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학업성취도, 주관적 건강상태 및 체격과의 관계 연구

        최정숙(Jeong-Sook Choe),전혜경(Hye-Kyung Chun),정금주(Gum-Ju Chung),남희정(Hee-Jung N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4

        식습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학업성취도(수학능력평가 성적), 체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학교 1년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수는 남자 1,030명, 여자 2,582명으로 전체 3,612명이었다. 1. 조사대상자의 가구 연평균 소득은 2000만원 미만 39.2%, 2000~3000만원 36.5%, 3000~4000만원 15.9%, 4000만원 이상 8.4%이었다. 평균신장은 남학생 173.3 ㎝, 여학생 161.6 ㎝이었고 평균체중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65.6 ㎏, 53.9 ㎏이었다. 2. 아침을 매일 먹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33.2%이었으며 반면 1주일에 한두 번 이하로 먹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37.9%이었다. 건강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식사는 전체응답자의 80.6%가 아침식사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가장 맛있게 한 식사는 52.7%가 저녁이라고 응답하였다. 아침은 누구와 먹었나에 대한 질문에서 ‘혼자서 먹었다’가 전체 57.5%로 가장 높았다. 3. 아침을 먹은 장소는 87.5%가 ‘집에서’라고 응답하였으며 고등학교 아침급식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체 60.8%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아침식사를 하지 못한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가 전체 조사자의 62.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아침식사 형태에 있어서는 한식으로 매일 한 경우가 38.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4.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훨씬 건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5. 아침식사를 매일 먹은 사람이 수학능력평가점수가 가장 높았던 반면 아침을 주 2일 이하로 거의 아침을 먹지 않았다고 응답한 사람이 수학 능력평가점수가 가장 좋지 않았다. 한편 아침식사는 비만정도(BMI)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균형 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채소류와 과일, 콩류와 유제품 등을 매일 먹는 소위 식습관이 좋은 사람이 수학능력평가점수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건강에 가장 중요한 식사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결식률이 높은 아침식사를 청소년들이 맛있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침식사의 결식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무관하지 않음이 밝혀졌으므로 청소년의 아침결식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조사와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학교 아침급식 프로그램 도입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결식은 건강에 대한 자신감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규칙적인 식사와 1일 3식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영양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균형 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채소류와 과일, 콩류와 유제품 등을 매일 먹는 소위 식습관이 좋은 사람이 수학능력평가점수가 좋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만정도(BMI)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청소년 각자의 식습관 및 식품 섭취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dietar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and physical status. The subjects consisted of freshmen in university and answered to questionnaires through the Internet.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dietary habit, academic achievemen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and physical status during their 3^(rd) grade in high school days. Data were collected from 3,612 people. Over 33% of respondents had their breakfast daily. Subjects who had breakfast below twice per week were 37.9%. The major reason of skipping breakfast was lack of time to eat breakfast (62.8%). The subjects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reakfast were 80.6% (p<0.001). More than half (52.7%) thought that dinner was most tasty. People who ate breakfast regularly had a tendency to recognize their health state were in good health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MI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breakfast per week. The subjects who had their breakfast regularly and well-balanced dietary habit reported higher mark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contrast, the subjects who rarely had breakfast showed poor mark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health judgement. According to these results, a good dietary habit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o academic achievement and confidence in health. Therefore we suggest the school breakfast program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required for teenagers. In addi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nutrition education in Korean teenagers.

      • KCI등재

        쌀 품종별 백미와 현미의 영양성분 조성 비교

        최정숙(Jeong-Sook Choe),안훈희(Hoon-Hee Ahn),남희정(Hee-Jung N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5

