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률랑(協律郞)의 관제(官制)에 관한 연구

        최선아 ( Sun A Choi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고려시대 협률랑은 당의 태상시의 관원 협률랑(정8품上)에서 왔다. 당의태상시와 유관한 고려조의 기관은 목종 대 태상이라 불렸고, 이후 태상부, 봉상시, 전의시, 태상시 등으로 개칭되었다가 조선왕조 건국 초인 1392년(태조 1)에는 봉상시로 불렸다. 고려조의 역대 기관명과 소속 관원을 설명하고 있는 『고려사』 백관지에는 협률랑이 나오지 않는다. 그런데 목종 원년(998) 개정된 전시과의 수급자 명단에는 협률랑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목종대 태상의 관원에서 누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협률랑은 건국 당시 1392년(태조 1)과 갑오개혁이 진행되었던 1895년(고종 32)에만 각각 봉상시와 봉상사 소속의 관원으로 소개되었다. 아마도 협률랑은 봉상시의 관원으로 기록되었던 1396년(태조 5) 이후 어느 시점부터 문무관제에서 제외된 것으로 추정된다. 협률랑은 더 이상 관직명이 아니라 궁중의례에서의 집사관명으로만 존재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고려조의 협률랑 역시 목종 대 전시과의 수급자 명단에 기록된 이후 더 이상전시과나 백관지에 보이지 않는 이유가 관직명이 아닌 집사관명으로만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1430년(세종 12) 이전에는 여러 기관의 관원이 협률랑을 맡았고, 1430년 (세종 12)에는 봉상시의 녹사 2인이 맡았다. 그러나 봉상시 녹사가 음률을 잘 알지 못해서 협률랑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했기 때문에 1464년 (세조 10)에 제향과 조회에서의 협률랑은 장악원의 전악이 맡게 되었다. 한편 1472년(성종 3)에는 조관이 아닌 전악이 협률랑을 맡는 것은 옛 제도에 맞지 않다는 문제제기가 있었다. 그래서 1472년 이후부터 갑오개혁(1894) 이전까지 422년 동안은 으레 장악원의 정이 협률랑이 되었다. 무신의 제사인 관왕묘에서는 무신인 선전관이 협률랑이 되었다. 갑오개혁으로 궁내부 관제를 정립하면서 1894년(고종 31) 7월에는 장악원에 주사(主事)를 두어 협률랑을 겸임하게 하였고, 1895년(고종 32) 4월에는 장례원 산하 봉상사에 협률랑 2명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11월 이후 협률랑은 더 이상 궁내부 관제에 보이지 않는다. 협률랑은 다시 집사관명으로만 존재하게 된 것이다. 1895년 11월 이후 대한제국의 고종 황제 재위(1897-1907) 동안 협률랑은 궁내부 산하의 장례원 혹은 예식원의 주사가 맡았다. 그리고 1907년(고종 44, 광무 11) 6월 주사를 서기랑으로 개정하면서 장악과의 서기랑이 협률랑을 맡았다. Hyomyullang 協律郞 (music officer of high 7th rank) during the period of Koryo 高麗 Dynasty originated from hyomyullang (8th grade of the first rank) who belong to Tang’s 唐 T``aesangsi 太常寺 (Royal Music Institute of Tang). The Koryo Dynasty’s counterpart of Tang’s T``aesangsi was T``aesang 太常 during the reign of King Mokchong 穆宗 (997-1009) and was later renamed T``aesangbu 太常府, Pongsangsi 奉常寺, Chonuiso 典儀署 and T``aesangsi 太常寺 before it was called Pongsangsi in 1392 (1st year of King T``aejo’s 太祖 reign), the foundation year of the Choson 朝鮮 Dynasty. Paegkwanch’i 百官志 (monograph of government officials) in the Koryosa 『高麗史』 (History of Koryo) that explains about the various government institutions of many generations and their members does not contain the description of hyomyullang. However, hyomyullang appears in the list of recipients of chonsigwa 殿試科 (state examination at courtyard) revised on the first year of King Mokchong’s reign (998), which indicates the apparent mistake of the government official in the T``aesang of omitting it from the record. Hyomyullang in the period of Choson Dynasty was introduced twice only, in 1392, the