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류 이상근 목사의 산상보훈의 평화사상 이해 -산상보훈의 - 평화, 사랑, 용서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김서준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2 신약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정류 이상근 목사의 산상보훈의 평화사상 이해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정류의 산상보훈 해석이 전체 한국교회의 산상보훈 이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랜 시간 한국교회의 영향력있는 목회자로 신학자로 산 정류의 해석을 연구하는 것은 당시 한국교회 신학의 한 단면을 보여줄 수 있다. 우선 본 연구는 정류의 산상보훈 평화 사상 이해를 살펴보기 위해서 평화, 원수사랑, 용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마태복음 5:9; 38-48; 6:12에 대한 정류의 주해와 강해를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정류의 산상보훈 해석에 나타난 몇가지 해석학적 특징을 다음의 세 가지로 제시한다: 1. 하나님과의관계 우선주의 2. 그리스도 신앙 중심, 3. 그리스도인, 신자의 윤리. 정류의 산상보훈 해석은 하나님의 선행하는 은혜와 구원, 그리스도를 통한 속죄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다보니 마태 고유의 신학적 경향인 제자들을 향한 윤리적 요구의 급진성과 절대성이 약화되고, 마태만이 가진 윤리적 언명의 특징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한계를 가진다. 또한 산상보훈을 철저히 교회를 위한 윤리적 강령으로 읽음으로써 산상보훈의 윤리적 교훈이 가진 보편성과 사회, 정치적 적용의 가능성이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정류는 산상보훈을 실현 불가능하다거나 단지 마음의 문제를 말하는 것으로 보지않고, 신자가 지켜야 할 행동 강령임을 명확히 한다. 그리고, 그 내용이 많지는 않지만 산상보훈의 평화, 사랑, 용서 본문을 일상에서의사람들 사이의 갈등 문제, 국가 사이의 분쟁과 전쟁과 연결시켜 풀어간다. 이러한 점은 그의 해석이 교회 중심적이긴 하지만 그 지평이교회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das Verständnis des Friedensgedankens in der Bergpredigt nach Jung-Ryu zu untersuchen. Obwohl Jung-Ryus Interpretation der Bergpredigt nicht das Verständnis der ganzen koreanischen Kirche von der Bergpredigt widerspiegelt, kann diese Studie der Interpretation von Jung-Ryu, der seit langem ein einflussreicher Theologe und Pastor in der koreanischen Kirche ist, einen Aspekt der damaligen Interpretation des Friedensgedanken der Bergpredigt innerhalb der koreanischen Kirche aufzeigen. Um das Verständnis von Jung-Ryus Friedensgedanken in der Bergpredigt zu zeigen, betrachtet diese Studie zuallererst seinen Kommentar und seine Predigten zu Matthäus 5,9.38-48 und 6,12. Als nächstes werden einige hermeneutische Grundzüge von Jeong-Ryus Interpretation der Bergpredigt herausgestellt. Sie lassen sich mit den folgenden drei Punkten charakterisieren: 1. Priorität der Beziehung zu Gott; 2. Zentrierung auf den christlichen Glauben; 3. Ethik der Christen und Gläubigen. Die Auslegung der Bergpredigt von Jung-Ryu tendiert dazu, Gottes vorausgehende Gnade und Errettung und die Sühne durch Christus zu betonen. Dadurch werden die Radikalität und Absolutheit der ethischen Forderungen an die Jünger, die Matthäus‘ eigene theologische Tendenzen sind, abgeschwächt und die für Matthäus einzigartigen Merkmale ethischer Aussagen können nicht angemessen vermittelt werden. Auch wird durch die gründliche Lektüre der Bergpredigt als ethischer Kodex für die Kirche die Universalität und das gesellschaftliche und politische Anwendungspotential der ethischen Lehre der Bergpredigt nicht genügend hervorgehoben. Jung-Ryu sieht die Forderungen der Bergpredigt jedoch nicht als unmöglich oder nur als Herzensangelegenheit an, sondern macht deutlich, dass es sich um einen Verhaltenskodex handelt, an den sich Gläubige halten müssen. Und obwohl es nicht viel davon gibt, bezieht sich seine Interpretation des Textes von Frieden, Liebe und Vergebung in der Bergpredigt nicht nur auf Konflikte zwischen Menschen im Alltag, sondern auch auf Konflikte und Kriege zwischen Nationen, obwohl seine Interpretation kirchlich ist. Das zeigt, dass der Horizont doch nicht nur auf die Kirche beschränkt bleibt.