        표준재배법으로 육성한 주요재배장려품종 6종(화성, 추청, 오대, 일품, 일미, 동진)의 백미와 현미중의 영양성분(일반성분, 무기질, 지방산, 아미노산, 섬유소 등)을 분석한 결과 1. 도정에 따른 전체적인 무기질의 변화를 보면 인, 철, 나트륨, 칼륨, 아연, 마그네슘의 경우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칼슘은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 품종별로 살펴보면 백미의 경우 추청 품종은 칼슘이, 오대는 인과 마그네슘이, 일품은 나트륨, 칼륨, 아연이, 동진은 철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미의 분석결과에서는 화성은 철이, 추청은 나트륨이, 오대는 인, 칼륨, 아연, 마그네슘이, 동진은 칼슘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2. 쌀 품종별 지방산 조성은 백미의 경우 전체적으로 볼 때 C18 : 1이 33~41%로 그 비율이 높았고 현미의 경우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화지방산은 백미의 경우 오대쌀을 제외하고 20~33%, 현미는 19~22%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은 백미가 34~44%, 현미가 39~45%이었으며 다중불포화지방산은 백미가 24~42%, 현미가 33~40%를 함유하여 백미와 현미의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현미의 경우 쌀 품종별로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조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도정한 후 백미의 경우 쌀 품종별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 있어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지방산 분포가 쌀 품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쌀 품종별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백미는 11.54~16.93 mg/g, 현미는 13.29~20.24 mg/g로 분석되었다. 가장 적게 함유된 아미노산은 tryptophan이었으며 백미는 0.75~0.98 mg/g, 현미는 0.94~1.19 mg/g이었다.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은 백미와 현미 모두 일미 품종에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도정률의 증가에 따른 비타민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niacin은 10~30%, 비타민 B1은 15~60%, 비타민 B2는 거의 모든 품종에서 50%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백미는 일품이, 현미는 화성이 가장 높은 niacin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B1은 백미의 경우 일품이, 현미는 일품과 일미가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B2는 쌀 품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조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4배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식이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3배 높게 함유하였다. 조섬유의 경우 백미는 오대 품종이, 현미는 화성과 일품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비율을 나타내었고 반면 식이섬유는 백미의 경우 동진이, 현미의 경우 일미 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비율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e the excellency of unpolished (brown) rice with respect to nutritional composition and to compare chemical composition among six varieties of rice. Some nutritional composition in the polished (well-milled) rice and unpolished (brown) rice of the six typical Korean varieties (Chucheong, Hwasung, Odae, Ilmi, Dongjin, Ilpum) were determined. Most of nutrients in the brown rice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in the milled ric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ice varieties in some chemical compositions. The major minerals of milled rices were Ca, 6~15 mg%; P, 91~125 mg%; Fe, 0.3~1.2 mg%; Na, 10~14 mg%; K, 106~205 mg%; Zn, 1.0~1.8 mg% and Mg, 32~58 mg%. The mineral contents of brown rices were Ca, 4~11 mg%; P, 92~286 mg%; Fe, 1.3~1.9 mg%; Na, 12~15 mg%; K, 243~320 mg%; Zn, 1.5~2.3 mg%; Mg, 112~140 mg%. Major fatty acids in six rice varieties were linoleic acid, oleic acid and palmitic acid, which comprised of about 93% of total fatty acid.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and leucine were major amino acids, whereas histidine, threonine and tryptophan were minor ones of rice. Most amino acid contents was higher in Ilmi than the other varieties. The contents of vitamin in brown rices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well-milled rice.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dietary fiber among rice varieties : 1.1~1.2% for milled rice, 3.2~3.5% for brown rice.

      • KCI등재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 요인

        최정숙(Jeong-Sook Choe),전혜경(Hye-Kyung Chun),황대용(Dae-Yong Hwang),남희정(Hee-Jung N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

