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pline보간과 GPS/Leveling기법에 의한 지적 표고 획득과 정확도 분석

        최승영(Choi Seung Young),조정관(Cho Jung Gwan) 한국지적학회 2008 한국지적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고시한 수준점 33점을 이용하여 다른 수준점을 미지점으로 하고 첫째 Spliine 보간기법을 이용해서 소구점의 정확도를 분석했으며, 또한 GPS/Leveling에 의한 타원체고와 정표고을 분석하여 소구점의 높이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기존수치지형도에서의 높이와 수준점을 이용하여 보간한 높이에 차이가 생겼으며, 이는 기존 수치지형도상의 높이보다는 기존 수치지형도에 수준점을 활용하여 보간한 높이가 더 정확하다는 결론을 내었다. 또한 GPS/Leveling기법으로 타원체고와 정표고의 관계에서 지오이드값을 구했으며, 5개 수준점을 GPS로 관측하여 지오이드고값과 비교한 결과 상당히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적도근점에 표고를 등재하여 3차원 지적과 건물등록시 효율적인 측량방법을 제시 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ccuracy and height of new control points by Spline Interpolation and GPS Leveling respectively. The 33 bench marks announc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ere used for this study. Regarding GPS Leveling it was done after ellipsoidal height and orthometric height had been analysed. In consequence, there was a elevation gap between the height in the digital topographic map and the interpolated height used by bench marks enabling it to come to an conclusion that the interpolated height is more accurate than the height in the digital topographic map. Moreover, the Geoidal height was acquired by comparing between GPS Leveling and GPS surveying of 5 bench marks. Therefore, the elevation values on cadastral traverse points were recorded to suggest an effective surveying method in case that 3D cadastre and building register could be come into effect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개별공시지가와 실거래가격의 지역간 비교 분석

        최승영(Choi, Seung Young) 한국지적학회 2014 한국지적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cy of the actual trade prices(ATP) by investigating and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ly notified individual land prices(PNILP) and actual trade prices(ATP) in urban area, rural area, and islan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of the average realization rate of PNILP in Mokpo which is urban, Muan which is rural, and Shinan which is island for the recent 3 years, the percentages were 95.0%, 69.0%, and 50.6% respectively. PNILP was close to ATP in Mokpo; however, PNILP was not close to ATP in Muan, being higher than 59.9% which was national level in 2012. When it comes to Shinan, the level was lower than the national level. In other words, PNILP accounted for approximately half of ATP(50~60%) in Muan and Shinan, which means that there is limitation to justify PNILP as an appropriate price in urban and rural area. 본 연구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공시지가와 실거래가격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조사ㆍ비교하여 공시지가의 적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남 서남권 지역 중 도시지역인 목포시와 농촌지역인 무안군, 도서지역인 신안군의 최근 3년간의 개별공시지가의 평균 현실화율을 살펴본 결과, 목포시 95.0%, 무안군 69.0%, 신안군 50.6%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인 목포시는 실거래가격에 근접한 수준이었으며, 농촌지역인 무안군은 실거래가격에 근접하지는 못하였지만 2012년 기준 전국 수준인 59.9%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도서지역인 신안군은 전국 수준보다 낮게 형성되고 있다. 이처럼, 무안군과 신안군의 실거래가격의 50~60% 선에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은 농촌지역과 도서지역에서의 적정가격으로서의 공시지가의 당위성을 주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SCIEKCI등재
      • KCI등재

        UAV 항공사진측량을 위한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최승영(Choi, Seung You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7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9 No.3

        최근 무인항공기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항공사진촬영, 방송촬영, 농업, 측량, 탐사, 자원관리 등 활용범위가 확산되는 추세다. 무인항공기의 활용 범위 확대와 더불어 시장 성장 가능성이 나타남에 따라 각국 정부는 규제 완화에 초점을 둔 산업 활성화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무인항공기에 대한 규정이 최근 새로이 제정되었으나, 관련 연구나 검토가 부족한 상황에서 지침이 마련되어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지 못하고 각종 규제로 정체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가 측량분야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현 제도의 문제점을 발굴·보완하는 등 우리나라가 세계 무인항공기산업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As technologies in unmanned aerial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they have been widely applied to number of fields such as aerial photogrammetry, broadcasting, agriculture, surveying, remote sensing and resource management. Many governments have focused on relieving UAV operational policies to facilitate its market. While Korea government enacted UAV regulations, UAV related industries have not been promoted and even stagnant due to the lack of researches and case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in UAV policies and suggest solutions to help key players in the survey market become global leader.

