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omen’s Wage and Childbearing

        Seulki Choi(최슬기)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2

        이 논문에서는 여성 임금과 출산율의 관계를 미국자료(NLSY79)를 통해 분석하였다. 여성임금은 사회학적 시각에서는 역할충돌을 완화하는 기제로, 경제학적 시각에서는 소득효과와 대체효과가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분석 결과, 여성의 시간당 임금과 출산수준은 대체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의 관계를 보인 경우는 대졸여성의 자녀수와 그녀의 2년 전 시간당 임금의 경우 뿐이었다. 연령대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나이가 들어갈수록 부의 관계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산형 위험모델을 통한 분석결과, 이러한 관계는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고졸이하의 여성은 임금이 상승할 때 출산을 줄이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그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은 임금이 상승할 때 오히려 출산을 늘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고소득이 기대되는 고등교육을 바진 여성에게서만 임금상승이 역할 충돌을 완화하는 작용을 성공적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임금상승의 의미가 저학력 여성에겐 대체 효과가 더 크고, 고학력 여성에겐 소득효과가 더 크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출산을 미룬 대졸여성들에겐 노동시장에서 성공이 출산에 긍정적 관계를 갖는다는 의미를 보여준다. This research studies how women’s hourly wages affect childbearing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The results of discrete time hazard model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hourly wage and fertility is dynamic. Overall relationship looks negative, but they are not consistent across education levels. Women who have a high school diploma or less have a tendency to decrease childbearing when their wages increase. But women who have some college experience or a college degree are likely to have children when their wages increase. It means that only for highly educated women who are likely to be in high paying decent jobs, the rise of income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reconciling the mother’s and worker’s roles. Or, for less educated women who are likely to be in the low paying jobs, the rise of income is not large enough to lessen role incompatibility.

      • KCI등재

        한국사회의 인구변화와 사회문제

        최슬기(Seulki Choi)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6

        이 논문은 국내외 인구학계의 성과를 중심으로 인구변화가 사회현상에 주는 의미와 그 영향력의 정도를 논의하고자 했다. 본론에서는 출생, 사망, 이동이라는 인구요인이 인구수/인구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와 인구수/인구구조가 사회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라는 두개의 부분으로 구분해 접근했다. 인구요인 중 출생에서는 퀀텀효과와 템포효과에 따른 합계출산율의 변화에 대한 논의, 합계출산율에 따른 미래인구변화 양상, 가임기 여성인구수와 출생아수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했다. 사망에서는 기대수명과 조사망률을 구분하여 변화양상을 소개했다. 국내이동에서는 1990년 이후 수도권내 이동 비중의 확대라는 특징을, 국제이동에서는 2006년경부터 순유출이 순유입으로 전환되었다는 특징을 지적했다. 인구수의 영향에서는 적정인구 논의가 한국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와 한계를 갖는지 보여주고자 했다. 인구구조에서는 부양비의 변화와 함께 과거 인구학적 배당이 경제성장에 도움을 주었던 인과관계를 논의했다. 그러나 인구학적 배당이 기계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었던 것처럼 향후 인구오너스가 발생하지 않거나 그 영향력이 파괴적이지 않을 수도 있음을 지적했다. 무엇보다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인구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한국인구구조에서 베이비붐의 특징과 80만 세대가 40만 세대로 변화하는 양상을 소개했다. 끝으로 한국인구구조는 변화속도가 빠르며 단절이 있음을 주목해 인구변화에 발빠른 대응을 주문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implications and the leverage of population change in social phenomena. It examines casual relationships in two aspects; first, the influence of population factors on population and demographic structure, and second, the impact of population or demographic structure on social phenomena. The components of population factors have following considerations. For birth, a) changes in TFR in accordance with the quantum and the tempo effects, b) future prospects of population change in regard to the TFR,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reproductive ag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the birth were discussed. Next, changes in patterns of death were highlighted by distinguishing CDR from life expectancy. In migration, two factors have been pointed out: first, the scale-up of movements within Seoul metropolitan area since 1990s in domestic migration, and second, a switch from net outflow to net inflow since 2006 in international migration. In terms of popul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ptimum population concept in Korean context has been discussed. In the aspect of demographic structur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dependency rate and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past demographic dividend was examined. However, it has been noted that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dividend may not be destructive and demographic onus may not occur at all considering that the first demographic dividend did not occur mechanically.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demographical knowledge to prepare for the future while int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 generations and the changes of population from 80 million generation to 40 million generation. Ultimately, this paper asks for a swift response to population changes as it concerns the rapid changes and breaks in Korean demographic structure.

