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장로회선교부 한센병 환자 수용정책의 성격(1909~1950) : 여수 애양원을 중심으로

        최병택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2 No.-

        This article deals with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y's activities on treating Hansen’s disease patients and providing shelter for them through AeYangWon. Earlier studies urged that the missionary segregated many patients from society and confined them in leprosy asylums, and by this they treated lepers as social issue for the first time. And on this account lepers be treated discriminatingly. But at that time there were no adequate measures except keeping patients in isolation. Conventionally Western people take lepers as sinner since Middle Ages. By contrast the missionary in korea considered lepers as the blessed for they receive benefits from God through missionary leprosy asylum. The Patients did not protest against segregation and discrimination, but wanted to remain in asylum. In this environment AeYangWon maintained stable relationship between inmate. The leader that keeping order in AeYangWon was the church. pastors of AeYangWon-chur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The Second Advent of Christ, and pushed lepers to concentrate on religious life. Because of them the lepers stuck on religious belief on the millennium, so that they couldn't prepare economical background to meet the new policy on lepers that focus on building settlements in 1960s'. 이 논문은 일제하~1950년까지 한센병 환자 수용 시설인 애양원의 환자 수용 정책과 그 영향을 다룬 글이다. 그동안 일제하 기독교 선교사들의 한센병 환자 수용 시설이 환자들을 외부사회와 격리함으로써 환자들의 인권을 침해하였다는 비판적 시각이 있어왔다. 그러나 기독교계의 한센병 수용 시설이 그 활동을 시작할 무렵 전세계적으로 한센병에 대해서는 환자들을 격리하는 것이 유일한 대책이었다. 이 점에서 환자들을 격리하였다는 것만으로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서구에서는 한센병 환자를 ‘죄’로 인해 병을 얻게 된 자로 규정하고 이를 차별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선교사들은 환자들을 병을 통해 복음을 접하게 된 ‘선택된 자’로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애양원의 ‘격리’ 방침은 환자가 외부인을 접촉함으로써 병을 옮기지 않도록 하는 그야말로 전염병 예방 차원에 머무르는 것으로 환자들을 평생 격리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고, 완치될 경우 환자들은 자유로이 퇴원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환자들이 퇴원 후 격심한 사회적 편견 속에 살아갈 길이 사실상 없었으므로 대부분의 환자들은 경제적 안정이 보장된 애양원에 남기를 원하였고 이 때문에 애양원 내 환자 구역은 비교적 안정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 환자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고 규율하는 역할은 교회에 주어져 있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재림과 함께 병이 완전히 치유될 것이라는 믿음을 심어주는 방식으로 환자들로 하여금 신앙생활에 더욱 전념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 속에서 애양원 수용자의 상당수는 외부와 단절된 채 개인적 신앙생활에 매달리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1960년대에 정착촌으로 이주할 당시 경제적, 사회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 KCI등재

        전시체제 하 일제의 물자수급 및 통제정책 : 경성의 신탄(薪炭)수급 통제를 중심으로 The case of charcoal and firewood

        최병택 한국역사연구회 2004 역사와 현실 Vol.- No.53

        In this article I will survey how the Japanese Empire resolve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supply and demand of everyday commodities by adjusting its control economy from 1937 to 1945, the period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Specifically, I will discuss how the Choson Government-General cultivated "Japanese Spirit" among Koreans to make them accept supply shortages caused by the war. With the start of the war, the Japanese started showing interest in charcoal production, needed for the production of military goods. The Choson Government -General set price controls since the beginning of the war on charcoal to make supply more eflicient. However, these controls actually decreased the supply of charcoal and resulted in an oversupply of firewood, a substitute for charcoal. To solve this, the Japanese tried to systematically limit Koreans' wood-cutting hahits to reduce the supply of firewood. Since firewood was crucial to Koreans for heating, this limit seriously disrupted their lifestyle. The colonial authorities tried to resolve the problem via a distribution system which supplied a minimum amount of firewood to Koreans. This, however. forced merchants and producers out of business and evoked severe opposition form various social strata. In response, the Government-General tried to convince Koreans that tensions within the control economy resulted from consumers and merchants' insufficient cultivation of the "Japanese Spirit," which it defined as selfless devotion to the public interest and an attitude of thrift towards energy consumption similar to that held by the Japanese people. The colonial authorities fabricated the “Japanese Spirit" to manage the control economy in Korea and regulate the daily lives of Koreans. While the firewood policy was being carried out, Japanese culture became a norm to be followed by Koreans. How well Koreans adopted this norm became a basis for how much discrimination they suffered at the hands of their colonial masters.

