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상간극수역의 형성을 위한 하상공법의 적용과 평가

        최정권 ( Jung Kwon Choi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iverbed techniques to activating ecological function of hyporheic zone. Hyporheic zone maybe simply defined as an active eco-tone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which facilitates to exchange water, nutrients and aquatic habitat occur in response to variation in discharge and bed geomorpholog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applied riverbed technique for two years since its installation in the hyporheic zone. The experimental riverbed technique has been implemented on Anyang stream penetrating Anyang city in Gyunggi province. The dimension of the installed structure is 5.0 m in width, 46 m in length. Bottom layer is filled with rip-rap covered with gab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technique, the study conducts follow-up monitoring in two years of between 2011 and 2012. The results of follow-up monitoring for two years are as follows : 1) In Hydro geomorphic process, the riverbed technique maintains hydraulic stability despite of several flood events in 2011, 2012. 2) After transformation to form pool-and-riffle habitat, for aquatic community composed of freshwater fish, macro invertebrate, and attached algae, the species diversity and population gradually increased. 3) The riverbed technique achieved desired effect on enhancement of ecological function in hyporheic zone.

      • KCI등재

        중국 강남 수향진의 수변공간 특성 연구 - 절강성 오진과 남심을 사례로 -

        최정권 ( Choi Jung-kwon ),최정민 ( Choi Jung-mea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물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형성되고 발전해 온 중국 강남 수향진 외부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중국 절강성에 위치한 수향진인 오진과 남심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로서 수변공간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향진의 입지와 도시적 골격, 필지 구획과 건축은 수로에 의해서 결정된다. 수로는 십자형(十字形) 또는 정자형(丁字形)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수로의 교차점과 중심 수로변은 규모와 세력이 큰 상업지가 형성되어 고밀화된다. 둘째, 중심 수로변으로 공적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시각적, 기능적으로 교호하는 사적인 건축물들이 수로변에 자리 잡아 강남 수향 특유의 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셋째, 주거지는 남향 배치가 유리한 동서 방향의 수로변으로 형성되고, 수변 주택은 중정을 가진 내향적인 공간 구조이지만, 외부공간은 수로공간과 긴밀성을 높여 공간적으로 조화되는 수변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넷째, 수변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공간 환경을 풍부하게 한다. 즉, 수로와 함께 수변로, 낭붕, 기루, 다관, 하부, 광장, 교량, 희대, 수문과 탑 같은 외부공간 요소는 수향진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정체성을 부각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대도시에서 장소의 고유성과 질이 핵심경쟁력이 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역사적, 문화적 집적도가 높은 강남 수향은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과의 긴밀성 증진은 수변공간 계획이 지향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가치이다. 둘째, 용도 복합은 공간의 효율적 이용과 장소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이다. 셋째, 지역의 고유성을 장소 자산으로 하는 수변 계획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of Jiangnan water town in China which has been developed along the water channel. Spat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town, Wuzhen and Nanxun in Zhejiang Province are as follows. First, location of town, spatial framework, lot division, and architectural style get determined by the water channel. The water channel is constructed in cross shape, T-shape, or in combination. Secondly, public space of water town is established along main water channel. Visually and functionally alternating private buildings are established on the water channel side and they are creating unique landscape of Jiangnan water town in overall harmony. Thirdly, residential area is established on the east-west water channel side with southward sunny-faced arrangement and waterside residence is in introvert spatial structure with courtyard but the exterior space is connected with water channel intimately. Fourthly, various spatial components along the water channel enrich the sense of place in water town. The components are corridor with roof, tea house, waterside steps, waterside theater and watergate etc. Uniqueness of place is becoming the core competence in modern townscape. In this aspect, Jiangnan water town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accumulation is suggesting a significant implication. Majo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of proximity to the water is the basic value that the spatial plan of waterfront needs to pursue. Secondly, mixed use is essential for effective land use and revitalization of waterfront. Thirdly, waterfront plan based on the local uniqueness as the place asset is being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도시하천의 생태적 재생계획에 관한 연구 -안양시 수암천을 대상으로-

        최정권 ( Jung Kwon Choi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3 No.6

        The objective of this planning proposal is to rehabilitate the urban stream which has been ecologically disturbed in the urban process. The experimental stream, Su-am stream located in Anyang City is typical urban stream in adjacent land use and the spatial condition. The stream in the watershed context, is the second tributary of Han River,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reach were analyzed by the river corridor survey. In the conceptual phase,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hydrological, ecolog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Spatial zoning concep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and adjacent land use, was suggested 4 types of zoning;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natural landscape zone, neighborhood water-friendly zone and CBD water-friendly zone. Implementation Practic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For The longitudinal river continuum, some In-stream practices were suggested and implemented; such as channel alignment, step & pool, pool & riffle and low-flow channel bank. For latitudinal continuum and intimat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Sam-duk Park & Su-am stream, gentle sloped bank was planned and implemented. After stream improvement & ecological Implementation, follow-up monitoring and adaptive management programs will be a meaningful process for ecological rehabilitation.