      • KCI등재

        바울의 복음과 다문화적 상황

        권연경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8 신약연구 Vol.17 No.1

        This paper is an investigation of the universalistic and inclusive nature of Paul’s gospel in light of the rapid multi-cultural changes Korean society currently faces. After a brief discussion of the multi-cultural situation of the first-century Judaism, and of the early Christianity which grew out of it, it goes on to describe Paul’s about-face from a Jewish nationalistic enthusiast to an ardent advocate of Christian Gentile mission. Then follows a brief review of the two interpretive trends in Pauline scholarship, the traditional and the so-called ‘New Perspective,’ with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context of Paul’s apostolic mission. The next major section explicates how Paul’s presentation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is guided by the social and pastoral needs of the day. It highlights in particular how Paul, by way of contextual expositions of the truth of justification by faith, brings out the equality of Jews and Gentiles in Christ. The next section argues that Paul’s policy of inclusiveness is not just a pastoral exigency but necessary consequence of his gospel itself; the grace-ful nature of the gospel necessitates that it has to be open to everyone who comes to Christ in faith. This is followed by the final section which shows how the inclusive logic of Paul’s gospel is borne out of the conviction that the gospel of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is the only genuine manifestation of God’s creative power of life which, for that very reason, overrides and nullifies all human, worldly, conditions and values which lack such power. The study concludes with a brief reflection 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its major thesi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이 연구는 한국 사회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급격한 다문화적 변화를 염두에 두고, 바울의 복음이 가진 보편적이고 포용적인 성격을 살펴보려는 시도다. 우선 일세기 유대교 및 거기서 자라나온 초대교회의 다문화적 상황을 간략하게 묘사한 후, 열광적 민족주의자에서 기독교적 이방인 선교의 열렬한 옹호자로 변화한 바울의 모습을 살펴본다. 그리고 바울의 선교에 있어 사회적 맥락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바울 연구의 두 큰 흐름인 전통적 관점과 새 관점을 간략히 개관한다. 다음 단락에서는 바울의 이신칭의 교리가 어떻게 당시의 사회적, 목회적 필요에 이끌리는지 살펴본다. 여기서는 특별히 바울이 어떻게 이신칭의 교리를 상황적으로 풀이하면서 유대인과 이방인의 평등이라는 결론을 도출해 내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다음 단락에서는 바울의 포용 정책이 단지 목회적 필요의 산물이 아니라 그가 선포한 복음 자체의 필연적 결론이었다는 주장이 제시된다. 은혜에 기초한 복음은 믿음으로 그리스도에게 나아오는 모든 이에게 개방된 것일 수밖에 없다. 마지막 단락에서는 바울 복음의 포용적 논리가 그의 복음적 신념, 곧 십자가와 부활의 복음만이 하나님의 창조적 능력에 대한 진정한 표현이라는 신념으로부터 흘러나온 것이라는 사실을 논증한다. 하나님의 창조적 능력이라는 점에서 복음은 생명의 능력을 갖지 못한 일체의 인간적 조건과 가치를 넘어서며 이를 무효화한다. 연구의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 논지가 한국의 사회와 교회에서 어떤 함의를 갖는지 생각해 본다.

      • KCI등재

        [번역논문] 정류(靜流) 이상근 박사의 그리스도론

        헤르만 리히텐베르거(Hermann Lichtenberger)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3

