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폴란드 전통 의상 콘투쉬(kontusz)와 장신구 연구

        최성은(Choi, Sung-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

        17 , 18세기 폴란드의 관복으로 널리 알려진 전통적인 민족의상, 콘투쉬(kontusz)는 가깝게는 터키ㆍ페르시아ㆍ인도, 멀게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탄생했다. ‘콘투쉬’라는 어원은 헝가리어인 쾬퇴쉬 (kontös) ’에서 비롯된 것으로 ‘주판’ (zupan) 이라는 긴 가운 위에 덧입는 남성용 상의를 말한다. 콘투쉬는 일상복이 아니라 특별한 예식이나 잔치가 있을 때 착용하는 귀족들의 예복, 또는 관복이었다. 폴란드는 그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주변국의 끊임없는 침략과 간섭을 받으면서도, 외래 복식과 민족 복식이라는 이중 구조 속에서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복식 형태를 지녀 왔다 동양과 서양의 다채로운 문화적 요소에다 고유의 전통적 감각을 결합시켜 독특한 폴란드적 정체성을 창출t~는데 성공했던 것이다 터키, 페르시아, 인도, 중국 등 ‘동양’의 민속 의상이 ’서양’에 속하는 폴란드의 전통과 역사에 절묘하게 융합되어, 하나의 문화적 징후로 확고하게 뿌리내리게 된 중요한단서가 바로 폴란드의 전통 의상 ‘콘투쉬’였던 것이다. 콘투쉬는 아시아 문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탄생했지만. 200 여 년간의 토착화시기를 거치면서 폴란드 민족을 대표하는 전통 의상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폴란드가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3국에 의해 분할 점령을 당하게 되면서, 슬라브와 서유럽의 침략에 맞서 민족의 자주성과 민족혼을 표현하는 상징적인 의미로 널리 인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콘투쉬의 재료, 디자인, 색감, 문양, 장신구 등에 나타난 다양한 동양 모티브들을 살펴보고, 조선 시대 관복과의 유사점을 고찰해 보았다. 그 궁극적인 목적은 기독교와 이슬람의 충돌이 심각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현실에서 동 서양의 의복이 공유하고 있는 보편적인 미적 감각을 강조함으로써 . 21세기 인류 문화의 화합적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범세계적인 요소들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보기 위한 것이다. 다분히 동양적인 정서를 대변하고 있는 콘투쉬가 폴란드 문화로 토착화된 사례는 동양과 서양이 미적 감각이나 취향에 있어 일맥상통하는 보편적인 요소를 공유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하나의 단서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Kontusz was the traditional dress of Polan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hich had been influenced by Turkey. Persia, India and remote China , The origin of the word ''kontusz'' comes from the Hungarian word. Kontos". which refers to men’s overcoats worn over long gowns. Kontusz was not everyday clothing but. instead. fancy dress garments worn by the nobility at balls and parties Due to its geographical location. Poland was continuouslY invaded and interfered with by surrounding countries. Despite this. it has succeeded in creating and keeping its own unique clothing style in a dual structure by combining the Polish traditional sense and diverse culture with foreign elements from the East and West. Oriental folk clothes from Turkey. Persia. India and China were exquisitely assimilated with Polish tradition along with Western history to firmly plant its roots as a cultural symbol in Poland today. Much important evidence of this assimilation can be discovered from a close examination of the Polish kontusz traditional clothing. Although kontusz was originally inspired by Asian culture. after 200 years of assimilation. it has become a traditional “national clothing exclusively representing Poland. After Poland was partitioned by the three nations of Russia. Prussia and Austria. the spirit of kontusz fought against these foreign nations. Because of this , kontusz eventuallY became wide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Polish symbol of national independence. In this paper, various oriental motifs which appear on the material dealing with design , color, pattern and accessories of the kontusz are investigated. In the shadow of the current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think seriously about reaching world peace in the 21st century by emphasizing the aesthetic sense that commonly exists in both Western and Eastern clothing. The assimilation of kontusz into Polish culture can be studied for important clues which may prove that there is a common thread running through the East and West involving the senses of beauty and good taste.

