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차원의 봉사학습 경험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연구

        최승숙 ( Choi Seungsook ),김은하 ( Kim Eunh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 참여 학생들의 봉사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C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2개 학급의 48명(각 학급 1명씩 총 2명의 장애학생 포함)학생들이다. 통합학급 학생들은 담임교사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진행한 주 1회, 총 12회기의 봉사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봉사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교육과정 내 교과의 핵심성취기준과 각 단원의 내용을 분석하고 봉사학습의 주제와 연계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학급차원의 봉사학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저널쓰기와 사전-사후 핵심집단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연구자간 및 자료간 삼각검증과 참여자 확인 절차를 거쳐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봉사학습에 대한 정서, 개념 이해 및 행동의 변화가 상호간 유기적으로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봉사학습에 대한 즐거움과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 기쁨으로 학급차원의 봉사학습에 대한 높은 몰입도와 즐거움을 인식하게 되었다. 체계적인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봉사 개념에 대한 심화된 이해와 행동의 변화가 연동되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개발된 봉사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봉사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통해 인성함양의 효과와 통합교육 촉진 방안으로서의 기능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닐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rvice-learning program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ervice-lear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48, 2 classes of 3rd graders at C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re was on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each class. The students in two inclusive classrooms were participated in the service-learning program at their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ime, once a week for 12 weeks. The service-learning program was based on the key accomplishment standard of the curriculum of 1st semester of 3rd grade. Researchers has analyzed the standard and the content of each chapter and constructed the service-learning program with i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journal writings and pre-post focus group interviews.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collected data analyzed by the researchers took the procedures of the triangul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among materials, and the member check. Researchers found that the emotion, understandings, and the behavior of students changed correlatively in positive way. The awareness of the fun implementing services for others passed into the expansion of the understanding on the service(volunteering), and the expanded understandings passed into changing behavior of the students.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that it found a service-learning program which developed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could foster the personality of the students and facilitate the inclusion.

      • KCI등재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 간 협력교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윤영신 ( Youngshin Youn ),최승숙 ( Seungsook Choi ),김은하 ( Eunha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4

        유아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 확대가 강조되면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함께 협력하여 수업을 운영하는 협력교수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협력교수에 관한 총 20편의 국내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추후 협력교수 분야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선행연구를 연구대상, 방법, 중재연구분석, 협력교수 구성요소, 연구방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들은 주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연구방법으로 면접을 통한 협력교수 인식 및 실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중재연구는 장애유아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증진에 관한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협력교수 실시 과정에서 협력교사 간 전문지식과 태도 보유가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로 제시되었고 추후 협력교수 연구 및 행정지원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적용가능 한 협력교수 운영 및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the emphasis on methods expan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clusive education grows, the interest in collaborative teaching which educators from two different professions cooperate in managing and running a class has been increased.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researches on collaborative teach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wenty researches on collaborative teach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5 were analyzed. Most of researches on collaborative teaching were produced after 2006 and they were mainly implemented with survey and experiment metho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se studies were mostly recruited from public kindergartens and nurseries. This analysis provided the evidence of the necessity for the investment in administrative supports which enable the study of collaborative teaching. The researchers suggested implications to promote the further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teaching. Further study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collaborative teaching based on these findings were suggested.

      • 특수학교 개별화교육계획(IEP)의 평가 영역 작성 방안 탐색

        이지연(Jiyeon Lee),최승숙(Seungsook Choi)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목적: 본 연구는 IEP 본연의 목적과 기능에 부합된 운영을 위해 IEP 평가영역 작성 실태를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K교육청 소속 특수학교 16개교의 초등 과정을 대상으로 개별화교육계획을 학기 평가와 월평가 자료를 추출하여 총 9개교 22세트의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내용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IEP 수립 과목의 경우, 모든 교과목을 선택하는 형태와 일부 과목을 선택하는 형태를 보였으며, 평가 시기는 학기 평가와 매 월 혹은 2-3달 간격의 평가로 구성되어 있었다. 진술 형태는 서술형과 척도와 함께 서술형으로 작성된 혼합형으로 실시되었고 반응 정도의 분석 결과, 서술형의 경우 능동 반응이 우세인 반면 척도형은 촉진 반응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 요소 영역은 ‘기능’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평가 내용에서 추후 교육 연계의 필요 내용을 제시한 부분은 극히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육현장에서의 IEP의 평가 영역이 종합적 교육지원계획의 주기적 확인과 학생 진보에 관한 누가적 기록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인식 전환과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행정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효율적인 평가 시기에 대한 합의, 주기적인 평가와 환류 과정에서 개별화교육지원팁 협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평가의 구성 요소를 반영한 적절한 작성 예시안 등이 포함된 합의된 평가 지침의 개발 및 공유가 필요한 실정이다. IEP 평가의 질 향상은 IEP-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을 이룰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경계선 지적 기능 학습자의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주은미(Eunmee Ju),최승숙(Seungsook Choi)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경계선 지적 기능 학습자의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에 대한 동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관련 분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2000년부터 2019년 9월까지 국내 출판된 총 24편의 논문을 기반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NTACT의 질적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논문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사회성 기술 중재로는 치료중심 중재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고 연구 설계는 집단연구 중심이었다. 사회성 기술의 하위 범주로는 의사소통 기술과 감정관리 기술 중재가 주로 다루어졌다. 연구의 질적 수준 분석에서는 연구 설계별로 준거를 충족하지 못하는 연구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계선 지적 기능 학습자의 사회성 기술 중재와 관련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trends in the study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 for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relevant field. Based on a total of 24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September 2019, research trends were identified and the qualitative level of analysis papers were identified by utilizing the qualitative indicators of the NTACT. According to the study,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since 2000 and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social technical intervention, treatment-oriented intervention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and research design was collective research-oriented. The subcategories of social skills were mainly about communication skills and emotional management techniques. The qualitative level analysis of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did not meet the criteria for each research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ions and follow-up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 for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ere proposed.

