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의일발’에서의 ‘일발’에 대한 고찰: 발우의 구성 갯수를 중심으로

        최복희(Bok Hee Choi)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4 No.-

        ‘삼의일발三衣一鉢’에서의 ‘일발’은 ‘하나(one)’라는 단수인지, 또는 몇 개로 구성된 ‘한 세트(one set)’인지 분명하지 않다. 왜냐하면, 현재 탁발을 하는 남방불교권에서는 ‘한 개의 발우(one bowl)’를 사용하고 있지만, 중국 등의 북방불교권에서는 ‘4개가 한 세트(four bowl one set)’인 합발우(合鉢盂)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의문점에 대하여 한역경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선, ‘일발’이 ‘한 개의 발우(one bowl)’로 나타난 것은 두 가지 경우이다. ‘오직 일발(only one bowl)’과, ‘사발(four bowl)이 합쳐진 일발(one bowl)’이다. 첫 번째의 ‘일발’은 붓다께 수자타가 유미죽과 함께 공양한 발우이며, 이는 『보요경』을 비롯한 많은 경전에서 설하고 있다. 그런데, 수자타의 공양 시점이 경전에 따라서 성도 전과 성도 후로 나누어진다. 때문에 수자타 발우의 성격은, 성도 전이면 승발(僧鉢)이며, 성도 후이면 불교 최초의 불발(佛鉢)이 되는 것이다. 두 번째의 ‘사발이 합쳐진 일발’에도 두 가지 경우가 있다. 하나는 수자타 발우와 과거삼불의 발우이며, 다른 하나는 싯다르타의 성도 후 사천왕들이 공양한 발우이다. 수자타 발우가 과거삼불의 발우와 합쳐져서 하나가 되었다고 하는 설화는 『불설태자서응본기경』에만 나타나고 있으며, 사천왕 발우는 『오분율』 등의 경전에 보인다. 한편, 3합과 4합 등의 합발우는 『마하승기율』 『십송률』 『오분율』 『사분율』 등의 율전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들 율전이 집성되었을 시기에 승단에서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사분율』에는 3합, 4합 발우 이외에도 대소(大小)의 2종 발우도 등장하고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논자로서는 명확하게 이유를 밝힐 수는 없지만, 다만 한 가지 합발우의 발생은 『사분율』을 사용한 법장부에서부터 시작된 것이 아닐까라고 여겨진다. 율장에 나타난 합발우의 발생 배경은 음식 및 발우 등과 관련하고 있다. 첫째, 음식과 관련하여, 붓다 당시에 음식물을 승가 안에서 조리하는 내자(內煮. anto pakkam)가 있었다. 이는 비구니스님들의 부득이한 사정이 발생하였을 경우 등에 행하여졌는데, 이때, 자연스럽게 여러 개의 발우가 사용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음식물을 조리하는 내자는 일시적인 것이었으며, ‘탁발에서 밥을 절에서 지어먹는 형태로 변환된 것’이라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 둘째, 발우와의 관련성은 발우 자체를 공양받는 경우이다. 여분의 발우는 10일 이상 지닐 수가 없었다. 물론, 여분의 발우를 소유할 수 있었던 것을 합발우의 배경으로 볼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은 남는다. 다만, 여분의 발우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에, 승가에서는 구하기 힘든 치료약 등을 보관해야할 때, 보관이 용이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은 불가피한 저장에 대한 필요성은 합발우의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It is not clear whether ‘1container’ in ‘3clothes-1container (三衣一鉢)’ is a singular ‘one’ or ‘one set’ consisting of several. Because, while ‘one bowl’ is currently used in the southern Buddhist area where there is a practice of mendicancy, it is because they use ‘comprehensive Balwoo’ (合鉢盂) which is one set of four bowls in the northern Buddhist area of China and others. This question is examined in the context of a Chinese translation-Buddhist scriptures First, there are two cases in which ‘1container’ appears as ‘one bowl’. There are ‘only one bowl‘ and ‘1container (a set)’ where ‘four bowls’ are combined. The first ‘1container’ is the Balwoo, which Sujata provided food with Yumijuk to the Buddha, and it is mentioned in many scriptures including “Boyogyeong(普曜經)”. However, Sujata‘s food providing point is divided into before Enlightenment and after Enlightenment depending on the scripture, and so therefore, the nature of Sujata Balwoo, if it is before Enlightenment then it is ‘Seungbal’ (僧鉢), and if it is after Enlightenment, it becomes the first ‘Bulbal’ (佛鉢) in the Buddhism. There are also two cases in the second case of “1container” combined with ‘four bowls’. One is Sujata Balwoo and The past three Buddha Balwoo, and the other is the Balwoo, after the Enlightenment of Sakyamuni, where the Four Heavenly Kings provided food. A tale that Sujata Balwoo and The past three Buddha Balwoo are combined into one Balwoo appears only in “Bulseoltaeja- seoeungbongigyeong(佛說太子瑞應本起經)”, and Balwoo of Four Heavenly Kings appears in scriptures including “Obunryul (五分律)”. On the other hand, as comprehensive Balwoo such as 3hap and 4hap is shown in Codes of Laws such as “Magaseunggiyul(摩訶僧祇律)”, “Sipsongryul(十誦律)”, “Obunryul”, and “Sabunryul”, etc., it can be seen that these Codes of Laws were used in the Buddhist Order at the time when they were assembled. Meanwhile, one interesting point is that in “Sabunyul” there are two types of Balwoo, big and small in addition to 3hap and 4hap Balwoo. Although I cannot clearly explain the reason for this point in the study, but the occurrence of one comprehensive Balwoo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Beopjangbu using “Sabunyul”. The background of the occurrence of comprehensive Balwoo in Vinaya-piṭaka is the relation between food and Balwoo. In relation to food, there was an anto pakkam (內煮) cooking food in the temple at the time of Buddha, but it should be noted that it was temporary and should not be judged as ‘mendicancy converted into a form of cooking and eating steamed rice in a temple’. The association with Balwoo is when Balwoo itself is being provided with food, and the extra Balwoo could not have been possessed for more than 10 days.