foundation year of the Choson Dynasty, and in 1895 (32nd year of King Kojong’ 高宗 reign) when the Kabo Reform 甲午改革 occurred as the officials that belong to Pongsangsi 奉常寺 and Pongsangsa 奉常司. Presumably, hyomyullang was excluded from the civil and military functionaries sometime after year 1396 (5th year of King T``aejo’s 太祖 reign) when it was recorded as the official of Pongsangsi. It means hyomyullang was no longer an official title but remained as a butler in royal court ceremonies. Hyomyullang of the Koryo Dynasty has not been revealed after it was last seen in the list of recipients of the chonsigwa during the reign of King Mokchong, which further supported the presumption that its title remained as the butlership, not a government official. Prior to the year 1430 (12th year of King Sejong 世宗), a government employee in various institutions served as hyomyullang and, in 1430 two noksa 錄事 in the Pongsangsi took the position of hyomyullang. However, noksa in the Pongsangsi were not able to play the role of hyomyullang properly as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unes and melodies, so chonak 典樂(a music officer of high 6th rank) of Changagwon 掌樂院 (Royal Music Institute of Choson Dynasty) took the charge in 1464(10th year of King Sejo’s 世祖 reign) of directing various ceremonial rites and royal court events. Meanwhile, some raised an issue with chonak 典樂 not chogwan 朝官(government official) assuming the position of hyomyullang in 1472 (3rd year of King Songjong’s 成宗 reign), saying it was against the old tradition. Thus, chong 正 (an officer of high 3rd rank) in the Changagwon mostly served as hyomyullang for the 422 years between 1472 and the Kabo Reform 甲午改革 (1894) although occasionally sonchon``gwan 宣傳官, an official of the Royal Secretary, played the role of hyomyullang. A reshuffling of the government in the aftermath of the Kabo Reform in 1894 (31st year of King Kojong’s 高宗 reign) appointed chusa 主事 as an official of the Changagwon who was also commissioned to serve as hyomyullang in July and deployed two hyomyullang in Pongsangsa 奉常司 under the direction of Changryewon 掌禮院 (Institute of Managing Rites) in April in 1895 (32nd year of King Kojong’s reign). Hyomyullang after November 1895 (32nd year of King Kojong’s reign) no longer appeared in the officials of Kungnaebu 宮內府 (Ministry of Royal Family Affairs). Once again, hyomyullang was ranked down to butlership. Following November 1895, chusa 主事 in Changagwon or Yesiaagwon 禮式院 served as hyomyullang during the reign of King Kojong (1897-1907). And then, in June 1907 (44th year of King Kojong’s reign, Kwangmu 光武 11), sogirang 書記郞 in Changagwon assumed the position of hyomyullang as sogirang substituted for chusa as part of the amendment.

