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洪業(William Hung)이 구축한 杜詩 읽기의 새로운 방법론

        최석원 ( Choi¸ Seokwo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文學 Vol.108 No.-

        This study considered William Hung’s reading of Du-fu’s poems, who stoo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o examine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ime and space. As can be seen from the early evaluation of Du-fu presented by Liang-Qichao, the evaluation of modern Du-fu’s poems shows a different aspec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period. William Hung attempted to identify the creative date of Du-fu’s work and index the Du-fu’s works, reflecting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Du-fu’s poetry after modern times, and a new academic trend in the West. It is said that this led to changes in reading Du-fu’s poetry,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s.

      • KCI등재

        서양의 唐詩 번역 양상 고찰 ― 20세기 전반기 英譯 唐詩選集을 중심으로

        최석원 ( Choi Seokwon )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3 No.-

        19세기 진행된 일련의 唐詩 英譯은 극히 일부분이거나 전문적이지 못하다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는 데 반해 20세기 唐詩 英譯은 양적인 증가는 물론 唐詩 번역의 전문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만하다. 본고는 이렇듯 唐詩 英譯이 활발했던 20세기 전반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서양에서의 唐詩 읽기의 양상과 이에 대한 인식의 일면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세기 초에 간행된 英譯 唐詩選本들의 문헌 상황에 대해 개괄하고 그중 지금껏 唐詩 번역의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관련 문헌 2종, Gems of Chinese Verse와 The Jade Mountain, A Chinese Anthology: Being Three Hundred Poems Of The Dang Dynasty 618-906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함께 唐詩 번역의 구체적인 사례 가운데에서도 고유명사에 대한 번역의 경향성을 통해 중국과 서양이 지닌 ‘시’에 대한 인식 차이의 일면을 확인하였다. English translation of 19<sup>th</sup>-century Tang poems is exposing the limitations of being unprofessional. However, in the 20<sup>th</sup> century, the English translation of Tang poems increased quantitatively, and the translation of Tang poems was special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aspects of Tang poetry reading in the West and aspects of perception of the Tang poetry, using the first half of the 20<sup>th</sup> century as a research subject. To this end, I summarized the bibliography of the domain books published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and reviewed two related documents, Gems of China Verse, and The Jade Mountain, A Chinese Anthology: Being Three Hundred Poems Of The Dang Dynasty 618-906, which have been influential in translation at the time.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oetry between China and the West was confirmed through the tendency of translation of proper nouns among Tang poetry translation.

      • KCI등재

        정재호(1971-)의 회화, 건축과 아카이브의 기억술

        최석원(Choi Seokwon)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3

        정재호는 도시의 노후 건축물을 화면 전면에 내세운 ‘건축물 회화’를 중심으로 작품 세계를 구축해 온 작가이다. 그는 1960, 70년대에 세워진 특정 건축물들을 개발독재 시대의 표상으로 보고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며 정확하게 그려 왔다. 그는 신세대 동양화가로서 동양화의 소재와 기법의 확장을 시도한 서울 야경 그림을 선보이며 데뷔했다. 2000년대 초중반 그는 도시 문제에 실천적으로 개입했던 현대미술의 흐름과 도시 건축물에 관한 사회학 연구 등에 영향을 받아 건축물 회화에 천착하게 된다. 도시 건축물을 분석적으로 파악하여 재현하고자 하는 그의 의도는 파사드 중심의 구도, 사실적 묘사, 인위적 구성 등의 조형적 특징으로 귀결되었다. 2010년을 전후하여 정재호는 건축물 회화와 병행하여 ‘아카이브 회화’라고 부르는 작품군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아카이브 회화는 60, 70년대의 기록물에서 수집한 시각 자료를 회화로 옮긴 연작 성격의 작품이다. 그는 아카이브 회화를 통해 현대사의 파편적 이미지들을 재배치하고 대안적 내러티브를 구축하여, 국가 주도의 무분별한 산업화, 도시화를 비판하는 건축물 회화의 주제를 한층 강화했다. 정재호는 건축물 회화와 아카이브 회화를 두 축으로 삼아 현재를 구성하고 있는 한국 현대사를 회화적으로 재구축해 오고 있다. Jae Ho Jung is best known for his ‘architectural painting’, which depicts ordinary urban buildings. He painted modernist architecture built in Seoul during the 1960s and 1970s as a way of criticizing rapid state-driven modernization by the military regime. While working on his MFA degree, Jung painted cityscapes, which were mostly night views of Seoul. In the early 2000s, his interest in cityscapes evolved to urban buildings after encountering new art trends that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and urban issues. His artistic process in painting architecture involved research on specific sites and studies on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Korea. Around 2009, Jung began a new series of paintings called ‘archival painting.’ His archival painting is characterized by the photographs and objects he collected from the 1960s to the 1980s and their application as a medium, while simultaneously selecting and painting scenes from his archives. His archival paintings, coupled with architectural paintings, are a pictorial means to reconstruct modern Korean history.