      • KCI등재후보

        동양철학에서 기(氣) 개념과 심신(心身) 이론의 현대적 의미

        최복희(Choi, Bok Hee)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5 생명연구 Vol.38 No.-

        본 논문은 한국의 전통 철학을 기반으로 한 동양의학에서, 마음과 몸을 어떻게 해석하고 실제로 마음과 몸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현대철학 및 과학의 관점에서 볼 때 전통적 방식으로 몸과 마음을 다루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현실적 윤리적 차원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마음과 몸의 개념에 관하여 동양의학에서는 기(氣) 혹은 혈기(血氣)를 주요개념으로 하는 관점을 수용하였다. 인간의 몸과 마음은 모두 기(氣)로 이루어져 있어서 기의 흐름과 상태에 따라 몸과 마음의 상태가 결정되기 때문에, 몸과 마음의 질병을 치료하는 것은 기의 흐름 과 상태를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것을 동양의학에서는 정기(精氣), 경락(經絡)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장부(臟腑)의 치료에 적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① 동양의학의 기반이 되는 기(氣)란 무엇인가 ② 동양의학에서 수용한기(氣)를 핵심으로 하는 심신일원론(心身一元論)은 현대철학 및 과학의 연구 성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어떤 점에서 타당성을 찾을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소결론에서 그것을 치료에 적용하는 것이 어떤 효용을 가지며, 혹 현실적으로 윤리적 난제는 없는가에 대하여 소략하게 논의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review, in Oriental medicine based on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Korea, how to interpret mind and body and actually deal with them, and discuss, from the point of view of modern philosophy and science, whether the traditional methods have any problems in the real ethical dimension. In oriental medicine, about the concept of the mind and body it was accommodated the views of key concepts Gi(氣) or the energy(血氣). Because the human body and mind are both composed of Gi(氣) and bas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and status of the Gi. So they determine the state of the mind and body and to treat diseases of the mind and body should be considered their flow state by default. Therefore, this paper will discuss ① what is Gi(氣) ② whether the mind-body monism(心身一元論), when viewed in the light of modern philosophy and science research results, has a feasibility to apply and has some utility. I will also discuss the practical ethical challenges that it’s facing actually.