      • KCI등재

        부동산 보유와 투자에 관한 의식구조 변화 탐색-목포권을 중심으로-

        최승영(Choi, Seung You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2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목포권 주민들의 부동산에 대한 의식, 특히 보유와 투자라는 관점에서 2010년과 2020년의 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지역 부동산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동산에 대한 보유에 관한 의식변화로 첫째, 평소 부동산의 관심정도는 2010년 조사에 비해 지방에서도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둘째, 부동산의 가치는 2010년 조사와 달리 투자대상상보다는 생활의 기반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부동산 소유는 2010년 조사와 비슷하게 일부 계층에 편중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재산증식의 수단으로 빈번한 부동산 거래는 사회문제로 보고 있다. 넷째, 부동산문제는 2010년 조사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해 정부 개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다음은 부동산 투자에 관한 인식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부동산정보원은 2010년 조사와 유사하게 지인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신문·방송을 통해서이다. 둘째, 여유자금에 대한 투자 의향분야로는 토지, 상가건물, 주택 순이었고, 2010년 조사와 다른 점은 예금에 대한 투자가 줄었다는 것이다. 셋째, 투자하고 싶은 부동산 종류로는 2010년 조사와 비슷하게 상가 및 영업용 건물이 가장 높았고, 투자하고 싶은 지역으로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시·군이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lue for resolving local real estate problems, by comparatively examining the results from 2010 and 2020 surveys on residents" consciousness about, especially possession of and investment in real e state in Mokpo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sual interest in real estate has been increased, compared to the results of 2010 survey, and local people have pay more attention to it, along with changes in awareness about the ownership of it. Second, the value of real estate is perceived as the base of life, rather than investment,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2010 survey, indicating that awareness about the value of it has shifted to the place of life. Third, the ownership of real estate is perceived to be biased toward several classes, as similarly shown in 2020 survey. Frequent real estate transactions for accumulating property are regarded as a social problem. Fourth, such real estate problems are perceived to be more deteriorated, than 2010 survey, which may need governmental interventions. Next, changes in consciousness about the investment in real estimate were examined: First, the number of acquaintances as the sources of real estate information was highest, followed by newspapers and broadcasts, similar to 2010 survey. Second, land is most often referred as the subject of investment, followed by commercial building, and then houses, which is different from 2010 survey in that investment in deposit has been reduced. Third, commercial or business building is identified as a kind of real estate, which is most desired to be invested in, while the areas that are most desired to be invested in include cities and counties in which they currently live.

      • KCI등재

        부동산정책에 관한 의식구조 변화 탐색- 목포권을 중심으로-

        최승영(Choi, Seung Young),박정일(Park, Jung Il),서용수(Seo, Yong Su) 한국지적정보학회 202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지방의 관점으로 부동산정책을 접근하여 특정지역의 부동산정책에 대한 의식을 10년 단위로 조사한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지방 부동산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목포권 주민들의 부동산정책에 대한 의식에 대해 2010년과 2020년의 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지역 부동산정책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시간적 범위는 제1차 조사를 했던 2010년부터 제2차 조사를 추진한 2020년 1월까지로 설정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제1차 조사와 동일하게 목포시, 무안군, 영암군, 해남군, 신안군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와 같이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부동산정책이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최근 부동산시장이 각 지역별로 세분화됨에 따라 본 연구와 같이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및 유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부동산정책 관련 연구와 비교하여 시의적절하고 차별성 있는 유용한 연구로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부동산정책의 효과성과 함께 향후 부동산정책의 입안과정에서도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pproaches the real estate policy from a local perspective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 10-year survey on the policy consciousness towards real estate in the specific region to derive implications for local real estate policy.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of local real estate polic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of 2010 and 2020 on the awareness of real estate policy of Mokpo area residents. The time period was set from 2010 when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to January 2020 when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earch area was limited to Mokpo-si, Muan-gun, Yeongam-gun, Haenam-gun, and Sinan-gun, covering the same region as the first survey. This study is one of few studies that have directly reviewed the effect of real estate policy for a specific area. Specifically, as the real estate market has been divided and specialized into each region. In recent years,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a study targeting a specific region such a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pt a useful research that is timely and differentiated when compared to existing real estate policy related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the future real estate policy making process along with the aiming the effectiveness of real estate policy.

      • KCI등재

        공시지가 현실화를 위한 업무프로세스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무안군을 사례로 -