      • KCI등재

        1910~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개최된 공진회와 박람회의 성격

        최병택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3

        1910년대에 식민 당국은 ‘조선의 문명화를 위해 노력하는 일제‘라는 이미지를 만들고자 지방 공진회를 개최했다. 조선총독부는 1915년에 열린 조선물산공진회를 통해 그러한 이미지를 더욱 강화하고자 하였다. 당시 조선총독부는 조선이 도달해야 할 미래의 ‘발전상’을 상정하고, 조선인들이 총독부의 지도에 순응해야 그와 같은 발전된 사회를 이룰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려 했다. 공진회를 통해 일제가 제시한 내러티브는 조선인들에게 설득력이 없었다. 공진회에 전시된 물품들도 그다지 새로울 것이 없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일제는 자신이 구사한 내러티브를 주입하기 위해 행정력을 동원하여 관람객을 강제적으로 동원했다. 1920년대에 접어들어 경성의 상공업자들은 식민 당국이 보여준 이 관람객 동원 능력을 이용해 상업 경기를 활성화시키고자 했고, 그러한 이유에서 조선박람회의 개최를 여러 차례 요청해 관철시켰다. 1920년대의 박람회는 공진회와 내용상으로 크게 다를 바 없는 행사였다. 또 조선인들의 관심 저하로 상공인들이 노린 경기 진작 효과도 많지 않았다. In the 1910s, the colonial authorities held a regional Competitive Exhibition to create an image of ‘Japanese people working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wanted to further strengthen this image through the Joseon Competitive Exhibition in 1915. Japanese colonial rule forced visitors to spread their images that they made through the exhibition to Koreans. but The image that Japan presented to Koreans at the exhibition was not convincing. Entering the 1920s, the merchants in seoul requested several Joseon Expositions to be held to boost commercial events.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ccepted the request and held the Joseon exhibition. This exhibition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Joseon Competitive Exhibition in 1910s.

      • KCI등재

        1920년대 부 학교평의회의 구성과 학교비(學校費) 논란: 경성부 학교평의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병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한국문화 Vol.77 No.-

        Japanese Governor-General increased elementary school since 1920' as koreans demanded the establishment of more schools. But Japanese authority did not want to invest in education for colonial koreans.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set forth Beneficiary pays principle as management policy for colonial territories. For this reason the full cost of the education fell on korean people. In 1920s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made Local School council(學校評議會) in every county including Kyung-Sung(京城, Seoul), and held elections for the councils. Japanese authority wanted the School Councils to play along with the Government- general, but korean members of the councils was opposed to the policy on schools of the colonial authority. School Council of Kyung-Sung wanted to reserve the right to dicussion on school budge autonomously, and raising state aid to local schools. however, Japanese Governor-General ignored the issue on the korean educations. They didn't give any subsidies to school councils, and did not allow the right on educational autonomy. This caused shrinking of activities of local councils.

