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QTT 프로토콜 기반 전열 교환기의 구현

        최민혁(Min-Hyeok Choi),박순길(Soon-Gil Park),홍석우(Seok-woo Hong) 대한전자공학회 202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8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ERV capable of remote control using MQTT protocol. A separate remote control protocol was prepared for remot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and message parsing and hashing function were implemented to test whether the messages received from the MQTT server was correctly interpreted and operated. It is expected that such a system can be applied to a smart home appliance network that is operated in accorandce with the user‘s life pattern after confirming the air condition of the ERV and the installed room from a long distance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역 간 피할 수 있는 사망의 추세(1993-2013)

        최민혁(Choi, Min-Hyeok),윤태호(Yoon, Tae-H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9

        전국민건강보험이 지역 간 건강격차 해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민건강보험이 정착된 이후 피할 수 있는 사망의 지역 간 변이와 지역의 박탈 수준에 따른 피할 수 있는 사망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여 국민건강보험제도가 지역 간 건강 격차 해소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993년부터 2013년까지의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연령을 표준화한 총사망률과 적절한 보건의료를 통해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을 산출하여 전국적 수준과 214개 시·군·구 수준에서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였다. 지역박탈지수를 5분위로 구분하여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의 격차는 절대적 차이와 상대적 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은 1993~95년 132.0명(남성 170.3명, 여성 102.0명)에서 2011~13년 47.9명(남성 59.9명, 여성 37.2명)으로 감소하였다. 피할 수 있는 사망이 총사망(75세 미만 기준)에서 차지하는 분율은 1993~95년 28.7%(남성 25.4%, 여성 36.2%)에서 2011~13년 21.8%(남성 19.0%, 여성 28.4%)로 감소하였다.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의 지역 간 격차는 1993년에서 2013년의 기간 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대도시인“구”지역들은 상대적으로 악화되는 방향으로 농어촌지역인 “군” 지역은 상대적으로 개선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1993~95년과 2011~2013년의 두 시점을 비교하였을 때, 피할 수 있는 사망은 가장 박탈 수준이 높은 지역에서는 62.5%(남성 63.7%, 여성 63.1%)로 감소하였고, 가장 박탈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는 65.8%(남성 67.0%, 여성 64.9%)로 감소하였다. 지역 박탈지수 5분위 간의 절대적 차이와 상대적 차이는 1993~1995년에서 2005~2007년 동안에는 감소해 왔으나, 2008~2010년 이후로는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로 바뀌었다. 몇 가지 방법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는 2000년대 중반까지 국민건강보험이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의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하는데 기여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지역 간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의 절대적, 상대적 격차가 모두 증가하는 추세임을 또한 확인하였다. 따라서 피할 수 있는 사망률의 지역 간 격차 완화를 위한 국민건강보험의 정책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still unknown how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fluence on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This study aim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on differences of amenable mortality to health care across the 214 districts level. Mortality data by age, sex and cause of deaths for the years 1993 to 2013 obtained from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ge standardized mortality rates for all-cause and causes of death considered amenable to health care were calculated during 1993 and 2013 at the district level. The trends for amenable mortality by area deprivation quintile were analyzed using rate difference and rate ratio. Amenable mortality accounted for 28.7% (25.4% in male, 36.2% in female) for 1993~95 and 21.8% (19.0% in male, 28.4% in female) for 2011~13 of total deaths under age 75. Amenable mortality fell by 62.5% (63.7% in male, 63.1% in female) in the least deprived areas and 65.8% (67.0% in male, 64.9% in female) in the most deprived areas between 1993~95 and 2011~13. Both of rate difference and rate ratio of the amenable mortality by deprivation quintile have been decreased during 1993~95 and 2005~07. However, both indices changed to increasing patterns from 2008~10 onward both male and female. Despite of some methodological issues,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had an positive influence on reducing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However, we also found the gap of amenable mortality between most deprived and least deprived areas has been widening recently. More policy attention needs to reduce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 웨어러블 센서 데이터 기반의 교통사고 위험 알림 시스템

        최민혁 ( Min-hyeok Choi ),정지원 ( Ji-won Jung ),변찬혁 ( Chan-hyeok Byun ),최태원 ( Tae-won Choi ),장명호 ( Myungho Jang ),김희주 ( Heeju Kim ),송충건 ( Chung-geon Song ),유헌창 ( Heonchang Yu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1 No.1