      • KCI등재

        쉼보르스카의 마지막 시집 『여기』와 『충분하다』에 나타난 주요 모티브 연구 -전작들과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최성은 ( Sung-eun Choi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5 No.-

        폴란드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1996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기도 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Wisława Szymborska: 1923~2012)는 생전에 마지막 시집 『여기』(Tutaj, 2009)를 출간했고, 이후 2012년, 시인이 세상을 떠난 뒤 완성작과 미완성 육필원고를 묶은 유고시집 『충분하다』(Wystarczy, 2012)가 출간되었다. 52) 사물이나 현상을 함부로 재단하거나 단정지으려 하지 않고, 고정관념을 과감히 벗어던진채, 투철한 성찰의 과정을 거쳐 대상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했던 쉼보르스카의 고유한 개성은 시인이 남긴 마지막 두 권의 시집에서도 어김없이 빛을 발한다. 전작들과의 연관성 및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에 주목하여 이 두 권의 시집에서 되풀이되고 있는 반복적인 주요 모티브들이 무엇인지 살펴본 결과, 쉼보르스카는 존재의 유한성에 대한 자각, 기억의 한계를 통해 드러나는 삶의 모호함, 개인과 역사의 상관관계에 대한 성찰, 만물을 포용하는 생명 중심적 사고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쉼보르스카는 특정한 모티브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발표했던 선행 텍스트 들을 소화하고, 변용하고, 발전시켜 나갔다. 또한 동일한 모티브를 창조적으로 변주하는 고유한 수사법을 사용하여 일관된 의미망을 구축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익숙한 전작들의 이미지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의미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켰다. Wisława Szymborska (1923~2012), a Polish poet and Nobel prize laureate (1996), published her last regular collection of poems Here (Tutaj). Then in 2012, her posthumous collection of poems Enough (Wystarczy) was published, which bounded together completed works and unfinished manuscripts of her own handwriting after her death. The last two selected poems well show the idiosyncratic artistry of Szymborska who didn’t want to judge or conclude things or phenomena at random but tried to reach the essence of the object through the process of deep reflection without stereotype or prejudice. This thesis looked into seeking motifs shown repeatedly in these two books of poems by taking note of the connection and inter-textuality and self-reflexiveness with her earlier works. The result showed what had engrossed Szymborska was self-awareness of the finiteness of creatures, ambiguity of life revealed through the limits of memory, reflections on the cor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tory, and life-oriented way of thinking that embraces all beings. Szymborska successfully maximized the efficiency of conveying meanings to the readers by repeating particular motives in proper use of the images from her earlier works. She also made a creative variation by developing and changing the same motif in other various ways through the process of putting it into poems.

      • ILLUMINATION ROBUST VEHICLE DETECTION USING KNOWLEDGE BASED MULTI FEATURES EXTRACTION

        Sung-il Choi(최성일),Jong-in Son(손종인),Jung-hyun Seo(서정현),Kwang-hoon Sohn(손광훈) 대한전자공학회 2015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6

        Vehicle detection is important in many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illumination robust forward vehicle detection. The proposed method involves three major components: First, we detect a main lanes and define an adaptive region of interest (ROI) to remove outlier and reduce complexity. Second, we extract vehicle candidates combing multi features of vehicle. Finally, we utilize the distinct property of taillights color to achieve illumination invariant vehicle detec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satisfactory performance with an average detection rate of 96% under various illumination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폴란드의 조상추모 의례에 나타난 기독교와 민간신앙의 영향 고찰

