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테마공원 실태분석을 통한 창원단감테마공원 활성화 방안

        최영완,은희창,김영주,Choi, Young-Wan,Eun, Hee-Chang,Kim, Young-Joo 한국농촌계획학회 2017 농촌계획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lready established rural theme park, draw the weak and strong points, and come up with an efficient performance plan for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through the benchmarking of the best overseas case.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facility and a program for family customers as a plan for promoting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It is required to secure safety through public operation and management, improve scalability of the facil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multi-functional complex facility, and come up with a plan for operating a special program associated with local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drew three activation factors: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e development of operation contents by faci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in each area. First, to establish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organization of the theme park into the operation business area and into operation & management area by job func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 program in consideration of space and facility, suggest a differentiated plan for operation contents, and create a facility operation plan and program for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Lastly, to operate and manage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smoothly, it is necessary to set the theme park space as open collaboration space which the local residents can share and participate in by avoiding the conventional administration-based business performance and oper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 for establishing an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and its operation,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program, a business performance strategy, and the use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of the theme park.

      • 농촌공간정비를 위한 어메니티 분류체계 정립

        최영완 ( Youngwan Choi ),김영주 ( Youngjoo Kim ),박정원 ( Jeongw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21세기에 들어서 우리나라의 농촌정책은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쾌적성 증진을 위한 농촌어메니티 지향형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농촌공간도 어메니티(Amenity) 지향형으로 정비되어야 한다는 인식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어메니티 개념과 정의, 자원요소의 분류 및 자원관리 등에 관한 연구에 치중되었고,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체계적인 관리방법 및 자원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지금까지 이루어진 어메니티 지향적 연구는 어메니티 개별자원요소의 관리 및 경관에만 치중하였다. 따라서 농촌어메니티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농촌마을의 특성에 맞은 어메니티 자원의 체계적인 분류체계 확립과 함께 이들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나아가, 녹색성장이라는 시대적 트렌드에 대비하여 농촌마을 정비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농촌지역(마을)의 공간구조와 어울리는 어메니티 자원별 관리 및 활용방안 등이 농촌마을의 효율적인 정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외 기존문헌 및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어메니티 분류체계를 분석한 후, 분석결과를 토대로 농촌지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어메니티 자원을 크게 농촌이 갖는 다원적 특성 및 농촌의 기능과 역할 뿐만 아니라, 농촌의 공간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자연환경자원, 생산환경자원, 생활환경자원으로 대분류하고 각각의 대분류 항목을 4개의 소분류 항목으로 선정하여 농촌어메니티 분류체계 시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농촌어메니티 분류체계 시안에 대한 객관성 확보를 위해 관련 전문가그룹의 평가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분류체계를 확정하였다. 또한, 확정된 분류체계를 현장에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미흡한 부분을 수정·보완하여 농촌어메니티 분류체계를 확정하였다.