      • 탐색 윈도우 기반의 멀티 로봇 충돌 방지 방법

        최석원(Seokwon, Choi),문석준(Seokjun, Moon),오정현(Junghyun, Oh)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멀티 로봇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경로를 계획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여러 대의 로봇이 동시에 임무를 수행하다 보면 서로의 경로가 겹치는 경우가 생겨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멀티 로봇이 동시에 주행할 때 다른 로봇과의 충돌을 회피하는 경로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먼저 A* 알고리즘에 탐색 윈도우 적용한 경로를 생성한 후, 경로 생성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각각의 로봇이 충돌을 회피하는 경로를 생성하도록 한다. 제안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ROS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성공적으로 각각의 로봇이 충돌을 회피하고 주행하였다.

      • KCI등재

        행락(行樂)과 삼교합일(三敎合一)의 초상: 증경이 그린 오몽양, 왕시민, 옹덕홍

        최석원 ( Seokwon Choi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2 No.-

        증경(曾鯨, 1564-1647)이 그린 초상화는 명말(明末) 강남(江南) 지식층을 일관되게 은자(隱者)로 형상화하고 있다. 명청(明淸)대의 비평가들은 안면 묘사의 사실성에 집중하여 증경의 초상화를 비평했지만, 정작 증경이 초상화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강남 지식층의 은일은 얼굴이 아닌 배경, 복식, 자세 등을 통해 파악된다. 요컨대 증경의 초상화는 강남 지식층의 은일을 자연 속에서의 ‘행락(行樂)’으로 표상하고 있으며, 강남의 은자들이 내면화했던 ‘삼교합일(三敎合一)’적 성향을 형상화하기도 했다. 산수 배경을 포함하고 있는 〈오몽양(吳夢暘)초상〉과 〈옹덕홍(翁德洪)초상〉은 증경이 표현해 낸 강남 지식층의 은일이 자연 속에서의 ‘행락’에 다름 아니었음을 보여 준다. 증경이 금릉(金陵)에서 그렸던 〈오몽양초상〉은 당시에 ‘행락도’로 인식되기도 했다. 금릉 현지의 산수화가인 호종신(胡宗信)이 그린 〈오몽양초상〉의 산수 배경은 이 작품의 제작지로 명기된 청계수각(靑溪水閣)의 풍광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계수각은 오몽양이 금릉시사(金陵詩社)의 구성원들과 함께 시회(詩會)를 열고 행락했던 장소로서 오몽양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공간이었다. 한편 〈왕시민(王時敏)초상〉과 〈옹덕홍초상〉에서 증경은 은일 지향의 강남문인이 체화(體化)하고 있던 유불도(儒佛道)의 융합, 즉 ‘삼교합일’을 인물의 복식과 자세를 통해 표현했다. 증경은 왕시민을 포단(蒲團) 위에 앉아 불자(拂子)를 들고 좌선(坐禪)하는 재가 불교 신자로 그렸다. 이는 왕시민 개인의 신앙을 반영한 것일 뿐만 아니라 도사(道士) 담양자(曇陽子)를 배출했던 태창(太倉) 왕씨 집안의 내력 그리고 이러한 종교적 성향이 표현된 가전(家傳) 초상화의 전통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증경의 초상 속에서 평적각(平閣) 주변의 산수를 배경으로 치의(緇衣) 차림으로 여의(如意)를 들고 있는 옹덕홍의 모습은 유불도에 통달한 군자가 ‘행락’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This essay proposes that portraits by Zeng Jing (1564-1647) embody Jiangnan (south of the Yangtze River) literati’s eremitic aspirations, illuminating the ways in which the literati visually constructed their reclusive personae. The sitters’ clothing, props, postures, and landscape settings in Zeng’s portraits functioned as visual signifiers of the political disengagement and reclusive lifestyle that his sitters pursued. Zeng’s portraits of Wu Mengyang (1545-ca. 1615) and Weng Dehong (?-1646) exemplify these ideals shared by the artist and his sitters. Zeng employs the conventional scholar-in-landscape composition, with the help of local specialists in landscape painting, in order to emphasize the sitter’s leisure activity (xingle). Thus, contemporary Ming viewers regarded Zeng’s portrayal of reclusive figures in nature as inheriting the tradition of xingle tu (painting of leisure activity). Zeng’s subtle use of Buddhist and Daoist iconography shows how archaism and syncretism permeated the literati’s ethos of reclusion. For instance, Wang Shimin’s (1592-1680) flywhisk and rush mat as well as Weng Dehong’s ruyi scepter and black robes point to the Buddhist and Daoist inclination of these two Confucian scholars. These visual motifs in Zeng’s portraits testify to the fact that late Ming syncretism deeply affected the literati’s practice of reclusion.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소학교의 한시(漢詩) 교육과 한국의 중국어교육과의 연계성 모색

        최석원 ( Choi Seokwon ) 중국어문연구회 2017 中國語文論叢 Vol.0 No.84

        The study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actical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o seek various ways of teaching foreign language. So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system using chinese classical poems. Of course, several studies have already raised questions about the use of literary text in teaching foreign language, but most of them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Chinese cultural education. In the study explored how poetry was utilized in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s, and sought link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it was found that the Chinese classical poem was being used not only for literary and artistic purposes but also for the purpose of language proficiency. In this regard, it confirmed that the Chinese classical poem can be used to improve Chinese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Chinese language proficiency and mutual Chinese cultural understanding. It will not only make sense to realize the diversity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but it will also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