        최성은(Choi, Sung-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4 No.1

        폴란드에서는 농경문화와 가부장적 씨족사회를 이어왔던 고대 슬라브의 관습을 이어받아 조상숭배의 전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폴란드의 조령숭배 전통은 원시 슬라브 사회에서 혈연을 수호하는 씨족신을 숭배하던 민간신앙을 매개로 형성된 것이다. 고대 슬라브인들은 민족의 영웅과 같은 특정한 조상을 다른 조상보다 우선적으로 받들어 신격화하기도 했으며, 조상들이 죽고 나면 그 영혼이 자신이 살던 집을 떠나지 않고 지켜준다고 믿는 가신신앙(家神信仰)을 숭배하기도 했다. 과거에 폴란드인들은 조상을 위해 특별한 제사의식을 거행하거나, 명절이나 축일이 돌아오면 사자(死者)를 위한 음식을 별도로 장만하고, 성묘를 하면서 조상을 추모하는 등 다양한 추모의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고인의 기일(忌日), 그리고 가톨릭에서 제정한 ‘모든 성인의 날’(Dzień Wszystkich Świętych: 11월 1일)과 ‘위령의 날’(Dzień Zaduszny: 11월 2일)에 조상에 대한 감사와 공경의 예를 올리고 있다.유럽 사회에서는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토속적인 민간신앙이 대부분 사라졌으나 폴란드의 경우에는 고대 슬라브의 원시 종교적인 요소들이 상당 부분 기독교의 의식 속에 접목되어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민족문화를 형성하였다. 이처럼 의례 문화의 기본적인 틀을 형성한 것은 기독교-가톨릭 문화이지만, 그 안에는 고대 슬라브인들의 민간신앙적인 요소들이 면면히 살아 숨쉬고 있다. 조상의 기일에 가족들이 모여 저녁식사를 하면서 따로 고인의 자리와 음식을 마련하는 풍습이라든지, ‘위령의 날’에 묘지를 찾아 죽은 이들을 추모하면서 촛불을 밝히는 전통, 조상의 영혼이 후손의 출산과 수확을 풍요롭게 해 준다는 믿음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하겠다. Poland shows a distinct tradition of ancestor worship, having inherited the ancient Slavic customs of farming culture and patriarchal family society. Poland's ancestor worship tradition stems from the folk beliefs that worshipped family gods that protected blood relations in the primitive Slavic society. The ancient Slavs would deify ancestors who were national heroes above other ancestors, and they held fast to the family deity faith, believing that their ancestors would remain in their homes to protect them after the ancestors are deceased. In the old days, the Poles used to have a variety of memorial ceremonies, such as the special memorials for their ancestors, preparation of food for the deceased on holidays and memorial days, and visits to ancestral tombs to commemorate them. Today, however, they offer ceremonies of gratitude and respect for their ancestors on the anniversary of the deceased, on the Catholic 'All Saints Day' (Dzień Wszystkich Świętych: November 1st), and on ‘Day of Soul Comforting’ (Dzień Zaduszny: November 2nd). As Christianity spread in the European society, most of the native folk religions disappeared, but in the case of Poland, many of the primitive ancient Slavic religious elements merged with Christian rituals, creating a diverse and complex national culture. As such, the Christian-Catholic cultures provided the basic framework for their ceremonial culture, but elements of the folk religions of ancient Slavs are very much alive within the culture. Some major examples of such elements would be the custom of preparing a seat and food for the deceased when the family gathers for dinner on their ancestor's memorial day, the tradition of lighting candles to commemorate the deceased at their tombs on ‘Day of Soul Comforting’, and the belief that ancestors' spirits can bring abundant childbirth and harvest to the descendants.

      • KCI등재

        여자 발레 전공자의 무용동작수행능력과 호흡순환기능의 상관성

        최성이(Sung Yi Choi),정미송(Mi Song Jung) 한국무용과학회 200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4 No.-

        여자발레전공자의 무용동작수행능력과 호흡순환기능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트레이닝 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자발레전공자 10명과 대조군으로는 일반 여자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기초체력 및 심폐기능을 비교 검토 하였다. 첫째, 여자발레전공자들은 대조군보다 체중, 체지방량이 낮았으며, 평형성은 각각 61.7±18.1, 38.2±8.2로 평형성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둘째, O2max는 여자발레전공자와 대조군이 각각 62.7±7.2㎖/㎏/min, 33.0±1.3㎖/㎏/min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여자발레전공자와 대조군의 기초체력과 심폐기능을 비교한 결과, 여자발레전공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무용동작 수행능력과 호흡순환기능을 개선시키는 가능성이 있음이 시사되었다.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asic information to the training program, we selected 12 female ballet dancers and 10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investigate the basic physical strength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First, weight and body fett of female ballet dancers were lower than tho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counterbalance of female ballet dancers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61±18.1, 18±18.2. Second, O2max was 62.7±7.2ml/kg/min in female ballet dancers, 33.0±1.3ml/kg/mi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onclusions, female ballet dancers have possibility of improving basic physical strength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시(詩)에 나타난 한국전쟁