      • KCI등재

        생태하천 복원 후 모니터링과 적응관리 -안양시 학의천을 중심으로-

        최정권 ( Jung Kwon Choi ),최미경 ( Mi Kyoung Choi ),최철빈 ( Cheol Bin Choi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5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8 No.6

        Recent years, nationwide projec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are implemented with emerging issues on the stream ecosystem.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ness of the ecosystem restoration and reduce negative impact, the appraisal of effectiveness through the follow-up monitoring and the adaptive management process are executed in consecutive phase. In this study, planning phase, monitoring and adaptive management in Hakui stream which is part of An Yang stream restoration project is introduced as representative ongoing case of effective adaptive manage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daptive management process and suggest direction of effective restoration. Restoration project of Hakui stream resulted in increasing number and diversity of species (vegetation, fish, bird, invertbrates, amphibian and reptilia) according to monitoring from 2004 to 2013, and enhancing natural river landscape by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among 2001(before restoration), 2007 (after), 2015 (recent). However, excessive vegetation expansion or sediment deposition on channel over time caused unexpected results such as terrestrialization or degradation of habitats. Adaptive management action such as removing disturbance species (Humulus japonicus)(2007), coppicing willow (2007), release of march snail (2007), creation of wetland (2014) were implemented based on monitoring results. And then appraisal of management action was discussed.

      • KCI우수등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모색을 위한 일상적 도시정원 가꾸기 유형 특성 연구 - 성남시 수진2동을 중심으로 -

        박재민,최정권,박은영,Park, Jae-min,Choi, Jung-Kwon,Park, Eun-Yeo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3

        열악한 도시환경에서 주민이 일상적으로 가꾸어온 정원은 과연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을까? 본 연구는 일상적 도시정원을 살핌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수진2동을 대상으로, 정원 조성 유형, 특성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일부 조성 이유와 목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수진2동의 도시정원은 협소한 공간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평지형보다는 입체형 정원이 주로 나타났다. 정원 조성 위치에 따라 6가지(건물 앞, 옥상, 현관지붕, 계단, 벽면, 마당)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공간 확보가 용이한 옥상 정원이 가장 많았고, 주로 생산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지역 내 건축적 특징으로 인해 계단 정원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주로 심미적 목적을 위해 조성되었다. 건물 앞 정원은 입구성, 시선차폐, 불법주차방지 등 다기능으로 사용하였다. 그 외, 단독주택에서는 적극적으로 조성한 수준 높은 정원이 확인되었고, 반면 다가구 주택에서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해지며, 계단정원이 감소하고 벽면녹화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수진2동 도시정원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진행하고 있는 성남시 도시재생사업에서 철거와 신축만이 아니라 그 속에 살아가고 있는 주민의 삶 속에 담겨진 지혜를 발견하여 이용하는 것 또한 중요함을 말하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 공간 내에서 정원을 가꾼다는 것은 단지 개인의 취미를 넘어 도시의 공공성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재생 사업과 일상적 도시정원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What are the roles and functions of urban gardening created by citizens in Sujin 2-dong, Seongnam-si? This study has looked into urban gardening in everyday life in a bid to find possible solution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e paper has examined the type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gardens in Sujin 2-dong, where the urban restoration project is in progress. This study has conducted primarily on-site inspections and interview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urban gardens in Sujin 2-dong have a vertical structure rather than a regular ground-based one due to lack of land. Six major locations of building a garden include the front of a building, rooftop, top of a gate, stairs, wall, and yard. Rooftop gardens are most common and are built mostly for production purposes. Due to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is village, there are relatively many stair gardens built mostly for aesthetic purposes. The garden in front of a building has served multiple functions, including formation of entry, privacy protection, and prevention of unauthorized parking. Other than those, detached houses have quality urban gardens built with greater effort and care, while multi-household houses have seen a decrease of stair gardens and an increase of vertical gardens due to their comparatively limited space. By utilizing this research, we hope to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ocal's wisdom and voice for a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as well as keep these findings in mi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be useful as primary research for urban gardening in everyday life and alternative ways of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탄천 하도사주의 지형 형성과정과 식생분포 연구

        최미경,이삼희,최정권,Choi, Mi-Kyoung,Lee, Sam-Hee,Choi, Jung-Kwo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6