        정류 이상근박사는 신약성경과 구약성경 그리고 외경까지 주석함으로써 한국 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Jae Woog Bae, Summary, 32, 46, 59, 66) 정류와 슐라터(Adolf Schlatter)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비슷하다. 두 사람 모두 기본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으로 규정된다. 정류와 슐라터 사이의 중요한 공통점이 마태복음 주해에서 나타난다. 정류에게 마태복음이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리스도론 진술 외에도 교회론적인 진술이 마태복음에 발견되기 때문이다. 정류의 많은 작품은 한국의 끔찍한 시대에 만들어졌다. 그의 성경 주석은 세속화 시대(Zeitalter der Säkularisierung)에 오늘날 한국 교회를 위한 길이 될 수 있다.(Summary, 32) “한국교의 회복과 갱신은 성경으로 돌아가는 데 있다.”(Summary, 37) 그래서 오늘날 한국 교회가 나아야할 길에서 그리스도론적인 진술이 가장 중요하다.(Summary, 35) 정류가 ‘대승 불교’(Mahayana-Buddhismus)와 토론하기 위하여 요한복음을 선택한 것은 이치에 맞다. 요한복음은 예수의 세례 그리고 수난과 부활에서 공관복음과 여러 면에서 일치하지만, 많은 세부 사항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그것은 요한복음에서 그리스도론적인 칭호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것과 연관된다. 그 다양성은 특정한 전통적-역사적인 맥락에서 나타나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은 다른 기능을 표현한다. 요한복음은 신학적인 발전의 정점(頂點)에 있고 정류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정류는 석사 학위 논문에서 ‘하나님 상’을 다루었고 박사 학위 논문에서 ‘요한복음의 예수와 대승 불교의 부다’를 비교했다. 정류는 대승 불교의 정교(精巧)한 교리와 대조하고자 요한복음을 선택하여 요한복음에 통일되게 나타나는 ‘고기독론’을 명확히 이해했다. 정류는 요한복음의 발전된 그리스도론을 대승 불교와 비교 연구하여 요한복음의 그리스도론을 명확하게 하고자 하였다. 요한의 그리스도론은 예수의 존엄성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인상적으로 배타적이다. 정류는 요한복음의 아버지의 개념과 관련하여 친자(親子)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친자(親子) 관계’의 근거는 하나님이 ‘아버지 되심’에 있다. 예수의 아들되심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유일무이하고 아버지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류는 우리에게 신적인 영광으로 비교할 수 없는 방식으로 요한복음에 나타난 예수를 보여주었다. 그것에 대하여 우리는 정류에게 매우 감사한다. 정류는 그의 모든 주석을 교회란 관점에서 연구하여 성경신학과 실천 신학적인 관점에서 예수를 선포했다는 점에서 교회를 위한 신학자였다. Jung-Ryu(靜流) Dr. Sang Kun Lee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theology through his commentaries on the New Testament, the Old Testament, and the Apocrypha. (Jae Woog Bae, Summary, 32, 46, 59, 66) Jung-Ryu and Adolf Schlatter are similar in various perspectives. They are basically defined as conservative tendencies. An important commonality between Jung-Ryu and Schlater appears in the com-mentary on Matthew. The Gospel of Matthew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Jung-Ryu. Because in addition to the Christological statements, ecclesiological statements are found in Matthew’s Gospel. Many of Jung-Ryu’s works were made during the confusing times of Korea(1960’s). His biblical commentary could be the solution for the Korean church today in the era of secularization (Zeitalter der Skularisierung). (Summary, 32) The restoration and renewal of Korean Church lies in returning to the Bible (Summary, 37). The Christological statemen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path to be restored (Summary, 35) It makes sense that Jung-Ryu chose the Gospel of John to discuss with ‘Mahayana-Buddhismus’. The Gospel of John is in many ways consistent with the Synoptic Gospel in Jesus baptism and in Passion and Resurrection, but in many details it is out of harmony. It is associated with the diversity of Christological titles in the Gospel of John. Its diversity emerges in a specific traditional-historical context, and on the other hand it discloses a different function. The Gospel of John is at the peak of theological development and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for rectification. In his master s thesis, Jung-Ryu dealt with ‘The Statue of God’ and in his doctoral thesis, he compared ‘Jesus in John’s Gospel and the Buddha in the Great Buddhism’. Jung-Ryu chose the Gospel of John in order to contrast with the elaborate doctrine of Mahayana Buddhism, for clear understanding of high-christology that unified in the Gospel of John. In addition, Jung-Ryu tried to clarify the Christology of John’s Gospel by comparing and studying the developed Christology of John s Gospel with Mahayana Buddhism. John’s Christology is impressively exclusive in describing the dignity of Jesus. Jung-Ryu talks about paternity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father in John s Gospel. God s Father is the basis for the paternity of Jesus Christ. Jesus’ sonship is unique and determined by the Father in his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Jung-Ryu showed us Jesus according to the Gospel of John, with divine glory in an incomparable way. For that we are very grateful to Jung-Ryu who was a theologian for the church, also studied all his commentar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church and also proclaimed Jesus from the viewpoint of biblical and practical theology.