      • KCI등재

        성리학 인성론으로 본 포스트젠더리즘

        최복희(Choi Bok-Hee)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1 No.-

        필자는 포스트젠더리즘에 대한 동아시아 전통철학인 성리학적 성찰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성리학적 성찰은 포스트휴먼 시대의 성리학적 인간관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포스트젠더에 대한 동아시아 관점의 연구를 시작한다는 의미를 모두 갖고 있다. 포스트젠더리즘은 과학기술이 성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역할에 근본적 영향을 끼침으로써 성의 이분법적 구도로부터의 우리를 해방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기술을 통해 생물학적 성과 심리적 성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사회적 성으로부터도 완전히 해방될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주요한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젠더리즘은 근대적 젠더 정체성으로부터의 탈피가 젠더 문제를 해결하는 출발점이라고 지적한다. 둘째, 다양한 포스트젠더리스트들의 주장들에서 발견되는 공통점 중 하나는 바로 젠더의 이분법적 구도를 부정한다는 점이다. 셋째, 포스트젠더의 개념 자체가 비결정적이라는 점 또한 하나의 특징이다. 포스트젠더의 비결정성은 포스트젠더가 한 인간으로서도 젠더 정체성으로서도 고정된 본질을 가지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특징들로부터 필자는 탈신체화를 통한 젠더 해방을 주장한 포스트젠더리즘의 신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우선 포스트젠더리즘에서 말하는 근대적 젠더 정체성으로부터의 탈피, 젠더 중립성, 양항 젠더로부터의 해방의 개념은 그 자체로도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학자마다 다르게 제시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젠더 없는’ 혹은 ‘젠더 중림’에 대하여 두 가지 면에서 고찰했다. 첫째, 젠더의 임의성, 가변성, 우연성, 대체가능성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근대적 젠더 개념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성리학에서 인간을 도덕적 문화적 프레임으로 해석하는 관점과 유사한 담론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 착안하여 고찰했다. 둘째, 사이보그화, 즉 기계화에 대한 포스트젠더리즘의 주장에 대해서는, 성리학의 존재론에서 신체는 마음에 종속되어 있는 관계가 아니고 마음과 신체는 동등한 관계이며 하나의 유기체를 구성하는 동질적인 요소라는 관점에서 고찰했다. In this paper, I try to reflect on postgenderism in terms of neo-confucianism, an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This means starting a study of East Asian perspectives on postgender, with a reconsideration of the confucian view of humanity in the posthuman era. Post-genderism argue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an free us from the dichotomy of sex. Postgenderists aim to be free from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sex and to be completely free from sociality of gender through technology. The main argument is as follows. First, post-genderism points out that the departure from modern gender identity is the starting point for solving gender problems. Second, one of the commonalities found in the various claims of postgenderists is that they negate the dichotomy of gender. Third, the concept of postgender itself is nondeterministic. The indeterminacy of the postgender concept means that postgender does not have a fixed nature, neither as a person nor as a gender identity. I attempt to consider critically postgenderism, which insisted on the liberation of gender through de-bodyization, centering on the concept of the body. First of all, I point out that the concept of breakaway from modern gender identity, gender neutrality, and liberation from double-gendered gender in postgenderism is not only unclear in itself, but also is presented differently by scholars. And there are two ways to think about genderless or gender-neutral. Firs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gender randomness, variability, contingency, and replaceability. In other words, it means liberation from the concept of modern gender. This study focused on the discourse structure similar to the point of view of human beings as a moral and cultural frame in neo-confucianism. Second, with regard to cyborgization, or post-genderism s claim to mechanization, the body in the ontology of neo-confucianism is not a subordinate relationship to the mind, but the mind and the body are equal relationships and homogeneous elements that constitute an organism.