      • KCI등재

        윤치호(尹致昊)의 『우순소리』 저본 연구

        최선아(Choi, Sun-A),김양선(Kim, Yang-Sun)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硏究 Vol.- No.79

        To find the original script of “Usunsori,” I searched figures who contacted Yun Chi-Ho thoroughly based on his journal and Jwaong Yun Chi-Ho Letters (佐翁尹致昊書翰集) in this research. As a result, Brother Loehr and George R. Loehr had been confirmed as the same person, and Yun"s teacher George R. Loehr wrote HaeHoon Yoo Sul (孩訓喩說) on 1900, student Yun Chi-Ho published “Usunsori” on 1908. George R. Loehr wrote HaeHoon YooSul(孩訓喩說) earlier and he acted as a catalyst to the birth of “Usunsori” as his teacher. And the dean of Anglo Chinese College Young John Allen let student Yun Chi-Ho to be exposed to Aesop"s Fables naturally by publishing Man KookGongBo(萬国公報 The Chinese Globe Magazine) As a result of having compared EuSeupYooUn(意拾喩言) of Robert Tom and HaeHoonYooSul(孩訓喩說) of George R. Loehr with “Usunsori”, I found that YunChi-Ho eventually translated to let readers con tact author directly without any interference as possible as EuSeupYooUn (意拾喩言) and HaeHoonYooSul(孩訓喩說), even though they had different purposes EuSeupYooUn(意拾喩言) and HaeHoonYooSul(孩訓喩說) are for the Christian propagation, and “Usunsori” is for the enlighten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시대 고악보에 나타난 『만보전서(萬寶全書)』의 금도론(琴道論)