      • KCI등재

        장래인구추계의 확실성과 불확실성

        최슬기(Seulki Choi)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4

        장래인구추계 정보는 미래를 대비함에 있어 활용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에 대한 이해 및 평가는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에서는 2011년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대상으로 추계의 방법 및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추계 결과의 불확실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추계 정보는 추계대상이 되는 미래 연도와 특정 연령대에 따라 불확실성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출산율 가정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가까운 미래의 경우에도 불확실성이 상당히 존재했다. 출산율 가정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서는 50년 후인 2060년까지도 남자는 64세, 여자는 74세까지 불확실성이 5% 이내에 불과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즉 장래인구추계는 장래시기 및 연령에 따라 불확실성이 나타나는 정도가 크게 다르고, 일정 연령대에서는 한 세대를 넘어선 미래까지도 신뢰할 수 있는 수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추계정보의 이용자들은 이처럼 불확실성이 영역에 따라 다름을 고려하여 추계정보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is the fundamental resource that is commonly used to predict the future, there was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its credibility. This research tried to evaluate the credibility of the population projection by analyzing the projection methodology and the results from 2011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published by Statistics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certainty in the population projection altered drastically depending on the estimating year and age. First, in the area where the fertility rate assumption affects, there existed significant uncertainties even in the foreseeable future. In the area where the fertility rate assumption does not affect, the uncertainty was expected to be within 5 percent until 74-year-old for women and 64-year-old for men by 2060. Thus, users of the population projection are advised to consider that the uncertainty differs depending on year and age and to take advantage of this information.

      • KCI등재

        삼각관계 속의 고대 조선, 존망의 순간 -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경 동아시아 국제관계-

        최슬기(Choi Seulki)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12

        Among the several wars occurred during the existence of Ancient Chosŏn, the war against Yan(燕) Dynasty of the Warring States in the 3rd century BC only weakened Chosŏn, whereas the war against the Han Empire in the 2nd century BC led to Chosŏn destruction. Around 280 BC, Yan’s justification for the invasion of Chosŏn was the opponent’s arrogance and atrocity. However, contrary to its justification, the real cause of the war was Yan’s desire for vengeance against Qi(齊). Due to its friendly relationship that had maintained for a long time with Qi, Chosŏn was in a position to harass Yan’s rear, or join forces with Qi to attack on Yan together. Thus, Yan strategically attacked Chosŏn. Although the invasion weakened Chosŏn, it survived from Yan’s invasion. In 109 BC, Chosŏn fought a war against the Han Empire. Han’s justification for the invasion was that Chosŏn did not comply with pledges as a vassal state. Still, this justification was simply an excuse, since the real purpose of the war was based on Chosŏn’s friendly relationship with Xiongnu, which threatened the safety of the empire from the early stage of its foundation. Also, Chosŏn could endanger the northeastern region of the empire in solidarity with Xiongnu, while it was in a position to attack Xiongnu from its southwest side with the Han Empire. In other words, Chosŏn had the advantage to determine the tide of the war between Han and Xiongnu. Chosŏn fought the wars against Yan or the Han Empire under the reasons that it was in a position to possibly disturb from rear or support the enemy state, when the state was in a triangle relationship. In practice,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Chosŏn were threatening enough to its counterparts. Contrary to their justifications they proclaimed, Chosŏn’s wars against them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wher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countries intersected.

      • KCI등재

        지적재산권 보호수준의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 -TRIPS협약과 제도요인을 중심으로-

        최슬기 ( Seulki Choi ),정광호 ( Kwangho Jung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1