      • 불교의례에서의 불상의 의미

        최복희(Bok Hee Choi)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7 불교와 사회 Vol.9 No.-

        불교의례에서 불상이 지니는 의미에 대한 고찰은, 종래의 불상에 대한 도상학적인 연구와는 성격을 달리한다. 우선, 초기대승경전에 나타난 불상의 성격을 고찰하고, 불상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증일아함경』에서는 ‘붓다에 대한 공경과 예불’, 2세기의 『도행반야경』에서는 ‘공양하고 복을 받기 위함’, 3세기의 『대명도경』에서는 ‘예경과 수행하여 복덕을 받기 위함’이 불상의 성격으로 나타났다. 즉, 불상의 성격은 불교교리의 발달 등과 더불어서 함께 발전해 왔으며, 예경을 근본사상으로 하여, 복덕과 수행의 개념이 더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불교의례란 불(불상 또는 사리 등), 법(염불-경문), 승(승려)이 한 공간 내에서 동시에 발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불교의례에서 행하여지는 시공의 동시적 공유는 단지 현실적인 공유가 아닌, 불보살이 시공을 초월하여 그 자리에 현현함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때문에, 불상의 개념을 신성성이 아닌 초월성이라고 보았으며, 불상을 ‘숭배’가 아닌 ‘예경’의 대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불상은 예경이나 복덕의 대상이 아닌 경우도 많은데, 이 또한 불상의 초월성에서 기인하며, 변이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불교의례 등에서 불상은 부재와 부정, 및 파상의 초월성을 보이고 있으며, 심지어는 조성소재에서도 초월성을 보인다. 본고에서 불상의 초월성의 변이적 양상에 대하여 충분히 고찰하지 못하였지만, 불상이 예경의 대상이라고 하는 성격만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점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To practice precept is ethical virtue issue for Buddhist monks and Square Precept Platform is proper rite for conferment of precepts. In early sutras like Dharmagupta-vinaya(四分律), Space for performing ceremony of conferment is divided into exterior construction and interior platform fitting variable situation. Open-air precept platforms in Far Eastern Asia were not very popular. All these platforms follow standard form from the book ‘Illustarated Scripture concerning the erection of the Ordination Platform in the Guanzhong Region(關中創立戒壇圖經)’ by Daxuan(道宣), Tang dynasty. Domestic examples of exterior construction following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are Tongdosa Temple’s and geumsansa temple’s. Both construction structure are similar but in another contexts.. Tongdosa has ‘Diamond Precept Platform’ name while Geumsansa has simple ‘Square Precept Platform’. This study focuses on the external architectural approach to the constructural viewpoint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Also very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meaning and difference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comparing with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has been figured it out . Through this study, it turns out the importance of the Ordination Platform location in the monastery. Also it has hierarchic spatial characteristic in the monastic life. Combined study between architectural approach and philosophical approach show this ordination platform has significant name change in different eras.