        최선아 ( Sun A Choi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만보전서(萬寶全書)』는 명·청 시대에 걸쳐 여러 차례 간행된 일종의 백과사전으로 사서민(士庶民)의 일상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다. 1720년 청나라를 방문한 조선의 사신단을 통해 조선으로 유입된 『만보전서』는 당시 사회에 유포되어 일상의 유용한 정보지로 혹은 개인문집의 참고서적으로 유행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금도론(琴道論)의 내용도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고악보에 금도론을 수록할 때 유용한 참고서로 이용될 수 있었다. 실제로 『한금신보』(1724)에 소개된 금도론 중 오불탄, 탄금수지, 태음기법은 그 출처에 대해 『만보전서』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어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4종의 『만보전서』에 수록된 금도론의 순서와 내용을 비교해 보았다. 우선 다량의 금도론을 수록하고 있는 서기룡이 편집한 『만보전서(1610)』의 금학문(琴學門)과 유자명이 편집한 『만보전서(1612)』의 금학문의 항목을 비교·대조해 보았다. 『만보전서(1610)』와 『만보전서(1612)』는 모든 면(page)마다 上층·下층으로 영역이 나뉘어 기록되었다. 금학문의 상층과 하층은 각각 4개의 상위 분류 항목을 가지고 있다. 상층이 하층에 비해 비교적 오래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상층이 이론적인 덕목 중심이라면 하층은 금(琴)을 실제로 연주할 때의 손의 사용법 및 노랫말과 감자보(減字譜)로 구성된 악보류가 중심이 된다. 즉 상층은 형이상학적인 내용이라면, 하층은 형이하학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고 하겠다. 『만보전서(1610)』와 대조해서 『만보전서(1612)』의 금도론의 분류는 상위 항목을 지칭하는 명칭과 순서에서 일부 차이점이 발견된다. 이러한 차이는 금도론의 분류 체계에 보다 합리성을 갖추고자 하였기 때문에 나타난다. 『만보전서(1614)』의 경우는 금도론의 내용이 동일한 편자가 편집한 『만보전서(1610)』에 비해 매우 소략해 졌으며, 『만보전서(1739)』의 경우는 오음정조보(五音正操譜)가 새롭게 첨가되었으나 역시 간략해 졌다. 다음으로 『만보전서』의 금도론과 우리나라 몇몇 고악보의 금도론을 비교해 보았다. 우리나라에서 상당량의 금도론이 체계적으로 필사되기 시작하는 국악원 소장 『금보』와, 『한금신보』는 비교적 오래된 금도론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예지』와 『방산한씨금보』는 비교적 최근의 실용적인 내용의 금도론을 수용하였는데, 금도론의 기록 순서와 내용이 『만보전서(1739)』의 것과 유사하다. 『금헌악보』 역시 우리나라의 다른 고악보에 없는 금도론을 상당량 보유하고 있으며, 『만보전서(1612)』의 상층뿐 아니라 하층 항목의 금도론까지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기록한 점으로 보아, 옛 금도론부터 비교적 최근의 것까지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Manbojeonseo, a kind of an encyclopedia published several times in Ming·Ch`ing dynasty, includes useful information for scholars and common people on daily lives. In 1720, Manbojeonseo was first introduced to Joseon(朝鮮) dynasty by the diplomatic corps visiting Ch`ing dynasty, and widely circulated in the society as an useful information magazine or an individual collection of reference book. Since Manbojeonseo includes the systematically-organized contents of Geumdoron(琴道論, a theory of a heptachord), it could provide a useful reference when the Geumdoron was inserted as the contents of old scores. For an instance, Obultan(五不彈), Tangeumsuji(彈琴須知), and Taeeumgibeop(太音紀法) recorded in Hangeumsinbo(韓琴新譜, 1724) clearly acknowledge Manbojeonseo as their common source. In this paper, the order and the contents of Geumdorons from four different Manbojeonseo are compared. At firs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nbojeonseo (1610) edited by Seo Giryong(徐企龍) and Manbojeonseo(1612) edited by Yu Jamyeong(劉子明) are carried out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Geumdoron, where both Manbojeonseos contain considerable amount of Geumdoron sections. The tables of the contents in both Manbojeonseos are composed of upper and lower levels classified into 4 large divisions for each. While the contents of the upper level is presumably older and focused more on the theory of the cardinal virtues, the contents of the lower one is relatively new and centered more on the skills for the real play of a heptachord(琴), the lyrics and the musical scores composed of Gamjabo(減字譜).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upper level is metaphysical while the lower level is physical. O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Manbojeonseos lies in the order and the terminology found in the large divisions. In the case of Manbojeonseo(1612), some terms in the large division represent and theoretically group the detailed descriptions in the small divisions such as 5 demands or 7 taboos in the play of the heptachord. In addition, a few lower divisions were newly added or revised in order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Geumhangmun(琴學門, study of a heptachord), and the detailed classification was revised and polished to improve the reasonableness. In Manbojeonseo(1614) composed by the same editor as Manbojeonseo(1610), the contents of the Geumdoron become much briefer than those of Manbojeonseo(1610) and Manbojeonseo(1612). In the case of Manbojeonseo(1739), a new type of the Geumdoron is included called Oeumjeongjobo(五音正操譜) while carrying a similarly brief section of the Geumdoron. Finally, the Geumdorons in Manbojeonseo and several old scores are comparatively analyzed. While the Geumbo(琴譜) owned by Gugagwon(國樂院) and Hangeumsinbo contains relatively old Geumdoron, Yuyeji(遊藝志) and Bangsanhanssigeumbo(芳山韓氏琴譜) adopt practical and relatively new Geumdorons different from the former old scores and similar to Manbojeonseo(1739) considering the order and the contents.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e Geumdoron in Geumheonakbo(琴軒樂譜) is notably unique containing much of the upper and the lower levels of Manbojeonseo(1612), therefore thought to have actively adopted the contents of new Geumdorons.