        최성은(Choi Sung 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1 No.2

        예술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통해 민중의 계몽과 교화를 지향했던 사회주의리얼리즘 (Socialist Realizm)은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 다. 러시아 문학이 보유하고 있는 리얼리즘의 풍부한 전통에 맑시즘을 접목시키면서 사회주 의리얼리즘은 모순에 찬 현실에 눈을 돌리고, 지배계급의 피지배계급에 대한 착취를 폭로하 는 계급 문학으로 발전을 거듭하였다. 193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사회주의리얼리즘은 점 차 스탈린 독재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정치 선전의 도구로 전락하게 되었다. 전후(戰後)에는 구소련의 위성국가였던 폴란드, 헝가리, 체코 등 신흥 사회주의 국가들이 자국 내에서 사회 주의 체제를 토착화하고, 인민들을 효과적으로 선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주의리얼리즘을 적극적으로 표방하였다. 폴란드에서 사회주의리얼리즘은 폴란드 인민공화국이 공식 출범했던 1949년부터 폴란드 예술의 유일한 공식적 방법론이 되었다. 경직되고 도식화된 이념 지상주의로 치우치게 되면 서 사회주의리얼리즘은 그 본연의 의미를 상실하고, 창작의 자유를 저해하는 걸림돌이 되었 다. 당에 의해 철저하게 규정되어진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틀에 충실히 부합되지 않는 작품 은 출판되지 못하였다. 이 시기에 사회주의리얼리즘을 거부하는 예술가들은 해외로 망명하 거나 작품 활동 자체를 중단해야만 했다. 세계사에 유래 없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낳은 한국전쟁은 폴란드의 사회주의리얼리즘 문학 작품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소재였다. 본 논문에서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는 쉼보르스카(W. Szymborska)의 「한국에서」(Z Korei), 루제비츠(T. Różewicz)의 「38선」(38 Równoleżnik)과 「한국의 봄, 파종기에」(Wiosenny siew na Korei), 그리고 바직(A. Ważyk)의 「코카콜라에 대한 노래」(Piosenka o Coca-Cola)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 폴란드 시인들의 눈에 비친 한국은 역사의 질곡 속에 가혹한 운명을 짊어진 불행한 약소국, 그리고 기아와 빈곤이 난무한 비극의 영토였다. 한국전쟁의 책임을 철저하게 미국에 돌리고 있으며, 미국에 의해 탄압 받는 일종의 속국(屬國)으로 한국을 묘사하고 있는 것도 사회주의리얼리즘 시의 특징 가운데 하나였다. 이러한 편파적인 역사인식의 오류에도 불구하고, 이 시들에는 폴란드 작가들의 한국에 대 한 뜨거운 연대의식이 반영되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이것은 한국과 폴란드 상호간에 공 통된 역사인식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두 나라 모두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주변국의 침략을 당했으며, 특히 2차 대전 당시에는 양국이 모두 국권의 상실이라는 민족적 비극을 겪어야만 했던 것이다. 따라서 두 나라 사이에 직접적인 교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폴란드의 작가들은 동족상잔을 몰고 온 한국 전쟁의 가혹한 운명을 지켜보면서 동병상련의 애틋한 감정과 끈끈한 형제애를 숨김없이 드러내고 있다. 폴 란드 시인들이 쓴 사회주의리얼리즘 작품들 속에는 역사적으로 폴란드와 많은 유사성을 보 여주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거울삼아 자국의 현재와 미래를 냉철하게 진단하려는 단호한 의 지가 표출되고 있다. Socialist Realism is an art methodology that was born in the Old Soviet Union with a view to widely spread socialism to the public through art. Since World War Ⅱ, the rising socialism countries such as Poland, Hungary and Czech had actively accepted Socialist Realism as a means to make socialism come to stay within their own territory. Socialist Realism was greatly in fashion in Poland until 1955 when Stalin died, as People's Republic of Poland sailed off in 1949 and Socialist Realism became the sole official guide for arts and literature. Socialist Realism enforced a reversion to techniques of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prohibited any avant-garde experiment. From 1949 year to 1955 year literature was subjected to recipes imposed by watchdog officials and "terroreticians" in Poland. The stress was upon the so-called "production novel" with a factory or collective farm setting. Eventually, this period is evaluated as "period of errors and mistakes" in today's Polish literary history. Due to the socialist Government's strict inspection and political tendency to excessively agitate people, Socialist Realism caused negative function to suppress freedom of creation. At that time, one of the materials that frequently appeared in Polish Socialist Realism literature was the very Korean War. The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Wisława Szymborska's 「From Korea」, Tadeusz Różewicz's 「38 Line」 and 「Korean Spring, at the time of sowing」 and Adam Ważyk's 「Song about Coca-Cola」. In these works, Korea is depicted as the unfortunate weak country that should point a gun to the same race and the tragic land that is full of starvation and poverty. In addition, they thoroughly attributed the blame for Korean War to USA, and they defined USA as the enemy that Poland should join efforts together with Korea and defeat. Even if they commit the error of biased historical recognition, the strong solidarity feeling with Korea appears in Polish Socialist Realism Poems. This is due to the historical similarity between Korea and Poland. Historically, Korea and Poland have been continuously invaded by neighboring countries, and especially during World War Ⅱ, both of them had to experience the tragedy to lose their sovereignty. Although Korea and Poland had no direct exchange each other in 1950's, Polish writers showed the brotherhood and same feeling to Korean people. In addition, we can find their will to model Korean reality, which is historically very similar to Poland, and then calmly examine Polish present and future.