      • KCI등재

        혈서사송담(血書寫頌譚)과 보살의 보시

        최복희(Bok-hee Choi) 보조사상연구원 2022 보조사상 Vol.64 No.-

        붓다의 전생 구법담(求法譚)에는 자신의 육체 등을 희생(공양)하는 사신(捨身)구법담이 있는데, 본고는 그 가운데 혈서구법담(血書求法譚)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혈서구법담은 다시 혈서사경(血書寫經)과 혈서사송담(血書寫頌譚)으로 구분하였다. 피부, 뼈, 피를 지필묵(紙筆墨)으로 삼아서 구법을 하는 것은 공통하지만, 혈서사송담은 대승보살과 대승경전을 대상으로 하는 혈서사경과는 달리, 게송(사구게)과 붓다의 전생과 밀접하다. 혈서사송담의 대표적인 『대지도론』의 낙법보살담은 후대에 구법자의 이름 등이 바뀌면서 여러 경전에 인용되었지만, 특히 『불설화수경』에는 배고픈 나찰에게 몸을 공양하기로 하고 게송을 들은 설산동자담과 내용이 혼재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한편, 사신구법과 혈서사송담 등은 보시(布施)와도 매우 밀접하다. 하지만 일반적 보시의 구분인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에는 속하지 않으므로, 보살의 보시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경전에 나타난 보살의 보시는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보시의 명칭에 따른 구분과 보살의 구분에 따른 것이다. 보시의 명칭에 따른 구분은 『생경』 등에서는 내시(內施), 외시(外施), 대시(大施)의 3종이지만, 『화엄경』에서는 10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명칭에 따른 보시의 내용이 일정하지 않아서 낙법보살담의 혈서담이 경전에 따라 내시, 또는 외시로 구분되기도 한다. 보살의 구분을 따르면, 낙법보살담은 무생법인보살의 보시행인 것이다. In the Buddha’s past life Story of seeking for Dharma (求法譚), there is a Self-Sacrifice Story of seeking for Dharma(捨身求法譚) in which his body, etc. are sacrificed, and this paper explored it focusing on Hyoulser-gubeopdam (血書求法譚). Hyoulser-gubeopdam was further divided into Blood-writting-Copying Sutras (血書寫經) and Hyoulser-sasongdam (血書寫頌譚). Dharma-seeking using skin, bone, and blood as paper-pen-ink(紙筆墨) is something in common here, but Hyoulser-sasongdam is closely related to Gatha_poems (四句偈) and Buddha’s past life, unlike Blood-writting-Manuscripts which targets MahayanaBodhisattva and Mahayanasutras. A representative Hyoulser-sasongdam, Nakbeopbosaldam of “Mahāprajñāpāramitaśāstra”(『大智度論』) was cited in several sutras as the name of the dharma-seeker was changed later on, but especially in “Bulseolhwasugyeong”(『佛說華手經』) the body was decided to be consecrated to the hungry Raksasa, and Seolsandongjadam(雪山童子譚) that heard Gatha_poems and the contents would appear mixed. In the meanwhile, Self-Sacrifice-seeking for Dharma(捨身求法) and Hyoulser-sasongdam, etc. are also very close to Dāna (布施). However, since they do not belong to the general classification of Dāna such as Jaeshi (財施), Beopshi (法施), and Mu Weishi (無畏施), we examined the Dāna of Bodhisatva. Dāna of Bodhisattva appearing in sutras are divided into two types, which 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Dāna and the classification of Bodhisatva. As for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alled names of Dāna, there are three types of Dāna such as Naeshi (內施), Weishi (外施), and Daeshi (大施) as in the “Jātaka Sutra”(『生經』), etc., but it is classified into 10 kinds in the “Avataṃsaka Sūtra”(『華嚴經』). However, because the contents of Dāna according to the called names are not constant, the Hyoulserdam(血書譚) in the Nakbeopbosaldam would be also classified as Naeshi or Weishi depending on the sutra. According to Bodhisattva's classification, Nakbeopbosaldam is the Dāna-pati(布施行) of Autpattika-dharma-ksānti Bodhisattva.(無生法忍菩薩)

      • KCI등재후보

        백제계 행기(行基)의 미륵정토(彌勒淨土)에 대한 고찰

        최복희 ( Bok-hee Choi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한국불교사연구 Vol.9 No.-