        대한민국은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OECD 국가들 중 최상위에 있다. 그러나 국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연구에서는 외부 센서를 통해 충돌을 회피하거나 충격을 감지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장치에 대한 적용만을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위험행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인식하고 사용자에게 경고를 전달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구축에 활용 되어 국내 교통사고 감소비율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메이저리그 투수 경기력 지표와 초구 스트라이크 비율 분석 : 2017~2019시즌 마무리투수를 중심으로

        최민혁(Choi, Min Hyeok),김응준(Kim, Eung Joon)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메이저리그 2017~2019시즌 연도별 세이브 순위 상위 30명과 팀별 마무리투수 중 세이브 개수가 가장 많은 30명을 대상으로 마무리투수의 투수 경기력 지표와 초구 스트라이크 비율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7~2019시즌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2017년도에는 초구 스트라이크 비율과 볼넷, 9이닝당 볼넷, fWAR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2018년도에는 9이닝당 볼넷과 볼넷이 2019년도에는 9이닝당 볼넷과 볼넷 그리고 FIP와 세이브 개수와 WHIP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2017년도부터 2019년도까지 기록을 합산하여 분석했을 때는 볼넷, 9이닝당 볼넷, fWAR, WHIP, FIP, 세이브 개수, 피출루율, 평균자책점, bWAR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팀들이 정규시즌에서 기록한 승률에 따른 집단별 3년간 마무리투수 초구 스트라이크 비율은 21~30위 집단이 1~10위, 11~20위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마무리 투수가 정규시즌에서 기록한 세이브 개수에 따른 집단별 3년간 마무리투수 초구 스트라이크 비율은 21~30위 집단이 1~10위, 11~20위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itcher"s performance index and first pitch strike ratio for the top 30 saves by year in the Major League Baseball 2017-2019 season and 30 players with the highest number of saves among closers by team. Data for the 2017-2019 season were colle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rst strike ratio, walks, walks per nine innings, and fWA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2017, and walks, walks per nine innings in 2018, as well as walks and walks per nine innings, and the number of FIP and saves and WHIP in 2019. When the records from 2017 to 2019 were summed up and analyzed, walks, fWAR, WHIP, FIP, number of saves, on-base percentage, ERA, and bWA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irst strike ratio. The first pitch strike ratio of finishing pitchers for each group for three years according to the winning rate recorded by the teams in the regular season was lower in the 21st to 30th groups than in the 1st to 10th and 11th to 20th groups. The first pitch strike ratio of finishing pitchers for three years by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saves recorded by finishing pitchers in the regular season was lower in the 21st to 30th groups than in the 1st to 10th groups and the 11th to 20th groups.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비만과 지역 사회경제적 수준과의 연관성-다수준 분석법을 적용하여-

        최성원 ( Sung Won Choi ),최민혁 ( Min-hyeok Choi )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2 No.1

        Purpose: Obesity is a risk factor for all cause death. In these days,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environmental elements and Socioeconomic Status (SES) of neighborhood can play important roles in causing chronic diseases including obesity. Methods: We analyzed total 214,630 adults aged over 19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Health Survey in 2014. Individual SES was measured by age, sex, educational level, job status, and marriage status. Neighborhood SES was measured by using the deprivation index (DI) at town level representing overall neighborhood SES.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individual SES was examined by using odds ratios with 95% confidential intervals (CIs) calculated by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nsider the contextual effect of neighborhood SES, multileve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obesity rates were different sexually in age, educational level, job status, and marriage status. Males who had jobs with low income expected had lower ORs. By Multilevel analysis, the Median Odd Ratio (MOR) in male was 1.08 and the MOR in female 1.14. Women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had lower ORs, but reversed results were shown in men. Males with high neighborhood SES by low DI have low OR 0.94(95% CI, 0.89, 0.99; p-value, .016). Conclusion: Neighborhood SES as well as individual had considerable impact on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n adults, especially female adults with higher MOR by multilevel analysis.