      • KCI등재
      • 지역역량강화(S/W) 분야 사업 인식 조사

        최영완 ( Youngwan Choi ),최민화 ( Minhwa Choi ),김영주 ( Youngjoo Kim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일반농산어촌지역은 전체 국토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낙후되고 생활환경이 불편하여 청년층의 도시로 이동 및 고령화로 인구가 감소하여 마을 공동화 현상은 물론 지역사회의 침체가 가중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농산어촌의 어메니티 증진 및 계획적인 개발을 통하여 인구 유지 및 지역 발전 도모, 지역별 특색 있는 자원의 개발을 통하여 지역 주민의 소득을 향상하고 기초생활수준을 확충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하고 마을단위 공동체의 활성화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유지하고자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개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사업(H/W)과 지역역량강화사업(S/W)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특히 하드웨어 활용과 연계된 지역역량강화사업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역역량강화사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사업수행주체(지자체, 공사, 컨설팅 업체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농어촌지역개발 관계자 워크숍 참석자 320명을 대상으로 지역역량강화 분야 사업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리커드 5점 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여 항목별로 ‘전혀 그렇지 않다(0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로 응답자의 평균점수로 점수를 산정하였다. 지역역량강화(S/W)분야 사업에 대한 인식은 ‘지역발전 기여 정도’가 3.84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지역개발사업에서 지역역량강화분야 사업 비중 확대 필요성(3.74점), 사업 기간 적정성(3.03점), 역할 분담 적절성(2.92점), 사업 성과 정도(2.90점), 사업비 수준 적정성(2.72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컨설팅업체 소속 응답자들은 도 및 시·군 공무원과 한국농어촌공사 소속 응답자들에 비해 사업비 증액 및 사업 비중 확대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관리방식에 있어서 ‘하드웨어사업에 비해 지역역량강화분야 사업에 더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평균 4.2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업수행의 전문성(4.07점), 사업관리비중 확대 필요성(4.05점), 필요 인력 투입비(4.03점), 사업관리방식의 상이(3.98점), 공사감리비와 사업관리비 구분은 쉽지 않다(3.77점), 더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3.76점), 대가산정 기준이 동일하다(3.40점) 순으로 응답하였다. 지역역량강화분야 사업주체별 역량의 중요성에 관해 사업추진에 있어서 사업수행자(4.36), 사업관리자(4.32점) 그리고 해당 지자체 담당자의 열의가 모두 중요한 것(4.27점)으로 인식하였다. 이와 같이 사업수행주체에 따라 지역역량강화분야 사업에 대한 인식이 다르고 각 권역의 사업비, 업무내용, 사업관리 방법 등이 달라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 및 성과 제고를 위한 표준 사업관리 업무 매뉴얼 개발, 사업관리의 표준화와 전문성 제고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를 위한 추진체계 개선 방안: 김해시를 중심으로

        최영완 ( Young-wan Choi ),엄민호 ( Minho Um ),김영주 ( Young-joo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중 마을만들기가 지방이양(2020년)됨에 따라 마을단위 자율개발(진입단계)과 종합개발(발전단계)은 지자체의 역량에 따라 추진하게 되었다. 지방이양 이전에는 역량단계별 이수조건을 충족하고 농식품부 공모사업에 선정(예비계획)되면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는 상향식 프로세스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지방이양 이후 지역 실정에 따라 자체적인 역량강화를 통해 마을을 선발하고 마을만들기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진입/발전의 단계에서 나아가 자립하고 타사업을 연계하여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는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체의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추진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사례지역인 김해시는 “생기발랄한 가야뜰 마을만들기사업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업연차별/발전단계별 세부 운영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내 마을만들기사업 대상지를 선발하고 교육과 사업추진, 활성화 단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프로세스의 추진에 있어 본격적인 사업추진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는 점과 신규마을과 재도전마을의 선정 기준 미비, 읍·면 행정조직 참여가 필요하나 기능과 역할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 등 추진체계의 전반에 대한 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사업의 지방이양에 따른 민관협치형 마을만들기 추진체계를 확립하고, 마을 활성화와 자립을 통한 마을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기존의 마을만들기 추진체계 사례를 검토·분석하여 개선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사례지역인 김해시 전체 읍·면(7개)을 대상으로 하여 마을만들기사업 추진/완료지구 현황과 완료지구 대상 인터뷰조사, 마을만들기 추진체계와 거버넌스 현황, 타지역사례 등을 분석하여 “김해시 마을만들기 추진체계의 추진방향과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김해시 마을만들기 추진체계의 개선방향과 주안점으로 1) 주민참여증진(사업/교육에 대한 접근 용이, 역량향상, 공동체 활력증진), 2) 효율적·체계적인 추진체계 구축(주민교육-사업추진-사업완료 후 자립실현), 3) 행정(읍·면)-중간지원조직(농촌활성화지원센터)-주민(사업대상마을)의 소통체계 구축 등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마을만들기 추진체계와 대비하면, 5월부터 시작되었던 예비실천단계를 1월부터 시작하여 1년 안에 사업구상까지 마치도록 변경하였다. 원활한 사업추진과 주민 역량강화를 위해 세부 프로그램운영 시기와 프로그램을 일부 조정하고, 사업추진단계를 기존 3년차 → 2년차 진입으로 변경하는 등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마을만들기 성과목표를 구축하여 연도별로 정성적/정량적 목표를 달성하는지 확인하고, 성과목표의 재설정 또는 새로운 성과지표 추가 등 변화에 대응하여 수치화된 현황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는 신규지구 선정과 완료지구의 사후관리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농촌마을 에너지 사용 및 공동시설 활용 분석 -농촌어메니티 공동생활시설자원을 중심으로-