        최승영(Choi, Seung Young),박재영(Park, Jae Young),박성현(Park, Sung Hy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21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전남 무안군의 사례를 통해 공시지가의 현실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공시지가 업무프로세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우선 지적공부가 정확해야 하고, 표준지와 개별지의 토지특성이 정확히 파악되어야 한다. 무안군은 지가행정 담당자가 항공영상 스템에 표준지 자료를 입력하여 토지특성 등의 오류를 검토하고, 표준지간 불균형을 파악하고 있다. 2020년 기준, 항공영상과 표준지 자료, 부동산 실거래가격 자료 등을 중첩하여 표준지의 현실화를 검토한 결과, 토지특성 오류 등이 있는 표준지를 92필지를 발견하여 실거래가격과의 현실화율이 60%~70%에 미치지 못하는 표준지 81필지를 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간정보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는 광역자치단체의 공간정보시스템에 각 시·군별 표준지 자료와 부동산 실거래가 자료를 레이어별로 탑재하게 된다면, 공시지가 업무프로세스가 전반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plores how to improve the local governments" Business processes of official land prices, to readjust them, by referencing the case of Muan-goon (county), Jeonnam-Province. As the preconditions for this, cadastral record books should be initially correct, and then, the land characteristics of standard and individual lands must be precisely grasped. In the case of Muan-gun (county), public staffs, who are in charge of administration regarding the land price, review the errors of land characteristics and examine the imbalance between standard lands by inputting the data of standard lands to the aerial imaging system. As of 2020, the readjustment of standard lands is reviewed by overlapping aerial images, standard land data, and market prices of real estates, to find 92 lots of the standard lands with errors of land characteristics, an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work draw 81 lots of those with the readjustment rates less than 60%-70% of market prices.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we conclude the work processes of official land prices seem to be entirely improved for cities and counties in which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is not installed. To get to this conclusion, this research posits a prerequisite that the data set of standard lands and market prices of real estates by cities and goons (counties) are aptly loaded into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 KCI등재

        로커티브 미디어의 증강현실과 사회적 현존감에 대한 고찰

        최승영(Seung-Young Choi),장우진(Woo-Jin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8

        로커티브 미디어는 단순히 기존 미디어에 물리적인 좌표값이 더해진 것이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의 공간, 장소, 위치를 미디어의 속성으로 포섭하였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 연구는 연구자가 현재 로커티브 미디어 콘텐츠들이 ‘위치 정보에 기반’하고 ‘증강현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은 채 제작되는 경향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할 때 매체 이용자들의 심리적인 경험ㆍ관여가 어떻게 발현되는지, 구체적으로는 현재의 로커티브 미디어 환경에서 로커티브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들의 ‘사회적 현존감 인식’이 어떠할지 의문을 느꼈다. 특히 로커티브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들의 사회적 현존감 인식이 기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의 특징과 상충되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의문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현재 로커티브 미디어 환경에서 적절한 현존감 모형을 제안하고, 매개화된 상호작용의 채널로서 로커티브 미디어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현존감의 특성을 알아보며, 여기에 로커티브 미디어의 ‘위치 정보 기반’ 속성과 ‘증강현실’이 기여하는 바를 정성적인 방법론으로 살펴보았다. Locative media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media in terms of being packed with user’s space, place, and position nearby, which does not simply mean user’s physical coordinates. This study has been started that I was drawn by the tendency of which current locative media contents are based on ‘location-based information,’ and closely related with ‘Augmented Reality.’ I wonder how media user’s psychological experience/involvement are revealed when the media environment changes by the progress of technology. I wonder how media users perceive ‘social presence’ formed by locative media in current locative media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fact that user’s perception of social presence formed in locative media conflicts with the previ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s attributes deepened my curiosity. In this study, the idea of ‘more-proper-construct’ is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resence in current locative media is considered, and is investigated by qualitative methodology how the ‘location-based’ attributes and ‘AR’ contribute to forming the social presence.

      • KCI등재후보

        새주소 체계의 조기 정착을 위한 방향 연구

        최승영(Choi Seung Young),정현민(Jeong Hyeon Min) 한국지적정보학회 2007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9 No.2

        세계가 무한경쟁시대에 들어섬에 따라 무역, 금융, 교육, 부동산 등 모든 분야에 있어서 개방화ㆍ국제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우리도 국가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일제 강점기시대부터 사용하여 오던 주소체계를 도로명 주소체계로 바꾸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2006년 “도로명 주소 등 표기에 관한 법률”이 제정ㆍ공포하고, 2007. 4. 5.부터 실생활에 적용되고 있으나, 획일적이지 못한 사업 기간 및 준비의 미숙, 기존 주소체계에 숙달되고 학습되어 있는 국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등 시행 초기부터 문제점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주소체계의 문제점을 조사ㆍ분석하여 이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정착 시키는 방안 강구에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로명에 대한 인지도 제고와 도로명 주소에 대한 표시의 다양화 등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As the world society has been into boundless competition and at the juncture of 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in terms of trade, finance, education, real estate, etc, the address system, which has been used from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been projected to be changed to road base address system. However, due to longperiod and slowness of the project, difficultness of understanding by people, and being accustomed to current address system, it brought concerns in the initial stage. Specifically, 2006 as the law about the marking for road base address has been published and used since 2007. 4. 5.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necessary actions to settle down new address system and then disseminatingit,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efficient solutions which consider the recognition of road name and diversify the marking of road base add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