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적 자이니치와 한국의 출입국 정책 ― ‘주권 장치’로서의 분단과 이중적 실행 ―

        최은봉,공도영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4

        This paper analyzes the double-faces of Korean government's entry-exit policy towards Chosen-seki Zainichi(朝鮮籍在日). Chosen-seki Zainichi were sent to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left in Japan after the liberation, but have not acquired either Korean or Japanese nationality and still remain to be ‘stateless persons.’ Korean government's entry-exit policy towards these people has experienced closing(1948-1975), opening(1975-2006) and closing again since 2006. This paper reveals the structural double-faces of Korean government's entry-exit policy towards Chosen-seki Zainichi, using Giorgio Agamben's concept of ‘State of Exception’ and ‘Bare Life.’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Cold War and the division served as an apparatus of sovereignty in Korea, and the division as an apparatus of sovereignty has been operated as a mechanism which generates the double-faces in Korea's entry-exit policy. In addition, this paper explains why the entry-exit policy towards Chosen-seki Zainichi has not been issued despite its inherent irrationality and contradictions. 본 연구는 조선적 자이니치에 대한 한국정부의 출입국 정책의 이중성을 분석한다. 조선적 자이니치는 일제 식민시기 일본으로 강제 연행되어 해방 후 일본 땅에 남게 된 사람들로, 일본과 한국 국적 모두 취득하지 않고 무국적자의 신분으로 남아있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이들에 대한 한국의 출입국 정책은 크게 폐쇄(1948-1975)와 개방(1975-2006)기를 지나왔으며, 2006년 이후 다시 폐쇄적으로 변화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적 자이니치에 대한 한국정부의 출입국 정책의 구조적인 이중성을 분석하며, 이를 위해 조르조 아감벤의 ‘예외상태’와 ‘벌거벗은 생명’ 개념을 차용하고자 한다. 한국이 처한 분단이라는 ‘예외상태’와 근대국가로서의 한국이라는 이중적 구조가 조선적 자이니치에 대한 출입국정책의 모순과 역설적 양상을 표상하고 있으며, 분단 상태를 전제로 한 예외상태 속의 출입국 정책 하에서, 조선적 자이니치는 ‘벌거벗은 생명’으로 전락하게 된다는 두 가지 가설적 질문을 추적한다. 이러한 추적을 통해, 한반도의 냉전과 분단이 한국의 주권 권력을 공고화하는 주권 장치로 기능해왔음을 밝히며, 이러한 주권 장치로서의 분단이 한국정부의 출입국 정책의 이중성을 만들어내는 기제로 작동해 왔음을 논한다. 또한 나아가서 이러한 출입국정책의 비합리적 예외성이 존재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논쟁적으로 쟁점화 되지 않은 배경과 요인을 설명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How Is the Distrust Trap Pervasive in East Asia?: Focusing on Incomplete Sovereignty with a Prospect Theory

        최은봉,이민주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2019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Vol.9 No.2

        This paper investigates Japan’s two foreign policies toward South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fter the 2000s based on prospect theory. The Japanese government intended those decisions as loss-averse behavior to overcome incomplete sovereignty by resolving the comfort women issue and the Senkaku/Diaoyu Islands’ territorial dispute. However, the distrust trap made South Korea and China recognize Japan’s intention as risk-acceptant. This paper posits that a distrust trap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 heuristic that makes South Korea and China reluctant to cooperate with Japan. The distrust trap indicates the extension of a cognitive gap between states when the challenging behavior of one state provokes distrust of others and gives a signal of threat regardless of its intention or approach. The twenty-first century is a remarkable period because security issues toward Japan are making gradual progress of cooperation of East Asia superficial. It relates to the problem of trust-building. This paper uses transnational survey data to show the distrust trap betwee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 KCI등재