      •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츠의 『작은 저택에서』(W małym dworku)와 이근삼의 『원고지』에 나타난 탈리얼리즘적 표현기법 비교 연구

        최성은(Choi, Sung-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2

        폴란드의 스나티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츠(Stanisław Ignacy Witkiewicz, 1885-1939)와 한국의 이근삼(1929-2003) 은 자신들의 대표작인 <작은 저택에서>(1921)와 <원고지>(1959)를 통해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일련의 시도를 통해 사실 주의 연극이 주류를 이루었던 자국의 연극계에 현대적인 새로운 바람을 몰고 온 장본인들이다. 비록 두 작품 사이에는 40년에 가까운 시간상의 차이가 있지만, 해체 위기에 놓인 중산층 가정을 배경으로 상식과 논리에서 벗어난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 강렬한 표현주의 기법과 그로테스크한 희비극적 요소들을 적절하게 활용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현대문명의 모순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비인간적인 것’에 대한 철저한 거부의 의지를 표명했다는 점에서 그 연관성과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작은 저택에서>와 <원고지>는 모두 비현실적인 극중 상황을 과장되게 전개한 일종의 ‘상황극’으로써, 인과 관계에 의한 전통극의 플롯을 거부하고, 허구적 과장과 희극적 형상화 등의 수법을 통해 인간의 부조리한 상황을 드러내는데 주력하고 있다는 점에서, 1950년대에 각광받았던 ‘부조리극’의 한 갈래로도 분류할 수 있다. The plays of Stanisław Ingacy Witkiewicz(1885-1939) and Lee Geun-Sam(1929-2003) definitely open the new era of Polish and Korean modern drama. They kept anti-realistic attitude throughout their plays. They applied various techniques and concepts of modern Western theatre to their plays, such as epic theatre alloegory and expressionism. They criticised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contemporary Poland and Korea. Their views toward the society were very cynical and even ridiculous. Witkiewicz's 『In the small manor-house』 and Lee Geun-Sam's 『A Writing Pad』 are the plays bringing a modern trend to the play circles in which plays based on realism were dominant, through experimental, avant-garde attempts. Although there is nearly 40-year time gap between these two plays, they have several commonalities. First, these plays have characters without the common sense and logics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middle class on the verge of dismantling. The second commonality is the fact that they used powerful expression technique and grotesque elements properly to sharply criticise the paradox of the modern civilization. In addition, these plays emphasize the nature of the unhumane civilization. 『In the small manor-house』 and Lee Geun-Sam's 『A Writing Pad』 show the development of unrealistic situation in a exaggerated way. Furthermore, they refuse traditional drama plot based on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Using fictitious exaggeration, they place focus on revealing the absurd conditions of humans. In this sense, these two works all are deemed to be part of “the theater of absurdness” in the spotlight in 195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