      • KCI등재후보

        Did David Have in Mind the Meaning That Hebrews Would Assign to It?

        이강택(Kangtaek Lee)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1 신약연구 Vol.10 No.4

        신약의 구약인용은 많은 복음주의 학자들에게 난점을 야기 시켜 왔다. 히브리서 10:5-7은 해석학적으로 이러한 난점을 일으키는 신약성경 구절가운데 하나이다. 히브리서 저자는 시편 40:6-8을 인용하고 있는데, 시편저자의 강조점과 히브리서 저자의 강조점이 달라 보인다. 시편에서는 순종에 대한 강조가 있는데 반해 히브리서 저자는 구약의 속죄제사와 비교하여 그리스도의 완전한 속죄를 강조하고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화자가 다윗에서 그리스도로 변화되었다. 다른 말로하면, 히브리서 저자는 마치 그리스도가 그곳에서 말하는 것처럼 시편 40편을 읽는다. 이러한 히브리서 기자의 구약성경 읽기는 복음주의자들이 강조해온 소위 문법적-역사적 성경읽기와 다소 거리가 있는 것이다. 중요한 질문은 어떻게 그리고 왜 히브리서 저자는 이러한 해석학적 독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인가? 우리는 그가 영감 받은 저자이기 때문에 그의 이러한 해석학적 이해가 예외적이라고 말함으로써 난점을 피해갈 수 있는가? 오히려 이러한 신약성경 기자의 구약 읽기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설명할 방법은 없는가? 그리고 이러한 신약성경기자의 구약성경 읽기는 우리의 구약성경 독법에 어떠한 빛을 던져줄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을 염두에 두고, 본 소고의 첫 번째 부분에서 우리는 히브리서의 본문을 칠십인역과 마소라 텍스트의 본문과 비교한다. 그리고 시편의 원래 본문에서 이 구절이 무엇을 의미했는지 소위 역사적-문법적 해석을 시도한다. 그 후에 히브리서 저자의 본문인용을 위에서 제기되었던 질문의 빛 아래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히브리서 저자의 해석학적 작업을 제2성전기 유대교의 빛 아래에서 이해하려 시도한다. 본 논문이 살펴본 대로 히브리서 저자의 시편 인용은 동시대의 유대교 구약해석방법과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다른 점이 있다면 구약이 기대했던 바가 예수에게서 완성되었다는 새로운 해석학적 관점을 가지고 히브리서 저자는 마치 예수가 시편의 실제 주인공인 것처럼 구약을 읽는다는 것이다(그리스도 완결적 구약읽기[Christotelic rereading of the OT]). 이러한 해석학은 카이저가 주장하는 것처럼 구약 안에서 자체적으로 논증 가능한 것이 아니라, 예수 안에서 유대인들이 기대했던 종말, 즉 하나님의 나라가 임했다는 신념이 있었기에 가능한 새로운 종류의 해석학인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혼합주의와 한국 교회

        송영목(Young Mog Song)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09 신약연구 Vol.8 No.3

