public spaces,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visual media. Based on this, a five-week public design project class was proposed. Public design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level aims to have a receptive attitude to explore and appreciate the surroundings, experience and understand design in everyday life. We can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which we live and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about phenomena. In the field of art experience, it is not limited to art activities, but through integration and convergence between areas such as language, mathematics, science, and play,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re possible.

      • KCI등재

        중ㆍ고등학교 미술 교육과정에서의 산업디자인 영역의 교육내용과 역할에 대한 연구

        유부미(Yoo Boo Mee),최정아(Choi Chung Ah)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중학교와 고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산업디자인 교육을 통하여 사회 속에서의 산업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가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산업디자인교육의 개념을 명확히 하며,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산업디자인교육의 목적은 형성된 미적 가치기준을 배경으로 실생활에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산업 사회의 공동생활에 필요한 올바른 디자인 가치를 지니도록 하여야 하며, 문화 소비자로서 디자인의 무한경쟁의 가치를 이해시켜야 한다. 대중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굿 디자인의 생산을 유도하는 소비자의 역할을 하는 까닭에 대중적 차원의 사회적 가치기준을 판단할 수 있는 거시적인 안목의 학습을 포함하여야 하며, 기초적인 조형능력을 바탕으로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익히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체계적인 교육과정 내용을 통하여 삶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분별력, 비판적 능력을 고양하며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고 발견하는 사회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study aims to aid in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role and value of industrial design in society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industrial design education contained 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paper also proposes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to be utilized in teaching practice. The purpose of industrial design education is to contribute to the proper use of artistic value standards by educating students on right design values amid living in an industrial society an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unlimited competitive value of design for consumers of culture. As students play the role as consumers who thereby make up popular culture and lead in the production of good designs, their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learning of a comprehensive viewpoint so that they can competently judge their social value and should enable them to learn how to achieve harmony and judge it based on fundamental formative ability. A systematic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 should enhance students’ sense of recognition and critical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s well as to play a social role in understanding and determining cultural identity.

      • KCI등재

        u-Work 활성화를 위한 장소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차승화(Seung Hwa Cha),최정아(Chung Ah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21세기 정보시대에 U-City, U-Home, u-Work 등과 같은 유비쿼터스 환경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 경제·사회·문화적으로 높은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u-Work는 관련 인프라 및 솔루션이 실용화 단계에 이른 혁신적 생활양식임에도 불구하고 대중적 호응이 미약하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u-Work 활성화에 대한 정부차원의 연구가 정보기술 서비스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정보기술에 의존하는 대책마련에 집중되어 있어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u-Work의 새로운 활성화 방안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공간디자인측면에서의 전략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를 계획했다. 논의의 전개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u-Work에 관한 이론 고찰, 둘째 u-Work 서비스 활성화의 필요성 고찰, 셋째 u-Work 활성화를 위한 장소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 고찰을 위해 문헌조사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간디자인이 지원할 수 있는 장소 서비스가 업무와 기업문화 그리고 공간의 조화를 바탕으로 사무환경과 인간의 밀접한 상호관계를 통한 `장소애` 형성을 유도하는 매력적 인자가 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고, 이를 전제로 u-Work 활성화를 위한 공간디자인의 실천 전략으로써 장소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In the 21 Century, Information era, the notions of ubiquitous environment have come to the fore front. Amongst them, in spite of its value and necessity, the application of u-Work has not been developed since it has been focused on the technical approach.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necessity of a method for the promotion of u-Work through spatial design, an emotional approach, not a technical one. To do so, the references were reviewed on u-Work, u-Work service, and place service for the promotion of u-Work, especially focused on the role of office space design for the promotion of u-Work.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spatial design by place service,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work, company culture and space, can lead to buil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office environment and human. Further it confirmed the inevitability of place service development as an emotional approach to the promotion of u-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