      • KCI등재

        특수교육법 개정을 위한 학습장애 관련 법령 분석과 제안

        양민화(Minwha Yang),이예다나(Yedana Lee),손승현(Seung-Hyun Son),나경은(Kyong-Eun Na),최승숙(Seungsook Choi),민수진(Soojin Mi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개정을 앞둔「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학습장애 조항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지 제안하기 위하여 학습장애와 관련된 최근의 여러 법령 및 법안들을 분석하고, 더불어 해외 특수교육 법들을 분석함으로써 그 방향성의 근거를 들었다. 먼저 특수교육 패러다임이 세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에서 국내 특수교육도 장애로 판별된 학생들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법령이 아니라, 일반교실에 배치되어 있으나 특별한 교육지원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원까지 아우르는 법령이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학습장애의 개념과 진단과정, 그리고 선별 조항들과 배치 및 교사양성에 대한 관계법령을 분석하고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현재 학습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학습장애에 준하는 학업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은 적합한 공교육 지원을 받지 못하고 교육의 사각지대에 쉽게 방치되고 있다. 개정 특수교육법의 학습장애 조항들이 실제적으로 학습장애 또는 그에 준하는 학업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교실에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다수의 학생들에게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지원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의 필요성도 함께 논하였다. The revision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is currently in process. The authors of this paper claimed that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law has failed to suppor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are learned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nd who are not identified as having learning disabilities. It was asserted that the new special education law needs to be based squarely on the students’ special education needs, not on their disability itself.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law along with the related educational laws and policies on suppor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analyzed together to explain recent movements in the Korean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 to support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Changes in the special education laws in other countries were also analyzed in support of the arguments. The authors found that emphasis needs to be placed more on “support” rather than “disability itself” through reflections on the definition,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procedures, as well as in teacher education and placements.

      • KCI등재

        반성적 저널쓰기를 활용한 특수학급 현장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승숙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저널쓰기를 활용한 현장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경기도 소재 K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3학년 3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15주간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의 현장실습과 대학에서의 이론 수업을 병행하였고 대상 학생들은 실습과정에서 주 1회 반성적 저널쓰기를 진행하였다. 실습 전후에 나타나는 대상 학생들의 교사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효능감 검사와 반구조화된 문항을 활용한 소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습 전과 비교하여 참여 학생들의 전체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실습 후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면담을 통해서도 실습 전보다 후에 교사효능감과 관련하여 교수영역별로 구체적이고 목표지향적인 진술들이 제시되었다. 논의와 제언에서는 향후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 반성적 사고과정을 지도할 수 있는 실습 체계의 개발과 특수학급을 포함한 다양한 특수교육현장에서의 실습과정 운영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dent-teaching in special education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er efficacy. Thirty-nine pre-service teachers who belonged to K university in Kyounggi-do participated student-teaching at speci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for 15 weeks. The participants wrote reflective journal whenever they finished student teaching activity. Research question is (a) what is the effects of student teaching in special education applied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pre-servic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b) how do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perception change since they have participated in student teaching in special education class. Special Education Teacher efficacy test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on before and after student-teaching. Result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individual and whole teacher efficacy from teacher efficacy test, and reported teaching confidence and enhanced teaching skills from focused group interview. Implications to develop advanced student-teaching program we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네팔 특수교육분야에서의 국제교육개발협력 방안 고찰

        최승숙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1

        As the world has focused on the role of basic education for all children including children who are highly alienated, it becomes very important for providing opportunities to educat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ield. Nepal, one of the key partner countries for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Korea has being gone through the world poorest nation. This research aims to formulate practical strategi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Korea development cooperation in special education through Nepal case. To conduct this research, several world documents and research were reviewed. As the result, four main strategies such as constructive strategies, strategies for turn-around situation, diverse strategies, and defensive strategies for developing cooperation plan with Nepal were suggested. Thisstudy could be fundamental data when designing special education cooperating plan for developing country is required. 전 세계적으로 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아동의 기초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기회의 마련은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의 대상국인 네팔은 UN지정의 세계 최빈국이자 우리나라의 국제개발 중점협력국 중 하나로 그 간 여러 개발협력 기관을 통해 교육협력 사업이 실시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교육 분야 중 한국과 네팔 특수교육분야에서의 효과적인 교육개발협력 전략수립을 도출하기 위하여 그간 이루어진 네팔과 타 선진 공여국 간의 교육협력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 나타난 한국-네팔의 특수교육 개발협력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향후 양국의 효과적인 특수교육 개발협력을 위한 적극적 전략과 국면전환 전략, 다양화 전략과 방어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교육지원을 제공하는 공여국의 입장만이 아닌 개발협력국가 양자 간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마련한 협력 전략은 이후 타 개발도상국 특수교육분야에서의 국제교육개발협력 전략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