      • KCI등재
      • 항공관측 및 대기질 모델링을 활용한 장거리 이동물질 영향 연구

        이성우(Sung-Woo Lee),최민혁(Min-Hyeok Choi),최진수(Jin-Su Choi),손정석(Jung-Suk Son),김성용(Sung-Yong Kim),장임석(Lim-Seok Chang),이성우(Sung-Woo Lee),김종춘(Jong-Chun Kim),반수진(Soo-Jin Ban),장성기(Seong-Ki Jang),황경철(Kyung-Chul 한국환경관리학회 2011 環境管理學會誌 Vol.17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LTP) Project among Korea, Japan and China. The research aims to understand atmospheric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determine causes of air pollution in the region. It ultimately wants to provide scientific data for establishing air pollution reduction measures. To this end, several activities were performed including aircraft measurement, upper and synoptic atmosphere analysis, and modeling analysis. Aircraft measurement was carried out in 2010 during two intensive measurement periods in vertical and zonal paths. The first measurement period was between May 15~25 for 7 times, and the second one was November 15~22 for 8 times. The highest pollutants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20 May 2010. On this day, the mean concentration of SO₂ was 5.56 ppb, CO was 0.23 ppm, O3 was 9.47ppb, NOx was 4.01 ppb, PAN was 1.37 ppb, and particle number was 194.968 N/㎤, higher than the other measurement days. The modeling result during the aircraft measurement was quite reliable as it was performed based on the 2006 INTEX-B emission data. In addition, high concentration events and tracts of air pollutant movement were well simulated in the model. But the modeling result also requires some further improvement as it tends to underestimate their absolute valu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처리된 동종 신경과 laminin 유래 peptide가 부착된 신경 도관을 이용한 말초 신경의 재생 비교

        이주엽(Joo-Yup Lee),최민혁(Min-Hyeok Choi),신은영(Eun-Young Shin),민병무(Byung-Moo Min),노드레(Deule Roh),정동준(Dong-June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1

        목적: 토끼의 죄골신경 결손 모델을 이용하여 처리된 동종 신경과 laminin 유래 peptide가 부착된 신경 도관이 말초 신경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신경학적, 조직형태학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New Zealand 토끼 30마리를 3개 군으로 나누어 15㎜의 좌골 신경 결손을 만든 후 1군은 자가 신경, 2군은 처리된 동종 신경, 3군은 laminin 유래 peptide가 부착된 신경 도관을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이식 후 12주에 전 경골근의 복합 근 활동전위, 전 경골근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정상측과 비교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직형태학적으로 신경의 법위, 총 축색의 수, 수초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 이식 후 12주에 측정한 전 경골근의 복합 근 활동 전위는 1군에서 정상측의 54.1%, 2군에서 정상측의 38.2%, 3군에서 정상측의 26.4% 이었다. 전 경골근의 무게는 1군에서 정상측의 57.8%, 2군에서 정상측의 54.4%, 3군에서 정상측의 43.9%이었다. 신경의 범위, 수초의 두께 등은 세 군 간에 차이기 없었으나, 축색의 수는 3군에서 가장 적었으며 축색의 형태가 불규칙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전기신경학적으로 자가 신경 이식군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처리된 동종 신경은 laminin 유래 peptide가 부착된 신경 도관에 비하여 더 나은 신경 재생이 관찰되었다. Purpose: To compare a processed nerve allograft, laminin derived peptide incorporated nerve conduit, and autograft in terms of electrodiagnostic testing and nerve histomorphometry for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in a rabbit sciatic nerve defec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a unilateral 15 ㎜ sciatic nerve defect was made. Group Ⅰ, Ⅱ and Ⅲwas repaired with a reversed autograft. a processed acellular nerve allograft, and a laminin derived peptide incorporated nerve conduit, respectively. At twelve weeks, the animals were evaluated with the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wet muscle weight, and nerve histomorphometric parameters such as nerve area, number of axons, and myelin thickness. Results: At twelve weeks, the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for group Ⅰ, Ⅱ and Ⅲ was 54.1%, 38.2% and 26.4%,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hree groups (p < 0.001, group Ⅰ vs Ⅱ; p < 0.001, group Ⅱ vs Ⅲ; p < 0.001, group Ⅱ vs Ⅲ) The wet muscle weight for group Ⅰ, Ⅱ and Ⅲ was 57.8%, 54.4% and 43.9%, respectively. Group I had significantly more muscle weight than group Ⅲ (p < 0.001),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with group Ⅱ (p=0.256). Group Ⅱ and Ⅲ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2). The number of axons in group Ⅲ decreased and the shape of the axon was irregular, even though the nerve area and myelin thickness were similar in the three groups. Conclusion: An autograft remains the gold standard to repair a segmental nerve defect Processed allograft demonstrated superior nerve recovery compared to the laminin derived peptide incorporated nerve condu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