        최영완 ( Young Wan Choi ),김영주 ( Young Joo Kim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4 농촌계획 Vol.20 No.1

        Rural villages have many problems such as the collapse of rural village communities with continued over-depopulation and aging, reduced functions of towns and villages, deteriorated services with changes in the structure of settlement class and decreased use of the facilities. they also have difficulties in maintenance in spite of the increase of the roles of rural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Various plans for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to promote the vitality of rural villages and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ies have been needed. Thus, this study aimed to offer basic data to seek for future plans to utilize community facilities and reconstruct communiti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uses of energy and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umption of petroleum was highest in mountain villages at an average of 187,475 won/month(137ℓ), followed by fishing villages at an average of 144,142 won/month(104ℓ) and rural villages at an average of 126,070 won/month(93ℓ). The rate of utiliz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was reversely highest in rural villages at 84.3%, followed by fishing villages at 61.1% and mountain villages at 40.7%. This research also found that households saved energy when they used community facilities and areas with a high rate of utiliz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at a lower average temperature in winter. It saved approximately 33% energy compared to other areas. Finally, efficient and economical methods for community facilities in villages to be newly developed and the remodeling of existing facilities should been needed in the future to contribute to reconstructing rural village communities that face a crisis of maintenance or abolition.

      • KCI등재

        일반농산어촌개발 지역역량강화사업비의 적정요율 산정

        최영완 ( Young Wan Choi ),박현용 ( Hyun Yong Park ),김영주 ( Young Joo Kim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3

        이 연구에서는 지역역량강화사업을 추진한 30개 권역을 대상으로 하여 업무량 산정 및 요율체계를 분석하여 지역역량강화분야의 특성에 맞는 사업관리 대가기준을 설정하고 실제 지역역량강화분야에 투입되는 업무량을 산정하였다. 먼저 현행 지역역량강화분야 사업관리 대가기준과 유사 사업분야 사업관리 대가기준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최적 대가기준 설정을 위해 3단계 프로세서(표준 업무 도출, 업무량 산정, 대가기준 결정 등)를 통해 대가 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지역역량강화사업 업무를 총 7개 분야(사업준비, 사업관리, 교육사업, 컨설팅사업, 지역 홍보 및 마케팅, 정보화기반구축, 마을경영지원 등)로 구분하고 최적 업무내용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경기, 경상, 전라, 충청권역으로 구분하여 총 30개 권역을 선정하여 지역역량강화사업 업무량을 7개 부분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는데, 평균 총 1,499시간으로 조사되었다. 사업관리 업무량과 인건비, 기타 경비 등 산정결과를 기초하여 사업관리 대가요율을 산정한 결과 지역역량강화사업비 기준 사업관리 대가로 사업비의 28.75%(5억 원미만), 17.65%(5억 원 ~ 6억 원), 15%(6억 원 이상)로 계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현재 사업관리에 대한 인식, 사업관리 업무수준, 사업관리 업무 전문성 등을 고려하여 지역역량강화사업비의 15%를 책임관리비 형태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단기적으로 사업관리 재설계를 통한 표준업무 도출과 역할정립이 중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권역별 세부 실행사업 구성과 세부 사업별로 투입되는 업무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권역별 사업 포트폴리오에 따라 사업관리 대가기준 조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existing standard cost of project management of empowerment sector in general rural development project has problems with standard cost system withou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mpowerment project and unclear division of works. These problems are a lot of trouble to fulfill the project. Thus, it needs an arrangement of standard cost considering detailed characteristics of project management in the empowerment sector.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o set accurate standard cost, we carried out three-step processes, such as elicitation of standard works, calculation of workload and determination of standard cost. ① In an investigation of 30 rural area dividing 8 parts about an workload of empowerment project, an average workload is 1,499 hours. ② Based on this results, the standard cost is calculated at 15% of project cost in over 600 million won, at 28.75% of project cost in under 500 million won, by standards of empowerment project cost. 2) It set the responsibility management cost to 15% of empowerment project cost considering existing awareness, workload and work professionalism of project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ed the practical use as basi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future empowerment projects. To achieve this, It needs to promote maximizing results on the whole project through the legalization processes including amendment of existing regulations.