        존재론적 안보와 오키나와의 결정적 지사 선거 – 일본 정부 신뢰의 역설적 동학 –

        최은봉,이민주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日本硏究 Vol.0 No.85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state of trust between political actors is connected to ontological security or anxiety. In addition, this paper assumes that political choices and outcomes can vary depending on how the political actor perceives its present state of ontological security. To verify this hypothesis, this study focused on and examined specific cases in Okinawa. There is a peculiarity in Okinawa's regional politics that has deeply embedded the perception that it has been subject to discrimination, exclusion and sacrifice for national interests by the Japanese mainland.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ontological security on the choice of political subjects through the election, which is the most basic and clear political act to realize political purposes and create profits, and the gubernatorial elections held in 1998 and 2014. The Okinawan gubernatorial elections in 1998 and 2014 were the cases where voters' participation was higher than the governor election held just before. The Japanese central government in both periods pursued security benefits as national interests by stabilizing US-Japan relations but the results of the elections showed a contradictory tendency. What affected these results was the level of trust of Okinawa residents toward the central government and ontological security as the consequence. The gubernatorial election of Okinawa in 1998 was based on the trust of residen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had a sufficient power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ontological security of Okinawa and that the direction was positive. On the other hand, the election in 2014 was the time when the trust of the Japanese central government was undermined in Okinawa as the strategic policy exchange of the economic development fund and the landfill approval occurred out of the existing policy stance, and the ontological security ruptured. At that time, the intention and action expressing the rejec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stance began to be expressed through the governor. This trend continues to the present day.

      • KCI등재

        일본 외교정책의 동아시아 지향성 - 1990년대 이후 외상 국회연례연설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일본 외교정책의 동아시아 지향성

        최은봉,신재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08 日本硏究 Vol.36 No.-

        This paper examines Japan"s foreign policy toward East-asia in 1990s .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durability of the policy. First, content analysis is used to examine “Policy Speech by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to the National Diet”(Spoken by Foreign Minister of Japan). The result shows that Japan"s foreign policy in 1990s maintains its interest in East-asia. Furthermore we try to figure out how it is revealed in the foreign policy and economic policy, embodying Japan"s regionalism. Policies during post-cold war era(1990-present) are analyzed but the year 1998 is set as the most critical period because 1998 is when significant change was made regarding regional policies. To be more specific, this paper aims to find out how Japan"s regionalism continues or maintains empirically and how it has been embodied in policies via analysing Japan"s participation in regional community centering 1998. On the other hand while East-asianalization appears and maintains, U.S.-Japan relation which is main pillar of Japan"s foreign policy, remains unchanged. Despite of maintenance of East-asianalization, historical problem or territorial struggle still occurs. However, we believe the issues around the region of East-asia should not be recognized as severance of the East-asianalization. It is the direction of the Japan foreign policy toward East-asi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정치의 사회경제적 균열기반과 민주주의의 전망

        최은봉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6 No.-

        본 논문의 목적은 1997년 IMF 통화 위기 이후 한국의 정치의 실상과 변화를 설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 정치의 사회경제적 균열기반에 어떤 변동이 일고 있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그것이 앞으로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고찰하였다. 논문은 다음 네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그것은 세계의 정치경제적 문제, 한국 정치사회의 현실, IMF 경제 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사회경제적 균열과 내부 갈등의 심화, 한국에 있어서 사회적 민주주의의의 전망-통합을 저해하는 정치구조적 한계이다. 첫째, 경제의 글로발화가 급속하게 진행함에 따라 한국 정치경제는 세계 정치경제의 영향을 과거보다 더 많이 받게됨과 동시에 국내의 정치경제적 문제가 글로발 정치경제에 대해 갖는 종속성도 훨씬 심화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둘째, 한국의 정치사회의 현실을 검토해보면 대외적으로는 남북 관계와 통일 문제가 가장 중요하게 간주되는 정책이고, 대내적으로 경제를 활성화시키면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사회복지를 어떻게 정착해하는 문제가 당면 과제이라는 점을 논의했다. 이 두가지 영역은 별개인 듯이 보이지만, 한정된 재원을 분배하는데서 생기는 갈등과, 통일 후의 사회 내부의 통합 문제가 제기되리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사실상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다. 셋째, 이러한 충돌의 징후가 이미 한국의 현실에서 관찰되고 있는데, 이는 IMF이후 기존의 사회경제적 균열구조의 심각한 양극화 현상으로 인한 내부 갈등의 심화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분석했다. 넷째, 사회적 차원의 실질적 민주주의의 증진을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의의 공고화의 관점에서 보면,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소들의 극복은 사회의 제요구들을 균형있게 반영할 수 있는 정책의 입안과 집행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정치과정은 이런 과제를 감당하기에는 구조적인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바로 정치과정의 제도화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므로, 한국 정치에서는 이 점을 극복하는 일이 시급히 요구되는 과제라는 점을 지적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urrent political economic situation for the period of the post-lMF economic crisis in Korea. It explores changes in the social clevage structure and their implications for politics and society in general. While most of the problems occurred in Korea in this realm has been rooted in the global shifting environment, unique factors in Korean society should not be neglected. Among them, problems giving negative impacts on the integration in society are found most significant. This paper points out that keep social integration in a sound condition, political institutions have to work legitimately in the concerned policy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