      • KCI등재

        논문 : 안상의 가계와 생애 및 금합자보 편찬 과정

        최선아 ( Sun A Choi )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9 No.-

        안상(安상, 1511∼1579년 이후)은 우리나라 최초의 성리학자인 회 헌(晦軒) 안향(安珦, 1243~1306)의 후손으로, 특히 그의 외가 친척은 사림파 성리학자와 교유하고 성리학을 연구하고 실천하는데 힘썼다. 따라서 안상의 사상적 배경은 사림파 성리학에 있다고 하겠다. 한편 안상의 친가외가가 모두 음률(音律)을 잘 아는 인물을 배출한 집안이라서 그 역시 자연스럽게 음악을 접할 수 있었던 것 같고, 특히 내 재종증조부(7촌)인 성현이 창안한 합자보의 효용성을 정확히 이해할 정도의 안목과 음악적 지식을 겸비하고 있었기에 그 기보체계를 바탕으로 악곡을 정리하고 성현이 편찬한 『악학궤범』의 내용을 인용하여 『금합자보』를 편찬할 수 있었다. 더불어 성현의 향악을 긍정하는 태도 역시 이어받아서 『금합자보』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안상의 관직은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중앙에서는 경복궁 재건 사업에 참여하였고, 『금합자보』를 편찬하는 등 중앙 관리로서 중요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지방에서는 대단히 모범적으로 수령 직을 수행하였다. 안상의 경상도 영천 군수 시절(1555∼1560)에는 선조의 묘소 관리 및 재사(齋舍) 영모암(永慕庵) 건립을 통해 선조의 영을 영원히 기리고자 하는 개인적인 이유와 한 고을의 수령으로서 효를 몸소 실천함으로써 백성을 교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퇴계 이황의 권유로 이산서원(伊山書院)을 건립하여 선현을 받들어 모시고, 그 큰 뜻을 배우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평안도 중화 군수 시절(1565∼1568)에는 『속문범(續文範)』, 『한서전초(漢書傳抄)』, 『근사록(近思錄)』, 『용학석의(庸學釋義)』 등 명유(名儒)의 서적을 간행하여 국가이념인 성리학을 정착시키고 전파하려는 목적과 풍속의 교화라는 수령의 임무를 다 하고자 노력하였다. 함경도 덕원 부사 시절(1570∼1579년 이상)에는 목판본 『금합자보』를 간행하였다. 이러한 안상의 향촌에서의 행적은 지방관이면서 퇴계 이황의 제자 혹은 교유인의 활동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안상의 『금합자보』의 편찬과 간행은 시간적·공간적 차이가 난다. 안상은 장악 원 첨 정 시절(1561)에 궁중 장악 원 소장 합자보가 온전한 형태의 합자보가 아니었기에 이를 개수하여 『금합자보』를 편찬하였다. 그리고 안상은 풍속을 바꾸는 데는 악(樂)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는 『효경』의 말씀을 염두에 두고, 향촌에서 거문고를 배우고 싶어도 사우(師友)를 만나지 못하여 거문고를 배울 수 없는 사람을 위해서 거문고 입문서인 『금합자보』를 간행하였다. 더불어 거문고를 통한 유가 악론의 실천을 당부하였다. 결국 『금합자보』를 간행한 이유 역시 영천에서 영 모암과 이산서원을 세우고 중화에서 여러 서적을 간행한 이유인 향촌에서의 성리학적 사회질서의 정착과 풍속의 교화라는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An Sang 安상(1511∼1579) was a descendant of An Hyang 安珦 (1243∼1306), the first Neo-Confucianist, and in particular his mother side relatives made efforts to keep company with other sarim 士林 (Neo-Confucianists), study and practice Neo-Confucianism.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his ideological backgrounds lied in the sarim Neo-Confucianism Meanwhile, it seemed that both of his father and mother sides cultivated those who were well aware of music and he could be naturally exposed to music. Specifically, his mother`s side grear-grandfather was well versed with musical insight and knowledge sufficient enough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efficiency of hapiabo 合字譜 (combined character notation), principles of combining [hap合] letters [cha 字]) created by Song Hyon 成俔 (1439∼1504); thus, based on Song Hyon`s notation system, An Sang could arrange pieces of music and compile his Kum hapchabo 『琴合字譜』 (Tablature Notation for Komun`go) by citing the content of Akhak kwebom 『樂學軌範』 (Guide to the Study of Music) compiled by Song Hyon. Furthermore, it appeared that Song Hyon`s positive attitude towards byangak 鄕樂 was also passed down and Song Hyon reflected it into his Kum bapchabo. An Sang`s official posts could be divided into the central and provincial ones. In the central government, he made significant accomplishments as a central government official, by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of restoring Kyongbok palace 景福官 and compiling Kum hapchaho at Changagwon 掌樂院 (Royal Music Institute of Choson Dynasty).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he was a role-model type provincial governor. During his official post as a governor of Yongchon county 榮川郡, he did his best to cultivate the people by practicing his filial piety on his own as an individual and governor who wanted to keep commemorating the spirit of Soncho 先祖, by establishing Yongmoam 永慕庵. In addition, he founded Isan Sowon 伊山書院, revered ancient sages, and attempted to bring up competent persons learning such noble meanings and causes. During his governorship in Chunghwa county 中和郡, he endeavored to perform his duties as a governor by publishing the books of famous Confucianists, such as Sokmunbom 『續文範』, Hanso choncho 『漢書傳抄』, Kunsarok 『近思錄』, and Yonghak sogui 庸學釋義, and settling down and propagating the Neo-Confucianism, the then national ideology, and by cultivating the custom. While in office in Tokwonbu 德源府, as a deputy official, he published wooden Kum hapchabo. There were time and spatial differences in An Sang`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Kum hapchabo. While in his office as a Chomjong 僉正 at Changagwon, the hapchabo Stoted in court Changagwon was not in a complete form; thus, he kept revising it and compiled Kum hapchabo. Keeping the old saying of Hyogyong 『孝經』in mind that there was nothing better than music in changing the custom, he published the beginner`s book for komun`go 玄琴, Kum hapchabo, for those who wanted to learn how to play komun`go in provinces but could not learn it due to a lack of instructors there. Moreover, he asked people to practice Confucius music theory through komun`go. The reasons for his publishing Kum hapchabo should be understood in tandem with the reasons for establishing various books in Chungbwa county the consolidation of Neo-Confucianistic social order and the enlightenment of the custom in provincial districts.