        본 연구는 하천 경관요소 중에서 비교적 단시간에 걸쳐 변화하는 사주 지형과 식생 분포의 역동적 형성과정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 대상 하천은 2002년 이후 생태계보전지역으로 관리되고 있는 탄천 하류부 구간이다. 이를 위해서 사주지형의 변화는 항공사진과 경관사진을 통해 그 형성과정을 파악하고 현재 사주 지형 위에 형성된 식생의 분포를 현장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후반에 직강화 되었던 하도 내에서 1990년대에 들어 사주의 발달이 현저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주가 형성되었고 이는 지속적으로 변화하였다. 초기에 사주가 형성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도 내 흐름 특성에 따라 사주의 면적과 높이가 변하였다. 둘째, 식생의 분포에 있어서는 물과 접촉 빈도가 높은 하안부는 교란의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무식생 상태이거나, 간헐적인 식생이 분포하여 피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고수부지 쪽으로 형성된 사주에는 목본류나 정수식물군락이 활착되면서 식생 피도가 높게 나타나 안정식생역을 형성하였다. 셋째, 사주와 식생형성과정의 관계는 사주의 형태와 식생의 안정성 여부에 따라 저수로변 사주, 불안정 식생 저수로변사주, 안정식생 하중주 그리고 불안정식생 하중주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힌 하도 내 사주와 하천식생의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상호관계는 모래하상의 하천부지에서 식물종이나 식재위치 선정에 유용할 것이나, 하천생태계 복원을 위한 실행사업의 식재 지침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하천에 대한 보다 폭 넓은 사례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dynamic process of sandbar and vegetation distribution of the sandbar on the Tan-cheon River.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the lower reaches of the Tan-cheon River that has been managed as an Ecosystem Reserve Area since 2002. For the study, the geomorphological process was analyzed through mapping analysis using a satellite image followed by analysis of the vegetation distribution through an on-site surve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In the fluvial geomorphic process, various kinds of sandbars were developed in 1990s,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changing continuously. Second, In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on the sandbar, the sandbar shore was covered with bare sand substrate or intermittent annual vegetation because of the periodic fluctuation of the water-level due to intensive disturbanc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ndbar formation and vegetation, four types of sandbars were classified: channel-shore stable bar, channel-shore unstable bar, mid-channel stable bar and mid-channel unstable bar, according to the fluvial disturbance & vegetation process. The study verifies that the vegetation distribution is reciprocally related to the geomorphological process.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in the selection of plant species and the planting area of the sand bar. However, it is limited to the planting guidelines on river restoration projects. More diverse on-site experiment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 KCI등재

        충적하천 사행하도에 발달한 사주에서의 식생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이삼희 ( Sam Hee Lee ),옥기영 ( Gi Young Ock ),최정권 ( Jung Kw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6

        충적하천의 이중 만곡부지형에 위치한 낙동강 하회마을은 한국내 대표적인 이동상 모래사주 구간이다. 그러나 상류에 댐이 건설된 이후 첨두유량이 조절되고 유사량 공급이 감소하면서, 하회마을구간에서는 모래사주의 이동성 저하, 사주의 식생정착 및 식생역이 확장현상이 나타나면서 사주가 고정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댐하류에 존재하는 하천의 대표적인 현상으로서 국내·외적으로 하도내 사주와 식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 하회지구에서 모래사주의 지형변화에 따른 원인과 식생역의 확장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수리, 지형,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식생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홍수기 동안 만곡부 내측에 워시로드와 부유사의 퇴적작용으로 영양물질의 함량이 높은 매트릭스가 형성되면서 선구식물의 침입하게 되고, 일정기간의 무홍수 기간을 거치는 동안 천이과정을 거쳐 사주식생이 정착하게 되며, 이후 반복적인 홍수는 식생정착부의 유사퇴적을 촉진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토성의 변화를 가져오면서 식생역의 확장을 유발하게 된다는 메카니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모래사주에서 식생역의 확장과정이 반복적인 홍수기와 비홍수기의 출현과 유사이송, 그리고 토양의 영양물질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fluvial river channel with sand bed-material is the existence of movable sand bars not occupied with vegetation. However, sand bars at the Hahoe`s reach of the Nakdong River showing a double-meandering channel has been changed into expanding vegetation area. Moreover, sand material, in recent years, has stopped moving to downstream in channel and the number and area of bare bars which did not occupied by vegetation have been decreas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chanism, we carried out the channel characteristics surveys such as hydro-geomorphologic, soil physio-chemical and vegetation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on autumn season in 2005, 2006. The results so far achieved showed that the reduced discharge of transported sediment and duration of dry season might be critical factors for the spread of luxuriant vegetation. The vegetation area was significantly expanded by floods exceeding the subsequent dominant flow discharge. Furthermore, the expansion of vegetation area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upply of organic matter, nutrients and alteration of soil texture by sediment deposition during the flooding ev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