        This article probes the syncretism(or compromising behavior) caused by the false teachers and the opponents in the book of Revelation. John clearly sees a serious problem with what Christians are doing in accommodating themselves to the Greco-Roman lif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yncretism which threatened John's audiences, firstly the writing date of Revelation and the historical setting of John and his audiences should be cleared. Then, the expressions and themes connected with syncretism(for example, the Nicolaitans, Balaam, Jezebel, the synagogue of Satan, hearing formula, parody) need to be analyzed. John's answers against the syncretism are shown in various ways. John tries to reject it by suggesting the true kinsman relationship with Jesus to his audiences(Rev. 19:7). And John also attempts to convince his audiences with the dualistic world views in which the seven churches are persuaded to make the right choices. In Revelation, several dualistic contrasts come to the fore as follows: the bride-the harlot(Rev. 17:1; 21:9), honor-shame, eternity-temporality, patron-client, and insider-outsider. The audiences might have overcome the syncretism by recognizing the essence of the parody by evil powers(for example, the harlot Babylon, beasts, dragon). Moreover, the churches must have rejected the false prosperity and temporal peace promised by the compromisers in spite of seduction and persecution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is similar with that of the seven churches in Asia Minor. Then, what is the way for the Korean church to overcome the modern syncretism? What can the Korean church learn from John's prescription? How can the Korean church as a nonaccommodating Christians establish her boundaries the secular and compromised society?

      • KCI등재

        『새한글성경』 신약성경에 관한 고찰

        김주한(Joohan Ki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1 신약연구 Vol.20 No.4

        본 논문은 2021년 말에 출판된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이하, 『새한글성경』) 을 연구한다. 이 성경은 2011년 이래로 약 10여 년간 39명의 학자들의 노고의 산물이다. 다만, 구약성경 없이 신약성경 전권과 시편만 출판되었다. 총 865쪽 중 652쪽의 분량을 차지하는 『새한글성경』 신약성경은 “젊은이들”을 위해 원문에 충실하면서 한국어 어법이 허용하는 한 ‘새롭고 참신한 용어와 방식“으로 번역되었다(머리말). 이를 위해 16가지의 원칙(“번역특징”)을 기준으로 번역되었다. 그 결과 『새한글성경』은 성도들(특별히, 젊은 세대)에게 보다 친근한 한국어 표현으로 성경을 읽을 기회를 제공했다. 하지만 『새한글성경』의 가장 큰 기여는 최신 헬라어 성경 UBS5/NA28을 번역 대본으로 삼은 것이다. 2012년에 출간된 NA28에 ECM 공동서신 본문이 편입되면서 NA28은 이전의 판본과 다른 읽기 본문을 제시한다. 정식 번역이 없었기에 그간 깊이 다뤄지지 못했던 본문의 변경의 중요한 주제를 『새한글성경』가 번역됨으로 논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새한글성경』에 번역상의 의문점들(번역기법, 문학형식, 문장형식, 용어선택, 신약성경 목록명의 처리)이 없는 것은 아니다. 특별히, 용어선택은 재고가 필요하다. 다만, 『새한글성경』의 머리말이 밝히듯, 본 번역은 예배용을 위해 준비된 것이 아니기에 새로운 시도가 의의가 있을 수는 있다. 더불어, 구약성경이 출판되어 합본 되기까지 시간이 있기에 교정을 거쳐 완성되길 기대해 본다. This article studies New Korean Translation: The New Testament and Psalms(subsequently, NKT) that was published around the end of this year. This translation is the result of thirty-nine scholars’ efforts for about the last 10 years since 2011. However, the New Testament and Psalms were published without the Old Testament. The NKT New Testament, which accounts for 652 pages out of a total of 865 ones, was translated for the “young” generation with “new and proper terms and methods” as long as the Korean grammar allows it while faithful to the Vorlage(preface). For this purpose, the NKT was translated based on the sixteen principles of translation(“transla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NKT has provided the believers(especially, the younger generation) with an opportunity to read the Bible in a more friendly Korean. But the greatest contribution of the NKT to Korean Christianity is that it was translated on the basis of the newest Greek New Testament edition UBS5(=NA28). With the incorporation of the Catholic Epistles of ECM into NA28, both NA28 and UBS5 turned to present different readings from previous Greek New Testament editions. With the translation of the NKT, the changes of the text, which had not been deeply dealt with due to no official translation, were able to be discussed. Despite its advantages, the NKT has some translational questions(e.g. translation technique, literary format, sentence form, term selection, and the catalog of book names). In particular, terminology requires rethinking. But, as the preface of the NKT states, this translation is not for public worship, and so a new attempt of this translation may be considerabl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translation will be completed through proof-reading before the entire Bible of NKT will be published since there is time for the publication of the Old Testa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