      • KCI등재

        노주(老州) 오희상(吳熙常)의음악적 배경과 음악관

        최선아 ( Sun A Choi )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3 No.-

        『오희상금보(吳熹常琴譜)』와 『노주집(老洲集)』의 음악 등에 관한 기록을 비교한 결과 『오희상금보』의 <진악해(進樂解)>에서 밝히고 있는 『오희상금보』의 편찬자 봉산초부 오희상(吳熹常)이 실제로는 노주(老洲) 오희상(吳熙常, 1763~1833)을 형상화한 가상인물이고 『오희상금보』가 노주와 관련된 거문고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희상금보』에는 노래 선율선의 윤곽을 알 수 있게 표기한 수파형(水波型) 악보(樂譜)와 가곡(歌曲)의 노랫말인 시조(時調)를 한역한 소악부(小樂府)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오희상 집안의 어른 옥소(玉所) 권섭(權燮)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오희상금보』에는 오희상 자신이 지은 소악부와 함께 처조카인 권돈인(權敦仁)과 교유한 자하(紫霞) 신위(申緯)의 소악부도 전하는데, 오희상의 소악부는 옛 노래의 노랫말을 한역한 반면에 신위의 소악부는 당시의 유행하는 노랫말을 한역한 점에서 오희상의 소악부가 신위의 소악부보다 앞선 시기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오희상은 장악원(掌樂院) 주부(主簿)와 정(正)을 역임하였는데, 그의 집안 인물과 교유인 중에는 장악원 관리를 지낸 인물들이 다수 있다. 이들의 음악적 관심이나 경험이 오희상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음악적 배경과 음악을 중시한 가학(家學)의 분위기에서 성장한 오희상은 거문고 연주에 있어서도 유가에서 말하는 신묘한 경지에 오르는 것을 지향하고, 당시의 음악적 문제에 대한 해답 역시 유가(儒家)의 경전에서 그 근거를 찾는 등 유가적 음악관을 지닌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ompared literatures about music in O Hui-sang kombo 『吳熹常琴譜』 and Nojuujip 『老洲集』. According to the results, Pongsan ch``obu 蓬山樵夫 O Hui-sang 吳熹常, the compiler of O Hui-sang kumbo whom the chinakhae 進樂解 in O Hui-sang kumbo reveals is, in fact, a fictitious character that embodies Noju 老洲 O Hui-sang (1763~1833) and O Hui-sang kumbo is kumun``go 거문고 manuscript having relevance to Noju. O Hui-sang kumbo 『吳熹常琴譜』 contains sup``a style 水波形 score marking the contours of a song``s melodies and also soakpu 小樂府, Korean translation from sijo 時調, the lyrics of songs. It seems that this was influenced by Okso 玉所 Kwun Sop 權燮 (1671-1759), one of the elderly in O Hui- sang``s family. O Hui-sang kumbo contains not only soakpu that O Hui-sang composed himself but also soakpu written by Chaha 紫霞 Sin Wi 申緯 (1769~1845) who exchanged with Kwon Ton-in 權敦仁 (1783~1859), his wife``s nephew. O Hui-sang``s soakpu must have written earlier than Sin Wi``s because O Hui-sang``s is Korean translation from an old song``s lyrics while Sin Wi``s is Korean translation from the lyrics of a song that was popular then. Meanwhile, O Hui-sang was appointed as Changagwon``s 掌樂院 chubu 主簿 and chong 正. Among the persons who exchanged with the figures in his family, there were many that were appointed as Changagwon``s officials. And their musical interest or experience must have influenced O Hui-sang significantly as well. We can see that O Hui-sang who grew up in this kahak 家學 atmosphere valuing musical background and also music must have been a figure who had Confucian view to music as he pursued reaching a mysterious state which Confucianism suggests in terms of playing the komun``go and also tried to find the ground of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music present at that time also from Confucian scriptures.