        행기의 미륵정토에 대한 문헌기록은 없다. 그럼에도 그의 미륵정토를 규명할 수 있는 점은 몇 가지가 있다. 행기가 건립한 ‘49원’과 도소와의 관계, 나아가 유가종과의 관계 등이다. 행기의 49원은 도솔천의 궁전이 49겹으로 이루어져있다고 하는 『미륵상생경』과 관련성이 깊다. 『화엄경』에서도 도솔궁은 설하고 있지만, 49겹에 관한 설명은 없기 때문에 화엄사상과는 관련성이 희박하다. 행기의 스승인 도소는 당나라에서 현장의 가르침을 받았는데, 현장은 미륵정토 왕생발원자였다. 때문에, 현장의 미륵정토사상이 도소를 통하여 행기에게도 전승되었을 것이라는 논지의 전개가 가능하였다. 행기집단은 걸식을 기본으로 하였는데, 이는 자신들만의 경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중생의 고난을 해소하고 이익을 주기 위해서는 자신의 것이 없으면, 억지로라도 ‘찾아서 구하여 주어야 한다’는 『瑜伽師地論』의 가르침을 실천한 것으로 이해된다. 당시, 三世一身法으로 인하여과중한 과세와 부역 때문에 힘든 민중들을 위하여 음식과 의복 등의 남 There is no record on Maitreya Paradise of Haenggi. However, there are several things that we can identify his Maitreya Paradise. The relationship between ``49 temples`` and Doso and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with Yugajong. 49 temples by Haenggi is deeply related with Maitreya Sangsengkyung saying that palaces in Dosolcheon are composed as 49 wraps. Although Huayan Sutra mentioned Dosolgung there are no explanations on 49 wraps. Therefore it is not likely to have related with Hwaom Idealism. Doso who was the teacher of Haenggi was taught by Hyeongjang in Tang, who made the commission of reincarnation of Maitreya Paradise. Therefore, it can be thought that Maitreya Paradise is transferred to Haenggi through Toso. Haenggi group was based on begging and it was not to solve their own financial things. It is understood that they did begging to practice the teachings of Yuqieshidilun (瑜伽師地論) telling that you need to ``search for and give it`` if you don``t have your own to resolve difficulties of people and give them benefits. They begged surplus things food and clothes for poor people who had difficulties in heavy tax and forced labor because of Samseilsinbeop (三世一身法).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Haenggi and Wonhyo is briefly reviewed. Wonhyo``s classification of Maitreya believers according to perseverance of people is somewhat different from Yugayusik Maitreya Paradise by Haenggi.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aenggi was influenced by Wonhyo related to Maitreya ideology even indirectly. There are many problems to study Maitreya Paradise of Haenggi which literature does not record. Currently Yamada Bunsho``s (山田文昭) opinion can be acceptable “As Haenggi belongs to Yugajong, he might commission Dosolsangsaeng rather than Seobangwangsaeng. At that time, it has not long after Hyungjang and Jaeun died and Dosol ideology was quite popular and it was introduced to Japan with Beopsangjong. There are some people who claim that Toso himself could be a commissioner of rebirth in the west. However, we have no choice but accommodate the opinion saying "It is really difficult to affirm the future ideology by Haenggi."

      • KCI등재후보

        유교의 생태학적 한계와 전망

        최복희(Choi, Bok Hee)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3 생명연구 Vol.30 No.-