        본 연구는 지적재산권 보호수준(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의 결정요인을 실증적 관점에서 탐색하고 있다. 선행연구는 국제정치요인을 강조하는 연구와 개별 국가의 국내요인을 강조하는 연구로 양분되어 있으나, 두 가지 접근 모두 국제정치환경과 국내요인이 공존하는 실제 정책과정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나아가 정책과정의 핵심행위자로서 정부와 제도적 환경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증연구에서는 그 역할에 대한 논의가 피상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율을 중심으로 패널데이터(79개 국가, 17년)를 구축하고, 이로부터 TRIPS협약, 국내요인 그리고 제도역량의 효과를 단순회귀모형과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RIPS협약 체결 이후 지적재산권 보호수준의 유의미한 개선과(국제정치요인의 효과) 소득수준과 지적재산권 보호수준간의 2차함수 관계가 확인되었다(국내요인의 효과). 특히 제도역량은 TRIPS협약 체결의 효과를 강화하는 조절변수(moderating variable)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paper explores determinants of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IPP). Among various factors, we examine whether TRIPS agreement have increased IPP with controlling for other domestic factors such as income level, education,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we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RIPS agreement and IPP could be moderated by institutional capacity. Analyzing panel data using software piracy rate, World Governance Indicator, and web-based country level data, we found that TRIPS has a significant effect of increasing IPP, but income level also has a reverse U relationship with IPP. Especially, institutional capacity conducted the role of a moderating variable that strengthening the effect of TRIPS agre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assisting developing countries with regard to enhancing institutional capacity could be a feasible and less-conflictive strategy for IPP under current TRIPS agreement regime.

      • KCI등재

        The Determinants of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Married Couples and Their Parents

        Choi, Saeeun(최새은),Choi, Seulki(최슬기) 한국인구학회 2020 한국인구학 Vol.43 No.1

        세대간 가족관계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세대간 지리적 근접성도 변화하고 있다. 남편 부모와 동거는 줄어드는 반면, 아내 부모와 동거는 늘어나고 있다. 또한 동거와는 구분되는 근접거주라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세대간 지리적 근접성의 현황과, 그 결정요인을 설명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3차 여성가족패널조사에서 적어도 한 명이상의 노부모를 가진 30~40대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다항로짓모형으로 분석한 것이다. 지리적 거리는 30분 이상 떨어져 거주, 30분 이내 근접 거주, 동거라는 세 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였다. 노부모의 자원과 필요성이라는 측면에서 노부모의 두분 모두 생존여부, 건강상태, 부부 각각의 형제자매수를 고려하였다. 부부에게서는 필요성이라는 측면에서 자녀의 연령, 아내의 취업여부 및 근로시간, 자원이라는 측면에서 남편의 취업여부, 경제력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아내쪽 부모와 남편쪽 부모에 따라 동거 내지 근접거주를 가져오는 자원과 필요성 요인들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의 필요에 따른 동거는 남편쪽 부모에게서 더 강하였다. 비도시지역에 거주할 경우 남편쪽 부모와 동거 내지 근접 거주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형제자매수에 따른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As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 is rapidly changing, it is also reshaping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generations. The ingrained culture of living together with husband’s parents is decreasing while cohabitation with wife’s parents is increasing. Moreover, as distinct from cohabitation, the new phenomenon called “adjacent residence” has come to the surfa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generations in the Korean society and its determinants. It analyzed 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ith at least one elderly parent from the 3rd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using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It categorized geographical distance into 3 types: 1) residence more than 30 minutes apart, 2) adjacent residence within 30 minutes, and 3) cohabitation. In the aspect of resources and needs of elderly parents, it considers both elderly parents’ status, their health condition, and each couple’s sibling size. For couples, their children’s age and wife’s employment status/working hours were considered in terms of necessity, and husband’s employment status and economic power in terms of resources. The findings show that wife’s employment status has a positive effect on cohabitation with and geographical proximity to their elderly parents. There is a weak moderating effect of the number of siblings on elderly parents. The association could be different in terms of parent-line. The age of married women is associated with a possibility of living with only husband’s elderly parents. The effect of elderly parents’ needs was found to be stronger among the husband’s elderly parents. The probability of cohabitation/living close to husband’s elderly parents is higher if their married children live in rural area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인의 이념지형과 정책선호