      • 농업기반정비사업의 편익산정 지표개발

        최영완 ( Youngwan Choi ),박명수 ( Myoungsoo Park ),김윤식 ( Yun-shik Kim ),김영주 ( Youngjoo K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최근, 우리나라는 아열대성 기후로 변함에 따라 강우 형태가 예측 불가능한 현상을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강우량의 경우 과거에는 발생하지 않았던 고강도의 강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VIP지시(’11.08.)로 총리실주관 정부합동 재난관리 TF는 범정부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 재난관리 개선종합대책”을 마련(’11.12.09)해, 농업기반시설의 재해대비 능력 강화를 위해 배수시설에 대한 설계기준을 강화하고, 시설물 보수·보강계획을 수립(’12)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그러나 설계기준 강화시 배수개선 사업비는 증가하고, 현행 경제성 분석 방법으로는 재난대비 등에 대한 계량적 평가방법이 없어 사업 타당성 검토에 어려움이 예상되며 또한, 개보수사업 등으로 확충되는 시설에 대한 경제성 분석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업기반시설 설치 및 보강에 따른 공익적 효과, 재난대비 능력 등 다양한 계량적, 비계량적 효과 지표를 개발·계량화하고, 배수시설 설계기준 개정 및 개보수 사업의 경제성 분석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농업기반시설물과 원예지역을 포함한 농업지역에 대한 새로운 배수설계기준개정 및 개보수사업에 적용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계량화하여 농업기반정비사업의 효과적인 편익분석 방법을 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외 기존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경제성 분석의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경제성 분석의 문제점은 비용 계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효과를 계측하는데 임의적으로 과다하게 책정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편익 산정의 근거가 부족한 것도 기존의 경제성 분석이 가지는 한계이며 CVM과 같이 설문조사를 통해 경제적 효과를 산정하는 방법은 실제 조사 대상자들이 경제적인 거래 없이 설문에 응답하여 효과를 과대평가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농업기반시설은 생산을 늘리는 효과도 있지만, 안정적인 생산을 유지하는 데에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생산 안정에 기여하는 부분은 아직까지 제대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편익이 과다 책정될 경우,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날 수는 있지만 설득력은 떨어지므로 개연성 높고 합리적인 가정을 통해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편익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그 동안 농업기반정비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할 때, 생산적인 측면에서 증수효과, 품질 개선 효과, 비용 절감 효과 등을 대상지표로 하였다. 그러나 농업기반정비사업의 가장 큰 성과는 자연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생산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효용함수를 이용하여 생산 변동성 감소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데 이를 농업기반정비사업 평가에 새롭게 반영하였다. 즉, 농업기반시설이 없을 때 농가의 생산은 자연조건의 영향을 받아 불안정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농업기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면 가뭄이나 홍수가 발생했을 때 그 위험이 크게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 사업지구의 경제성 분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해 기존의 경제성 분석 지표에 생산 변동성 감소 효과와 심미적 안전성 향상 효과, 휴양기능 효과 등의 지표를 추가하여 복합적인 편익산정 지표를 선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