        전국의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의 주부 5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식품안전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65.4%, 불안을 느끼지 않는 사람이 34.6%로 식품안전성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나 초등학생의 자녀여부, 학력, 채소류 구입장소, 브랜드, 보존료나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 원재료의 원산지 등이었다. 불안요인 중 잔류농약은 대상자의 96.0%가, 보존료나 착색료 등 식품 첨가물 95.7%, 환경호르몬 93.0%, 식중독균 등 유해미생물 91.7%, 유전자변형식품은 90.2%가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는 잔류농약이나 식품첨가물보다 미생물의 발생으로 인한 식품오염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식중독의 경우 더욱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실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불안을 느끼는 식품으로, 도시락은 대상자의 93.3%가, 수입식품은 92.7%, 패스트푸드 89.9%, 햄과 소시지 등 식육가공식품 88.7%, 외식(패스트푸드 이외의 식품) 85.6%, 통조림과 냉동식품 등 가공식품 83.5%, 컵라면 등 인스턴트식품 82.0%, 쌀 47.4%, 식용유 53.8%, 우유 및 유제품은 56.6%가 불안하다고 느꼈다. 식품의 제조(재배) 및 원료(원산지)를 제시해주는 식품표시에 대하여 신뢰하지 못하고 불안을 느끼는 대상자가 많으므로(75.2%) 표시제도와 인증제도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식품에 관련한 충분한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신선식품(농축산물) 구입시 가장 우려되며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수입산인지 국내산인지’이었으며 ‘유통기한’, ‘무농약 및 유기재배 여부’, ‘만질 때 혹은 외관상으로 느껴지는 신선함’ 등이 그 다음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시에는 ‘보존료 및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93.6%), ‘유통기한’(92.4%), ‘원재료가 무농약ㆍ유기재배인지’(88.8%)에 대하여 염려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개선사항으로 ‘비료, 농약 살포, 수확시 관리 등 생산단계’(59.6%) 및 ‘물, 토양, 대기 등 자연환경’(43.6%)의 개선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많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품위생과 안전성, 식품표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농장단계에서 오염원을 줄이는 방안이 최종생산물의 검사에 기반을 둔 식품안전정책보다도 안전성 확보에 훨씬 유효하다는 사고방식이 보편화되고 있으므로 농산물 생산단계에 우수농산물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사전예방 원칙을 적용한 HACCP 시스템을 도입하여 식품(특히 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겠다. 또 food chain 전반에 관한 이력정보의 부족과 정보의 신뢰성이 문제가 되므로 생산단계부터 가공단계, 유통단계, 그리고 판매단계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소비자가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확인할 수 있는 ‘이력정보체계(traceability system)’를 활성화하여야 하겠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 in 500 housewives from all over Korea.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telephone interview by skilled interviewers. The results showed that 34.6% of the respondents felt secure and were not concerned about food safety, and 65.4% were concerned about food safet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creasing concern on food brands, food additives (such as food preservatives and artificial color), and imported foodstuffs indicated the current increasing concern on food safety. Other related factors indicating the increasing concern on food safety were education level and care for children’s health. The respondents who cared about food safety expressed a high degree of concern on processed foodstuffs such as commercial boxed lunch (93.3%), imported foods (92.7%), fastfoods (89.9%), processed meat products (88.7%), dining out (85.6%), cannery and frozen foods (83.5%), and instant foods (82.0%). The lowest degree of concern was on rice. All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residues of chemical substances such as pesticides and food additives, and endocrine disrupters were the most potential food risk factors, followed by food-borne pathogens, and GMO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with scientific judgment. Therefore, more education and information were needed for consumers’ awareness of facts and myths about food safet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put lower trust in food products information such as food labels, cultivation methods (organic or not), quality labels, and the place of origin. Nevertheless,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desire to overcome alienation,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nowing of the origin or the producers of food. They identified that people who need to take extreme precautions on food contamination were the producers, government officials, food companies, consumers, the consumer’s association, and marketers,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est to lowest. They also believed that the production stage of agri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step for improving the level of food safet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safety systems in th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s follows: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and Traceability System (TS).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식생활 교육 내용 분석

        최정숙 ( Jeong Sook Choe ),이민정 ( Min Jung Lee ),박영희 ( Young Hee Park ),이진영 ( Jin Young Lee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5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and dietary educational conten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research objects consisted of 51 kinds of textbooks (15 kinds of primary school textbooks, 29 kind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7 kind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e contents related to food and dietary education were counted and analyzed. Th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wo categories: application method and subject matter. Application method included texts, cases, visual aids (pictures, photos, illustrations, chart, etc.) and activities, whereas subject matter consisted of seven types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cooking principles, cooking lessons,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other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method in primary school textbooks show that visual aids were the most common in all six grades. For the subject matter,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was most abundant in primary school textbooks while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accounted for a large part of the contents in middle school textbooks. However, the contents regarding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were insufficient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contents on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should be added to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nd covered in various subjects. Furthermor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ntents need to emphasize comprehensive food and dietary education and adjust to `science & technology for life`.

      • KCI등재
      • KCI등재

        알코올을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참죽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보호 및 항산화 효과

        김현정,조수연,김정봉,김헌웅,최정숙,장환희,Kim, Hyun-Jeong,Cho, Su-Yeon,Kim, Jung-Bong,Kim, Heon-Woong,Choe, Jeong-Sook,Jang, Hwan-Hee 한국식품영양학회 2018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1 No.4

        All the parts of the Cedrela sinensis A. Juss., including the seeds, roots, and leaves, have been known to exert medicinal effects. The C. sinensis and its major compound, quercetin, were previously reported to exhibit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However,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C. sinensis leaves against the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the HepG2 cells have not been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alyzed the flavonoid contents of the C. sinensis-leaf extract (CE).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CE is 1,874.5 mg/100 g dry weight (DW), while the total quercetin 3-O-rhamnoside (quercitrin) contents, which was identified as the major flavonol in the CE, is 1,456.0 mg/100 g DW. In the ethanol-stimulated HepG2 cells, the CE effectively prevented the cytotoxic effect and increased the gene expression of the antioxidant enzymes, such as the heme oxygenase-1 (HO-1) and the glutathion peroxide (GPx). The level o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E-treated HepG2 cells. In conclusion, the C. sinensis extract suppressed the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the HepG2 cells via the induced GPx and HO-1 gene expressions. It is expected the CE positive effects will likely be attributed to the flavonoids, like the quercetin, within the 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