        최창용 ( Changyong Choi ),최슬기 ( Seulki Choi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8 정부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이념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정책선호를 살펴보고, 이들 두 변수 간에 어느 정도의 근접성(proximity)과 방향성(direction)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주요 정책영역을 경쟁적 규제, 보호적 규제, 재분배, SOC 투자, 안보 및 대북 정책 등 6개 분야 20개 세부 정책으로 분류한 후 각각 정치적 보수와 진보, 시장에 대한 보수와 진보로 구분하여 이념과 정책선호 간 친화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치적 성향은 진보와 보수가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양극단은 소수에 불과했고, 중도층이 절반을 차지했다. 경쟁적 규제, 보호적 규제, 재분배는 현재보다 높은 수준을 요구했고, SOC투자는 축소를 선호했다. 안보와 북한관계는 정치성향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의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진보와 보수 간 정책선호도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념지형과 정책선호 간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에도 한국사회에서 이념갈등은 과도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보다 생산적인 이념지형 구축과 정책선택을 위해서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민주주의의 정착과 시민민주주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ubject perceptions on ideology and policy preferences of Korean people and investigate the degree of proximity and direc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After dividing major policy sectors of the current Korean society into 20 subcategories within six key areas, each subcategory was measured for affinity between ideology and policy preference in two dimensions of political conservative/progressive and market conservative/progressive. Results showed that political orientation was mostly balanced betwee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while only few political extremes (about half) were accounted by politically middle groups. As for each policy category, respondents demanded higher than current levels of competitive regulation, protective regulation, and redistribution while favoring reduct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investment. For security and North Korean policy, directions of opinions differed depending on political orientation. Policy preferences were clearly distinguishable between progressives and conservatives. Despite the fact that ideological differences caused no discernable differences in policy orientations except for security and North Korean policies, ideological conflicts in Korea were overly emphasized.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y that settlement of party politics and expansion of citizen democracy are needed to construct more productive ideological positions for efficient policy decision-making.

      • KCI등재

        남성육아휴직의무제를 통한 아빠노동자 탄생에 관한 사례연구

        최새은(Saeeun Choi),정은희(Eun Hee Joung),최슬기(Seulki Choi)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4

        A기업은 국내 최초로 2017년 1월부터 ‘남성육아휴직의무제’를 도입하였다. 연구진은 이 사례가 기존 남성 육아휴직자 연구에서 한계로 지적된 육아휴직자 선택편향 문제로부터 벗어나고, 개인차원을 넘어선 집단차원의 변화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해당 제도도입 및 실행과정의 특징과 육아휴직사용자가 경험한 가정과 직장에서 변화를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A기업의 ‘남성육아휴직의무제’는 1) 남성 육아휴직을 의무화함으로써 조직내 육아휴직 사용을 빠르게 보편화하였고, 2) 대체근로자 충원없이, 3) 휴직기간은 1개월로 하며, 4) 통상임금 100%를 보장하였다. 또한 5) 출산초기 3개월 이내에 사용을 시작토록 하였으며 6)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특징을 지녔다. 이러한 특징들은 여성들이 갖는 출산전후휴가에 상응한 ‘아빠출산휴가’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육아휴직 경험자들은 휴직기간을 통해 아빠라는 정체성을 새로이 형성하였다. 이들은 복직후에도 ‘아빠노동자’라는 경계횡단자(border crosser)로 등장하여 가족친화적인 기업 문화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 연구는 국내 한 대기업집단에서 도입한 남성육아휴직 의무제를 사례연구를 통해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발견된 남성 육아휴직의무제의 긍정적 모습들은 ‘일-가정 양립’에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mpany A introduced “mandatory parental leave for fathers” from January 2017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We tried to explore the process adopting the new system and its effect on family and the company from a variety of research sour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ental leave is different from usual spouse parental leave in six points; It is mandatory. There is no substitute. The period is one month. It guarantees the full payment. It should begin within 3 months from the birth. There is educational program called daddy-school. Instead, it is more similar to martenity leave. Then, it may be called ‘paternity leave’. We also found that they developed a new identity as a father. After returning from the leave, they became ‘working dads’ who are border crossers between two boundary - family and work. It is expected that they work for building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is a case study from a leading conglomerate in Korea. The findings may not happen from other company in the same way, especiall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t the positive stories of mandatory parental leave for fathers we observed from the case could serve as a hint for work and family balance.

      • KCI등재

        Age Structure and Population Momentum in South Korea

        Choyi Whang(황초이),Seulki Choi(최슬기)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5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ain why the Korean population is still growing despite a very low fertility level and a changing age structure in Korea. To analyze the impact of age structure on the future population growth, population pyramids and estimations of population momentum are used. Population momentum then is further decomposed into stable and nonstable momentums. Decomposition allows the impact of low fertility on future population growth to be analyzed in two steps. We conclude that the history of high fertility has accumulated positive momentum and this momentum is still in effect for continuous population growth.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ides a reason why population policy needs to be planned in a longer timefr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