      • KCI등재

        일제하 목재 생산 정책의 성격과 그 변화

        최병택 전북사학회 2016 전북사학 Vol.0 No.48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issued the new forestry policy at the beginning of colonial rule by suggesting the principles of Sustained Yield Management, which means maintaining sustainable development. Japanese Governor-General of Chosun carried out that policy in an irregular manner that marked schematic role division between national forests as cutover zone and civil-owned forest as planting area. Under this policy, Governor-General of Chosun forced forest owners to plant trees, while logging national forests aggressively. In 1930’ Japan's forestry policy for civil owned forest switched off from the principles of Sustained Management to promoting forest production as arising the ambition to invade the chinese continent.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change, the amounts of timber that produced in private forests had soared dramatically. Meanwhile, timber productive capacity of national forests had also continuously expanded. At late 1930’ Japanese colonial authority built the system of consignment production by establishing Chosun forestry Development Company which was civil corporation operating under the authorities supervising. As Forestry authority produced a glut of timber, vast tracts of forests had devastated. Forest denud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triggered by policy-based indiscriminate felling of trees.

      • 차미리사의 기독교 민족운동관

        최병택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22 No.-

        차미리사는 기독교적 사회복음주의에 입각하여 인격 양성, 실업 교육을 통한 ‘실력양성’을 중시했다. 인격 양성을 중심으로 하는 실력양성론은 1920년대 당시 감리교계 민족운동가들의 사회운동론과는 그 지향점이 달랐다. 당시 감리교계는 경제적실력양성론에 치우쳐져 ‘미곡 생산량만 늘리면 경제력을 강화할 수 있고, 민족 독립의 여지도 높아질 것’이라는 식이라는 논리 하에서 사회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경제적 실력양성론을 주장하던 감리교계의 신흥우와 박인덕 등은 1930년대에 감리교 교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활동을 펼쳤는데, 그 과정에서 경제적 실력양성론과 다른 입장에 서 있던 차미리사가 공격의 표적이 되었다. 그로 인해 차미리사는 덕성여자실업학교 운영에서 손을 떼야 했다. Cha-Mirisa carried out the Movement of Improving Ability in 1920’, which featured character-building. That was different from other leaders i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who had persisted that improvement in standards of economic state of korea is crucial. That idea of improving character underlaid much of his work on DukSung-school. In 1930’, Many leaders in the church turned coat and became pro-Japanese . They tried to drive out other leaders who held a different opinion on nationalistic movement such as Cha-Mirisa. The result brought Cha-Mirisa’s resignation from the council of DukSung.

      • KCI등재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에 나타난 식민 권력의 이미지 구축 시도 -­미술관 전시를 중심으로

        최병택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0 탐라문화 Vol.0 No.63

        조선총독부는 조선에 대한 식민 지배를 시작한 지 5년이 되는 해인 1915년에 ‘시정5주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를 경복궁 일대에서 개최하였다. 대다수의 연구자들은 이 조선물산공진회를 박람회와 동일한 성격의 행사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조선물산공진회는 박람회와 성격이 다른 행사였다. 일제는 박람회를 개최하는 나라는 ‘문명국’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아직 ‘문명국’이 되지 못한 식민지 조선에서 박람회를 열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일제는 그 대신 장래에 박람회를 열 수 있을 정도로 식민지 조선을 개발하겠다고 선언했다. 또 그러한 능력이 일본 제국주의 당국에게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조선물산공진회는 이러한 일제 당국의 자기 규정을 이미지로 표현해 보여주고자 개최된 행사였다. 조선물산공진회장 안에는 미술관이 있었다. 일제는 이 미술관 전시를 통해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조선인들도 미처 깨닫지 못하는 조선의 예술성을 알아보는 능력이 있다”고 선언하였다. 또 일제는 조선인들이 원래부터 가지고 있었다는 ‘조선풍’ 미술을 보다 더 뚜렷하게 장려할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이처럼 일제는 조선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모두 담당하는 초월자이자 식민지 조선을 대표하는 존재로 자기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In 1915,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eld the ‘Joseon Competitive Exhibition’ in the Gyeongbok Palace area. The majority of the historians consider this event to have the same character as the Expo. However, The ‘Joseon Competitive Exhibition’ was a different event from the fairs.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recognized that only “a few civilized country” have the ability to hold the expo, and colonial Joseon is not capable of hosting the exposition. Instead, Japanese colonial authority declared it would develop colonial Joseon enough to hold an exposition in the future. The Japanese imperialists tried to show that they had this ability through the ‘Joseon Competitive Exhibition’. There was an art museum inside the event area of the ‘Joseon Competitive Exhibition’. The colonial authority wanted to show their ability that recognize the artistry of ancient Joseon, even the people of Joseon did not realize. As such, Japanese colonial authority advertised himself as a guarantee of the ‘bright future’ of the colony.