        필자는 거칠게나마 『주역』의 자연관과 기(氣) 개념을 중심으로 유교의 생태적 자연관을 정리하였다. 동양철학에서 기와 기의 작용(氣化)은 유기적인 상호전화와 통섭의 개념으로 전승, 운용되었다. 이 세계는 그러한 기(氣)로 가득 차 있고, 인간의 마음(mind)은 이 세계의 어느 기(氣)보다도 우수한 기이다. 인간은 이 세계의 어느 기화(氣化)보다도 신비로운 활동을 하는 마음[心]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 세계의 가장 깊은 심연[心]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거대한 우주와 보이지 않는 미세한 생물에까지도 통할 수 있는 기화(氣化)에 동참하고 더 아름답게 고양시킬 수 있다. 유교에서 인간만이 세계의 운행에 참여할 수 있다고 한 것이 바로 그 소통의 능력을 말한 것이다. 필자는 최근 미국의 철학자들이 논증하는 ‘확장된 마음’[the extended mind]의 개념 또한 유교의 마음의 소통과 상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확장된 마음이라는 논제는 사실, 마음의 물리성[physical property]에 대한 논의를 차치한다면, 마음과 세계의 기화로 설명 가능하다고 본다. 마치 “스마트폰은 내 마음의 일부”라는 말처럼 인간의 마음이 유기체의 내부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로 확장된다는 그들의 주장은, 인간의 인지과정의 확장으로 외부세계에 인지적 기능을 부여한다는 의미를 강조하면서 개방적이고 탄력적인 인지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유교에서 말하는 개별 생명체와 외부세계를 관통하는 기화로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확장된 마음의 논제에서 말하는 인지 시스템은 단지 인과 기능적 역할을 담당할 뿐이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한 input과 output, cause과 effect의 과정에 기화(氣化)의 풍부한 해석을 더한다면, extend의 개념 또한 단순히 능동성으로만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마음과 환경의 결합으로 일의 효율성과 수행범위의 확장만을 고려하기 보다는, 기화의 상호전화와 유기적 통일성의 개념을 융합한다면, 역동적인 생명세계의 실제와 가치를 해명할 수 있을 것이다. 기의 변화양식을 보면 기는 본질적으로 통섭과 소통을 그 존재양식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관념이 다양한 생명활동의 통섭과 서로 다른 것들의 소통을 설명해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현대과학의 연구성과를 수용하여 기와 기화를 철학적으로 보다 정교하게 해명한다면, 생체모방 기술뿐만 아니라 생명체와 생태 관련 융합기술 혹은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연구나 포스트휴머니즘에도 어떤 답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From the point of oriental philosophy, Ki and its working have been passed down and utilized based upon mutual and organic changes and consilience. This world is full of such Ki and human mind is more excellent Ki than any other types of Ki in the world. Since humans have mind that conduct arcane works that any other Ki’s working in this world, they are able to take part in the process of evaporation, which can affect from the deepest abyss in this world to gigantic universe and even invisibly small living things in it, and uplift the process even more beautiful. Confucianism says only human can participation in working of this world and this means th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extended mind what American philosophers demonstrate currently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communication of mind in Confucianism. The author thinks that in fact the extended mind as a thesis can be explained by Ki’s working of mind and world if we put aside the discussion on the physical property. American philosophers argue that human mind can extend itself to external world without limiting itself to the inside of living existences suggest flexible and open cognitive systems. This argument could also be explained by Ki’s working which connects individual living existences and outside world. However, the cognitive system in the extended mind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ould only work in causal and functional way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if we could add more explanations in terms of Ki’s working to the process of input and output or cause and effect. Moreover, by uniting mutual changes and thje concepts of organic unification without only considering efficiency and extension of work boundary, we could also explain the reality and value of dynamic world of living existences.

      • KCI등재

        이중진단을 받은 알코올중독자의 회복 경험 연구

        최복희(Choi, Bok Hee),차명희(Cha, Myong Hee)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이중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경험 연구로, 이들의 삶의 정황 안에서 어떠한 요인으로 단주를 유지하며 웰빙의 삶을 살았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이중진단을 받은 알코올중독자가 삶 안에서 단주를 유지하며 웰빙의 삶을 살아가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탐구해야 할 필요가 있기에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했으며 연구참여자는 5명, 1대1 심층면담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본질적인 주제와 7개의 드러난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질적인 주제로는 존재의 체념, 단주를 향해 나아가는 용기, 주체적인 삶을 살아감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 이중진단과 알코올중독에 대한 회복과 치유의 삶은 주거와 일자리의 우선적인 안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언했다. 첫째, 아동에 대한 술의 접근성을 멀리하는 예방정책을 둘째, 단주 후, 적어도 6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셋째, 단주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넷째, 사회 복귀를 위한 주거 등의 제반 여건 마련을 다섯째, 재활을 위한 기초생활 수급 지원과 일자리 제공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을 들었다.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recovery experience of alcoholics who have been Dual Diagnosed, and looks at what factors caused them to stop drinking and lead a well-being life 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The research method was approached as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ecause it was necessary to explore what factors alcoholics who were Dual Diagnosed live a well-being life in their lives. Five study participants collected data using a one-on-one deep interview method.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sulted in three essential topics and seven revealing topics. The essential themes were the resignation of existence, the courage to stop drinking, and the sense of living a self-reliant life. Studies have shown that Dual diagnosis and recovery from alcoholism and the life of healing should be prioritized in housing and job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we proposed a policy to avoid alcohol accessibility to children. Second, after you stop drinking, you need at least six months of continuous treatment. Third, we ne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urth, it is suggested to prepare various conditions such as housing for returning to society. Fifth, institutional devices are needed to support basic living supply and demand for rehabilitation and to provide job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