      • KCI등재

        16~17세기 한양사족의 금보 편찬과 음악적 소통

        최선아 ( Sun A Choi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6 No.-

        본 연구에서는 민간에 낱장으로 돌아다니는 단순한 형태의 악보가 아니라 악보집 형태의 금보가 처음 출현하는 16~17세기의 금보를 대상으로 하여, 편찬자의 출신 및 편찬 배경에서 보이는 동질의 성격과 금보를 통한 음악적 소통 양상을 논하였다. 16~17세기 금보 편찬자들에게 보이는 특징은 첫째, 금보를 편찬한 문인애호가들의 주거지가 ``京`` 즉 한양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금보 편찬이 한양사족의 문화 활동에 속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본인이 장악원 관리 출신이거나 가계에 장악원 관리 출신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장악원의 물적ㆍ인적 자원을 금보 편찬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셋째, 지방관으로서 관의 인적ㆍ물적 자원을 이용하여 목판본 금보를 만든 경우도 있었다. 이것은 민간에서의 금보 유통을 활발하게 하였다. 넷째, 금보의 유통과 확산을 통해서 음악적 소통이 이루어졌다. 이것은 새로운 금보의 탄생과 속악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다. This paper is about 16~17th centuries` Geumbo (a score of Geomungo, 琴譜) firstly emerged as a form of scores not as just simple ones scattered around, and it is discussed the same natures through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compilers and the aspects of musical communication through Geumbo. The feature of Geumbo compilers in 16~17th centuries is that firstly, residential areas of literary people who compiled Geumbo were centered to Hanyang (a capital city, 漢陽). This means Geumbo compilation belongs to cultural activities of noble families in Hanyang. Secondly, a compiler himself was an administrator of Jangakwon (national music agency, 掌樂院) or his family member was an administrator of Jangakwon. This was an advantage to use materials and human resources for compiling Geumbo. For third, sometimes a leader of a province used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to make Geumbo printed from a wood block. This brought an active circulation of Geumbo among people. Fourth, communication through music was made through the circulation and spread of Geumbo, which motivated the birth of Geumbo and the affirmative acceptance of Sokak(俗樂).

      • A Study on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Middle Oil through Cracking Wax Produced by Pyrolysis of Waste Plastics

        Sun-A Choi(최선아),Young-Doo Kim(김영두),Won-Jin Jeon(전원진),Kyong-Hwan Lee(이경환)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As a large amount of plastics are produced worldwide every year, the recycling rate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efforts to recycle plastics, but more than half are still not collected. Although the development of pyrolysis oil conversion technology using polymer waste has been actively promoted in Korea, few companies are currently operating due to shortage of technology and funds. A lab-scale continuous pyrolysis process has been built and studied to develop a commercial-scale continuous waste plastic pyrolysis process capable of producing high-quality pyrolysis oil.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production yield of middle oil (kerosene+diesel) through the further pyrolysis at 400~500℃ of low-quality wax, which accounts for about 30% of waste plastic pyrolysis products. Wax pyrolysis products were analyzed to identify chemical compounds.

      • 외국인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 한국어 교육 애플리케이션

        최선아 ( Sun-a Choi ),이화민 ( Hwa-mi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의 수도 급격히 많아지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이 많이 개발되어 졌지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애플리케이션의 수는 매우 적다. 이에 본 논문은 외국인 사용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설계·구현하였다. 한국어 어휘능력이 부족한 외국인을 주 대상으로 단어와 예문 및 시각적인 요소인 이미지와 청각적인 요소인 듣기를 결합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어휘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구현하였다.