      • KCI등재

        1960년대 화전민 이주 정책의 내용

        최병택,허동숙 청람사학회 2023 靑藍史學 Vol.38 No.-

        1960년대 국내 식량 사정은 좋지 않았다. 이에 1961년 군사정변을 계기로 구성된 국가재건최고회의는 식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식량작물증산5개년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에는 1966년까지 양곡 845만8천석을 증산하며, 이를 위해 경지면적을 늘리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당시 농림부는 미간지를 개간하거나 간척지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농경지를 확대하는 방법이 현실적이라고 보았다. 농림부는 1961년 간척자원조사, 개척적지조사 등을 통해 개간이 가능한 갯벌과 산지를 찾아내었으며, 이 조사를 통해 찾아낸 산악 미간지 20만 정보를 개간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또 이를 위해 산지 개간 촉진 등을 내용으로 한 ‘개간촉진법안’을 만들어 국회에 제출, 통과시켰다. 당시 정부는 농업 경영 규모가 작은 소농들에게 이 땅의 개간을 맡길 수 없다고 판단하고 개간에 뜻을 둔 지원자들로 구성된 협업농장을 설립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협업농장을 통한 산악 미간지 개간은 나쁜 토질, 농장원 간 단합 부족 등의 영향으로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한편 정부 방침에 따라 개간허가권을 넘겨받은 군수 등의 지방자치단체장들은 산지 개간 실적을 올리기 위해 허가를 남발해 산림 훼손을 부추겼다. 자신이 만든 화전을 개간 대상지로 간주해달라고 요청하여 허가를 받는 화전민도 많았다. 이처럼 불법 개간과 화전 문제가 심화되자 정부는 화전민을 ‘정착 화전지대’로 이주시키겠다는 방침을 발표하였다. 이후 강원도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정부 방침을 받아들여 화전민정리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화전민에 대한 생계 지원 대책이 수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1968년 무장공비 사건을 계기로 정부 차원에서 강력한 화전민 이주 정책이 시행되기도 하였지만, 그 역시 당장 성과를 내지 못했다. 화전민들에 대한 반공 교육은 강화되었지만, 집단 정착지로 이주할 화전민에 대한 생계 지원 대책은 아직 세워지지 않았고, 관련 재정도 아직 확보되지 않은 상태였다. In the 1960s, the domestic food situation was not good. Accordingly,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announced a five-year plan to increase food crop production to solve the food problem. This plan included an increase in grain production by 8,458,000suk(석) by 1966, and an increase in arable land for this purpose. At that time,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considered that it was realistic to expand farmland by clearing uncultivated land or creating reclaimed land. In 1961,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nvestigated tidal flats and mountainous areas that could be suitable for cultivation. And right after this investigation the ‘Creation Promotion Act’ was formulated and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o promote land reclamation, which was passed. At the time, the government decided that it was impossible to entrust the land clearing to small farmers with a small scale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decided to establish a cooperative farm composed of volunteers. However, the reclamation of mountain did not produce results due to poor soil quality and lack of unity among farm members. On the other hand,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such as county governors, who received the permission for reclamation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policy, incited deforestation by issuing permits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reclamation in mountainous areas. There were also many slash-and-burn farmers who requested permission to consider the slash-and-burn fields they had created. As the illegal land clearing and slash-and-burn issues intensified, the government announced a policy to relocate slash-and-burn residents to the “settlement slash-and-burn zone." Afterwards, som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Gangwon-do, accepted the government’s policy and promoted the slash-and-burn civil cleanup project. However, it failed because there was no livelihood support plan for slash-and-burn res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