      • KCI등재

        지역 축제의 전통음악 콘텐츠 활용 사례 분석

        최선아 ( Choi Sun-a ) 한국음악사학회 2022 한국음악사학보 Vol.68 No.-

        이 글에서는 지역 축제에서 전통음악 콘텐츠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전통음악을 활용한 지역 축제 종류는 ‘전통역사’와 ‘문화예술’로 대별된다. 축제의 성격이 과거 문화 활동의 재현이라면 ‘전통역사’로, 현재 문화 활동의 반영이라면 ‘문화예술’로 분류되었다. 이들을 주제에 따라서 세분해서 보면 ① 전통음악(자체) ② 궁중의례 ③ 세시풍속 ④ 전통음악 관련 인물ㆍ문학 ⑤ 지역문화제 등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들 지역 축제의 전통음악 콘텐츠 활용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화 재현에 전통음악을 활용할 때는 과거 음악의 충실한 재현과 더불어 현대적 해석이 더해져야 한다. 둘째, 전통음악은 지역의 새로운 문화예술창작의 소재로 활용되고 지역 축제는 창작국악과 퓨전국악팀의 중요한 무대가 되고 있다. 셋째, 전통음악 경연대회는 지역민이 참가하여 지역의 전통음악 정착과 생활화를 유도하거나, 국악인재를 발굴하여 공연기회를 제공하고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넷째, 전통음악을 주제로 하는 학술대회는 지역 전통음악의 보존ㆍ전승 및 활용에 필요한 학술적 토대를 구축하고 있다. 다섯째, 지역 축제의 성공과 정착을 위해서는 시민참여가 필수적인데 전통음악을 배우거나 전통악기를 만드는 체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문화체험 운영의 전략이 필요하다. In this paper, I analyzed cases of how traditional music contents are being used in local festivals. Local festivals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divided into ‘traditional history’ and ‘culture and art’. If the festival represents past cultural activities, it is classified as ‘traditional history’ and if it is a reflection of current cultural activities, it is classified as ‘cultural art’. The theme of the local festivals are divided into five categorization: ① traditional music ② reproducing the court rituals ③ seasonal customs of Korea ④ people and literature related to traditional music ⑤ other local cultural festivals. Analysis of the use of traditional music content at local festivals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hen using traditional music to reproduce traditional culture, modern interpretation should be added along with faithful reproduction of past music. Second, Korean traditional music is used as a material for new cultural and artistic creations in the region. Thus, regional festivals provide places for creative fusion kugak teams to present their artistic works. Third,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n the traditional music contests in order to encourage the settlement of local traditional music or to discover talents in traditional music field so that they can support creative activities and provide performance opportunities. Fourth, academic conferences with the the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stablish the academic foundation necessary for the preservation, transmission, and utilization of local traditional music. Fifth, Korean citizen’s participation is essential for the success and settlement of local festivals. Thus, strategies for cultural experience management is needed so that people can lear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learn how to make traditional instruments.

      • KCI등재

        Cr-Si-Al-N 코팅의 상형성 및 표면 물성에 미치는 Si 함량의 영향

        최선아(Seon-A Choi),김형순(Hyung Sun-Kim),김성원(Seong-Won Kim),김형태(Hyung-Tae Kim),오윤석(Yoon-Suk Oh) 한국표면공학회 2016 한국표면공학회지 Vol.49 No.6

        Cr-Si-Al-N coating with different Si content were deposited by hybrid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method consisting of unbalanced magnetron (UBM) sputtering and arc ion plating (AIP). The deposition temperature was 300℃, and the gas ratio of Ar/N₂ were 9:1. The CrSi alloy and aluminum targets used for arc ion plating and sputtering process, respectively. Si content of the CrSi alloy targets were varied with 1 at%, 5 at%, and 10 at%. The phase analysis,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al analysis perform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including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respectively. All of the coatings grown with textured CrN phase (200) plane. The thickness of the Cr-Si-Al-N films were measured about 2 ㎛. The friction coefficient and removal rate of films were measured by a ball-on-disk test under 20N load. The friction coefficient of all samples were 0.6 ~ 0.8. Among all of the samples, the removal rate of CrSiAlN (10 at% Si) film shows the lowest values, 4.827 × 10<SUP>−12</SUP>㎣/Nm. As increasing of Si contents of the CrSiAlN coatings, the hardness and elastic modulus of CrSiAlN coatings were increased. The morphology and composition of wear track of the films was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respectively. The surface energy of the films were obtained by measuring of contact angle of water drop. Among all of the samples, the CrSiAlN (10 at% Si) films shows the highest value of the surface energy, 41 N/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